KR101642876B1 - 수력 발전용 수차 - Google Patents
수력 발전용 수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2876B1 KR101642876B1 KR1020150034356A KR20150034356A KR101642876B1 KR 101642876 B1 KR101642876 B1 KR 101642876B1 KR 1020150034356 A KR1020150034356 A KR 1020150034356A KR 20150034356 A KR20150034356 A KR 20150034356A KR 101642876 B1 KR101642876 B1 KR 101642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pper
- support
- outle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03B7/003—Water wheels with buckets receiving the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 Y02E10/223—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력 발전용 수차에 관한 것으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살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살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에 연결되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받이부;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받이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함으로써, 낙하하는 물을 물받이부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회전하므로 회전력이 증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물받이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함으로써, 낙하하는 물을 물받이부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회전하므로 회전력이 증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력 발전용 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 발전은 하천 등에서 물이 갖는 위치에너지 또는 운동에너지를 전달 받는 수차를 이용하여 기계에너지로 변환하고 이것을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방식으로 수차의 축에 붙어있는 발전기가 돌아가면서 전기가 발생한다. 또한 수력발전은 국내 부존자원(賦存資源)인 물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므로 무공해 청정에너지이며 발전연료 수입 대체효과,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기동과 정지, 출력조정 시간이 원자력이나 화력 등 기타 전력설비에 비해 빨라 부하변동(負荷變動)에 대한 속응성(速應性)이 우수하므로 첨두부하(尖頭負荷)를 담당하여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수력 발전은 발전방식에 따라 수로식, 댐식, 댐수로식, 유역변경식, 양수식 등으로 분류하며 설비용량에 따라 대수력, 중수력, 소수력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경우를 소수력 발전이라 하고, 소수력 발전 관련하여 수차관련 기술들이 상당수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특허문헌 1은 수차에 무게 증가용 중량부재를 설치하여 회전력을 증가시켜 수차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설치장소 및 사용조건 등에 맞게 중량부재의 수량, 크기 등을 쉽게 변경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날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압이 날개 전체에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력 증가시키는 발전용 수차를 게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중량부재에 의해 날개가 하강하는 부분에서는 회전력이 높아지겠지만, 날개가 상승하는 부분에서는 중량부재의 무게에 의해 회전력이 저감될 수 밖에 없으므로, 회전력 증가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은 날개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되므로, 회전력의 저감은 필연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차의 무게를 경량화하여 회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력 발전용 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차의 회전에 의해 물받이부가 상승할 때에 공기의 저항을 줄여 회전력을 높일 수 있는 수력 발전용 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받이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수용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마개부를 설치하여 낙하하는 물을 보다 용이하게 물받이부에 수용시킬 수 있는 수력 발전용 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는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살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살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에 연결되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받이부;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마개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마개부가 상기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오목부가 함몰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 상기 테이퍼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마개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마개부가 상기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개부는 슬라이딩부의 타단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살대; 및 상기 살대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살대의 끝단을 서로 잇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개부는 제1마개부를 바라보는 면에 틈새로 공기가 흐르도록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개부는 제2마개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마개부가 다각형상을 이루며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받이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함으로써, 낙하하는 물을 물받이부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회전하므로 회전력이 증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살과 연결부재, 또는 돌기 등으로 제2마개부를 형성하여 관통공 또는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차가 회전하며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 회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위치에서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위치에서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제2마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제2마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위치에서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위치에서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제2마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의 제2마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는 회전축(100)과 지지부(200), 연결부(300), 물받이부(400), 마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100)은 미리 정해진 길이의 막대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력 발전용 수차는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축(100)의 양단에서 방사상으로 지지부(200)가 연장되어 펼쳐진다.
지지부(200)는 복수 개의 지지살(201)이 회전축(100)의 양단 각각에 연장되어 연결되되, 회전축(1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부(200)는 회전축(100)의 일단에서 복수 개의 지지살(201)이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제1지지부(210)와 회전축(100)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지지살(201)이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제2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20) 각각이 포함하는 지지살(201)은 이웃하는 지지살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2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포함하는 지지살의 개수를 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20)가 복수 개의 지지살(201)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면으로 형성된 판체형상일 수도 있다.
연결부(300)는 지지부(200)가 회전축(100)에 대해 지지되도록 결합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00)는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20)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살(201)이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살(201)을 서로 연결시켜 결합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는 제1지지부(210)에 설치되어 결합된 제1연결부(310)와, 제1지지부(210)에 결합되며 제1연결부(3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지지부(220)에 설치된 제3연결부(330)와, 제2지지부(220)에 결합되며 제3연결부(33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4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100)의 양단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가, 또는 제3연결부(330)와 제4연결부(340)가 동심원을 이룰 수 있으나, 제1 내지 제4연결부(340)를 원형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1연결부(310) 또는 제2연결부(320)는 어느 하나 이상이 다각형상으로 제1지지부(21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3연결부(330) 또는 제4연결부(340)는 어느 하나 이상이 다각형상으로 제2지지부(22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연결부(310)와 제3연결부(330), 제2연결부(320)와 제4연결부(340)는 각각 후술하는 물받이부(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받이부(400)는 지지부(200) 또는 연결부(300)에 연결되며 낙하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부(400)는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물받이부(400)는 오목부(410)가 형성되고, 오목부(410)에 수용된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구(420)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위치에서의 물받이부(40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1의 B위치에서의 물받이부(4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는 낙하하는 물에 의해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A위치와 B위치는 본 발명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변화할 수 있다.
물받이부(400)에 관통형성된 배출구(420)는 오목부(410)가 함몰된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다시 말하면, 물받이부(400)는 오목부(410)가 함몰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구(420)는 일단이 넓고 타단이 좁은 일광타협(一廣他狹)의 뿔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500)는 물받이부(400)에 형성된 배출구(420)에 설치되어, 배출구(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오목부(410)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마개부(500)는 슬라이딩부(510)와 테이퍼부(520), 제1마개부(530) 및 제2마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10)는 배출구(420)에 관통 삽입되어 왕복운동할 수 있다.
테이퍼부(520)는 슬라이딩부(510)의 일단에 위치하며 경사부(42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마개부(530)는 테이퍼부(520)일단에 위치하며 배출구(420)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마개부(530)는 배출구(420)의 넓은 측보다 넓게 형성되어 배출구(420)를 폐쇄가능하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마개부(53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물받이부(400)가 A위치에서 제1마개부(530)가 후술하는 제2마개부(540)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도 1 참조), 배출구(420)의 경사부(421)에 테이퍼부(520)가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고, 테이퍼부(520)와 제1마개부(530)에 의해 배출구(420)는 폐쇄되어 오목부(410)에 수용된 물은 배출구(420)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이 낙하하는 힘과 수용된 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본 발명은 회전하게 된다.
제2마개부(540)는 슬라이딩부(510)의 타단에 위치하며 마개부(500)가 배출구(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제2마개부(540)는 배출구(420)의 좁은 측보다 넓게 형성되어 B위치에서 마개부(500)가 물받이부(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마개부(540)는 마치 수레바퀴와 같은 형상으로, 슬라이딩부(510)의 타단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살대(541)와, 살대(541)의 끝단을 잇는 연결부재(542)로 구성되어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받이부(400)가 B위치에서 제2마개부(540)가 제1마개부(53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도 1 참조), 제2마개부(540)의 살대와(541) 연결부재(542) 사이의 관통공과 배출구(420)에 공기가 흘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전체적인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제2마개부(540)의 형상 및 구성은 상기에 언급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마개부(500)가 물받이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면서 공기를 배출구(420)를 통해 흐를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B위치보다 높이 위치한 물받이부(400)에서 쏟아지지 않고 미처 남아있는 물방울이 B위치의 물받이부(400)에 낙하하더라도 제2마개부(540)의 관통공과 배출구(420)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마개부(540)의 또 다른 예로 제2마개부(540)의 제1마개부(530)를 바라보는 면에 돌기(543)가 구비되어 틈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가 형성되므로, 돌기(543)와 틈새를 통해 공기가 흐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개부(500)는 배출구(420)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부(510)와, 슬라이딩부(510)의 일단에 위치하며 배출구(420)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마개부(530) 및 슬라이딩부(510)의 타단에 위치하며 마개부(500)가 배출구(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마개부(540)로 구성되어, 상기 구성들이 I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마개부(530)는 제2마개부(540)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 마개부(500)는 배출구를 막고 물받이부(400)에 물이 수용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가 회전하면서 오목부(410)로부터 수용된 물이 쏟아질 때, 제2마개부(540)보다 무거운 제1마개부(530)에 의해 마개부(500)는 배출구(420)를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물받이부(400)에는, 배출구(420)와 마개부(500)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가 마련된 배출구(420)와 마개부(500)는 물받이부(400) 내에서 다각형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물받이부(400)는 제1연결부(310)와 제3연결부(330)를 잇는 별도의 회동축에 의해 회동될 수 있고, 제2연결부(320)와 제4연결부(340)를 이어 물받이부(400)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을 낙하하는 물의 방향과 A위치에서의 물받이부(400)가 수직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화살표 방향으로 물이 낙하하고, 본 발명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축(100)이 회전하며 발생하는 회전에너지가 발전기에 전달되도록, 회전축(100)을 발전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한다.
물이 낙하하면 물받이부(400)에 압력이 가해지고, 물받이부(400)는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게 되며, 물이 낙하하는 압력과 물받이부(400)의 오목부(410)에 담긴 물의 무게에 의해 본 발명은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1 참조).
이때, 물받이부(400)에 설치된 마개부(500)는 물받이부(400)의 배출구(420)를 막아 낙하하는 물이 배출구(4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배출구(420)는 오목부(410)가 함몰된 방향으로 일광타협(一廣他狹)으로 테이퍼져 경사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마개부(500)는 슬라이딩부(510)와 테이퍼부(520), 제1마개부(530) 및 제2마개부(540)로 구성되므로, 배출구(420)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510)가 슬라이딩하면서, 테이퍼부(520)가 배출구(420)의 경사부(421)와 대응하여 맞닿거나 이격되면서 배출구(420)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제1마개부(530)는 배출구(420)의 넓은 측의 개방된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제1마개부는 배출구(420)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낙하하는 물이 배출구(420)를 통해 소실되지 않고 물받이부(400)의 오목부(410)에 수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차가 회전함에 따라 물받이부(400)는 A위치에서 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마개부(500)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쏠리게 되고, 배출구(420)의 경사부(421)와 맞닿아 있는 테이퍼부(520)가 이탈하게 된다. 하지만 제2마개부(540)가 배출구(420)의 좁은 측의 개방된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마개부(500)는 배출구(4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개부(540)는 슬라이딩부(510)로부터 살대(541)가 방사형태로 펼쳐지고 살의 끝단을 잇는 연결부재(542)에 의해 연결되므로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관통공과 배출구(420)를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개부(540)는 제1마개부(530)를 향한 면에 돌기(543)가 구비되어 틈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틈새와 배출구(420)를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회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발전효율 또한 높아진다. 그리고 B위치보다 상방에 위치한 물받이부(400)로부터 낙하하는 일부 물은 제2마개부(540)의 관통공과 배출구(420)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는 회전축(100)이 발전기와 연결되므로, 수차가 회전하면 발전기는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낙하하는 물의 에너지와 물받이부(400)에 수용된 물의 무게는 수차의 기계적인 회전에너지로, 수차의 회전에너지는 발전기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용 수차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회전축 200 : 지지부
201 : 지지살 210 : 제1지지부
220 : 제2지지부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부 320 : 제2연결부
330 : 제3연결부 340 : 제4연결부
400 : 물받이부 410 : 오목부
420 : 배출구 421 : 경사부
500 : 마개부 510 : 슬라이딩부
520 : 테이퍼부 530 : 제1마개부
540 : 제2마개부 541 : 살대
542 : 연결부재 543 : 돌기
201 : 지지살 210 : 제1지지부
220 : 제2지지부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부 320 : 제2연결부
330 : 제3연결부 340 : 제4연결부
400 : 물받이부 410 : 오목부
420 : 배출구 421 : 경사부
500 : 마개부 510 : 슬라이딩부
520 : 테이퍼부 530 : 제1마개부
540 : 제2마개부 541 : 살대
542 : 연결부재 543 : 돌기
Claims (10)
-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살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살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에 연결되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받이부;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마개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마개부가 상기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오목부가 함몰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
상기 테이퍼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마개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마개부가 상기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개부는
슬라이딩부의 타단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살대; 및
상기 살대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살대의 끝단을 서로 잇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개부는 제1마개부를 바라보는 면에 틈새로 공기가 흐르도록 돌기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개부는 제2마개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중량을 갖는 수력 발전용 수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마개부가 다각형상을 이루며 복수 개 마련된 수력 발전용 수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4356A KR101642876B1 (ko) | 2015-03-12 | 2015-03-12 | 수력 발전용 수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4356A KR101642876B1 (ko) | 2015-03-12 | 2015-03-12 | 수력 발전용 수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2876B1 true KR101642876B1 (ko) | 2016-07-26 |
Family
ID=5668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4356A KR101642876B1 (ko) | 2015-03-12 | 2015-03-12 | 수력 발전용 수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287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6339A1 (ko) * | 2018-08-13 | 2020-02-20 | 남승호 | 관람차를 이용한 신개념 소수력 발전기 |
EP3734061A1 (en) * | 2019-05-01 | 2020-11-04 | Gene Kasten |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
KR102543729B1 (ko) * | 2022-03-10 | 2023-06-14 | 심갑보 | 회전효율이 향상된 가변플라이휠 구조의 수력발전용 수차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32275A (ja) * | 2009-06-29 | 2012-12-13 | ウィルソン,ギャヴィン,ピー. | 低抵抗流体圧式作動シリンダおよびシステム |
KR20140060632A (ko) * | 2012-11-12 | 2014-05-21 | 김국진 | 발전용 수차 |
KR20140109788A (ko) * | 2013-03-06 | 2014-09-16 | 정판석 | 부력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
-
2015
- 2015-03-12 KR KR1020150034356A patent/KR1016428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32275A (ja) * | 2009-06-29 | 2012-12-13 | ウィルソン,ギャヴィン,ピー. | 低抵抗流体圧式作動シリンダおよびシステム |
KR20140060632A (ko) * | 2012-11-12 | 2014-05-21 | 김국진 | 발전용 수차 |
KR101460063B1 (ko) | 2012-11-12 | 2014-11-10 | 김국진 | 발전용 수차 |
KR20140109788A (ko) * | 2013-03-06 | 2014-09-16 | 정판석 | 부력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6339A1 (ko) * | 2018-08-13 | 2020-02-20 | 남승호 | 관람차를 이용한 신개념 소수력 발전기 |
US12000368B2 (en) | 2018-08-13 | 2024-06-04 | Sung Ho Nam | Small hydropower generator of novel concept, using ferris wheel |
EP3734061A1 (en) * | 2019-05-01 | 2020-11-04 | Gene Kasten |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
KR102543729B1 (ko) * | 2022-03-10 | 2023-06-14 | 심갑보 | 회전효율이 향상된 가변플라이휠 구조의 수력발전용 수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1468B2 (en) | Low-head and high flow water turbine machine | |
US8596964B2 (en) | Turbines having a debris release chute | |
KR101642876B1 (ko) | 수력 발전용 수차 | |
WO2009031016A3 (en) | An energy generat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waterwheels | |
KR101460063B1 (ko) | 발전용 수차 | |
US20120313375A1 (en) | Rotational force generating device and a centripetally acting type of water turbine using the same | |
US20190323478A1 (en) | Hydropower generator | |
KR20160014293A (ko) | 휴대용 수력발전 장치 | |
KR101354082B1 (ko) | 냉각탑 발전장치 | |
KR20100135579A (ko) | 소수력 발전장치 | |
KR20170116915A (ko) | 고 효율의 수차 및 이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 |
KR101637907B1 (ko) | 자동 개폐식 풍속 가변형 풍력발전시스템 | |
JP2018076841A (ja) | 軸流水車発電装置 | |
KR101617332B1 (ko) | 소수력 발전장치 | |
KR101376254B1 (ko) |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 회전력 증강장치 | |
KR101709146B1 (ko) | 소수력 발전장치용 수차의 회전저항력 완화장치 | |
KR20150140057A (ko) | 수차를 이용한 수력발전기 | |
KR20110021234A (ko) | 풍력 또는 수력발전기의 수직회전자 | |
KR101590070B1 (ko) | 수력 발전장치 및 수력 발전장치용 수차 | |
WO2017042740A1 (en) | Hydraulic centrifugal axial horizontal turbine | |
KR101320636B1 (ko) | 유수관용 수력발전장치 | |
KR200363205Y1 (ko) | 발전을 위한 수차 회전장치 | |
KR20120119302A (ko) | 발전장치 | |
KR20080113895A (ko) | 수직축 풍력 발전시스템의 입구 안내익 구조 | |
JP2017129109A (ja) | 発電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