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610B1 -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610B1
KR101641610B1 KR1020150039123A KR20150039123A KR101641610B1 KR 101641610 B1 KR101641610 B1 KR 101641610B1 KR 1020150039123 A KR1020150039123 A KR 1020150039123A KR 20150039123 A KR20150039123 A KR 20150039123A KR 101641610 B1 KR101641610 B1 KR 10164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ed
time
notification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행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3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04L51/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에 포함되는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료들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 경우 및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경우 각각에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디바이스와 텍스트 메시지, 사진, 또는 기타 데이터 파일 등의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디바이스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을 의미한다. 디바이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및 삭제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예를 들어,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간에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항상 디바이스를 주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자료가 디바이스로 수신되면 해당 수신 사실을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의 출력이 필요하다. 이 때, 다자간에 활발하게 대화를 나누는 경우나 비슷한 유형의 파일들을 다수 수신 받는 경우에는 해당 자료들의 수신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되는 빈도가 높을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자료들을 수신 받을 때, 해당 자료들이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자료들을 수신 받을 때 해당 자료들의 수신 빈도, 해당 자료들의 종류, 해당 자료들을 송신한 상대방 등을 고려하여, 해당 자료들이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할 횟수를 결정할 수 있는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에 포함되는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료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자료들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 중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수신한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자료들을 수신 받을 때, 해당 자료들이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는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자료들을 수신 받을 때 해당 자료들의 수신 빈도, 해당 자료들의 종류, 해당 자료들을 송신한 상대방 등을 고려하여, 해당 자료들이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할 횟수를 결정할 수 있는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에서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자료 송수신 방법을 통하여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또한,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외부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 간에 송수신할 자료를 저장하는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외부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 중 둘 이상을 위한 연결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에서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에서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 또한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디바이스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하드웨어적 한계, 스프트웨어적 제약, 또는 정책적 제약 등으로 인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제공된 자료를 수신할 수는 있으나 외부 디바이스(200)로 자료를 송신할 수는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료는 텍스트 메시지, 그림, 사진, 동영상, 전자 문서, 또는 전자적 신호 등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기, 전파, 또는 기타 전자적 물질이나 물리량의 차이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 간에 송수신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물리적으로 별개의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일 수 있다. 즉,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a) 및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b)는 서로 다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 취급될 수 있다. 다만,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특정 디바이스에 로그인 되어있는 계정의 동일 여부에 따라서 그 동일 여부가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제1 계정으로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a)에 로그인을 수행한 경우의 제1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a) 및 해당 제1 계정으로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b)에 로그인을 수행한 경우의 제2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b)는 서로 동일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 취급될 수도 있다.
하나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200)는 복수일 수 있다.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제1 외부 디바이스(200a), 제2 외부 디바이스(200b), 및 제3 외부 디바이스(200c)와 통신망(400)을 통하여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가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또는 데스크 탑(desk top) 중 어느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악세서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서로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표시부 상에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나타내는 자료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들 각각도 각각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표시부 상에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나타내는 자료들을 표시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서버를 표시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 간에 송수신되는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자료를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버(300)는 자료를 제공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가 자료를 전달하기 희망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에만 해당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서버(300)는 자료 송수신 서비스 외에도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것처럼 표시되어 있으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서버(300)를 거쳐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전자적 신호로 송신된 자료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서버(300)로 전달이 되고, 그 후 서버(300)에서 통신망(400)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로 해당 자료를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망(40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서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40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를 서버(300)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40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망(400)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 간에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300)를 거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자료 송수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입출력부(112), 메모리(116), 및 프로그램 저장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2)는 표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들 또는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 상에서 기지국, 외부 디바이스(200)들, 또는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무선 신호는, 자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0)는 자료를 외부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112)는 입력부 및 표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키보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우스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마우스를 통한 클릭 입력, 사용자의 키보드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 이러한 입력들을 수신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입력들을 검출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14)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4)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200) 간에 송수신된 자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4)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및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들의 사용자들 간의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고, 해당 대화방에는 송수신된 자료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방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및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들 전부 또는 일부가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자료들을 송수신 받기 위한 가상 공간일 수 있다. 대화방의 존재에 대한 정보는 해당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또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들 각각에 저장될 수도 있고, 서버(3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부(114)는 그 자료를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직접 표시할 수도 있고, 해당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자료가 텍스트 메시지 또는 그림인 경우, 표시부(114)는 해당 텍스트 메시지 또는 그림을 직접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수신한 자료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직접 실행할 수 없는 전자 문서인 경우, 표시부(114)는 해당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114)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표시(flexible display), 3차원 표시(3D display),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표시부(114)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16)는 제어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16)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18)는 외부 디바이스(200) 또는 서버(300)와 자료를 송수신하는 작업 및 해당 작업 수행을 위해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저장부(118)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10), 입출력부(112), 메모리(116),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구성 부분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통신부(110)가 특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부(120)가 제1 구성 부분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구성 부분을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120)가 제1 구성 부분을 통하여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0)는 외부 디바이스(200)들 또는 서버(300)로부터 자료를 수신할 때,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자료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항상 확인하고 있을 수 없으므로, 제어부(120)는 자료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자료 수신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제어부(120)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10), 입출력부(112), 표시부(114), 메모리(116), 프로그램 저장부(118), 제어부(120),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물리적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 디바이스 내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단위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 입출력부(112), 표시부(114), 메모리(116), 프로그램 저장부(118), 제어부(120),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 중 일부 구성 부분들은 다른 일부의 구성 부분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 입출력부(112), 표시부(114), 메모리(116), 프로그램 저장부(118), 제어부(120),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은,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알고리즘적으로 구분되는 논리적 블록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시스템(10)의 서버(300)는 통신부(310), 입출력부(312), 메모리(314), 프로그램 저장부(316), 및 제어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외부 디바이스(200),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자료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서버(300)에 포함되는 입출력부(312), 메모리(314), 프로그램 저장부(316), 및 제어부(318) 각각의 구성 및 동작 방식은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입출력부(112), 메모리(116), 프로그램 저장부(118), 및 제어부(120) 각각에 상응하는 바,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에서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통신망(400)으로부터 자료를 수신한 경우,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제1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료를 수신하고 제1 시간이 경과된 이후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제2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자료를 수신한 시간에서부터 제2 자료를 수신한 시간까지의 간격인 제1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이 미리 결정된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수신한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해당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2 자료를 수신한 시간에서부터의 시간의 경과인 제2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시간의 경과가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및 제2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1회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2회의 자료 수신 동안 1회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제2 자료를 수신한 시간에서부터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새로운 자료가 수신되는 경우, 즉 제2 시간의 경과가 제1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새로운 자료가 수신된 시점에서부터 새롭게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제어부(120)는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시간 이내인 모든 자료들에 대해서 1회의 알림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20)는 일정 시간 이내에 복수의 자료들이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자료들에 대한 알림에 의해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방해 받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또는 기타 인간의 오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정보 전달 방법으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14)에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 자료 수신 알림(132)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 내부에 포함되는 진동 모터, 진동 필름, 또는 기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를 통하여 촉각적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해당 자료들을 모두 수신한 다음에 1회의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은, 수신한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은 횟수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잇는 다양한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가 통신망(400)으로부터 자료를 수신한 경우,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도 3의 예시와 다른 알고리즘을 통하여 자료를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제1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자료를 수신하고 제1 시간 경과 후,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제2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자료를 수신하고 제2 시간 경과 후, 통신부(110)는 제3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연속적으로 수신한 자료들 중 처음으로 수신한 자료를 수신한 시간에 알림을 출력하고, 각각의 연속적으로 수신한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이 미리 결정된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연속적으로 수신한 자료들 중 처음으로 수신한 자료 외의 자료들에 대해서는 알림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처음으로 수신한 자료인 제1 자료를 수신한 시간에 자료 수신 알림(134)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자료를 수신하고 제1 시간이 경과된 이후 통신부(110)가 제2 자료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제1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시간의 간격이 미리 결정된 기준 기간인 제1 기준 기간 미만인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알림의 출력을 생략할 수 있다. 자2 자료를 수신하고 제2 시간이 경과된 이후 통신부(110)가 제3 자료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제2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시간의 간격이 미리 결정된 기준 기간인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자료 수신 알림(136)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하지 않는 시간 간격으로 연속으로 수신한 자료들에 대해서는 1회의 자료 수신 알림만 출력되도록 하여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방해 받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가 연속적으로 자료들을 수신했을 때, 제어부(120)는 제1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의 경과는 제1 기준 기간과 비교하여 알림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자료와 상이한 제2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의 경과는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2 기준 기간과 비교하여 알림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연속적으로 수신한 자료들 중 처음으로 수신한 자료 및 두 번째로 수신한 자료 간의 자료 수신 간격은 제1 기준 기간과 비교하여 알림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 이후에 수신한 자료들 간의 자료 수신 간격은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2 기준 기간과 비교하여 알림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기간은 제2 기준 기간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자료들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알림 출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기간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를 수신한 이후 제1 시간이 경과했을 때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은 제1 기준 기간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으로부터 제1 카테고리와 상이한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를 수신한 이후 제2 시간이 경과했을 때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간은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2 기준 기간일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텍스트 메시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전송될 수 있고,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은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에게는 텍스트 메시지의 중요도가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의 중요도보다 더 높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에게는 텍스트 메시지의 중요도가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의 중요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한 자료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제어부(120)가 상이한 기준으로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게 될 경우,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일상 생활을 방해 받는 정도가 낮게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하면서도, 각각의 사용자 또는 각각의 자료에 적합한 빈도로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개시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알림 출력 방법의 예시들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종류의 상황 판단 알고리즘을 통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자료들의 개수, 수신한 자료들의 카테고리, 수신한 자료들의 특징, 또는 수신한 자료들을 제공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자료 송신자에 대한 정보 등과 함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자료 송신자에 대한 정보는 자료들을 제공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표시부(114)에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자료를 제공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자료 송신자에 대한 정보(140)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자료를 제공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자료 송신자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즉,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은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에 대한 알림이므로, 해당 복수의 자료들이 단수의 대상으로부터 제공된 것일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단수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반면, 해당 복수의 자료들이 복수의 대상들로부터 일부분씩 제공된 것일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복수의 대상들에 대한 정보를 전부 또는 일부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한 자료의 개수에 대한 정보(142)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 전체의 개수를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 각각을 제공한 자료 송신자 또는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 각각의 종류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개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 전체의 개수가 10개이고, 제1 및 제2 자료 송신자들이 각각 5개씩의 자료를 제공하였고, 자료들 중 3개의 자료들은 사진 자료들, 7개의 자료들은 동영상 자료들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단순히 '10개'라는 정보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제1 자료 송신자로부터 5개, 제2 자료 송신자로부터 5개'라는 정보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사진 자료 3개, 동영상 자료 7개'라는 정보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자료들 각각의 중요도, 자료의 종류, 또는 자료 송신자에 따라서 복수의 자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료 송신자가 3개의 사진들 및 2개의 텍스트 메시지들을 제공하였고, 제2 자료 송신자가 4개의 사진 자료들을 제공하였고, 제3 자료 송신자가 4개의 텍스트 메시지들을 제공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모든 자료 송신자들 각각이 보낸 모든 자료들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만,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제2 자료 송신자로부터 제공된 자료들에 대한 시각적 알림 및 텍스트 메시지들에 대한 시각적 알림을 제외한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제1 자료 송신자로부터 3개의 사진 수신'이라는 정보만을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20)는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들이 수신된 경우에만 시각적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한 사용자들로부터 자료가 수신된 경우에만 시각적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한 자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144)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나 각각의 카테고리를 연상하게 하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는 방법 등으로 수신한 자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144)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한 자료들의 특징에 대한 정보(146)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수신한 자료들의 특징에는, 수신한 자료들의 용량, 수신한 자료들의 발신자에 대한 특이 사항, 수신한 자료들의 카테고리에 대한 특이 사항, 또는 수신한 자료들이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분야에 속하는 지 여부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특정 프로젝트와 관련된 자료를 관심 자료로 등록하였고,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이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경과를 보고하는 자료일 경우, 제어부(120)는 수신한 복수의 자료들이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경과 보고 자료라는 정보를 시각적 자료 수신 알림(138)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어부(120)가 표시부(114)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 및 자료 수신 알림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다. 즉, 제어부(120)는 수신한 자료들의 개수, 수신한 자료들의 카테고리, 수신한 자료들의 특징, 또는 수신한 자료들을 제공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송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들 자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해당 다양한 정보들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소리, 미리 정해진 진동 패턴, 미리 정해진 냄새, 또는 미리 정해진 색채 또는 빛 등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오감 중 하나 이상의 감각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정보 및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에 포함되는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료들을 수신하는 단계(S10),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S20), 및 측정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출력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하는 단계(S20)에서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자료들의 카테고리의 종류, 자료들을 제공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자료 송신자의 종류, 또는 자료들이 송수신된 대화방의 종류 등을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하는 단계(S20)는 특정한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자료들에 대해서만 해당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도 있고, 제1 대화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자료들에 대해서만 해당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도 있고, 텍스트 메시지에 해당하는 자료들에 대해서만 해당 자료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도 있다. 측정하는 단계(S20)에서 측정을 생략하는 자료들의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자료들이 수신될 때마다 항상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고, 해당 자료들 전체에 대해서 자료 수신 알림을 생략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과는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자료 송수신 방법을 통하여 자료가 수신되었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인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되고,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의 일 예시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자료들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준 기간을 적용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및 출력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복수의 텍스트들, 복수의 사진들, 또는 복수의 동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수신한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한 알림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a), 수신한 복수의 사진들에 대한 알림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b), 및 수신한 복수의 동영상들에 대한 알림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c)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사진, 또는 동영상은 자료들을 구분하는 카테고리의 예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자료들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료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자료들이 제1 카테고리와 상이한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료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3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자료들 각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분류된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만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기간은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들의 일반적인 송수신 빈도,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개인의 송수신 빈도,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들의 일반적인 중요도,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개인이 설정한 중요도 등을 기초로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기준 기간은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들의 일반적인 송수신 빈도,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개인의 송수신 빈도,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자료들의 일반적인 중요도,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개인이 설정한 중요도 등을 기초로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디바이스는 자료 수신 알림의 빈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카테고리의 자료들에 대해서만 자료 수신 알림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고, 자료들의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자료 수신 알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각의 자료들에 적합한 자료 수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각각의 자료들이 송수신되는 대화방의 종류, 또는 각각의 자료들을 송수신하는 대상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준 기간을 적용하여 자료 수신 알림의 출력 여부 및 출력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제1 외부 디바이스와 대화중인 제1 대화방, 제2 외부 디바이스와 대화중인 제2 대화방, 및 제3 내지 제5 디바이스들과 대화중인 제3 대화방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자료들을 수신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제1 대화방을 통하여 송수신된 자료들에 대한 알림 출력 여부 판단하는 단계(S70a), 제2 대화방을 통하여 송수신된 자료들에 대한 알림 출력 여부 판단하는 단계(S70b), 및 제3 대화방을 통하여 송수신된 자료들에 대한 알림 출력 여부 판단하는 단계(S70c)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 대화방은 각각의 대화방의 참가 인원수, 각각의 대화방에 속하는 대화 상대들, 각각의 대화방 자체의 특징, 또는 사용자가 스스로의 기준으로 직접 결정한 중요도에 의해 구분된 그룹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자료들이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송신된 경우에는 해당 자료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자료들이 제1 그룹과 상이한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송신된 경우에는 해당 자료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4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기간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1 그룹의 특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기준 기간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그룹의 특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은 자료들이 송수신된 대화방의 이름이나 해당 대화방을 다른 대화방들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 수신한 자료들의 개수, 수신한 자료들의 카테고리, 수신한 자료들의 특징, 또는 수신한 자료들을 제공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자료 송신자에 대한 정보 등과 함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디바이스는 자료들을 제공한 상대방이나 자료들이 제공된 대화방에 따라 서로 다른 자료 수신 알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각의 자료들에 적합한 자료 수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료 수신 알림을 출력할 때, 각각의 자료들을 제공한 상대방이나 자료들이 제공된 대화방의 정보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신한 자료들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자료 송수신 시스템
100: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제어부
200: 외부 디바이스
300: 서버
400: 통신망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자료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자료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에 포함되는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료들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 경우 및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경우 각각에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일부의 자료들 중 마지막으로 수신한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의 경과가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의 경과가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새로운 자료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자료가 수신된 시점에서부터 새롭게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카테고리,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특징,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에 포함되는 제1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의 경과가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일부의 자료들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자료와 상이한 제2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의 경과가 상기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2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 중 처음으로 수신한 자료를 수신한 시간에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일부의 자료들 중 상기 처음으로 수신한 자료 외의 자료들에 대해서는 알림을 생략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 이전,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 각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이 제1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시간의 간격이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그룹과 상이한 제2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시간의 간격이 상기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4 기준 기간을 초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자료 송수신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자료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에 포함되는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자료들 또는 하나의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송신된 자료들인, 자료 송수신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대화방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을 송수신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송수신된 대화방의 이름,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송수신된 대화방을 다른 대화방들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카테고리,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특징,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알림을 출력하는, 자료 송수신 방법.
  13.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7 항, 및 제9 항 내지 제12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 항 내지 제7 항, 및 제9 항 내지 제12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
  15.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자료들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들 중 일부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들을 상기 수신한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보다 적은 횟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 경우 및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제2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경우 각각에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기간으로 결정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의 간격이 제1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일부의 자료들 중 마지막으로 수신한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고, 상기 시간의 경과가 상기 제1 기준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하였다는 알림을 출력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개수,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카테고리,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특징,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송수신된 대화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알림을 출력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 각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자료들 중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일부의 자료들을 수신한 시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에 포함되는 제1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일부의 자료들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자료와 상이한 제2 자료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 기간과 상이한 제2 기준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의 카테고리,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일부의 자료들을 송신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의 종류, 또는 상기 일부의 자료들이 송수신된 대화방의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서 상기 제1 기준 기간의 길이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KR1020150039123A 2015-03-20 2015-03-20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KR10164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23A KR101641610B1 (ko) 2015-03-20 2015-03-20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23A KR101641610B1 (ko) 2015-03-20 2015-03-20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610B1 true KR101641610B1 (ko) 2016-07-21

Family

ID=5668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23A KR101641610B1 (ko) 2015-03-20 2015-03-20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28A (ko) 2017-04-10 2018-10-1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대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13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문자서비스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20040028215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수신 알림 제어방법
KR20140095712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13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문자서비스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20040028215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수신 알림 제어방법
KR20140095712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28A (ko) 2017-04-10 2018-10-1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대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872B2 (en) Intelligent productivity monitoring with a digital assistant
US10268826B2 (en) Privacy-based degradation of activity signals and automatic activation of privacy modes
US10600224B1 (en) Techniques for animating stickers with sound
CN105978785B (zh) 通知数据的预测性转发
US20160085698A1 (en) Device-specific user context adaptation of computing environment
GB2558035A (en) Detecting extraneous social media messages
KR20140113787A (ko) 상황인지에 기반하여 연락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46153B2 (en) Attention based alert notification
KR101630793B1 (ko) 대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3350756A1 (en) Provid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tools within document editor
US20160261653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ference services among terminals
US9749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delivery
US11289086B2 (en) Selective response rendering for virtual assistants
KR101641610B1 (ko) 자료 송수신 방법 및 자료 송수신 디바이스
US20190349324A1 (en) Providing rich preview of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ummary
US20160192322A1 (en) Selectively notifying users of incoming messages on a secondary electronic device
KR20160097689A (ko)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US10374988B2 (en) Activity beacon
CA2938042C (en)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
EP3211627A1 (en) External led panel,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via an external led panel
KR20160129460A (ko)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116577B2 (ja) 対話サービス提供装置、対話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