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361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361B1
KR101642361B1 KR1020140032637A KR20140032637A KR101642361B1 KR 101642361 B1 KR101642361 B1 KR 101642361B1 KR 1020140032637 A KR1020140032637 A KR 1020140032637A KR 20140032637 A KR20140032637 A KR 20140032637A KR 101642361 B1 KR101642361 B1 KR 10164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uplink
base station
channel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644A (ko
Inventor
권홍찬
김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3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3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Abstra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은,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좌표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 맵은 상기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을 기초로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서브 영역들에는 상기 TPC 명령을 위한 전력제어 비트가 설정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제어(power control)는 채널의 경로 손실과(path loss) 변동(fading)을 보상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수신 SNR(Signal-to-Noise Ratio)을 보장하고, 적절한 랭크 적응(rank adaptation)을 통해서 높은 시스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은 상기 전력 제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LTE-Advanced(이하, 'LTE-A'라 함)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는 폐루프 보정(closed-loop correction) 및/또는 개루프(open-loop) 전력 제어에 기초한다.
개루프 전력 제어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의 계산에 의해 처리되고, 폐루프 보정은 기지국(evolved Nod B; eNB)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3GPP는 폐루프 보정의 구현을 정의하지 않았으며 이동통신 사업자에 따라서 폐루프 보정의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이 이전에 전송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다수의 측정값들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채널의 환경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단말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좌표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 맵은 상기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을 기초로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서브 영역들에는 상기 TPC 명령을 위한 전력제어 비트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라서 상술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좌표를 맵핑하고, 상기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결정된 TPC 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 맵은 상기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을 기초로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서브 영역들에는 상기 TPC 명령을 위한 전력제어 비트가 설정된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제1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측정하는 단계; 제1 RSSI 임계치와 제2 RSSI 임계치가 설정된 RSSI 축 및 제1 SINR 임계치 와 제2 SINR 임계치가 설정된 SINR 축을 포함하는 RSSI-SINR 평면에서 상기 RSSI및 SINR 측정값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폐루프 기반으로 보정하는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제2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결정된 CLPC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LPC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전력으로 상기 제2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제1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1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측정하고, 제1 RSSI 임계치와 제2 RSSI 임계치가 설정된 RSSI 축 및 제1 SINR 임계치 와 제2 SINR 임계치가 설정된 SINR 축을 포함하는 RSSI-SINR 평면에서 상기 RSSI및 SINR 측정값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폐루프 기반으로 보정하는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제2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결정된 CLPC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CLPC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된 전력으로 상기 제2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이전에 전송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다수의 측정값들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채널의 환경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PC 명령을 전송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PC 명령을 전송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PC 명령을 전송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하여 측정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단말 또는 기지국에 설정되는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제어 맵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셀 또는 섹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관련 정보 및 전송 전력 제어 (Transmisson Power Control, TPC)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이므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2(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들은 일반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별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ap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의 3개의 필드를 포함한다. 3 개의 필드의 전체 길이는 1ms이다. 타입 2에서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격자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X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예컨대,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도 6은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반송파 집성이란 대역폭 단위의 반송파들의 복수개의 묶음을 통하여 단말과 기지국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대역폭 단위의 반송파를 구성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칭할 수 있다. 구성반송파(CC)는 셀(cell)이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 기술은 하나의 반송파가 5MHz, 10MHz 또는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더라도 최대 5 개의 반송파를 묶어 최대 100MHz까지의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정보는 특정 CC를 통해서만 송수신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CC를 프라이머리 CC(또는 앵커 CC)로 지칭하고, 나머지 CC를 세컨더리 CC로 지칭할 수 있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크로스-CC 스케줄링)이 적용될 경우, 세컨더리 CC에 대한 PDCCH는 프라이머리 CC로 전송되고, 해당 PDSCH는 세컨더리 CC로 전송될 수 있다. 크로스-CC 스케줄링을 위해, 캐리어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의 도입이 고려될 수 있다. PDCCH 내에서 CIF의 존재 여부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 및 단말-특정(또는 단말 그룹-특정)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PDCCH 내에서 CIF는 해당 PDCCH가 어떤 CC에 관련된 제어 정보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명령은 PDCCH 의 DCI 포맷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일 전송 안테나 전송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전력 제어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은 폐루프 보정 계수(factor) Δ에 의해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PUCCH 없이 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이 단독으로 전송되는 경우 PUSCH의 전송전력은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1
수학식 1을 직관적으로 설명하면 PO_PUSCH(j)는 수신측이 PUSCH를 수신하였을 때에 목표하는 PUSCH 수신전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른 term들은 목표하는 PUSCH 수신전력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을 보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학식 1에서, PPUSCH(i)는 PUSCH 에 대한 i 번째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력이며, 단위는 dBm이다. PCMAX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최대 허용 전력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설정되며 사용자 기기의 종류(class)에 따른다. 또한, MPUSCH(i) 는 할당되는 자원의 양이고, 할당되는 자원 블록(부반송파의 그룹, 예를 들어, 12 부반송파)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으며, 1부터 110사이의 값을 갖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갱신된다. 상기 수학식 1 에서 PO_PUSCH(j)는 다음의 수학식 2과 같이 PO_NOMINAL_PUSCH(j) 과 PO_UE_PUSCH(j) 의 2 부분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2
상기 수학식 2 에서 PO_NOMINAL_PUSCH(j) 는 상위계층(higher layer)에 의해 셀 특정으로 주어지는 값이고, PO_UE_SPECIFIC(j) 는 상위계층에 의해 단말 특정으로 주어지는 값이다. 기지국은 상위계층을 통해서 PO_NOMINAL_PUSCH(j) 및 PO_UE_SPECIFIC(j)를 단말에 전달한다.
인수(argument) j 는 0, 1 또는 2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j=0 인 경우에 PDCCH 에서 동적(dynamic)으로 스케줄링되는 PUSCH 전송에 해당한다. j=1 인 경우에, 반-영속적(semi-persistent) PUSCH 전송에 해당한다. j=2 인 경우에 임의접속 그랜트 (random access grant)에 기초한 PUSCH 전송에 해당한다.
상기 수학식 1 에서 α(j)·PL 는 경로 손실 보상을 위한 수식이다. 여기서, PL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하향링크 경로 손실을 나타내며, "참조신호전력 - 상위계층 필터링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eferenceSignalPower - higher layer filtered RSRP")로서 정의된다. α(j)는 경로 손실의 정정(correction) 비율을 나타내는 스케일링(scaling)값이며 {0, 0.4, 0.5, 0.6, 0.7, 0.8, 0.9, 1} 중의 하나의 값을 가지고, 3비트 크기의 값으로 표현된다. 만약 α가 1이면 경로 손실이 완전히 보상된 것을 의미하며, α가 1보다 작으면, 경로 손실의 일부가 보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 에서 ΔTF(i) 는 다음의 수학식 3 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3
상기 수학식 3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ΔTF(i) 의 사용은 deltaMCS-Enabled 라는 플래그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deltaMCS-Enabled 가 1 의 값을 가지면 ΔTF(i) 사용이 설정되고, deltaMCS-Enabled 가 0 의 값을 가지면 ΔTF(i) 가 0 의 값이 되므로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수학식 3 에서 MPR 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4
상기 수학식 4 에서 TBS 는 전송블록크기(Transport Block Size)이고, NRE 는 부반송파의 개수로 표현되는 자원요소(RE)의 개수에 해당한다. 데이터가 재전송되는 경우에, NRE 의 값은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한 최초 PDCCH 에서 지시되는 값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 에서 f(i) 는 폐-루프 보정을 나타낸다.
f(i) 를 제공하기 위해서 DCI 포맷 0, 3 또는 3A 의 PDCCH 가 사용될 수 있다. 즉, f(i) 는 사용자-특정(UE-specific)으로 주어지는 파라미터이다. f(i) 와 관련하여 이전의 전송 전력에 누적하여 전송 전력 값이 주어지는지, 또는 누적하지 않고 전송 전력 값이 주어지는지 여부는 Accumulation-Enabled 라는 플래그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다.
Accumulation-Enabled 플래그에서 누적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f(i) 는 다음의 수학식 5 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5
수학식 5에서, δPUSCH 는 단말 특정 보정 값(correction value)으로서, 전송전력제어(TPC) 명령으로 칭할 수도 있다. δPUSCH 는 DCI 포맷 0 의 PDCCH에 포함되거나 또는 DCI 포맷 3/3A의 PDCCH에 다른 TPC 명령들과 함께 조인트 코딩되어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PDCCH DCI 포맷 0 또는 3 의 PDCCH 상에서 시그널링되는 δPUSCH dB 누적 값(accumulated value) 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2 비트 크기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6
단말이 PDCCH DCI 포맷 3A 를 검출하는 경우에, δPUSCH dB 누적 값(accumulated value) 은 1 비트로 표현되고, {-1, 1}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학식 5에서 FDD 의 경우에 K PUSCH = 4 이다.
DCI 포맷 0 및 DCI 포맷 3/3A 모두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단말은 DCI 포맷 0 에 의해서 제공되는 δPUSCH 를 사용하게 된다. TPC 명령이 없거나 불연속 수신(DRX) 모드인 경우에는 δ PUSCH = 0dB 이다. 단말이 최대 전송 전력에 다다르게 되면, 양수(positive) 값을 가진 TPC 명령은 누적되지 않는다 (즉, 최대 전송 전력을 유지한다). 단말이 최소 전송 전력 (예를 들어, -40dBm)에 다다르게 되면, 음수(negative) 값을 가진 TPC 명령은 누적되지 않는다 (즉, 최소 전송 전력을 유지한다).
한편, Accumulation-Enabled 플래그에서 누적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f(i) 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누적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은, 달리 표현하면 상향링크 전력 제어 값이 절대값(absolute value) 방식으로 주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7
상기 수학식 6 에서, δ PUSCH 의 값은 PDCCH DCI 포맷 0 인 경우에만 시그널링된다. 이 때, δ PUSCH 의 값은 다음의 표 2 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8
상기 수학식 6에서, FDD 의 경우에 K PUSCH = 4 이다.
PDCCH 가 검출되지 않거나, DRX 모드이거나, 또는 TDD 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f(i) = f(i-1) 이다.
한편, 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을 위한 전력 제어는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내용은 수학식 7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09
수학식 7에서,
Figure 112014026788594-pat00010
는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되며, 각
Figure 112014026788594-pat00011
값은 PUCCH 포맷(format)에 대응한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12
은 PUCCH 포맷에 종속한 값으로, nCQI는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를 위한 숫자 정보 비트(information bit)에 해당하고, nHARQ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비트(bit)수에 해당한다. 한편, P_O_PUCCH(j)는 PO_NOMINAL_PUCCH(j) 과 PO_NOMINAL_SPECIFIC(j) 합으로 구성된 파라미터이고, PO_NOMINAL_PUSCH(j) 는 상위계층(higher layer)에 의해 셀 특정으로 제공되며, PO_UE_SPECIFIC(j) 는 상위계층에 의해 단말 특정으로 주어진다.
상기 수학식 7에서, g(i)는 폐루프 보정을 나타내고, 아래의 수학식 8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13
수학식 8에서, δPUCCH 는 단말 특정의 폐루프 보정 값(correction value)으로서, 전송 전력 제어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명령으로 칭하여지기도 한다. δPUCCH 는 DCI 포맷과 함께 PDCCH에 포함된다. 또는 δPUCCH 는 다른 사용자 기기 고유의 PUCCH 보정 값과 함께 코딩(coding)되어 PDCCH상에서 DCI 포맷 3/3A와 함께 전송된다. DCI 포맷 3/3A의 CRC 패리티 비트(parity bit)는 TPC-PUCCH-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와 함께 스크램블링(scrambling)된다.
한편, 사운딩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는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전력이 제어된다.
Figure 112014026788594-pat00014
상기 수학식 12에서, PSRS_OFFSET 은 상위 계층에 의하여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되는 4 비트의 단말 특정 파라미터이다. 당업자라면 수학식 12의 각 term들의 의미를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을 간략히 정리하면, PUSCH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수학식 1, PUCCH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수학식 7, SRS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수학식 9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의 경우, CC 마다 개별적으로 상향링크 전력이 결정될 수 있고, 수학식 1,8,9는 어느 하나의 CC에 대한 상향링크 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8,9는 OLPC(Open Loop Power Control)에 기반하나, CLPC(Closed Loop Power Control) 방식으로 전송전력을 보정하는 f(i) 또는 g(i)를 갖는다. 기지국은 소정의 DCI 포맷의 PDCCH를 통해서 TPC 명령에 해당하는 1-bit 또는 2-bit의 δ_PUSCH/PUCCH 를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은,δ_PUSCH/PUCCH 에 기초하여 f(i) 또는 g(i)를 계산한다.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에 따라서 누적(Accumulation) 모드가 활성화 되면 단말은 f(i-1) 또는 g(i-1)을 이용하여 f(i) 또는 g(i)를 계산한다. 누적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f(i) 또는 g(i)는 δ_PUSCH/PUCCH 에 기초하여 절대값(absolute value) 방식으로 f(i) 또는 g(i)가 계산된다. 단말은 f(i) 또는 g(i)에 의해 CLPC 보정된 전력으로 PUSCH, PUCCH 및/또는 SRS를 전송한다. PUSCH가 PUCCH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 PUSCH의 Pcmax 값은 PUCCH 전송전력만큼 차감된다.
기지국이 CLPC 보정을 위하여 δ_PUSCH/PUCCH 를 결정하는 방법은 표준에서 정의된 바 없다. 기지국은 PO_NOMINAL_PUSCH(j) 또는 PO_NOMINAL_PUCCH(j)를 이용하여 PUSCH 또는 PUCCH의 폐루프 보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먼저, PO_NOMINAL_PUSCH(j)/PO_NOMINAL_PUCCH(j)는 단말의 PUSCH/PUCCH를 실제로 측정한 값이 아니고, PUSCH/PUCCH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값이다. 따라서, PO_NOMINAL_PUSCH(j)/PO_NOMINAL_PUCCH(j)에 기초하여 RSSI를 추정하여 폐루프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Noise 또는 트래픽 과부하(traffic overload)가 발생하는 경우, RSSI가 상대적으로 높게 추정된다. RSSI가 높게 추정되므로 기지국은 단말의 전송전력을 감쇄하는 폐루프 보정을 수행하고, 단말은 악화된 채널에서 더 낮은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결국, CLPC 보정으로 인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실패할 확률이 증가되고, 상향링크 쓰루풋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기지국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CLPC 보정을 위하여 적응적으로 δ_PUSCH/PUCCH 를 결정하는 방안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단말과 하나의 기지국이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다른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CoMP(Cooperative Multi-Point)의 JP(Joint Processing) 또는 빔포밍(Beamforming) 을 위하여 다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계층을 MAC/RRC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OLPC 파라미터를 단말에 전송한다(805). 예컨대, 기지국은 전술한 수학식들에서, P0_Nominal_PUSCH/PUCCH, P0_UE/Nominal_Specific 등의 파라미터들을 단말에 전송한다. 각 파라미터는 서로 다른 메세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P0_Nominal_PUSCH/PUCCH는 셀 공통으로 단말들에게 시스템 정보로 브로드캐스팅 되고, P0_UE/Nominal_Specific 는 단말 특정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제1 UL(uplink)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에 전송한다(810). 제1 UL 서브프레임은 PUCCH 및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L 서브프레임은 제1 전송전력으로 전송되고, 제1 전송전력은 송신하고자하는 대상이 PUCCH인지 아니면 PUSCH인지에 따라서 수학식 1 또는 수학식7에 의해 결정된다. 단말이 제1 UL 서브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으로부터 CLPC 파라미터 δ를 제공받지 못한 경우, 예컨대 PDCCH에서 디코딩된 TPC 명령이 없는 경우에는 δ=0dB라고 가정하고, 제1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제1 UL 서브프레임을 수신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타입들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한다(815). 서로 다른 타입들은 예컨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Ec/No(the received Energy per Chip over Noise spectral density)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다른 타입들이란 RSSI 및 SINR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채널 측정값들은 소정의 시간간격 동안 측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UL 서브프레임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동안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서브프레임들 단위로 채널 측정값이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샘플링 구간 마다 채널 측정값들이 측정되고, 채널 측정값들은 각 타입 별로 평균될 수 있다.
기지국은 획득한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좌표를 전력제어 맵에 맵핑한다(820). 전력제어 맵은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축(axis)들을 갖는 2차원의 평면이거나 3차원 이상의 공간일 수 있다. N개의 축들은 각각 N개의 채널 측정값들의 타입들에 대응한다. N개의 축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가 설정되어 있다. 축에 직교하고 그 축에 설정된 임계치를 지나는 직선에 의해서, 전력제어 맵은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된다. 예컨대, 전력 제어 맵이 2차원이고, 2개의 임계치들이 각 축마다 설정되어 있는 경우, 2차원의 전력제어 맵은 9개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된다. 각 서브 영역들에는 단말의 전송전력을 CLPC 에 기반하여 보정하기 위한 전력제어 비트가 설정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제어 맵들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제1 타입은 RSSI이고, 제2 타입은 SNIR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된 전력제어 맵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각 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의 개수 및 각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들은 실시예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전력제어 맵은 2차원 평면이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제어 맵은 N(N은 3이상)개의 타입들에 따른 축들을 갖는 N 차원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력제어 맵은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수직축(이하, '제1 축'),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수평축(이하, '제2 축')을 갖는 2차원 평면으로 구성된다. 제1 축에는 제1 타입에 대응하는 임계치들 1H 및 1L이 설정되고, 제2 축에는 제2 타입에 대응하는 임계치들 2H 및 2L이 설정된다. 전력제어 맵은 임계치들 1H, 1L, 2H 및 2L에 기초하여 9개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된다. 각 서브 영역들에는 전송전력을 증가시키는 up 비트, 전송전력을 감소시키는 down 비트 또는 전송전력을 유지시키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다. 각 서브 영역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가 2-bit라고 가정할 때, up 비트는 +3dB 또는 +1dB 에 대응하고, down 비트는 -1dB에 대응하고, - 비트는 0dB에 대응할 수 있다. +3dB 또는 +1dB의 up 비트는 서브 영역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H 임계치 이상, 2L 임계치 이하로 정의되는 서브 영역에 설정된 up 비트는 +1dB이고, 1H 임계치 이하, 2L 임계치 이하로 정의되는 서브 영역에 설정된 up 비트는 +3dB일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타입의 채널 측정값 M1 및 제2 타입의 채널 측정값 M2에 의한 좌표 (M1, M2)를 전력제어 맵에 맵핑한다.
기지국은 전력제어 맵에 맵핑된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좌표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의 전송전력을 폐루프 제어하는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예컨대, 도 10에서 좌표(M1,M2)가 1H 임계치 이상이고, 2H 임계치 이상인 서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CLPC 파라미터는 단말의 전송전력을 down 시키는 비트로 결정된다.
기지국은 제1 DL(downlink) 서브프레임을 통해 CLPC 파라미터를 단말에 전송한다. CLPC 파라미터는 제1 DL 서브프레임의 PDCCH의 TPC command로 포함된다. PDCCH의 DCI 포맷은 단말의 PUCCH 전송전력을 제어하는지 아니면 PUSCH의 전송전력을 제어하는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PUSCH 전송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DCI 포맷은 0/4으로 제한된다. PUCCH 전송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DCI 포맷은 1, 1A, 1B, 1D, 2, 2A, 2B, 2C 및 2D이다. DCI 포맷 3 및 3A는 PUSCH 및 PUCCH 전송전력 제어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DCI 포맷 3 및 3A는 복수개의 단말들에게 TPC command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TPC 명령은 PUCCH 및 PUSCH 중 측정된 채널에 관한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명령이다.
단말은 제1 DL 서브프레임의 PDCCH를 디코딩하여 CLPC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CLPC 파라미터가 PUCCH 와 PUSCH 중 어느 채널에 관련된 것인지는 DCI 포맷에 따라서 암묵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단말은 수학식 1 및/또는 7과 CLPC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PUCCH 및/또는 PUSCH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보정한다(830).
단말은 보정된 상향링크 전송전력으로 PUCCH 및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UL 서브프레임을 전송한다(830). 기지국은 제2 UL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채널 측정값들을 다시 획득하고(835), 전력제어 맵에 맵핑한다(840). 기지국은 제2 DL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CLPC 파라미터를 전송한다(825).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중복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이 도 9를 위해 참조될 수 있다.
도 9의 단말 및 기지국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9에서 Pcell과 Scell이 단말 측에만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일 뿐 기지국에도 단말에 상응하는 Pcell 및 Scell이 설정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Pcell과 Scell은 DL와 UL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바 있다. Scell은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다수의 Scell들이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Pcell 및 Scell을 설정하고,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OLPC(open loop power control) 파라미터를 전송한다(905). 기지국은 RRC(radio resource control)-Idle 상태의 단말이 RRC 연결을 요청하면 RRC setup 메세지를 통해서 Pcell의 물리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단말에 Pcell이 설정되고, 단말과 기지국은 RRC-Connected 상태가 된다. Scell의 설정은 단말과 기지국이 RRC-Connected 상태에서 수행된다. 기지국은 단말에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세지를 전송하면서, Scell을 추가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Scell의 물리 자원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단말에는 Scell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OLPC 파라미터 중 일부, 예컨대 기지국내 단말들에게 공통되는 파라미터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으로 브로드 캐스팅되고, 단말 특정의 OLPC 파라미터는 RRC/MAC의 상위 계층을 통해서 단말에 제공된다. 즉, 기지국은 CLPC 파라미터를 제외한 OLP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은 Pcell을 통해서 제1 UL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에 전송하고(910), Scell을 통해서 제2 UL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에 전송한다(915). 제1 UL 서브프레임과 제2 UL 서브프레임은 서로 다른 서빙 셀로 전송되므로 동일한 시간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UL 서브프레임과 제2 UL 서브프레임은 각각 PUCCH 및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들이 전송될 수 있으나, 설명의 논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UL 서브프레임과 제2 UL 서브프레임 각각을 통해 PUCCH 또는 PUSCH을 전송하는 단말은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7을 통해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되, 단말이 CLPC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0dB로 간주하고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Pcell과 Scell의 전송전력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Pcell과 Scell의 전송전력의 합은 단말의 클래스에 따른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별적으로 결정된다.
기지국은 제1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측정값들과 제2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측정값들을 각각 획득한다(920). 즉, 기지국은 Pcell과 Scell에 대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한다.
기지국은 제1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측정값들을 제1 전력제어 맵에 맵핑하고, 제2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측정값들을 제2 전력 제어 맵에 맵핑한다(925). 제1 전력제어 맵과 제2 전력제어 맵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때, Pcell과 Scell에 대응되는 제1 전력제어 맵과 제2 전력제어 맵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Pcell은 Scell에 비하여 높은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하여, 제1 전력 제어 맵은 3차원으로 구성하고 제2 전력 제어 맵은 2차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력제어 맵에 설정된 각 임계치들은 제2 전력제어 맵에 설정된 각 임계치들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력제어 맵과 제2 전력제어 맵은 임계치의 값은 동일하나 각 서브 영역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력제어 맵에서는 down 비트가 설정된 서브영역이 제1 전력제어 맵에서는 up 비트가 설정될 수 있다. 상술된 방법들은 단말이 Scell의 전송전력에 비하여 Pcell의 전송전력을 높은 값으로 전송하는 방안들을 예시하는 것이다.
기지국은 제1 서브프레임의 채널 측정값들의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기초하여 Pcell에 대응하는 제1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제2 서브프레임의 채널 측정값들의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기초하여 Scell에 대응하는 제2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제1 DL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제1 CLPC 파라미터와 제2 CLP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 전송한다(930). 기지국은 제2 DL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한다(935). 제1 DL 서브프레임은 Pcell을 통해서 전송되고, 제2 DL 서브프레임은 Scell을 통해서 전송된다.
반송파 집성의 크로스 스케줄링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제1 CLPC 파라미터는 제1 DL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서 전송되고, 제2 CLPC 파라미터는 제2 DL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서 전송된다.
이와 달리, 반송파 집성의 크로스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경우, 제2 DL 서브프레임은 제2 CLPC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2 CLPC 파라미터는 제1 DL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서 전송된다. 이 때, 제2 CLPC 파라미터가 Scell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 DL 서브프레임의 PDCCH는 CIF(Carrier Indication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CIF는 Scell을 식별하기 위한 Scell index에 해당하므로, CIF 및 제2 CLPC 파라미터를 제1 DL 서브프레임의 PDCCH에 포함시키면, 단말은 CIF 및 제2 CLPC 파라미터를 통해서 제2 CLPC 파라미터가 Scell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 CLPC 파라미터를 제1 DL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 CIF는 생략 가능하다. CIF가 제공되지 않으면 단말은 해당 PDCCH가 Pcell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단말은 제1 CLPC 파라미터로 P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보정하고, 제2 CLPC 파라미터로 S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보정한다(940). 단말은 제2 CLPC 파라미터로 보정된 상향링크 전송전력에 따라서, 제3 UL 서브프레임을 Scell을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950).
한편, 기지국은 소정의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전력제어 맵을 재구성할 수 있다(945). 전력제어 맵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감,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의 수의 증감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전력제어 맵이 재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트리거 조건은,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이 트래픽 임계치를 호핑(hopping)하는 경우, 기지국의 셀에 접속한 단말들의 수가 접속단말 임계치를 호핑하는 경우 및 기 설정된 시간이 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제어 맵을 재구성하는 것은, 전력제어 맵의 각 축에 설정된 임계치를 재설정하거나, 전력제어 맵의 각 서브 영역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를 재설정하거나, 전력제어 맵을 다른 전력제어 맵으로 대체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재구성된 전력제어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이 도 10의 전력제어 맵을 도 11의 전력제어 맵으로 재구성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축에 설정된 1H 임계치와 1L 임계치는 각각 보다 낮은 값인 1H' 임계치와 1L' 임계치로 재설정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 이하였던 기지국에 대한 전체의 상향링크 트래픽이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트래픽 임계치 호핑), 1H 및 1L 임계치를 각각 보다 낮은 값인 1H' 및 1L'로 설정한다. 1H' 및 1L'는 기지국에 사전에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래픽 임계치는 하나 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다수의 트래픽 임계치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반대로,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초과하였던 기지국에 대한 전체의 상향링크 트래픽이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 이하가 되면(트래픽 임계치 호핑), 1H' 및 1L' 임계치를 각각 1H 및 1L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에 대한 전체의 상향링크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그 상향링크 트래픽의 증가량에 비례하여 1H 및 1L를 각각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향링크 트래픽의 증가 크기가 임계치 1H 및 1L의 감소크기에 비례할 수도 있다. 반대로, 기지국에 대한 전체의 상향링크 트래픽이 감소하는 경우, 그 상향링크 트래픽의 감소 크기에 비례하여 1H 및 1L를 각각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향링크 트래픽의 증감 뿐 아니라, 다른 조건에 의해서도 1H 및 1L 임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증가하면 그에 비례하여 1H 및 1L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감소하면 그에 비례하여 1H 및 1L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가 소정의 접속단말 임계치를 호핑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1H 및 1L를 재설정 할 수 도 있다.
기지국은 소정의 시간이 되면, 1H 및 1L 임계치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고 상향링크 트래픽이 증가하는 시간 동안에는 1H 및 1L 임계치를 낮게 설정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1H 및 1L 임계치를 높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상향링크 트래픽이 많거나 다수의 사용자들이 기지국에 접속중인 경우에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감소시켜 단말들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향링크 트래픽이 적거나 소수의 사용자들이 기지국에 접속중인 경우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가시켜, 단말들이 보다 높은 성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1H 및 1L 임계치를 재설정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1H 및 1L 임계치들 중 어느 하나만 재설정하거나, 또는 2H 및 2L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재설정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재구성된 전력제어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2(a)는 High 임계치 세트(1H,2H)가 사용되는 전력제어 맵이고, 도 12(b)는 Low 임계치 세트(1L,2L)가 사용되는 전력제어 맵이다.
High 임계치 세트(1H,2H)는 상향링크 트래픽이 낮은 경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수가 적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Low 임계치 세트(1L,2L)는 상향링크 트래픽이 높은 경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수가 많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High 임계치 세트(1H,2H)와 Low 임계치 세트(1L,2L)간의 스위칭 동작 및 스위칭 조건은 도 11에서 1H 및 1L를 재설정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재구성된 전력제어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또는 도 12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각 서브 영역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가 서로 상이하다. 도 13(b)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서브 영역들은 도 13(a)에 비하여 낮은 전력으로 설정된다. 도 13(b)에 의하면 단말은 도 13(a)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낮은 값으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도 13(b)는 상향링크 트래픽이 높은 경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수가 많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a)는 상향링크 트래픽이 낮은 경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수가 적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간의 스위칭 동작 및 스위칭 조건은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전력제어 맵은 3개의 축을 갖고, 각 축마다 2개의 임계치들이 설정되어 있다. 기지국은 2개의 타입 보다 많은 타입의 채널 측정값들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소정의 트리거 조건이 만족된 경우, 도 14의 전력제어 맵은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재구성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의 전력제어 맵은 소정의 트리거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서 도 10의 전력제어 맵이 재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도 10의 2차원 전력제어 맵을 도 14의 3차원 전력제어 맵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예시들은 본 발명의 전력제어 맵의 재구성이 다양한 방식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실시예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4의 전력제어 맵 및 그에 대한 설명이 조합될 수도 있다.
도 9로 돌아가서, 기지국은 제3 UL 서브프레임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한다(955). 기지국은 제3 UL 서브프레임의 채널 측정값들의 좌표를 재구성된 전력제어 맵에 맵핑한다(960). 기지국은 제3 UL 서브프레임의 채널 측정값들의 좌표의 위치에 따라서 Scell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3 CLPC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제3 DL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제3 CLPC 파라미터를 단말에 전송한다(965). 제3 DL 서브프레임은 Pcell로 전송되고, 크로스 스케줄링을 위하여 CIF를 포함한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도 15의 기지국 및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1410)은, 수신기(1411), 송신기(1412), 프로세서(1413), 메모리(14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411)는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14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3)는 기지국(14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1410)의 프로세서(1413)는 그 외에도 기지국(14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420)는, 수신기(1421), 송신기(1422), 프로세서(1423), 메모리(14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4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4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14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TPC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단말(14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수신기(1421)이 수신한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한다. 프로세서(1423)는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전력제어 맵(map)에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좌표를 맵핑한다. 프로세서(1423)는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따라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결정한다.
프로세서(1423)는 서로 다른 타입들의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단말이 전송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TPC 명령은 PUCCH 및 PUSCH 중 RSSI 및 SINR이 측정된 채널에 관한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및 상기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력제어 맵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23)는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이 증가하면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상향링크 트래픽이 감소하면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증가하면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감소하면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23)는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상기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송신기(1422)를 제어하여,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시하는 캐리어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및 TPC 명령을 위한 필드를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DCCH의 TPC 명령을 위한 필드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증감은 상기 PDCCH의 캐리어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컴포넌트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다. TPC 명령이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어느 채널의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것인지는 PDCCH의 포맷에 의해 암묵적으로 상기 단말에 지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23)는,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및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들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단말(1420)의 프로세서(1423)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TPC 명령 및 수학식 1 또는 7에 따라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그 외에도 프로세서(1423)는 단말(14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지국 및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5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14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14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5)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PCell을 통해 전송한 제1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제1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SCell을 통해 전송한 제2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제2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제1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제1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제1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제1 좌표를 맵핑하고, 상기 제2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제2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제2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제2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제2 좌표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좌표 및 상기 제2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 및 상기 SCell 중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제어 맵 및 상기 제2 전력 제어맵은 각각 상기 제1 좌표축들 및 상기 제2 좌표축들 각각에 설정된 임계치들을 기초로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서브 영역들에는 상기 TPC 명령을 위한 전력제어 비트가 설정되고,
    상기 PCell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차원(dimension),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및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 제어 비트는 상기 SCell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전력제어 맵의 차원(dimension), 상기 제2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및 상기 제2 전력 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 제어 비트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제1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측정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PC 명령은 상기 PUCCH 및 상기 PUSCH 중 상기 RSSI 및 상기 SINR이 측정된 채널에 관한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명령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들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1dB, -1dB, 0dB 또는 +3dB 시키는 2-bit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1dB 또는 -1dB 시키는 1-bit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및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이 증가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상기 상향링크 트래픽이 감소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증가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감소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PCell 및 상기 SCell 중 어느 하나의 Cell를 지시하는 캐리어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및 상기 TPC 명령을 위한 필드를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의 TPC 명령을 위한 필드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증감은 상기 PDCCH의 캐리어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상기 어느 하나의 Cell 에 적용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TPC 명령이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어느 채널의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것인지는 상기 PDCCH의 포맷에 의해 암묵적으로 상기 단말에 지시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및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들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PCell을 통해 전송한 제1 상향링크 물리 채널 및 SCell을 통해 전송한 제2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1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제1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제2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제1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제1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제1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제1 좌표를 맵핑하고, 상기 제2 채널 측정값들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제2 좌표축(axis)들을 갖는 제2 전력제어 맵(map)에 상기 제2 채널 측정값들에 의한 제2 좌표를 맵핑하고, 상기 제1 좌표 및 제2 좌표가 맵핑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 및 상기 SCell 중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증감시키기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결정된 TPC 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제어 맵 및 상기 제2 전력 제어맵은 각각 상기 제1 좌표축들 및 상기 제2 좌표축들 각각에 설정된 임계치들을 기초로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서브 영역들에는 상기 TPC 명령을 위한 전력제어 비트가 설정되고,
    상기 PCell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차원(dimension),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및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 제어 비트는 상기 SCell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전력제어 맵의 차원(dimension), 상기 제2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및 상기 제2 전력 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 제어 비트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타입들의 제1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마다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측정하는, 기지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TPC 명령은,
    상기 PUCCH 및 상기 PUSCH 중 상기 RSSI 및 상기 SINR이 측정된 채널에 관한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명령인, 기지국.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들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1dB, -1dB, 0dB 또는 +3dB 시키는 2-bit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1dB 또는 -1dB 시키는 1-bit로 설정되는, 기지국.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및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기지국.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이 증가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상기 상향링크 트래픽이 감소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기지국.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증가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고,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감소하면 상기 제1 좌표축들에 설정된 임계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기지국.
  21. 삭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PCell 및 상기 SCell 중 어느 하나의 Cell을 지시하는 캐리어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및 상기 TPC 명령을 위한 필드를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는, 기지국.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의 TPC 명령을 위한 필드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증감은 상기 PDCCH의 캐리어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상기 어느 하나의 Cell에 적용되는, 기지국.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TPC 명령이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어느 채널의 전송전력을 증감시키는 것인지는 상기 PDCCH의 포맷에 의해 암묵적으로 상기 단말에 지시되는, 기지국.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및 상기 기지국의 PCell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제어 맵의 서브 영역들에 설정된 전력제어 비트들을 재설정하는, 기지국.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40032637A 2014-03-20 2014-03-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64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637A KR101642361B1 (ko) 2014-03-20 2014-03-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637A KR101642361B1 (ko) 2014-03-20 2014-03-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644A KR20150109644A (ko) 2015-10-02
KR101642361B1 true KR101642361B1 (ko) 2016-08-10

Family

ID=5434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637A KR101642361B1 (ko) 2014-03-20 2014-03-2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568A (ko) 2020-09-03 2022-03-1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94B1 (ko) * 2018-04-13 2022-12-07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상향 전력 제어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3341811A (zh) * 2021-06-11 2021-09-03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兼容两种tdd开关信号传输的方法、远端设备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521A2 (ko) * 2010-06-2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20120176998A1 (en) * 2009-09-24 2012-07-12 Robert Muellner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a User Equipment
WO2014038908A1 (ko) 2012-09-07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57A2 (ko) * 2010-07-21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6998A1 (en) * 2009-09-24 2012-07-12 Robert Muellner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a User Equipment
WO2011162521A2 (ko) * 2010-06-2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4038908A1 (ko) 2012-09-07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568A (ko) 2020-09-03 2022-03-1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644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2953B2 (ja) 低レイテンシ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
CN106465300B (zh) 在终端和基站之间的双连接中发送功率余量报告的方法及其终端
KR102077882B1 (ko) 누산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들 및 대응 업링크 서브프레임 세트들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52376B1 (ko)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37656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64565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hange in purpose of wireless resource and apparatus therefor
JP641015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37099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d2d信号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13679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420043B2 (en) Power headroom configuration for primary and secondary cells based on PUCCH activation
KR20140084133A (ko) 파워 헤드룸 리포팅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301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WO2015005325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WO201500531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8087742A1 (en) Deriving configured output power for consecutiv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ttis) in shortened tti patterns
KR101642361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50128477A (ko) D2d 통신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