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66B1 -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 Google Patents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66B1
KR101641866B1 KR1020150001055A KR20150001055A KR101641866B1 KR 101641866 B1 KR101641866 B1 KR 101641866B1 KR 1020150001055 A KR1020150001055 A KR 1020150001055A KR 20150001055 A KR20150001055 A KR 20150001055A KR 101641866 B1 KR101641866 B1 KR 10164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loor
support neck
hot water
conn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4621A (en
Inventor
왕병윤
Original Assignee
왕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병윤 filed Critical 왕병윤
Priority to KR102015000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66B1/en
Publication of KR2016008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관한 것으로,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 온수배관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 바닥 충진재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 받침목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 연결 지지목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 연결 지지목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 및 연결 지지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과 석판의 상부를 마감하되 석판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floor of a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The floor of the hot water pipe is fixed by mortar, and the floor of the slab is connected to the floor of the hot water pipe. So that the heating maintenance effect can be maximize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for this purpose comprises a hot water pip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to perform heating; A floor filler filled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t a lower height than the hot water pipe to fix the hot water pipe through hardening; A suppor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A connection support neck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supported, and coupling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connec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rotrusion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so as to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nd to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A slab to form a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slab and the surface; A compartment neck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ng support neck and divides the arrangement of the slabs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sideways joi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to close the connecting support neck and the top of the slab, wherein a floor is formed between the top of the slab and an air layer for maintaining the heating and noise dispersion .

Description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본 발명은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충격소음의 저감효과가 있도록 한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floor covering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per part of a hot water pipe fixed by a mortar, Layer structure to maximize the heating effect as well as to reduce impact noise.

일반적으로, 원목마루는 강화마루나 합판마루의 상대적인 개념인데 강화마루는 상부의 라미네이트층과 중간의 바탕재층 및 밑바닥에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하층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라미네이트 마루 또는 복합재 마루라고도 한다.Generally, a wood floor is a relative concept of a reinforced floor or a laminate floor, which consists of an upper laminate layer, a middle ground layer and a lower layer to block moisture from the bottom. Such a structure is also referred to as laminate flooring or composite flooring.

전술한 바와 같은 강화마루는 목재에서 섬유질을 분리 채취하여 방수수지를 첨가한 뒤 고온 고압으로 압축 성형한 HDF(High-density fiberboard)를 바탕재로 하고, 표면은 HPL(high-pressure laminate) 또는 LPL(law-pressure laminate)로 강화 처리한 제품이다. 표면을 라미네이팅 코팅 처리하여 내마모도·내구성·내오염성이 강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한 것이 특징이다.The above-mentioned reinforced floor is made of HDF (High-density fiberboard), which is obtained by separating fiber from wood, adding waterproof resin and compression-mold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surface is made of high- pressure laminate (HPL) (law-pressure laminate). The surface is treated with laminating coating, and it is characterized by strong abrasion resistance, durability, stain resistance and easy maintenanc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강화마루는 박판상(薄板狀)이지만 표면이 강화되고 복합재 구조로 되어 있어 현가식 시공법이 사용된다. 현가식 시공법은 마루와 마루 사이의 홈에 접착제를 칠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차음성(遮音性)과 보행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d floor as described above is thin-plate-shaped, but its surface is reinforced and has a composite structure, so that a string type construction method is used. The pre-crockery construction method has a merit of simple construction, short construction period, good sound insulation and good walkability by bonding glue between grooves between floor and floor.

그리고, 전술한 강화마루는 모양지(decorative paper)의 종류에 따라 색상이나 디자인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다. 그러나, 모양지의 한계와 표면의 멜라닌 라미네이팅 등으로 목재의 질감이 원목마루나 합판마루에 견주어 다소 떨어진다 할 수 있다.And, the above-mentioned reinforced floor can be variously decor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decorative paper.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texture of the wood i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wooden floor or the laminate floo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hape and melanin lining of the surface.

반면, 합판마루는 합판을 바탕재로 사용하여 표면에 무늬목을 입힌 것으로, 표면에 무늬목을 입힘으로써 질감이 자연스럽고 수분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적으나, 원목마루처럼 표면이 강하지 못해 긁힘이나 오염 및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나 퇴색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plywood flooring is made of plywood as a base material and it is covered with vignetting. It is natural to have texture by coating veneer on the surface, and it is less deformed by moisture or heat but it is not strong like wood floor, There arises a problem such as discoloration or discoloration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전술한 합판마루에는 바탕재로 사용한 합판의 두께가 10㎜ 이하로, 온돌용으로 사용하는 박판상(薄板狀) 마루와 두께가 10㎜ 이상이라 상업용 및 비온돌용으로 사용되는 후판상(厚板狀) 마루가 있다. 박판상 마루는 하지(下地, subfloor)에 직접 접착제를 바르고 붙여야 하는데 반해 후판상 마루는 凹부의 홈에만 접착제를 바르는 현가식 시공이 가능하다.The above-mentioned laminate flooring has a thickness of 10 mm or less and a thin plate-like floor used for the ondol, and a thick plate-like plate used for commercial and non-ondol ) There is a floor. Though the laminate floor must be applied with adhesive directly to the foundation (subfloor), the plate floor can be applied to the floor of the concave portion by applying glue to the groove.

또한, 전술한 합판마루는 표면에 무늬목을 입힘으로써 질감이 자연스럽고 수분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원목마루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열전도도도 좋은 편이지만, 원목마루처럼 표면이 강하지 못해 긁힘이나 오염 및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나 퇴색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 들어 특수 코팅재 및 접착제가 개발되면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aminate flooring is characterized by having natural texture and less deformation due to moisture or heat by covering the surface with vignetting. Compared to wood flooring, it is easy to construct and has good thermal conductivity. However, its surface is not strong like wood flooring, an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scratches, discoloration due to contamination and ultraviolet rays, and fading are problems. However, recently, such problems have been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ating materials and adhesive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원목마루는 외관이 고급스럽긴 하나 재료 특성상 습기에 의해 모양이 변형되거나 난방 방식에 따라 시공법에 제한이 뒤따른다. 합판마루는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합판 위에 접착제로 원목 무늬목을 붙인 다음 냉압과 고열 처리한 합판을 직각으로 붙이고 특수 코팅으로 표면의 강도를 높여 긁힘과 변색 등을 최소한으로 줄였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wooden floors have a high appearance but their shape is deformed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method is limited according to the heating method. The plywood floor is a complement to this problem. It is made by sticking wood veneer with glue on plywood, then attaching cold pressure and high heat treated plywood at right angles and special coating to increase the strength of surface to minimize scratches and discoloration.

그러나, 원목마루는 천연의 원목을 그대로 마루판으로 가공한 것으로, 모양에 따라 쪽마루판과 널마루판으로 나뉜다. 너비 18∼68㎜에 두께 8∼25㎜의 원목마루를 쪽마루판이라 하고, 너비 75∼175㎜에 두께 8∼22㎜의 판자형 마루를 널마루판이라 한다. 쪽마루판에 비해 널마루판이 목재의 질감이나 문양 상태가 좀더 우수하다. 바닥난방이 어려워 가정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충격 흡수성이 좋아 교실 등에 바닥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의 대표적인 재료로는 단풍나무나 자작나무가 있다.However, the wooden flooring is a natural flooring made of natural wood, which is divided into a floorboard and a floorboard depending on the shape. A wooden floor with a width of 18 to 68 mm and a thickness of 8 to 25 mm is referred to as a side floorboard, and a floorboard having a width of 75 to 175 mm and a thickness of 8 to 22 mm is referred to as a floorboard. Compared to the side floorboard, the wooden floor has better texture and pattern of wood. It is not suitable for home use because floor heating is difficult. Representative materials of this are maple or birch.

전술한 널마루판은 원목을 그대로 이용해 질감이 우수하므로 최고급의 바닥재로 인식되고 있다. 재료로는 단풍나무·자작나무·물푸레나무 등의 활엽수가 주로 사용되는데, 수종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다. 또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여 스포츠센터나 교실 등에 바닥재로 많이 쓰인다. 촉감이 좋고 모양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인체에 해가 없다.The above-mentioned floorboards are recognized as finest flooring materials because they have good texture using the raw wood. Hardwoods such as maple, birch, and ash tree are mainly used as materials, but there are price differences depending on species. Also, it has excellent impact absorbability and is widely used as a floor material in sports centers and classrooms. It is not only harmful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good in texture and beautiful shape but also uses the raw wood.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원목마루는 강화마루나 합판마루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단점으로는 열을 받으면 뒤틀려서 시공한 대로의 원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원목마루를 난방이 이루어지는 바닥에 사용하기 위해서 원목마루에 뒤틀림방지홈을 낸다거나 뒤틀림을 흡수하는 요홈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지만, 뒤틀림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wooden floor has various advantages compared to the reinforced floor or plywood floor,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 not be used in the place where the floor heating is performed because it can not maintain the original shape as it is twisted when it receives heat. In spite of this problem,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use the wooden floor on the floor where the heating is performed, such as forming a groove for preventing warpage on the wooden floor or forming a groove for absorbing the warp.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원목마루는 슬래브 상부면 상에 몰탈을 통해 고정되어 시공된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난방에 있어 쉽게 가열은 되지만 가열된 온도를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효율이 극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oden fl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through the mortar, it can be easily heated in heating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heated temperature for a long time .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extremely low.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목마루는 상부면에 수직충격이 발생시 수직충격음은 원목을 통해 슬래브나 측벽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 할 수 있어 층간소음 심각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주민 상호간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야기되기도 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vertical impact is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oden flo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impact noise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slab or the side wall directly through the wooden floor.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disputes between residents are caused by interlayer noise.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439호(2012.08.17.자 공고)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76439 (published on Aug. 17, 2012)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4288호(2010.11.08.자 공고)2.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94288 (issued on November 11, 2010)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8527호(2006.11.15.자 공고)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48527 (issued on November 15, 2006)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064호(2006.02.01.자 공고)4.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8064 (Registered on Feb. 1, 2006)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water pipeline which is fixed by a mortar and which is constructed by joining a slab through a connection neck, So as to maximize the heating maintenance effe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en floor of a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직충격에 따른 소음을 분산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through the connecting neck to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pipe fixed by the mortar and the floor of the slab are combined and the air layer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double structures is formed, So that the interlayer noise can be reduc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는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 온수배관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 바닥 충진재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 받침목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 연결 지지목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 연결 지지목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 및 연결 지지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과 석판의 상부를 마감하되 석판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en floors of the structure using the stone and the logs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to heat the hot water pipe; A floor filler filled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t a lower height than the hot water pipe to fix the hot water pipe through hardening; A suppor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A connection support neck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supported, and coupling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connec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rotrusion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so as to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nd to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A slab to form a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slab and the surface; A compartment neck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ng support neck and divides the arrangement of the slabs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sideways joi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to close the connecting support neck and the top of the slab, wherein a floor is formed between the top of the slab and an air layer for maintaining the heating and noise dispersion .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석판의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연결홈은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의 상하 두께나 측방향 길이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 난방시 열응력에 의해 연결 지지목의 튀틀림 발생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뒤틀림의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lab at a certain depth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vertical thickness and the lateral length of the connection protrusion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So that the distortion can be cancel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루목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결합시 요철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urther,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has a structure in whic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coupled while being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받침목은 구획목과 연결 지지목 끝단 및 석판 모서리의 결합된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neck, the end of the connecting support neck, and the lower part of the slab edg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온수배관을 대신 탄소섬유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 설치하여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the hot water pipe, the carbon fiber heating wire or the surface heating element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so that heating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루목 대신 다다미가 설치될 수 있다.Also,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atami mat may be provided instead of a floor ma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루목의 하부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횡방향으로 분산시켜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분산홈이 더 구성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dispersing groove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so as to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mpact noise due to the vertical impact is disper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e reduced.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유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According to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ing maintenance effect by forming the air layer on the top of the hot water pipe fixed by the mortar, The effect is express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몰탈에 의해 고정된 온수배관 상부로 연결목을 통한 석판의 시공과 석판 상부로 마루목을 결합 시공하되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직충격에 따른 소음을 분산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켜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간을 분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through the connecting neck to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pipe fixed by the mortar and the floor of the slab are combined and the air layer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double structures is formed, So that the interlayer noise can be reduced to minimize the dispute between the adjacent layers due to the interlayer nois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석판과 결합목의 결합을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마루목 대신 다다미의 시공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탄소섬유열선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면상발열체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solid wood flooring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olid wood floor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olid wood floor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hot water piping of a wooden floor construction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lab and a joining neck of a wood flooring construction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hot water piping of a wooden floor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tatami floor instead of a floor in a wooden floor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carbon fiber heating wire in place of a hot water pipe in a wood flooring construction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n place of the hot water piping in the wood flooring structure of the structure using the stone and the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 상태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석판과 결합목의 결합을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의 온수배관 시공을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olid wood floor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id wood floor construction of a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olid wood floor using the stone and the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ot water piping of the solid wood floor construction using the stone and the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lab and a joining neck of a wood flooring construction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od flooring construction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hot water piping.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100)는 층간 슬래브(10)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110), 온수배관(110)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10)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110)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120),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130), 받침목(130)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142)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140),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대응하는 연결홈(152)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140)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110)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150),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150)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160) 및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를 마감하되 석판(150)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104)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17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6, a wooden floor 100 having a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t water pipe 110, a hot water pipe 110, and a hot water pipe 110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10, A floor filling material 120 filling the flat surface of the slab 10 at a lower height than the slab 10 so as to fix the hot water pipe 110 through curing; A connection support neck 140 having a connection protrusion 14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30, A connection groove 152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so as to be later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120 A slab 150 for forming the heating air layer 102 and a partitioning wall 160 for vertically arranging the slabs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artitioning the slabs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140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lab 150 so as to maintain an air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a floor 170 to form the floor panel 104.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100) 시공은 먼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의 상부면 상에 온수배관(11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한다. 이때, 온수배관(110)은 동관이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hot water piping 110 is formed in a zigzag for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10, as shown in FIG. 4, . At this time, the hot water pipe 110 may be formed of a copper pipe or a metal pipe made of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pipe.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의 상부면 상에 온수배관(11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한 다음에는 황토, 모래, 쇄석 및 시멘트로 이루어진 바닥 충진재(또는 몰탈 : 120)를 슬래브(10) 상부면에 충진하여 균일하게 펼친 후 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닥 충진재(120)의 높이는 온수배관(110) 높이의 1/4∼3/4 범위로 충진하여 양생을 통해 온수배관(110)이 고정되도록 한다.Next, after the hot water piping 110 is arranged in a staggered for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10 as described above, a floor filler (or mortar 120) made of loess, sand, crushed stone and cement is slab 10) Fill on the top surface and spread uniformly so that curing can be done.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bottom filling material 120 is filled in the range of 1/4 to 3/4 of the height of the hot water pipe 110, so that the hot water pipe 110 is fixed through curing.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충진재(120)를 슬래브(10) 상부면에 충진하여 양생을 통해 온수배관(110)을 고정시킨 다음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을 통해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받침목(130)을 설치한다. 이때, 받침목(130)은 시공되는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 위치를 감안하여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filler 120 is fi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to fix the hot water pipe 110 through curing. Then,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filler 120 hardened through curing And the pedestal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the support 130 is installed consider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edge position of the slab 150.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양생을 통해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받침목(13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끝단이 받침목(130)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연결 지지목(140)을 위치시켜 양측으로 석판(150)을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결합은 석판(15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홈(152)에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가 삽입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S. 5 and 6, after the support 13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iller 120 cured through curing as described above, 130, and the slabs 150 are laterally connected to both side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llowing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5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ab 150, (140) and the slab (1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구성에서 석판(150)의 상하 두께는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 부분은 받침목(130)의 상부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하부면은 동일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는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된다.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of the slab 150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corner of the slab 150 ar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30,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150 are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While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lab 1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목(130)을 통해 연결 지지목(140)을 설치하여 온수배관(110) 상부측으로 연결 지지목(140)에 석판(150)을 결합 연결하게 되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경화된 상태의 바닥 충진재(120)는 온수배관(110)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되기 때문에 석판(150)의 하부면과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과의 사이에는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된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support neck 140 is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130 to connect the slab 150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110,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air layer 102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ardened floor filler 120 because the floor filler 120 in the state of being formed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hot water pipe 110 do.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공기층(102)의 공기는 온수배관(110)의 가열온도에 의해가열되어 정체된 상태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난방의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마루목(170) 상부로 가해진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이 연결 지지목(140)이나 석판(150)을 통해 전달되면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슬래브(10)로 전달되는 충격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The air of the heating air layer 102 as described above is heated by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pipe 110 and is maintained in a stagnated stat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eating. In addition, When impact noise due to an impac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or the slab 150, the impact noise is dispersed in four directions to reduce impact noise transmitted to the slab 10, thereby reducing interlayer nois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시공 과정은 일측의 벽체측으로부터 타측 벽체 방향으로 시공하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joining process for coupl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is performed from one side of the wall to the other side of the wall.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연결하여 받침목(130)을 통해 온수배관(110) 상부로 지지되도록 한 다음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하부측에 구획목(16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구획목(160)의 상하 두께 역시 연결 지지목(140)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supported on the hot water pipe 110 through the support 130. The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artition neck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partition neck 160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전술한 바와 같은 구획목(160) 역시 슬래브(10)의 아래쪽에 1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이 이루어지면 상부측으로 구획목(160)을 설치하여 구획목(160)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2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배열과 구획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 partitioning wall 16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wall 160 at the upper side of the slabs 10 when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s 150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ab 10, So that the two rows of connection support necks 14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labs 150 can be separated from the arrangement.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하부측에 구획목(16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루목(170)을 시공한다. 이때, 마루목(170)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 : 172, 174)이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artition neck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loorboard 170 is install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At this time, mutually correspond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72 and 174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loor 170,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successively jo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상부측으로 시공되는 마루목(170)은 연속 결합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요철(凹凸 : 172, 174)을 통해 타카로 연결 지지목(140)에 고정시키면서 차례로 마루목(170)을 연결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oor wood 170,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fixed to the to-be-connected support neck 140 through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72 and 174 which are invisible by the continuous connection, So that the floor 170 is connec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마루목(170)의 요철(凹凸 : 172, 174)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하여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면을 마감하게 되면 석판(150)이 연결 지지목(140)의 높이에 비해 낮기 때문에 마루목(170)의 하부면은 연결 지지목(140)과 구획목(160)의 상부면에만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마루목(170) 하부면과 석판(150) 상부면 사이에는 에어층(104)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50 are closed by being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concavo-convexes 172 and 174 of the floor 17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170 is held in contact with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partition neck 160. Accordingly, an air layer 104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1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50.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층(104)은 마루목(170) 상면에 수직충격에 가해지는 경우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측으로의 충격소음 전달량이 저감되도록 한다. 이때, 에어층(104)은 충격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과 함께 가열공기를 에어층(104) 상에 정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온도를 유지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air layer 104 as described above disperses impact noise due to vertical impact in four directions when a vertical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170, thereby reducing the nois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mpact noise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 At this time, the air layer 104 functions to reduce the impact noise and stays the heated air on the air layer 104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목(170)으로는 편백나무나 낙엽송 또는 소나무와 같은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청정 효과나 살균효과 및 탈취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floor 170 as described above, a logwood in which a large amount of phytoncide such as unplasticized tree, larch, or pine tree is emitted is use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logwood in which a large amount of phytoncide is emitte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air cleaning effect, sterilization effect, and deodorizing effect in a room.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온수배관(110)은 온수를 통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배관(110)은 도 1 내지 도 4,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슬래브(10) 상부면 상에 지그재그로 형태로 배열되어 온수의 유동을 통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wood floor 100 of the structure using the stone and the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hot water pipe 11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eated by hot water. Such a hot water pipe 11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ayer slab 10 as shown in FIGS. 1 to 4 and 6 And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on the surface so that heat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low of hot water.

전술한 바와 같은 온수배관(110)은 동관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배관(110)을 유동하는 온수 대신 가열효과가 더 우수한 열매체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hot water pipe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pipe such as a copper pipe or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pipe. Instead of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pipe 110, a heat medium oil having a better heating effect may be us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닥 충진재(120)는 온수배관(110)의 시공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바닥 충진재(1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 보다 낮은 높이로 슬래브(10)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110)을 고정시키게 된다.3, the bottom filling material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ix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t water pipe 110. The bottom filling material 120 has a lower height than the hot water pipe 110 So that the hot water pipe 110 is fixed through the curing process.

전술한 바와 같은 바닥 충진재(120)는 황토와 모래 및 시멘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 조성한 몰탈을 말하는 것으로, 슬래브(10) 상에 일정량 충진하여 미장도구를 통해 펼쳐 표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닥 충진재(12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의 1/4∼3/4 높이로 충진하여 경화를 시킴으로써 온수배관(110)의 배열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loor filling material 120 as described above refers to a mortar that is formed by mixing yellow clay, sand and cement at a certain ratio. The mortar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n the slab 10 and spreads through a plaster tool to make the surface flat.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filler material 120 is filled at a height of 1/4 to 3/4 of the hot water pipe 110 and cured to fix the arrangement of the hot water pipe 110.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목(130)은 후술하는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받침목(130)은 도 1 내지 도 4,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을 통해 경화된 바닥 충진재(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된다.The supporting membe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upporting a longitudinal end of a connecting support neck 140 and an edge of the slab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And is appli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iller 120 cured through curing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목(130)은 시공되는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과 석판(150)의 모서리 위치를 감안하여 설치된다. 이때, 받침목(130)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시 그 위치를 변경하면서 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받침목(130)은 고정시키지 않는다. 받침목(130)의 고정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 위치를 바로 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13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consider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edge position of the slab 150. At this time, the support 130 is not fixed because the support 130 needs to be installed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during construction. The fixing of the support 130 may be fixed through the adhesiv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are in the right posi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목(130)은 구획목(160)과 상하의 연결 지지목(140) 끝단 및 석판(150)의 모서리를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support 130 simultaneously supports the edge of the partition 150,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rackets 140, and the edge of the slab 150.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 지지목(140)은 측방향으로 석판(150)을 연결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결 지지목(14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130)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14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the slab 15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support 130 (as shown in FIGS. 1 to 6)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t both ends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connection protrusion 142 i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지지목(140)으로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나 낙엽송 또는 소나무와 같은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하였다. 이때, 연결지지목(140)의 길이는 후술하는 석판(15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phytoncide such as cottonwood, larch, or pine tree is diverge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the same length as the slab 150 described la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지지목(140)은 상시 최외곽에서 석판(150)과 연결되기 때문에 석판(150)의 개수에 비해 항상 한 개가 많게 구성된다. 즉, 두 개의 연결 지지목(140) 사이에 하나의 석판(150)이 연결된다 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always connected to the slab 150 at the outermost periphery, the number of slabs 150 is alway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slabs 150. That is, one slab 15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two connection support members 140.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지지목(140) 중 최외각에 위치되는 연결 지지목(140)의 외곽에 형성된 연결돌기(142)는 제거된 상태로 벽체와 접촉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s 14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wall in a removed state.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석판(150)은 온수배관(110)을 통해 가열되어 온돌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석판(150)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대응하는 연결홈(152)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140)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온수배관(110)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되도록 한다.Next, the slab 15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through the hot water pipe 110 to function as an ondol, and this slab 150 is formed as shown in FIGS. 1 to 3, 5, and 6 A connection groove 152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110 so that the heated air layer 10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120. [

전술한 바와 같은 석판(150)의 상하 두께는 연결 지지목(140)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을 결합하여 받침목(130) 상에 지지되도록 하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 하부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지만 상부는 석판(150)에 비해 연결 지지목(140)의 상부측에 높게 구성된다.Since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slab 150 is smaller tha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lab 150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but the upper portion is higher than the slab 150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석판(150)의 연결홈(152)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비해 상하 높이나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처럼 석판(150)의 연결홈(152)을 연결 지지목(140)의 연결돌기(142)에 비해 상하 높이나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난방시 열응력에 의해 연결 지지목(140)의 튀틀림 발생시 연결돌기(142)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결 지지목(140)의 뒤틀림아 상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4, the connection groove 152 of the slab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have a larger height and a larger width than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s shown in FIG. The reason why the connection groove 152 of the slab 150 is formed to have a larger height or a larger width than the connection protrusions 142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is that the heat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So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can be made to flow so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142 can be offset by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의 상부측으로 석판(150)을 시공하게 되면 석판(150) 하부면과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 사이에는 뜬구조의 가열공기층(1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열공기층(102)은 가열공기의 정체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열온도를 장시간 유지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When the slab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110 as described above, a heated air layer 102 having a floating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iller 120, The heating air layer 102 stagnates the heated air, thereby maintaining the heating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석판(150) 하부면과 바닥 충진재(120) 상부면 사이에는 뜬구조의 가열공기층(102)은 가열공기의 유지를 통한 난방유지는 물론, 수직충격이 발생시 전달된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air layer 102 having a floating structur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iller 120 maintains heating through the maintenance of heated air, So as to reduce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and to reduce the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획목(160)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하의 열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획목(160)은 도 1, 조 2,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석판(150)의 배열을 구획시킨다.The partitioning wall 16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artitioning the upper and lower rows constituted by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The partitioning wall 160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rows as shown in Figs. 1, 2, 5, As shown in FIG. 6,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to divide the arrangement of the slabs 150 up and down.

전술한 바와 같은 구획목(160)의 상하 두께 역시 연결 지지목(140)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구획목(160)은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하 열의 개수에 비해 하나가 더 구성된다. 즉, 상하의 최외관은 구획목(160)에 의해 벽체와 접촉되어진다.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of the partition 160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The partition member 16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configured to have one more number than the number of the upper and lower rows formed by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slab 150. That is, the uppermost and lowermost outer tub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ll by the partitioning neck 16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획목(160)은 슬래브(10)의 아래쪽 벽체에 접촉되도록 받침목(130)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위쪽으로 1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시공이 이루어지면 상부측으로 구획목(160)을 설치하여 구획목(160)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2열의 연결게 되고, 1열의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 위쪽으로 구획목(160)이 시공되는 배열로 구성된다.The partition member 16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frame 13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wall of the slab 10 so that the connection supporting member 140 and the slab 150 are formed And the partitioning table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ing wall 160 and the partitioning wall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ab 150 .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마루목(170)은 마루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루목(17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 지지목(140)과 석판(150)의 상부를 마감하게 된다.Next, the floor 17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loor, and the floor 170 i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ng support neck 140 as shown in FIGS. 1 to 3 And a plurality of members are coupled laterally to close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lab 15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목(140)의 상부측으로 직교되도록 마루목(170)을 시공하게 되면 석판(150)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104)이 형성된다. 이는 석판(150)에 비해 연결 지지목(140)이 높기 때문에 석판(150) 상부면과 마루목(170 하부면 사이에는 에어층(104)이 형성된다.When the floor 170 is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s described above, an air layer 10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the floor for maintaining the heating and dispersing noise. do. Since the connecting support neck 140 is higher than the slab 150, an air layer 10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170.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층(104)은 마루목(170) 상부로 수직충격에 발생되는 경우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소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열공기를 에어층(104) 상에 정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온도를 유지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air layer 104 as described above disperses the impact noise due to the vertical impac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 170 when the vertical impact is generated, thereby reducing the noise, (104) so that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the heating temperatur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목(170)으로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나 낙엽송 또는 소나무와 같은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발산되는 원목을 사용하였다. 이때, 마루목(170)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 : 172, 17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결합시 요철(172, 174)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wood 170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phytoncide such as cottonwood, larch, or pine tree diverges. At this tim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72 and 174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72 and 17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h sides of the floor wood 170,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72 and 174 are coupled while being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마루목(170)의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횡방향으로 분산시켜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분산홈(176)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분산홈(176)은 마루목(170)에 수직충격이 발생시 충격소음을 길이방향의 횡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충격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The noise suppression groove 176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170 as described above so as to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mpact noise due to vertical impact is disper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e reduced. This noise dispersing groove 176 reduces the initial impact noise by allowing the impact noise to be disper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ertical impact is generated in the floor 170.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마루목 대신 다다미의 시공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tatami floor instead of a floor structure in a wooden floor construction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예의 마루목(170) 대신 다다미(180)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mattress 180 may be installed in place of the floor 170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1 to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탄소섬유열선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시공구조에서 온수배관 대신 면상발열체의 시공구조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이다.FIG.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carbon fiber heating wire in place of a hot water pipe in a wood flooring structure of a structure using a stone and a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s shown instead of the hot water pipe.

아울러, 도 8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예의 온수배관(110) 대신 탄소섬유열선(190)이나 도 9 에서와 같이 면상발열체(192)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 에서와 같이 온수배관(110)이 설치될 배열 설치될 위치인 층간 슬래브(10) 상에 온수배관(110)을 대체하여 전기를 통해 발열하는 탄소섬유발열체(190)를 배열 설치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110)이 설치될 배열 설치될 위치인 층간 슬래브(10) 상에 온수배관(110)을 대체하여 전기를 통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192)를 배열 설치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8, the carbon fiber heating wire 190 may be used instead of the hot water pipe 110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1 to 6, or the planar heating element 192 may be used as shown in FIG.
8, the hot water pipe 110 is replaced with a carbon fiber heating body 190, which is heated by electricity, on the interlayer slab 10 where the hot water pipe 110 i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heating can be performed.
9, a planar heating element 192 is disposed in place of the hot water piping 110 on the interlayer slab 10 where the hot water piping 110 is to be installed, So that heating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바닥 충진재(120)를 통해 슬래브(10) 상부측에 고정된 온수배관(110) 상부로 연결 지지목(140)을 통한 석판(150)의 시공과 석판(150) 상부로 마루목(170)을 결합 시공하여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공기층(102, 104)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층(102, 104)의 가열공기를 통해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기층(102, 104)을 통해 수직충격에 따른 소음을 분산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pipe 110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ab 10 through the bottom filler 120 is connected to the slab 150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air layers 102 and 104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air layers 102 and 104 having the upper and lower double layers by joining and joining the floor 17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s 102 and 104, The noise due to the vertical impact can be dispersed and reduced through the heat sinks 102 and 104, and the interlayer nois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바닥 충진재(120)를 통해 슬래브(10) 상부측에 고정된 온수배관(110) 상부로 연결 지지목(140)을 통한 석판(150)의 시공과 석판(150) 상부로 마루목(170)을 결합 시공하여 상하 이중으로 뜬구조의 구들장 구조로 시공함으로써 석판(150)의 가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효과와 원목의 피톤치드 발산 효과를 통해 새집증후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50 through the connection support neck 140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lab 150 on the hot water pipe 110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ab 10 through the floor filler 120. [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ick house syndrome from being generated through the effect of the far-infrared ray radiation by heating the slab 150 and the radiating effect of the phytoncide of the wood is achieved by constructing the floor structure 170 with the floor structure hav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슬래브 100. 원목마루
110, 온수배관 120. 바닥 충진재
130. 받침목 140. 연결 지지목
142. 연결돌기 150. 석판
152. 연결홈 160. 구획목
170. 마루목 180. 다다미
190. 탄소섬유열선 192. 면상발열체
10. Slab 100. Wood Flooring
110, hot water piping 120. Floor filler
130. Shaft 140. Connecting support neck
142. Connecting protrusions 150. Slabs
152. Connection groove 160. Compartment neck
170. Floor 180. Tatami
190. Carbon fiber heating wire 192. Planar heating element

Claims (7)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온수배관;
상기 온수배관 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슬래브 상부면 상에 평평하게 충진되어 경화를 통해 온수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 충진재;
상기 바닥 충진재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시공되는 받침목;
상기 받침목의 상부면 상에 길이방향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연결 지지목;
상기 연결 지지목의 상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로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연결 지지목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온수배관의 상부측으로 시공되어 상기 바닥 충진재 상부면과의 사이에 가열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석판;
상기 연결 지지목의 길이방향 끝단에 수직하게 시공되어 상하로 상기 석판의 배열을 구획시키는 구획목; 및
상기 연결 지지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 지지목과 석판의 상부를 마감하되 상기 석판 상부면과의 사이에 난방유지와 소음분산을 위한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루목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A hot water piping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to perform heating;
A bottom filler filled in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t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hot water pipe to fix the hot water pipe through curing;
A pedesta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er at regular intervals;
A connecting support neck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t regular intervals such th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supported and having coupl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connection groove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so as to be smaller in thickness tha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 slab for forming a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ing material and the slab;
A partition neck vertically installed at a longitudinal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to divide the arrangement of the slabs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side walls are coupled lateral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support neck to close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nd the upper side of the slab so as to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slab, The wooden floor of the structure using the stone and the wood made up the constitution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의 양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연결홈은 상기 연결 지지목의 연결돌기의 상하 두께나 측방향 길이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 난방시 열응력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목의 튀틀림 발생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뒤틀림의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ab are formed to have a larger depth tha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and lateral lengths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of the connecting support neck, So that the distortion can be canceled by allowing the flow to occur when the tumbling occurs, and the wooden floor of the structure using the st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목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凹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결합시 상기 요철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Th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or is form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Wood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목은 상기 구획목과 상하의 상기 연결 지지목 끝단 및 상기 석판 모서리의 결합된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2] The wood flo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upport supports the partition neck,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on support neck, and the coupled lower portion of the slab e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관을 대신 탄소섬유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상기 층간 슬래브 상부면에 배열 설치하여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The flo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heating water can be heated by arranging a carbon fiber heating wire or a surface heating ele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slab instead of the hot water pip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목 대신 다다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6. The solid wood floor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mat is provided instead of the fl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목의 하부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수직충격에 따른 충격소음을 횡방향으로 분산시켜 저감되도록 하는 소음분산홈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The sound insulation panel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oise dispers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mpact noise generated by the vertical impact is disper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e reduced. Wooden floor of the structure used.
KR1020150001055A 2015-01-06 2015-01-06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KR101641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55A KR101641866B1 (en) 2015-01-06 2015-01-06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55A KR101641866B1 (en) 2015-01-06 2015-01-06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21A KR20160084621A (en) 2016-07-14
KR101641866B1 true KR101641866B1 (en) 2016-07-22

Family

ID=564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55A KR101641866B1 (en) 2015-01-06 2015-01-06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99B1 (en) 2023-07-06 2024-04-09 (주)케이오에스 Floor Plate Fixed Heating Base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504A (en) * 1993-12-15 1995-07-24 임학수 Howled construction prefabricated hot water ondol
KR100649485B1 (en) * 2004-11-26 2006-11-28 대창기업 주식회사 A Korean floor heater panel for the dry heating that construction is convenient at the same time that a heat transmission improves
KR200408064Y1 (en) 2005-11-08 2006-02-07 김기원 The execution method and wood floor to easy impact
KR100648527B1 (en) 2005-11-08 2006-11-27 김기원 The execution method and wood floor to easy impact
KR100991196B1 (en) * 2008-04-07 2010-11-01 서선옥 The heating panel and the method to construct using the same
KR100994288B1 (en) 2009-11-30 2010-11-12 김덕호 Hardwood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76439B1 (en) 2012-01-16 2012-08-30 왕병윤 Construction method of solid wood fl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99B1 (en) 2023-07-06 2024-04-09 (주)케이오에스 Floor Plate Fixed Heating Base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21A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9764A1 (en) Modular heating floor
RU2340742C2 (en) Building panel
KR101641866B1 (en) Wood structure with stone and wood floors
CA2792370A1 (en) Floor heating system with flexible and stretchable anti-fracture membrane
KR101616779B1 (en) Hardwood floors in the interlayer structure Noise Reduction
CN205046806U (en) Warm up section mould piece floor and subassembly thereof
CA2671446A1 (en) Floairs
CN102003058B (en) Low-temperature radiant heating floor
KR10117643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olid wood floor
CN201334762Y (en) Electric heating decorated board
KR100389676B1 (en) Floor panel for ondol
JP2588598Y2 (en) Floor heating flooring
KR20180034820A (en) Noise-floor inter-regenerative structures
KR100658497B1 (en) A mobile ondol
KR100967051B1 (en) Prefabrication floor
KR100756891B1 (en)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using Yellow earth and Material-wood
KR20120007318A (en) Honeycomb floor
KR101801293B1 (en) Flooring for building and making method
CN201144510Y (en) Three-layer wood composite flooring
KR101192515B1 (en) Ray clay reinforcement means of cylindrical typ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200379656Y1 (en) A mobile ondol
KR101002233B1 (en) High efficiency environment-freindly floor using nano method
KR200318884Y1 (en) Prefabricated floor material
KR20060114427A (en) Plate structure of heating and double soundproof effect
KR20100127931A (en) Fabrication type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