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95B1 - Air purif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purif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95B1
KR101641895B1 KR1020140146133A KR20140146133A KR101641895B1 KR 101641895 B1 KR101641895 B1 KR 101641895B1 KR 1020140146133 A KR1020140146133 A KR 1020140146133A KR 20140146133 A KR20140146133 A KR 20140146133A KR 101641895 B1 KR101641895 B1 KR 10164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quid
liquid reservoir
pipe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9589A (en
Inventor
김영호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 비케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케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 비케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4014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95B1/en
Publication of KR2016004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5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정화용 액체가 채워지는 액체 저장조; 상기 정화용 액체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토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에서 상기 토출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 유동 유닛; 및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 중에서 상기 토출관의 전단과 상기 정화용 액체의 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용 액체의 이동을 막는 액체 막이 부재를 포함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urifying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To this end, the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liquid reservoi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An inflow pip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cleaning liquid;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liquid for purification to the outside; An air flow unit provided in the inflow pipe or the discharge pipe to flow air from the inflow pipe to the discharge pipe; And a liquid film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inside of the liquid storage tank to prevent movement of the cleaning liquid.

Description

공기 정화 장치{Air purifying apparatus}[0001] Air purify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공기 속의 먼지(특히, 미세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dust (particularly, fine dust) and contaminants in air.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속의 먼지나 매연을 제거하는 장치로, 종이 필터 등을 이용한 고체 필터 방식과, 물 등을 이용한 액체 필터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removing dust or soot in air, and is roughly divided into a solid filter method using a paper filter or the like and a liquid filter method using water or the like.

이 중, 액체 필터 방식의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의 흐름 속에 물을 내뿜어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한다. 여기서, 물을 내뿜는 요소를 "물 필터"라 한다. 특히, 이러한 물 필터를 이용할 경우 습도 또한 가감(加減)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 범위가 점점 넓어지는 추세이다.Among them, the liquid filter type air purifier removes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blowing water into the air flow. Here, the element that emits water is called a "water filter ". In particular, when such a water filter is used, the humidity can also be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use range thereof is gradually widening.

기존의 액체 필터 방식의 공기 정화기는 물을 비산시키는 방식(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02021호)과 물을 위에서 아래로 흘려 보내는 방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1614호)이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an air purifier of a liquid filter type is known in which water is scattere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02021) and a method in which water is caused to flow downw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31614).

이 중, 물을 위에서 아래로 흘려 보내는 방식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1614호에 개시된 창문에 부착할 수 있는 광합성 생물을 이용한 실내용 공기 정화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내부에 소정이 기울기를 가지며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광합성 생물 필터부(120)와, 프레임(110)의 상단에서 광합성 생물 필터부(12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50)와, 프레임(110)의 측면에 각각 외부 공기 흡입과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 팬(170)을 포함한다. 따라서, 급수부(150)에 의해 광합성 생물 필터부(120)로 물이 공급되는 동안 공기 순환 팬(170)이 가동되면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이 광합성 생물 필터부(120)를 거치면서 일부 제거되어 실내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된다.Among them, the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hotosynthetic organism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indow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31614 in such a manner that water is flowed from top to bottom, as shown in Fig. 12, A wat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water to the photosynthesis biological filter unit 120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110, And an air circulation fan 170 for sucking outside air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room, respectively. Therefore, while the air circulation fan 170 is operated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photosynthesis biological filter unit 120 by the water supply unit 150,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pass through the photosynthesis biological filter unit 120 Some of the air is removed and purified air flows into the room.

그러나, 이 공기 정화 장치는, 광합성 생물 필터부(12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광합성 생물 필터부(120)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경우에는 먼지나 오염물이 제거되지 못하거나 일부만 제거되는 등 장치의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photosynthesis biological filter unit 120 to some extent without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photosynthesis biological filter unit 120, dust or contaminants can not be removed or only a part of the air is remo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apparatus is deteriorat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1614호(등록일: 2012년 3월 22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31614 (registered on March 22, 201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ir purifier capabl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purifying dust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and a system window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 창호에 설치될 경우 겨울철 액체 저장조의 결빙을 막을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of a liquid reservoir in winter when installed in a system window.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outdoor air and supplying it to the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액체 저장조의 내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enhanc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dust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and facilitating internal cleaning of the liquid storage tan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정화용 액체가 채워지는 액체 저장조; 상기 정화용 액체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 및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토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에서 상기 토출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 유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액체 저장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정화용 액체 속에 오래 머물도록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티션은 착탈 부재에 의해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착탈 부재의 일면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착탈 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파티션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파티션의 선단은 상기 착탈 부재의 상기 타면과 붙어 있고, 상기 파티션의 후단은 상기 선단의 반대되는 곳에 놓여 상기 착탈 부재의 상기 타면과 떨어져 놓이고, 상기 파티션은 그 후단이 그선단보다 높게 되도록 경사져 구비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ier including: a liquid reservoir filled with a liquid for purification; An inflow pip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cleaning liquid;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liquid for purification to the outside; And an air flow unit provided in the inflow pipe or the discharge pipe to flow air from the inflow pipe to the discharge pipe.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quid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having a zigzag shape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liquid reservoir can be detached from the liquid for a long time in the liquid for purification. The liquid separation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Wherein the one side of the detachable member is slidably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the parti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member in a zigzag shape, and the tip of the partition is detached And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ember opposite to the front end Lie lie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and said partition are provided with inclined so that its rear end is higher than its front en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 중에서 상기 토출관의 전단과 상기 정화용 액체의 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용 액체의 이동을 막는 액체 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막이 부재는, 상기 정화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상기 정화용 액체의 통과를 막는 메시 형태(mesh type)의 필터일 수 있다.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iquid film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inside of the liquid storage tank to prevent movement of the cleaning liquid, The liquid film member may be a mesh type filter that allows passage of the purified air and prevents passage of the cleaning liquid.

상기 액체 저장조에는 상기 정화용 액체의 결빙을 막는 결빙 방지 열선이 구비될 수 있다.The liquid reservoir may be provided with an anti-freezing heat line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liquid for purification.

상기 유입관의 후단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 바닥면에 놓여 상기 정화용 액체 속에 잠길 수 있고, 상기 토출관의 전단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측 상부에 놓여 상기 정화용 액체의 수면과 이격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inflow pipe may be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iquid reservoir and be submerged in the liquid for purifica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ipe may be plac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liquid reservoir and spaced from the surface of the liquid for purification.

삭제delete

상기 유입관의 후단에는 공기를 분쇄시키는 공기 분쇄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n air grinder for crushing ai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inflow pipe.

상기 유입관의 중심부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관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단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inflow pip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liquid reservoir so that a center portion of the inflow pipe is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상기 공기 유동 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공기가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저장조에 진공도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액체 저장조는 상기 진공도가 유지되도록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air flow unit may apply a vacuum degree to the liquid reservoir so that the air of the inlet pipe can pass through the liquid for purifying the liquid reservoir, and the liquid reservoir may have a closed structure to maintain the degree of vacuum .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는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 receiving the liquid reservoir, and an inle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leaning liqui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유입관의 전단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관이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may be provided with a collecting pipe for collect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ort.

상기 토출구에는 살균용 열선이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heat ray for sterilization.

상기 토출관의 후단에는 송풍팬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blowing fan may further b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상기 유입관에는 실외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외부 연결관이 더 연결될 수 있다.The inflow pipe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pipe for guiding inflow of outdoor air.

상기 유입관과 상기 외부 연결관이 서로 연통되는 부위에 삼방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 three-way valv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inflow pipe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는,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 창호 몸체; 및 상기 창호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의 전단은 상기 실외에 접하여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토출관의 후단은 상기 실내에 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킨다.Meanwhile, a system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body that divides an outdoor space and an indoor space; And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chably mounted on the window body, wherein a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doors to introduce outdoor air, and a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oom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room.

일 예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창호 몸체에 세로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be vertically mounted on the window body.

다른 예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창호 몸체에 가로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be mounted horizontally long on the window bod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ystem window including the air purifier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저장조, 유입관, 토출관, 공기 유동 유닛, 그리고 액체 막이 부재를 포함하고, 특히 유입관, 토출관, 그리고 공기 유동 유닛을 통해 외부 공기를 액체 저장조에 채워진 정화용 액체의 바닥에서 수면까지 통과되도록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외부 공기가 정화용 액체에 항상 접할 수 있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storage tank, an inflow pipe, a discharge pipe, an air flow unit, and a liquid membrane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storage tank filled with external air through an inflow pi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allowing the liquid to pass from the bottom of the liquid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so that the outside air can always contact the liquid for cleaning,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leaning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막이 부재를 제공하므로 액체 막이 부재를 통해 액체 저장조의 내벽 중 정화용 액체의 수면 위에 위치되는 내벽에 물 때의 형성을 미연에 막아 악취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어, 토출관으로는 정화된 공기만을 보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quid film provides the member, the liquid film prevents the formation of the odor on the inner wall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liquid for purification among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through the member, So that only the purified air can be sent to the discharge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저장조에 결빙 방지 열선이 구비되므로, 겨울철 액체 저장조의 결빙을 막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quid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the anti-freezing heat ray,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of the liquid storage tank in win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정화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를 제공하므로, 시스템 창호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 정화 장치를 통해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 요소를 제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stem window including the air purifier is provided, the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ystem window, and at the same tim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연결관을 제공할 경우, 시스템 창호에 굳이 적용하지 않더라도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connection pipe is provided,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a room even if it is not applied to a system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가 시스템 창호의 우측에 세로로 길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 정화 장치가 시스템 창호의 아래에 가로로 길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공기 정화 장치를 세척하기 위해 액체 저장조 내의 파티션을 분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2는 기존의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 2 (b) is a rear view.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of FIG. 1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ystem window.
4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of FIG. 4 is mounted horizontally long under the system window.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1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assembling a partition in a liquid reservoir to clean the air cleaning apparatus of FIG.
12 is a view showing an existing air purifying apparatu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FIG. 1, and (b) is a rear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액체 저장조(120)와, 유입관(130)과, 토출관(140)과, 공기 유동 유닛(150)과, 그리고 액체 막이 부재(19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liquid reservoir 120, an inlet pipe 130, a discharge pipe (not shown) 140, an air flow unit 150, and a liquid film member 190.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전체 외장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 공간(100a)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즉, 세로형)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좌우 방향으로 긴 형상(도 4 및 도 5 참조)(즉, 가로형)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하우징(110)의 일면(예를 들어, 정면)에는 액체 저장조(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11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조(120)의 교체 주기가 되면 사용자는 개폐 도어(113)를 열어 액체 저장조(12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면(예를 들어, 배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타면(예를 들어, 정면)에는 정화용 액체(120a)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constitutes the entire enclosure of the apparatus 100 and has an internal space 100a.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110 may have a vertically long shape (that is, a vertical shape) (See Figs. 4 and 5) (i.e., horizontal shape). Further,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for exampl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liquid storage tank 120 can be replaced. Accordingly, when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liquid storage tank 120 is reached, the user can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3 to replace the liquid storage tank 120. 1 and 2, an inlet 11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s formed on one side (for example, a rear side) of the housing 110, and an inlet 11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A discharge port 112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liquid for cleaning 120a may be formed.

액체 저장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정화용 액체(일 예로, 물)(120a)가 채워진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조(120)는 유입관(130)과 토출관(140)이 이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공기 유동 유닛(150)이 가동되는 동안 부여되는 액체 저장조(120)의 진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공기가 새는 것을 막아 유입관(13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누기(漏氣)없이 액체 저장조(120)를 원활하게 경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액체 저장조(1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화용 액체(120a)를 교환하기 위한 별도의 교환홀(미도시)과, 정화용 액체(120a)의 교환이 완료되면 액체 저장조(12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환홀(미도시)을 막는 밀폐 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liquid reservoir 1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is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for example, water) 120a. For example, the liquid reservoir 120 may have an airtight structure, except that the inlet tube 130 and the outlet tube 140 are connected thereto. The reason for having a closed structure is to maintain the degree of vacuum of the liquid reservoir 120 provid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flow unit 150 and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so that the outside air flowing from the inflow pipe 130 is leaked So that the liquid storage tank 120 is smoothly passed through. The liquid reservoir 120 further includes an exchange hole (not shown) for exchanging the liquid 120a for purification and a liquid reservoir 120a for sealing the liquid reservoir 120 (Not shown) that closes the exchange hole (not shown) to maintain the stat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에는 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오래 머물도록 지그재그 형태의 파티션(1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파티션(121)은 액체 저장조(120) 내의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위치되어 정화용 액체(120a) 속으로 유입된 공기에 지그재그 형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liquid storage tank 120 may further include a zigzag-shaped partition 121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ereinto stays in the cleaning liquid 120a for a long time. Particularly, such a partition 121 can be located in the cleaning liquid 120a in the liquid reservoir 120 to provide a zigzag-like movement path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liquid 120a.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에는 정화용 액체(120a)의 결빙을 막는 결빙 방지 열선(1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 영하의 기온에서도 액체 저장조(120)가 결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가 실내와 실외의 경계 구역인 창호 시스템(도 3의 200) 등에 설치될 경우(도 3 참조)에는 장치(100)의 배면이 실외에 직접 노출되므로 겨울철을 대비하여 이 결빙 방지 열선(122)의 필요성이 한 층 더 증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liquid storage tank 120 may further include an anti-freezing heat ray 122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liquid 120a for purific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storage tank 120 from freezing even in the cold winter temperatures. Particularly, when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indow system (200 in FIG. 3) as a boundary area between indoor and outdoor (see FIG. 3) The necessity of the anti-freezing heat ray 122 can be further increased in preparation for the winter season.

유입관(130)은 정화용 액체(120a)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안내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30)의 전단(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앞에 놓이는 단)은 하우징(110)의 유입구(111)에 놓이고, 유입관(130)의 후단(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뒤에 놓이는 단)은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 바닥면 놓여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잠길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1)로부터 안내된 먼지나 오염물 등을 포함한 공기는 정화용 액체(120a) 속으로 이동될 수 있어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 등이 이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직접 접촉되면서 충분히 정화용 액체(120a)에 녹아 들어가 정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파티션(121)이 액체 저장조(120) 내의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위치될 경우, 정화용 액체(120a) 속으로 유입된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이동되면서 정화용 액체(120a)에 보다 오래 머물 수 있어 정화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inlet pipe 130 serves as a guiding path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cleaning liquid 120a. As shown in FIG. 1, the front end of the inlet pipe 130 And the rear end of the inflow pipe 130 is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iquid reservoir 120 and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120a ). Therefore, the air including the dust, pollutants, and the like guided from the inlet port 111 can be moved into the cleaning liquid 120a, so that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can directly contact the inside of the cleaning liquid 120a, (120a) and can be purified. Particularly, when the partition 121 described above is placed in the liquid 120a for cleaning in the liquid reservoir 12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iquid for cleaning 120a is moved in a zigzag form and stays longer in the liquid for cleaning 120a So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30)의 전단에는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관(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이 포집관(160)에 포집되어 유입관(130)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collecting pipe 160 for collect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1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inlet pipe 130. Accordingly,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inlet ports 111 can be collected by the collecting tube 160 and guided smoothly to the inlet pipe 130.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30)의 후단에는 공기를 분쇄시키는 공기 분쇄기(1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공기 분쇄기(131)로는 물에 녹지 않으면서도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공 재질의 돌 등이 사용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an air grinder 131 for grinding air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flow pipe 130. Specifically, as the air grinder 131, a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may be used without being dissolved in water. For example, a porous stone may be used.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와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입관의 중심부가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유입관(130)은 액체 저장조(120)의 상단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1, the inflow tube 130 may be a liquid (not shown)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flow tube is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120 to minimize the space between the liquid reservoir 120 and the housing 110. In addition, And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20.

토출관(140)은, 정화용 액체(120a)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안내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40)의 전단(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앞에 놓이는 단)은 액체 저장조(120)의 내측 상부에 놓이되 정화용 액체(120a)의 수면과 이격되어 놓이고, 토출관(140)의 후단(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뒤에 놓이는 단)은 하우징(110)의 토출구(112)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정화용 액체(120a) 속을 통과하면서 먼지나 오염물 등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 만이 토출구(112)로 안내될 수 있다.1, the discharge pipe 140 serves as a guid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leaning liquid 120a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ipe 140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discharge pipe 140 Is plac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liquid reservoir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liquid for purification 120a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0 May be placed in the discharge port 112 of the housing 110. Therefore, only the cleaned air can be guided to the discharge port 112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leaning liquid 120a and removing dust, contaminants and the lik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2)에는 살균용 열선(17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화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 등에 의해 토출구(112) 측에 발생될 우려가 있는 곰팡이 등의 균이 살균용 열선(170)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discharge port 112 may be provided with a heat ray 170 for sterilization. Therefore, bacteria such as fungi, which may be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12 due to moisture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can be sterilized by the heat ray 170 for sterilization.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40)의 후단에는 송풍팬(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동 유닛(150)에 의해 유동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멀리 송풍시킬 수 있다.
1, a blowing fan 180 may further b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0. [ Therefore, air blown by the air flow unit 150 can be blown farther away.

공기 유동 유닛(150)은 유입관(130) 또는 토출관(140)에 구비되어 유임관(130)에서 토출관(140)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 유동 유닛(150)은,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40)에 긴밀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입관(130)에 긴밀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유닛(150)이 토출관(140)에 구비될 경우, 공기 유동 유닛(150)은 유입관(130)의 공기가 액체 저장조(120)의 정화용 액체(120a)를 통과할 수 있도록 액체 저장조(120)에 대기압 보다 낮은 진공도를 부여할 수 있다.The air flow unit 150 is provided in the inflow pipe 130 or the discharge pipe 140 and serves to flow air from the inflow pipe 130 to the discharge pipe 140. The air flow unit 150 may be tightly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or may be tightly installed in the inflow pipe 130, though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1, when the air flow unit 150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140, the air flow unit 150 is configured such that air in the inflow pipe 130 flows into the liquid A lower degree of vacuum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liquid reservoir 120 so that the liquid can pass through the reservoir 120a.

나아가, 공기 유동 유닛(150)으로는 에어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공기 유동 유닛(150)은 액체 저장조(120)에 담긴 정화용 액체(120a)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유입관(13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용 액체(120a)에 충분히 통과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as the air flow unit 150, an air pump or the like may be used. The air flow unit 150 is provided with a capacity capable of sufficiently pas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flow pipe 130 into the liquid for purification 120a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liquid 120a contained in the liquid storage tank 120, .

액체 막이 부재(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 중에서 토출관(140)의 전단과 정화용 액체(120a)의 수면 사이에 구비되어 정화용 액체(120a)의 이동을 막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막이 부재(190)는, 정화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정화용 액체(120a)의 통과를 막는 메시 형태(mesh type)의 필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유동 유닛(150)이 구동될 경우 정화용 액체(120a)의 수면 위로 무수히 많은 공기 방울이 올라오면서 정화용 액체(120a)도 함께 튀게 되고, 이렇게 튄 정화용 액체(120a)는 액체 저장조(120)의 내벽 중 정화용 액체(120a)의 수면 위에 위치되는 내벽에 악취를 동반한 물 때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술한 액체 막이 부재(190)가 구비될 경우 액체 막이 부재(190)를 통해 이러한 물 때의 형성을 미연에 막아 악취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어, 토출관(140)으로는 정화된 공기만을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메시 형태의 필터로는 스폰지 또는 천연 수세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천연 수세미가 사용될 경우 자체적으로 물 때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필터의 교체 주기를 길게 가질 수 있다.
1, the liquid membrane member 190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ipe 140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120a in the interior of the liquid storage tank 120 to move the cleaning liquid 120a . Specifically, the liquid film member 190 may be a mesh type filter that prevents the passage of the purified liquid 120a while permitting the passage of the purified air. In other words, when the air flow unit 150 is driven, a large number of air bubbles rise above the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120a, and the cleaning liquid 120a splashes together. When the above-described liquid film 190 is provided, the liquid fil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120a through the member 190, So that the generation of odor can be blocked originally, and only purified air can be sent to the discharge pipe 140. For example, such a mesh type filter may be a sponge or a natural scrubber. Particularly, when a natural scrubbing brush is used, it has a function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water when it is watering itself, so that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filter can be long.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2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 window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도 1의 공기 정화 장치가 시스템 창호의 우측에 세로로 길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of FIG. 1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ystem wind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몸체(210)와, 창호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창호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레버(미도시)를 돌려 고정시키는 레버 고정 방식이나 창호 몸체에 억지 끼움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입관(130)의 전단은 실외에 접하여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토출관(140)의 후단은 실내에 접하여 구비되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3, the system window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body 210 and a window body 210 detachably mounted on the window body 210, And an air clea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the detachable structure, although not shown, a lever fixing method in which a lever (not shown) rotatably provided on the window body 210 is fixed, .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13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room to introduce outdoor air,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oom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room.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는 창호 몸체(210)에 세로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3,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ertically mounted on the body 210 of the window.

따라서, 시스템 창호(200)에 공기 정화 장치(100)가 장착되므로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 정화 장치(100)를 통해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 요소(예를 들어, 황사에 따른 미세 먼지 등)를 제거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air purifier 100 is installed in the system window 200,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for example, Fine dust and the lik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는 그 높이가 축소되는 대신 좌우 방향으로 그 폭이 커지는 형상 즉, 가로 형상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가로 형상 위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4, the air purify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ight thereof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로 형상을 갖기 위해, 하우징(310), 유입구(311), 액체 저장조(320), 토출구(312), 그리고 액체 막이 부재(39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그 높이가 축소되고 좌우 방향으로 그 폭이 커지게 되고, 유입관(330) 및 토출관(340)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그 높이가 축소된다. 한편, 하우징(310), 유입구(311), 액체 저장조(320), 그리고 토출구(312), 유입관(330), 토출관(340)과, 액체 막이 부재(390)의 역할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해당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The height of the housing 310, the inlet 311, the liquid reservoir 320, the discharge port 312 and the liquid film member 390 are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and the width thereof in the left- And the height of the inflow pipe 330 and the discharge pipe 340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The functions of the housing 310, the inlet 311, the liquid reservoir 320, the discharge port 312, the inlet pipe 330, the discharge pipe 340, and the liquid film separator 39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4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 window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의 공기 정화 장치가 시스템 창호의 아래에 가로로 길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of FIG. 4 is mounted horizontally long under the system windo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창호(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몸체(410)와, 창호 몸체(410)에 착탈 가능하고 가로로 길게 장착되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창호 몸체(4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레버(미도시)를 돌려 고정시키는 레버 고정 방식이나 창호 몸체에 억지 끼움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입관(330)의 전단은 실외에 접하여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토출관(340)의 후단은 실내에 접하여 구비되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5, the system window 4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body 410, a window body 4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window body 410, And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the detachable structure may include a lever fixing method for turning and fixing a lever (not shown) rotatably provided to the window body 410,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window body from being detached .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33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room to introduce outdoor air,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34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oom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room.

따라서, 시스템 창호(400)에 공기 정화 장치(300)가 장착되므로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 정화 장치(300)를 통해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 요소(예를 들어, 황사에 따른 미세먼지 등)를 제거시킬 수 있다. 특히, 공기 정화 장치(300)가 가로 형상을 가지므로 시스템 창호(400)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에 그 적용 가치를 높게 고려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air purifier 300 is installed in the system window 400, the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for example, Fine dust and the like). In particular, since the air purifier 300 has a horizontal shape, the application value of the system window 400 can be considered to be high when the height of the system window 400 is not high.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연결관(133)과 삼방 밸브(134)(3-way val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외부 연결관(133)과 삼방 밸브(134) 위주로 설명한다.6, the air purifie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and a three-way valve 134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and the three-way valve 134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외부 연결관(133)은 유입관(130)의 전단측에 연결되어 실외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연결관(133)은 그 일단이 유입관(130)의 전단과 중심부 사이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실외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관(13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inflow pipe 130 and serves to guide inflow of outdoor air. 6, one end of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i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center of the inflow pipe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flow pipe 130, .

이와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30)과 외부 연결관(133)이 서로 연통되는 부위에 삼방 밸브(1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삼방 밸브(134)의 제어를 통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유입관(130)의 전단을 막으면서 외부 연결관(133)과 유입관(130)이 연통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 연결관(133)을 막으면서 유입관(130)의 전단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삼방 밸브가 아닌 별도의 밸브(미도시)를 유입관(130)과 외부 연결관(133)에 각각 구비하여 제어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밸브(미도시)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밸브가 동시에 열리도록 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밸브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열리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밸브(미도시)로는 개도량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three-way valve 134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inflow pipe 13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outdoor air is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three-way valve 134, the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130 is closed,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is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130, In order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the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130 may be opened while closing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As another example, a separate valve (not shown) other than the three-way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inlet pipe 13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opening so that the valves are opened at the same time, or to control opening of any one of the valves relatively more. As such a valve (not shown), a solenoid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opening can be used.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공기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세척이 용이한 공기 정화 장치를 세척하기 위해 액체 저장조 내의 파티션을 분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clean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cl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1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partition in a liquid reservoir for clean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And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121)을 분해하여 장치 외부로 뺄 수 있는 기술구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파티션(121)을 분해하여 장치 외부로 뺄 수 있는 기술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나아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의 명칭과 동일한 명칭에 대해서는 형상이 조금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7 to 11,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artition 121 can be disassembled and taken out of the apparatu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technical structure in which the partition 121 can be disassembled and taken out of the apparatu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 shapes are slightly different.

파티션(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액체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공기가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오래 머물도록 지그재그 형태를 가진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티션(121)은 착탈 부재(123)에 의해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탈 부재(123)의 일면은 액체 저장조(120)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착탈 부재(123)의 타면에는 파티션(121)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부재(123)에 구비된 파티션(121)은 착탈 부재(123)를 통해 액체 저장조(120)의 내벽을 슬라이딩 하면서 착탈될 수 있다.7, the partition 121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iquid reservoir 120 and has a zigzag sha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liquid reservoir 120 can stay in the liquid for purification 120a for a long time .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7, the component 121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120 by the detachable member 123. Specifically, one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123 may be slidably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120, and a partition 121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123 in a zigzag shape. 10, the partition 121 provided on the detachable member 123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hile sliding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storage tank 120 through the detachable member 123. [

나아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유입관(130a)은 파티션(121)이 착탈될 때 함께 착탈될 수 있고, 공기 분쇄기(137) 또한 파티션(121)이 착탈될 때 함께 착탈될 수 있다.
10 and 11, the inflow pipe 130a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120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gether when the partition 121 is detached, and the air grinder 137 is also partitioned When the main body 121 is detached or detached.

이와 더불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30) 중 액체 저장조(120) 밖에 놓이는 부분은 제1 및 제2 유입관(131)(132)으로 분리될 수 있고, 토출관(140) 중 액체 저장조(120) 밖에 놓이는 부분은 제1 및 제2 토출관(141)(142)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및 제2 유입관(131)(132)과, 그리고 제1 및 제2 토출관(141)(142)은 하나의 도킹부(210)에 의해 함께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7 and 8, the portion of the inflow pipe 130 lying outside the liquid reservoir 120 can be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flow pipes 131 and 132, A portion of the liquid supply pipe 140 outside the liquid reservoir 120 can be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141 and 142 and the first and second inflow pipes 131 and 132, 1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s 141 and 142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gether by a single docking unit 210. [

예를 들어, 도킹부(2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11)과 플러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211)에는 제1 유입관(131)과 제1 토출관(141)이 구비되며, 소켓(211)의 내부에는 제1 유입관(131)에 연통되는 제1 유로(P1)와 제1 토출관(141)에 연통되는 제2 유로(P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212)는 소켓(21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플러그(212)에는 제2 유입관(132)과 제2 토출관(142)이 구비되며, 그리고 플러그(212)에는 제2 유입관(132)과 제1 유로(P1)에 연통되는 제3 유로(P3)와 제2 토출관(142)과 제2 유로(P2)에 연통되는 제4 유로(P4)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ck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socket 211 and a plug 212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ocket 211 is provided with a first inlet pipe 131 and a first outlet pipe 141. The socket 211 has a first flow path P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pipe 131, And a second flow path P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ipe 141 may be formed. The plug 21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ocket 211 and the plug 212 is provided with a second inlet pipe 132 and a second outlet pipe 142 and the plug 212 is provided with a second inlet pipe A third flow path P3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132 and the first flow path P1 and a fourth flow path P4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ischarge path 142 and the second flow path P2 may be formed.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세척하기 위해 액체 저장조 내의 파티션을 분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a process of disassembling a partition in a liquid reservoir for cleaning an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7에서 닫혀 있던 개폐 도어(113)를 열고, 플러그(212)와 소켓(211)을 화살표 방향으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유입관(130)은 제1 및 제2 유입관(131)(132)으로 분리되고, 토출관(140)은 제1 및 제2 토출관(141)(142)으로 분리되므로, 액체 저장조(120)가 하우징(110)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놓이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user opens the closing door 113, which was closed in Fig. 7, and separates the plug 212 and the socket 2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ccordingly, the inflow pipe 130 is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flow pipes 131 and 132, and the discharge pipe 140 is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141 and 142, (120)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110).

그리고 나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조(12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 밖으로 인출시키고, 액체 저장조(120)의 상부 개방홀(127)을 막고 있던 밀폐 리드(128)를 화살표 방향으로 연다.9, the liquid reservoir 12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e sealing lid 128, which has closed the upper opening hole 127 of the liquid reservoir 120,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이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체 저장조(120)의 내벽에 위치된 착탈 부재(123)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시킨다. 그러면 정화용 액체(120a)는 액체 저장조(120)에 그대로 놓이고 착탈 부재(123), 파티션(121), 내부 유입관(130a), 결빙 방지 열선(122), 그리고 공기 분쇄기(137)가 인출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the user holds the detachable member 123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storage tank 120 and draws 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n, the cleaning liquid 120a is left in the liquid storage tank 120 and the detachable member 123, the partition 121, the internal inflow pipe 130a, the anti-freezing heat wire 122, and the air grinder 137 are taken out .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부재(123)가 완전히 인출된 후 착탈 부재(123)와 파티션(121) 등의 세척뿐만 아니라 액체 저장조(120)의 내벽 또한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파티션(121)이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에 있을 때에 비해 훨씬 수월하게 세척할 수 있다.
11,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120 can be cleaned as well as the cleaning of the detachable member 123 and the partition 121 after the detachable member 123 is completely drawn out. Therefore, The liquid can be cleaned more easily than when the liquid container 121 is inside the liquid reservoir 12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ystem window including the air purifier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액체 저장조(120 또는 320), 유입관(130 또는 330), 토출관(140 또는 340), 공기 유동 유닛(150), 그리고 액체 막이 부재(190 또는 390)를 포함하고, 특히 유입관(130 또는 330), 토출관(140 또는 340), 그리고 공기 유동 유닛(150)을 통해 외부 공기를 액체 저장조(120 또는 320)에 채워진 정화용 액체(120a)의 바닥에서 수면까지 통과되도록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외부 공기가 정화용 액체(120a)에 항상 접할 수 있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reservoir 120 or 320, the inlet tube 130 or 330, the outlet tube 140 or 340, the air flow unit 150, and the liquid membrane member 190 or 390 And particularly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liquid 120a filled with external air into the liquid reservoir 120 or 320 through the inlet pipe 130 or 330, the discharge pipe 140 or 340, and the air flow unit 150. [ The outside air can always contact the cleaning liquid 120a, and the cleaning efficiency of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can be enhan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액체 막이 부재(190 또는 390)를 제공하므로 액체 막이 부재(190 또는 390)를 통해 액체 저장조(120 또는 320)의 내벽 중 정화용 액체의 수면 위에 위치되는 내벽에 물 때의 형성을 미연에 막아 악취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어, 토출관(140 또는 340)으로는 정화된 공기만을 보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film provides the member 190 or 390 so that the liquid film passes through the member 190 or 390 to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120 or 3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odor and to send purified air only to the discharge pipe 140 or 34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액체 저장조(120 또는 320)에 결빙 방지 열선(122)이 구비되므로, 겨울철 액체 저장조(120 또는 320)의 결빙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quid storage tank 120 or 320 is provided with the anti-freezing heat ray 122, the freezing of the liquid storage tank 120 or 320 during wint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공기 정화 장치(100 또는 300)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200 또는 400)를 제공하므로, 시스템 창호(200 또는 400)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 정화 장치(100 또는 300)를 통해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 요소를 제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stem window 200 or 400 including the air purifier 100 or 300 is provided,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ystem window 200 or 400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can be removed through the air purifier 100 or 30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 연결관(133)을 제공할 경우, 시스템 창호(200 또는 400)에 굳이 적용하지 않더라도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3 is provided,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even if it is not applied to the system window 200 or 4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액체 저장조(12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용 액체(120a) 속에 오래 머물도록 하는 파티션(121)이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액체 저장조(120) 세척시 파티션(121)을 분리하여 파티션(121) 및 액체 저장조(120)의 내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121 for al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iquid storage tank 120 to stay in the cleaning liquid 120a for a long time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iquid storage tank 120 The partition 121 can be separated during the cleaning of the liquid storage tank 120 to facilitate internal cleaning of the partition 121 and the liquid storage tank 12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300: 공기 정화 장치 110, 310: 하우징
111, 311: 유입구 112, 312: 토출구
120, 320: 액체 저장조 120a: 정화용 액체
121: 파티션 122: 결빙 방지 열선
123: 착탈 부재 127: 상부 개방홀
128: 밀폐 리드 131: 제1 유입관
132: 제2 유입관 130, 330: 유입관
131: 공기 분쇄기 133: 외부 연결관
134: 삼방 밸브 140, 340: 토출관
141: 제1 토출관 142: 제2 토출관
150: 공기 유동 유닛 160: 포집관
170: 살균용 열선 180: 송풍팬
190: 액체 막이 부재 210: 도킹부
211: 소켓 212: 플러그
200, 400: 시스템 창호 210, 410: 창호 몸체
100, 300: air purifier 110, 310: housing
111, 311: Inlet port 112, 312: Outlet port
120, 320: liquid storage tank 120a: liquid for purification
121: Partition 122: Anti-icing hot wire
123: detachable member 127: upper opening hole
128: sealing lid 131: first inlet pipe
132: second inlet pipe 130, 330: inlet pipe
131: air grinder 133: external connection pipe
134: three-way valve 140, 340: discharge pipe
141: first discharge tube 142: second discharge tube
150: air flow unit 160: collection tube
170: Heat line for sterilization 180: Ventilation fan
190: liquid film member 210: docking unit
211: socket 212: plug
200, 400: system window 210, 410: window body

Claims (26)

공기 정화 장치로,
정화용 액체가 채워지는 액체 저장조;
상기 정화용 액체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 및
상기 유입관 또는 상기 토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에서 상기 토출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 유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액체 저장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정화용 액체 속에 오래 머물도록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은 착탈 부재에 의해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착탈 부재의 일면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착탈 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파티션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파티션의 선단은 상기 착탈 부재의 상기 타면과 붙어 있고, 상기 파티션의 후단은 상기 선단의 반대되는 곳에 놓여 상기 착탈 부재의 상기 타면과 떨어져 놓이고,
상기 파티션은 그 후단이 그선단보다 높게 되도록 경사져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With an air purification device,
A liquid reservoir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An inflow pip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cleaning liquid;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liquid for purification to the outside; And
And an air flow unit provided in the inflow pipe or the discharge pipe to flow air from the inflow pipe to the discharge pipe,
The air purifier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having a zigzag shape so as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iquid reservoir and al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iquid reservoir to stay in the liquid for purification for a long time,
Wherein the partition is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by a detachable member,
Wherein one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is slidably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liquid reservoir,
Wherein the parti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in a zigzag shape,
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and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li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en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The partition is inclined such that its rear end is higher than its front end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 중에서 상기 토출관의 전단과 상기 정화용 액체의 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용 액체의 이동을 막는 액체 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막이 부재는,
상기 정화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함과 함께 상기 정화용 액체의 통과를 막는 메시 형태의 필터인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er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liquid film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inside of the liquid storage tank to prevent movement of the cleaning liquid,
The liquid film-
A mesh-type filter that allows the passage of the purified air and prevents the passage of the cleaning liquid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액체 저장조에는 상기 정화용 액체의 결빙을 막는 결빙 방지 열선이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reservoir is provided with an anti-freezing heat line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liquid for purification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유입관의 후단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 바닥면에 놓여 상기 정화용 액체 속에 잠기고,
상기 토출관의 전단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측 상부에 놓여 상기 정화용 액체의 수면과 이격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end of the inflow pipe is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iquid reservoir and is immersed in the liquid for purification,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tube is plac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liquid reservoi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Air purifier.
삭제delete 제4항에서,
상기 유입관의 후단에는 공기를 분쇄시키는 공기 분쇄기가 더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air crusher for crushing air is furth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inflow pipe
Air purifier.
제4항에서,
상기 유입관의 중심부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관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단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flow pipe is provid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liquid reservoi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flow pipe is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공기 유동 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공기가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저장조에 진공도를 부여하고,
상기 액체 저장조는,
상기 진공도가 유지되도록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flow unit includes:
Applying a vacuum degree to the liquid reservoir so that the air of the inflow pipe can pass through the liquid for purification of the liquid reservoir,
The liquid reservoir,
The vacuum degree is maintained so as to have a closed structure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는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er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for receiving said liquid reservoir,
An inlet por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liquid for purificatio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Air purifier.
제9항에서,
상기 유입관의 전단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관이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llecting pipe for collect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inlet pipe
Air purifier.
제9항에서,
상기 토출구에는 살균용 열선이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heat ray for sterilization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토출관의 후단에는 송풍팬이 더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lowing fan is furth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discharge tube
Air purifier.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개폐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 저장조는 상기 개폐 도어를 통해 인입출이 가능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er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space for receiving said liquid reservoir,
An opening / closing do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liquid reservoir is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ir purifier.
삭제delete 제14항에서,
상기 유입관 중 상기 액체 저장조 밖에 놓이는 부분은 제1 및 제2 유입관으로 분리되고,
상기 토출관 중 상기 액체 저장조 밖에 놓이는 부분은 제1 및 제2 토출관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토출관은 하나의 도킹부에 의해 함께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portion of the inflow pipe that lies outside the liquid reservoir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inflow pipes,
Wherein a portion of the discharge tube which lies outside the liquid reservoir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discharge tubes,
The first and second inlet pipes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are detachably connected together by one docking unit
Air purifier.
제16항에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1 유입관과 상기 제1 토출관이 구비되며 내부에 제1 유입관에 연통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토출관에 연통되는 제2 유로를 가지는 소켓;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입관과 상기 제2 토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입관과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는 제3 유로와 상기 제2 토출관과 상기 제2 유로에 연통되는 제4 유로를 가지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ocking unit includes:
A socket having the first inlet pipe and the first outlet pipe and having a first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pipe and a second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ipe;
A third flow path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ocket and includes the second inflow pip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flow pipe and the first flow path, And a fourth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ir purifier.
삭제delete 제16항에서,
상기 유입관의 중심부가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관은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단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는 유입관은 상기 파티션이 착탈될 때 함께 착탈되는
공기 정화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flow pipe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end of the liquid reservoir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flow pipe is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An inlet pipe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is detached and attached together when the partition is detached.
Air purifier.
제19항에서,
상기 액체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는 유입관은 상기 파티션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n inlet pipe located inside the liquid reservoir is provided through the partition
Air purifier.
제14항에서,
상기 공기 유동 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공기가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기 정화용 액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저장조에 진공도를 부여하고,
상기 액체 저장조는,
상기 진공도가 유지되도록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파티션이 착탈될 때 상기 액체 저장조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밀폐 리드가 더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flow unit includes:
Applying a vacuum degree to the liquid reservoir so that the air of the inflow pipe can pass through the liquid for purification of the liquid reservoir,
The liquid reservoir,
And has a closed structure to maintain the degree of vacuum,
And a sealing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reservoir when the partition is detached
Air purifier.
제1항에서,
상기 유입관에는 실외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외부 연결관이 더 연결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xternal connection pipe for guiding inflow of outdoor air is further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ir purifier.
제22항에서,
상기 유입관과 상기 외부 연결관이 서로 연통되는 부위에 삼방 밸브가 더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And a three-way valve is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inflow pipe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ir purifier.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 창호 몸체; 및
상기 창호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2항, 제14항, 제16항, 제17항,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 정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의 전단은 상기 실외에 접하여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토출관의 후단은 상기 실내에 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시스템 창호.
A window body separating the outside from the inside; And
The air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to 12, 14, 16, 17, 19, 20, and 21,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window body Device,
A front end of the inflow pipe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doors to introduce outdoor air,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oom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into the room
System window.
제24항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창호 몸체에 세로로 길게 장착되는 시스템 창호.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air purifier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window body.
제24항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창호 몸체에 가로로 길게 장착되는 시스템 창호.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air purifier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window body.
KR1020140146133A 2014-10-27 2014-10-27 Air purifying apparatus KR101641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33A KR101641895B1 (en) 2014-10-27 2014-10-27 Air purif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33A KR101641895B1 (en) 2014-10-27 2014-10-27 Air purif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89A KR20160049589A (en) 2016-05-10
KR101641895B1 true KR101641895B1 (en) 2016-08-16

Family

ID=5602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33A KR101641895B1 (en) 2014-10-27 2014-10-27 Air purif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95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030A (en) * 1995-04-20 1996-11-05 Osawa:Kk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ust
KR100628522B1 (en)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Industrial air cliner
KR20080056792A (en) * 2006-12-19 2008-06-24 디와이 주식회사 Airconditioning system
KR20100013488A (en) * 2008-07-31 2010-02-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Air washer
KR101131614B1 (en) 2010-02-26 2012-03-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 window type indoor air purifier using photosynthetic org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89A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819Y1 (en) wall-greening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0908464B1 (en) Air cleaner
TW200927268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humidifying air
KR101649974B1 (en) Condensed water storage tank apparatus for auto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596856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and system window including the same
KR20070057486A (en) A wet air cleaner
KR101564914B1 (en) air conditioner
CN108291737A (en) The module and correlation technique of ventilation and biological cleaning environment inner air and outer air
JP2016538527A (en) Air conditioner
KR101483237B1 (en) Air cleaning device
KR101986795B1 (en) a eco-friendly ecotarium
KR101594742B1 (en) CO2 Capture Module System For Cattle Shed And CO2 Supply System
KR101641895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10760256B2 (en) Air treatment device
KR101170599B1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humidifying
KR102328815B1 (en) 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KR200447349Y1 (en) Air cleaner
KR101957703B1 (en) Gas filtering apparatus
KR20160111720A (en) Multi-purpose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a dual filter structure
KR20190007772A (en) Air purifier
KR101580920B1 (en) Water Supply System for Evaporative Cooling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19033707A1 (en) Vertic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KR101266959B1 (en) Sea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102572207B1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apable of forming a variable flow path inside
KR20160108852A (en) Air purifying apparatus with parallel connection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