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000B1 -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000B1
KR101642000B1 KR1020090112477A KR20090112477A KR101642000B1 KR 101642000 B1 KR101642000 B1 KR 101642000B1 KR 1020090112477 A KR1020090112477 A KR 1020090112477A KR 20090112477 A KR20090112477 A KR 20090112477A KR 101642000 B1 KR101642000 B1 KR 10164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information
dtv
image
acquir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868A (ko
Inventor
임재현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0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85Motion estimation from stereoscopic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쳐나 모션과 같은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DTV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DTV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Mobile Terminal,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DTV}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DTV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DTV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Game, UI(user interface)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대해 모션(motion)이나 제스쳐(gesture) 인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DTV(digital television) 또한, 이와 같은 사용자의 모션/제스쳐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외부 객체의 제스쳐/모션과 같은 움직임 정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DTV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외부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DTV(digital television)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외부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DTV(digital television)와 통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와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DTV는, 디스플레이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 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른 DTV는, 디스플레이부; 외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외부 객체의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의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종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DTV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6 양상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DTV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TV에서 출력되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 또는 상기 D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7 양상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DTV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DTV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8 양상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DTV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방송국에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DTV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외부 객체의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TV에 구비된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의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최종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므로, 종래보다 더 정확하고 더 효율적인 움직임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움직임 정보의 인식률이 제고되므로, 획득된 움직임 정보에 기반한 DTV의 제어 동작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객체의 위치의 변화와 같은 외부 조건의 변화에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움직임 정보에 기반한 DTV 제어의 효율성 및 정확성이 대폭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DTV 및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 이동 단말기(100),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 300) 및 인터넷(internet, 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방송국(30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TV(1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4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DTV(1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TV(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TV(1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TV(10)는, 튜너부(Tuner, 11), 복조부(demodulator, 12), 역다중화부(demultiplexer, 13), 오디오/비디오 디코더(Audio/Video decoder, 14), 디스플레이(display)부(15), PSI/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데이터 베이스(Data Base)(16), PSI/PSIP 디코더(17),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 18), 채널 맵(Channel Map, 19), 제어부(20), 메모리(flash memory, 21) 및 통신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튜너부(11)는 PSI/PSIP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너부(11)의 동작은 상기 채널 매니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너부(11)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결과를 상기 채널 매니저(18)에 기록해 둔다. 상기 튜너부(11)는 복수의 튜너를 탑재할 수 있어 다채널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12)는 상기 튜너부(11)에서 튜닝된 신호를 수신하여 VSB/EVSB(Vestigal Side Band/Enhanced Vestigal Side Band)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3)는 상기 복조부(12)에서 복조되어 수신되는 전송 패킷들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 PSI/PSIP 테이블 데이터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한다.
이때, PSI/PSIP 테이블 데이터에 대한 역다중화는 상기 PSI/PSIP 디코더(17)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오디오와 비디오에 대한 역다중화는 상기 채널 매니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부(13)는 상기 PSI/PSIP 디코더(17)에서 원하는 테이블에 대한 PID를 조건으로 설정하면, 상기 전송 패킷들로부터 상기 PID를 만족하는 PSI/PSIP 테이블의 섹션들을 만들어 상기 PSI/PSIP 디코더(17)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13)는 상기 채널 매니저(18)에 의해 해당 가상 채널의 A/V PID가 조건으로 설정되면 A/V 기본 스트림을 역다중화한 후 상기 A/V 디코더(14)로 전송한다. 상기 A/V 디코더(14)는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해당 코딩 방식에 따라 디코딩한다.
상기 PSI/PSIP 디코더(17)는 PSI/PSIP 테이블 섹션(section)을 파싱하고, 상 기 역다중화부(13)의 섹션 필터링에서 하지 못한 나머지 액츄얼 섹션 데이터(actual section data) 부분을 모두 읽어서 상기 PSI/PSIP 데이터 베이스(16)에 기록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18)는 상기 채널 맵(19) 을 참조하여, 채널 관련 정보 테이블에 대한 수신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SI/PSIP 디코더(17)는 상기 채널 관련 정보 테이블을 역다중화(demuxing) 제어하여, A/V PID(Packet IDentifier) 리스트를 상기 채널 매니저(18)에 전송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18)는 수신된 A/V PID를 이용하여 상기 역다중화부(13)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상기 A/V 디코더(14)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수신기 시스템의 상태를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상기 DTV(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상기 A/V 디코더(14)로부터 출력된 방송 데이터를 음성과 영상으로 구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서로 별개로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통상의 DTV에서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모두 보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별도로 수신된 데이터 방송, 문자방송, 자막,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주식정보, 날씨정보 등의 부가정보와 인스턴트 메시지 창 등이 표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2)와 상기 리모트 콘트롤(100)은, RF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DTV(10) 간의 통신 방식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DTV(1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제1 영상 획득부(121a)와 제2 영상 획득부(121b)와 마이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획득부(121a) 및 상기 제2 영상 획득부(121b)는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상 획득부(121a, 121b)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 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상 획득부(121a, 121b)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DTV(10)는 유무선으로 연 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획득부(121a, 121b)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외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외부 영상 및/또는 상기 획득된 외부 영상의 분석 데이터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DTV(10) 간에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영상 획득부(121a, 121b)에 의해 획득된 외부 객체(30)의 영상을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외부 객체(30)의 영상을 분석한 데이터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데이터의 예를 들면, 상기 외부 객체(3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객체(30)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외부 객체(3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영상 또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또는 분석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TV(1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정지영상, 동영상, 텍스트 및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아이콘, 사진, 방송, 음악 또는 영화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DTV(1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DTV(1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상기 S100 단계는, 반드시 수행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명령에 따라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영상 획득부(121a)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고[S110], 상기 제2 영상 획득부(121b)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한다[S120].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한다[S12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획득부(121a)는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 획득부(121b)는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상을 이용하여 상 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상기 외부 객체(30)의 움직임을 좀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30)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보다,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성능을 가지고 높은 인식률이 담보되는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S120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RF 통신 방식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움직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TV(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거나, 상기 방송국(300) 또는 상기 인터넷(400)으로부터 수신된 멀 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메모리(21)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40].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출력 방식은, 오디오 출력 및 비디오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S150].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선택, 실행, 재생, 일시정지, 중지, 음량 조절, 화질 조절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DTV(1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DTV(1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S200]. 상기 S200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S100 단계와 동일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영상 획득부(121a)를 통해 제1 외부 객체를 포함하는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 획득부(121b)를 통해 제2 외부 객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획득부(121a)는 상기 제1 외부 객체(31)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 획득부(121b)는 상기 제2 외부 객체(32)에 대한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외부 객체(31)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S220], 상기 획득된 제2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 객체(32)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0].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제1 및 제2 움직임 정보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S240].
한편 상기 DTV(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50].
단, 상기 S250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DTV(10)는, 상기 제1 객체(40)와 상기 제2 객체(41)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객체는 영역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DTV(10)는, 제1 영역(42)와 제2 영역(43)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객체(40)와 상기 제2 객체(41)는, 각각 별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42)과 상기 제2 영역(43)도, 각각 별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객체(40)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객체(41)를 제어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객체(40)는, 상기 제1 외부 객체(31)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어되고, 상기 제2 객체(41)는, 상기 제2 외부 객체(32)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출력 중인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DTV(10)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영역(42)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영역(43)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42)는, 상기 제1 외부 객체(31)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어되고, 상기 제2 영역(43)은, 상기 제2 외부 객체(32)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42)에 표시되는 콘텐츠와 상기 제2 영역(4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서로 다른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객체(31)에 대응되는 A라는 사람과, 상기 제2 외부 객체(32) 에 대응되는 B라는 사람은, 각각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을 제스쳐(gesture) 또는 모션(motion)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자신이 원하는 X라는 콘텐츠를 상기 제1 영역(42)에 표시하도록 하고, 제스쳐 또는 모션을 이용하여 상기 X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B는 Y라는 콘텐츠를 상기 제2 영역(43)에 표시하도록 하고, 역시 자신의 제스쳐 또는 모션을 이용하여 상기 Y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DTV(1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DTV(1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DTV(10) 또한 영상 획득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획득부(24)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획득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카메라,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S300]. 상기 S300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기 S100 단계와 동일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영상 획득부(121a) 및 상기 제2 영상 획득부(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한다[S310]. 상기 제1 영상은,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0].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제1 움직임 정보를 상기 DTV(1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한편 상기 DTV(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340].
상기 DTV(10)는, 상기 영상 획득부(24)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50].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에 포함된 상기 외부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제2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60].
상기 DTV(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획득부(121a, 121b)는 상기 외부 객체(35)의 정면(A)을 지향하고, 상기 DTV(10)에 구비된 상기 영상 획득부(24)는 상기 외부 객체(35)의 측면(B)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획득되는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외부 객체(35)의 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DTV(10)에서 획득되는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외부 객체(35)의 측면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는, 상기 외부 객체(35)의 정면에 관한 영상으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는, 상기 외부 객체(35)의 측면에 관한 영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DTV(10)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외부 객체(35)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객체(35)에 대해 획득되는 상기 최종 움직임 정보는, 상기 외부 객체(35)에 대한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을 종합하여 얻어진 것이므로, 좀 더 정확하고 고성능의 움직임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DTV(10)는,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획득되는 움직임 정보와 상기 DTV(10)에서 획득되는 움직임 정보를 모두 이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DTV(10)는, 상황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얻어지는 영상(또는 움직임 정보) 및 상기 DTV(10)에서 얻어지는 영상(또는 움직임 정 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객체(36)의 위치는, 상기 DTV(10)에 포함된 상기 영상 획득부(24)의 화각(C)을 벗어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객체(36)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획득부(121a, 121b)의 화각(D)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DTV(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외부 객체(36)에 대한 움직임 정보(또는 영상 자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DTV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DTV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TV(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DTV(10) 간에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DTV 100: 이동 단말기
24, 121a, 121b: 영상 획득부

Claims (16)

  1. 외부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외부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DTV(digital television)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제1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제2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부를 통해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외부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
    외부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
    DTV(digital television)와 통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와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제1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영상으로부터 제2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디스플레이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제1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TV.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제1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제2 객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9. 삭제
  10. 디스플레이부;
    외부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외부 객체의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의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종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TV.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의 위치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 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하나를 주요 정보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보조 정보로 하여, 상기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3. DTV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제어 방법.
  14. DTV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으로부터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TV에서 출력되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 또는 상기 D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제어 방법.
  15.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DTV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제1 외부 객체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와 제2 외부 객체에 대한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DTV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제어 방법.
  16.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DTV에서 상기 D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방송국에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DTV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외부 객체의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TV에 구비된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외부 객체의 제2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에 대한 최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최종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제어 방법.
KR1020090112477A 2009-11-20 2009-11-20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KR10164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77A KR101642000B1 (ko) 2009-11-20 2009-11-20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77A KR101642000B1 (ko) 2009-11-20 2009-11-20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68A KR20110055868A (ko) 2011-05-26
KR101642000B1 true KR101642000B1 (ko) 2016-07-22

Family

ID=4436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477A KR101642000B1 (ko) 2009-11-20 2009-11-20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66A1 (en) * 2011-07-25 2013-01-3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030487B2 (en) 2011-08-01 2015-05-1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890140B1 (ko) 2012-05-07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시스템
KR102250021B1 (ko) * 2019-08-26 2021-05-11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가상현실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09B1 (ko) * 2008-02-04 2009-11-16 광주과학기술원 증강 현실에서의 햅틱 상호 작용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1211B1 (fr) * 2007-01-05 2009-06-12 Total Immersion Sa Procede et dispositifs pour inserer en temps reel des objets virtuels dans un flux d'images a partir de donnees issues de la scene reelle representee par ces images
KR20090000777A (ko) * 2007-04-02 2009-01-08 광주과학기술원 감각형 오브젝트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및 증강현실제공 방법
KR101152919B1 (ko) * 2008-02-13 2012-06-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09B1 (ko) * 2008-02-04 2009-11-16 광주과학기술원 증강 현실에서의 햅틱 상호 작용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68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874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70311004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160151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7200513B1 (en) Method for clocking speed using wireless terminal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2012011661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CN104902189A (zh) 图片处理方法及装置
CN104202624B (zh) 传输图片的方法及装置
US2007007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CN104954719A (zh) 一种视频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890626B1 (ko) 이동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EP29859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stream media data
CN104735813A (zh) 网络连接建立方法和装置
KR101642000B1 (ko) 이동 단말기, dtv 및 dtv의 제어 방법
WO2013165930A1 (en) Image capture system incorporating metadata receiving capability
KR201300217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2202206A (zh) 通信设备
KR20150008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6097655A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5459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61373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20120078978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JP6279746B2 (ja) 携帯情報端末
CN104717516A (zh) 一种多媒体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CN105120302A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
CN114077747A (zh) 一种媒体信息传输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