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201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201B1
KR101642201B1 KR1020140184527A KR20140184527A KR101642201B1 KR 101642201 B1 KR101642201 B1 KR 101642201B1 KR 1020140184527 A KR1020140184527 A KR 1020140184527A KR 20140184527 A KR20140184527 A KR 20140184527A KR 101642201 B1 KR101642201 B1 KR 101642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inorganic filler
mel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373A (ko
Inventor
함명조
최진명
최기대
김지선
이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7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등의 자동화가 가능한 성형방법에 의하여도 박판, 특히 2 mm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상의 성형품 제조가 가능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전기저항성을 가져 배터리팩의 하우징 등과 같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 흑연 5 내지 30 중량%, 유리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성형 등의 자동화가 가능한 성형방법에 의하여도 박판, 특히 2 mm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상의 성형품 제조가 가능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전기저항성을 가져 배터리팩의 하우징 등과 같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제품 기술의 발달로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고집적화, 고성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밀도, 고성능, 소형의 배터리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배터리팩을 감싸는 배터리팩 하우징과 같은 성형품은 특히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으면서도 동시에 전기저항이 높아 전기의 흐름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의 사용이 요구된다.
높은 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고함량의 무기 충전제를 혼입시키는 많은 기술들이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베이스 수지(base resin)에 질화붕소, 질화할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흑연, 탄소나노튜브 등의 열전도성 필러를 다량 첨가하여 1 내지 10 W/mK의 열전도도를 달성하는 기술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40 중량% 이상의 높은 충전제 함량 및 수득되는 수지 조성물의 낮은 유동성으로 인해 압출가공성에 제한이 따를 뿐만 아니라, 사출가공 시 미성형 및 추가적인 설비 투자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낮은 유동성의 수지 조성물의 경우, 이를 사용하는 제품의 설계 시, 두께 및 형상 등에 제한요인으로 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충전제 함량은 낮은 기계적 물성 및 충격 특성의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박판상의 성형품 제조가 가능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전기저항성을 가져 배터리팩의 하우징 등과 같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의 요구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판상의 성형품 제조가 가능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전기저항성을 가져 배터리팩의 하우징 등과 같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 흑연 5 내지 30 중량%, 유리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용융지수 50 내지 150 g/10 min(230 ℃, 2.16 kg)의 나일론 6, 용융지수 50 내지 150 g/10 min(270 ℃, 2.16 kg)의 나일론 66, 용융지수 5 내지 30 g/10 min(230 ℃, 2.16 kg)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용융지수 20 내지 100 g/10 min(230 ℃, 2.16 kg)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용융지수 3 내지 30 g/10 min(300 ℃, 1.2 kg)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2 내지 5 m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인 ? 유리섬유(chopped glass fiber)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무기 충전제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질화붕소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무기 충전제; 및 침상형 또는 구형의 무기 충전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도가 3.00 W/mK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전기저항이 106 Ω/c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가 25 J/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수득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에, 흑연 5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고 혼련시켜 함흑연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마스터배치 제조단계; 및 (2) 상기 수득되는 함흑연 마스터배치에 유리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하고 혼합 및 혼련시키는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전기전도성도 높은 흑연을 포함하는 함흑연 마스터배치에 유리섬유 및/또는 판상형의 제1 무기 충전제 및/또는 판상형 이외의 제2 무기 충전제를 더 혼입시켜 상기 유리섬유 및 상기 무기 충전제들이 상기 흑연 간의 열네트워크 형성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전기저항성을 가지면서도 박판상의 성형품 제조가 가능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여 배터리팩의 하우징 등과 같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 흑연 5 내지 30 중량%, 유리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에 고함량의 열전도성의 충전제들을 충전하되, 특히 열전도도가 높고, 전기전도도도 높은 흑연에 열전도도는 높으나, 전기전도도가 낮은 유리섬유 및 무기 충전제를 혼용함으로써 상기 유리섬유 및 상기 무기 충전제들이 상기 흑연 간의 열네트워크 형성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성과 높은 전기저항성을 가지면서도 박판상의 성형품 제조가 가능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여 배터리팩의 하우징 등과 같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일례로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 혹은 10내지 15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수득하고자 하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 혹은 5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은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흑연의 화학성분은 탄소(C)이고, 거의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지며, 다이아몬드와 동질이상(同質異像)이다. 인상, 편상(片狀)의 결정을 이루지만, 대부분은 괴상, 토상(土狀)으로 때로는 콩 모양인 경우도 있다. 상기 흑연은 굳기 1 이하, 비중 1.9 내지 2.3으로 연하며, 지방 모양의 감촉이 있고, 편상의 것은 휘어질 수 있고, 흑색으로 불투명하며, 금속광택을 가지고, 조흔색(條痕色)은 흑색이다. 모양에 따라 인상흑연(鱗狀黑鉛)과 토상흑연(土狀黑鉛)으로 나뉜다. 인상흑연은 결정편암이나 편마암과 함께 산출되며, 흔히 그것에 수반되는 석회암 속에 산재한다. 토상흑연은 화강암, 섬록암, 유문암, 편마암 등 속에 맥 또는 렌즈 모양을 이루고 산출되며, 접촉변질작용(接觸變質作用)에 의하여 석탄에서 변성하여 탄층과 수반하여 산출된다. 흑연의 영어 이름은 '쓴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다. 상기 흑연은 전기의 양도체(良導體)이다.
상기 흑연은 일례로 수득하고자 하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 혹은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은 일례로 평균입경이 1 내지 500 ㎛, 10 내지 300 ㎛, 혹은 5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일례로 용융지수 50 내지 150 g/10 min(230 ℃, 2.16 kg), 혹은 75 내지 125 g/10 min(230 ℃, 2.16 kg)의 나일론 6, 용융지수 50 내지 150 g/10 min(270 ℃, 2.16 kg), 혹은 75 내지 125 g/10 min(270 ℃, 2.16 kg)의 나일론 66, 용융지수 5 내지 30 g/10 min(230 ℃, 2.16 kg), 혹은 10 내지 20 g/10 min(230 ℃, 2.16 kg)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용융지수 20 내지 100 g/10 min(230 ℃, 2.16 kg), 혹은 20 내지 70 g/10 min(230 ℃, 2.16 kg)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용융지수 3 내지 30 g/10 min(300 ℃, 1.2 kg), 혹은 10 내지 30 g/10 min(300 ℃, 1.2 kg)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에 열전도성의 필러를 고함량으로 사용하여도 적절한 물성, 특히 성형성을 좌우하는 낮은 충전압과 적은 충전시간을 만족하는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전도성의 충전제로서 열전도도와 전기전도도가 모두 높은 흑연과 열전도도는 높으나 전기전도도가 낮은 유리섬유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병용함으로써 열전도도는 높으나 전기전도도가 낮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일례로 길이가 2 내지 5 mm, 혹은 3 내지 4 m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 혹은 1 내지 50 ㎛인 ? 유리섬유(chopper glass fiber)일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의 길이 범위 내에서 유리섬유가 성형품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고, 변형이 적으며, 강성 및 충격특성 등의 물성의 저하 방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판상형인 상기 흑연들 사이에서 섬유 상의 유리섬유들이 열은 전달하면서도(높은 열전도도), 전기의 흐름이나 전자의 이동은 허용하지 않는(낮은 전기전도도) 소위 열만을 전달하는 "열 네트워크(thermal nerwork)"를 형성하여 목적하는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유리섬유의 경우, 매우 많은 수의 필라멘트 상의 유리섬유들이 뭉쳐진 유리섬유의 집합체는 열전도도가 낮은 열에 대한 부도체로서 기능할 수 있으나, 단일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개개의 유리섬유 자체는 높은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수지 내에 분산되어 있는 단일 필라멘트인 개개의 유리섬유들이 흑연 등 다른 열에 대한 양도체들과 접촉하는 경우, 이들 단일 필라멘트 상의 개개의 유리섬유들은 열에 대한 좋은 양도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혹은 5 내지 1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데 바람직하며, 열전도도 및 성형성의 저하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리섬유와 함께 열전도도는 높이나, 전기전도도는 낮추는 열전도성 충전제로서 무기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판상형의 제1 무기 충전제, 판상형 이외의 제2 무기 충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무기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제1 무기 충전제 또는 판상형 이외의 제2 무기 충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충전제는 일례로 질화붕소, 바람직하게는 판상형의 질화붕소일 수 있다.
상기 질화붕소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 5 내지 80 ㎛, 혹은 10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제2 무기 충전제는 일례로 월라스토나이트, 바람직하게는 판상형 이외의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상형, 구형 또는 섬유형의 월라스토나이트일 수 있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일례로 L/D가 1 내지 500, 5 내지 300, 혹은 1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일례로 수득하고 하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혹은 15 내지 25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열전도도가 높고, 전기전도도가 낮은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무기 충전제들도 상기 유리섬유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상기 흑연들 사이에서 소위 열만을 전달하는 "열 네트워크(thermal nerwork)"를 형성하여 목적하는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열전도도가 3.00 W/mK 이상, 3.05 W/mK 이상, 혹은 3.05 내지 8.00 W/mK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전기저항이 106 Ω/cm2 이상, 1012 Ω/cm2 이상, 혹은 1012 내지 1020 Ω/cm2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가 25 J/m 이상, 35 J/m 이상, 혹은 35 내지 60 J/m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굴곡강도가 71 MPa 이상, 75 MPa 이상, 혹은 76 내지 180 MPa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굴곡변형이 2 mm 이상, 2.5 mm 이상, 혹은 2.5 내지 5.0 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수득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0 g/10 min (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에, 흑연 5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고 혼련시켜 함흑연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마스터배치 제조단계; 및 (2) 상기 수득되는 함흑연 마스터배치에 유리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하고 혼합 및 혼련시키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마스터배치 제조단계는 일례로 수득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0 g/10 min (230 ℃, 2.16 kg), 혹은 10 내지 150 g/10 min (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45 내지 75 중량%, 혹은 50 내지 70 중량%에, 흑연 5 내지 30 중량%, 혹은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고 혼련시켜 함흑연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터배치의 제조에 의해 먼저 상기 흑연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중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후속하는 혼합단계에서 첨가되는 유리섬유 및 무기 충전제가 판상형인 상기 흑연들 사이에서 소위 열만을 전달하는 "열 네트워크(thermal network)"를 형성하여 목적하는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의 혼합단계는 상기 수득되는 함흑연 마스터배치에 유리섬유 1 내지 20 중량%, 혹은 5 내지 1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 혹은 15 내지 25 중량%를 첨가하고 혼합 및 혼련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되, 단 열가소성 수지와 흑연을 먼저 혼합, 혼련시켜 함흑연 마스터배치를 제조(단, 흑연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은 마스터배치로 제조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그대로 사용함)한 후, 나머지 성분들을 혼합, 혼련시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전도도, 전기저항, 충격강도, 굴곡강도, 굴곡변형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열가소성 수지 PA 60 60 50 - - - 55
PP1 - - - 60 - - -
PP2 - - - - 60 - -
PC - - - - - 45 -
흑연 10 10 20 10 10 - 35
유리섬유 5 10 10 10 10 - 10
제1 무기 충전제 질화붕소 25 20 - 20 20 25 -
제2 무기 충전제 월라스토나이트 - - 20 - - - -
산화 마그네슘 - - - - - 30 -
물성 열전도도(W/mK) 4.55 4.63 3.05 3.65 5.72 5.12 5.24
전기저항(Ω/cm2) >1012 >1012 >1012 >1012 1012 >1012 105
충격강도(J/m) 35 50 40 40 40 15 20
굴곡강도(MPa) 117 139 110 76 76 65 70
굴곡변형(mm) 3.0 3.0 3.5 2.5 2.5 1.5 <2
* PA는 용융지수 100 g/10 min(230 ℃, 2.16 kg)의 나일론 6, 용융지수 100 g/10 min(270 ℃, 2.16 kg)의 나일론 66을 2:1 내지 4:1의 비율로 2종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 PP1은 용융지수 15 g/10 min(230 ℃, 2.16 kg)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 PP2는 용융지수 30 g/10 min(230 ℃, 2.16 kg)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 PC는 용융지수 30 g/10 min(300 ℃, 1.2 kg)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 흑연은 평균입경 50 내지 100 ㎛, LD50은 75 ㎛인 것을 사용하였다.
* 유리섬유는 평균길이 4 mm 및 평균직경 13 ㎛인 것을 사용하였다.
* 질화붕소는 평균입경 10 내지 50 ㎛인 것을 사용하였다.
* 월라스토나이트는 침상형으로, L/D가 10 내지 200인 것을 사용하였다.
* 산화 마그네슘은 구상형으로, 평균직경 30 내지 80 ㎛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상기 표 1의 기재된 수지 조성물들 중 특히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의 사출가공성을 하기 표 2의 조건의 사출속도에서 두께를 달리하면서 사출성형을 수행하며 사출성형기에서의 충전시간과 충전압을 특정하여 성형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성형품 두께(mm) 사출속도(mm/s) 충전시간(s) 충전압(kgf/cm2)
실시예 2 1.2 150 0.32 2,320
실시예 2 1.8 350 0.207 2,130
실시예 3 1.8 350 0.172 1,343
비교예 1 1.2 150 0.564 2,97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높은 유동성과 우수한 사출성형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팩 하우징과 같이 매우 얇은 두께(1.8 mm 이하)의 성형품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성형 후, 미세성형 없이도 양호한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하고, 수득되는 성형품 또한 기존 열전도성 성형품 대비 우수한 충격 및 굴곡특성을 가짐은 물론 전기저항이 낮은 흑연을 전기저항이 높은 유리섬유 및/또는 무기 충전제와의 혼용으로 표면전기저항이 매우 높으며, 3 내지 6 W/mK의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방열 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예들에 비해 실시예들이 사출가공성이 더 유리하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매우 낮은 충전압을 나타내어 아주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50 내지 70 중량%, 흑연 5 내지 10 중량%, 유리섬유 5 내지 1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용융지수 50 내지 150 g/10 min(230 ℃, 2.16 kg)의 나일론 6, 용융지수 50 내지 150 g/10 min(270 ℃, 2.16 kg)의 나일론 66, 용융지수 5 내지 30 g/10 min(230 ℃, 2.16 kg)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 용융지수 20 내지 100 g/10 min(230 ℃, 2.16 kg)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용융지수 3 내지 30 g/10 min(300 ℃, 1.2 kg)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2 내지 5 m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인 ?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무기 충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질화붕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판상형의 무기 충전제; 및 침삼형 또는 구형의 무기 충전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도가 3.00 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전기저항이 106 Ω/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가 25 J/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 수득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0 g/10 min(230 ℃, 2.16 kg)의 범위 내의 용융지수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50 내지 70 중량%에, 흑연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고 혼련시켜 함흑연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마스터배치 제조단계; 및
(2) 상기 수득되는 함흑연 마스터배치에 유리섬유 5 내지 10 중량% 및 무기 충전제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하고 혼합 및 혼련시키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40184527A 2013-12-19 2014-12-1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2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09 2013-12-19
KR20130159109 201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73A KR20150072373A (ko) 2015-06-29
KR101642201B1 true KR101642201B1 (ko) 2016-07-25

Family

ID=5351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527A KR101642201B1 (ko) 2013-12-19 2014-12-1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76B1 (ko) * 2020-09-28 2022-04-27 한화토탈 주식회사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5403857A (zh) * 2021-05-27 2022-11-2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导热绝缘薄膜及包括该导热绝缘薄膜的电池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313B1 (ko) * 2001-06-20 2004-08-30 장홍근 열가소성 수지계 적층물,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139412B1 (ko) * 2008-12-24 2012-04-2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절연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73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3480B (zh) 一种增强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阻燃导热材料的制备方法
KR101082636B1 (ko)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CN101418116B (zh) 一种导热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865197B (zh) 基于聚氯乙烯和石墨烯的抗静电复合薄膜及制备方法
CN101827894A (zh) 导热聚合物组合物和其制品
CN108250747B (zh) 一种热塑性聚醚酰亚胺绝缘导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392892A (zh) 用于集成电路托盘的聚苯氧类复合树脂组合物
KR100927702B1 (ko)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CN103183956A (zh) 具有改进的导热性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制品
CN102352087B (zh) 一种抗静电阻燃abs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231617A (zh) 玻纤增强半芳香族耐高温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47627B1 (ko) 전기절연성 고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CN104559109A (zh) 一种聚碳酸酯导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4220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85496A (zh) 一种抗静电导热聚烯烃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951236B (zh) 基于聚苯醚的激光直接成型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75291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CN104693791A (zh) 一种阻燃耐高温导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5733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CN114274639A (zh) 一种多层共挤透明高抗冲抗静电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117716A (zh) 一种石墨烯/酚醛树脂高导电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3456104B2 (ja) 樹脂組成物
KR101091866B1 (ko) 전도성 폴리에테르설폰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폴리에테르설폰수지의 제조방법
KR101090412B1 (ko) 전도성 저비중 열가소성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073870A (zh) 一种阻燃导电聚碳酸酯专用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