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324B1 -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324B1
KR101641324B1 KR1020160026435A KR20160026435A KR101641324B1 KR 101641324 B1 KR101641324 B1 KR 101641324B1 KR 1020160026435 A KR1020160026435 A KR 1020160026435A KR 20160026435 A KR20160026435 A KR 20160026435A KR 101641324 B1 KR101641324 B1 KR 10164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hread
fixed
moto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현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현텍스
Priority to KR102016002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 B24B19/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for grinding carding equipment, e.g. card-clo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6Braked elements rotated b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1/00Moistening, sizing, oiling, waxing, colouring or drying filamentary material as additional measures during package formation
    • B65H71/002Abrading, scr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숫돌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숫돌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숫돌 교체시 실을 끊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면서 장력 조절을 통해 숫돌과 실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실의 가공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Fiber grinding process machine having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숫돌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숫돌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숫돌 교체시 실을 끊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면서 장력 조절을 통해 숫돌과 실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실의 가공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이 완료된 방모 방적사는 숫돌에 마찰시켜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경량화시킴은 물론 향상된 이븐니스(Evenness)를 얻는다.
특히, 숫돌에 의한 마찰은 실 표면에 볼류밍(Voluming)을 일으켜 실이 부풀어 오르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가공 대상 실로는 울 방모사, 준소모사, 울 혼방사(아크릴, 레이온, 면, 소모사), 소방모사 등 방모사가 혼합된 대부분의 실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숫돌을 이용한 종래 실 가공방법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용기(10)의 내부에 도우넛 형태의 숫돌(20)을 설치하고, 가공 대상 실(30)을 숫돌(20)의 중공부에 통과시켜 용기(10)의 상단으로 인출하면서 실(30)을 회전시켜 숫돌(20)과 마찰을 일으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실이 도우넛 형태의 숫돌(20) 내경에서 회전하면서 연마되기 때문에 숫돌(20)이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배치되지 않을 경우 숫돌(20)의 편마모가 발생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30)은 회전하면서 그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숫돌(20)과 마찰을 일으켜 연마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는 구조여서 연마 효율이 매우 낮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또한, 실(30)과 숫돌(20)의 접촉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연마 후 실(30)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아울러, 사용중 숫돌(20)이 마모되어 교체해야 할 경우, 도 1의 구조에서는 부득이하게 실(30)의 일부를 끊어야만 하므로 연속 작업이 곤란하고, 실(30)이 끊긴 지점은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특1993-0008336(1993.08.30.) '연마사의 제조방법과 그 제품'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실의 장력을 이용하여 균일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숫돌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숫돌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숫돌 교체시 실을 끊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가공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줄이면서 장력 조절을 통해 숫돌과 실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실의 가공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후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의 가공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하우징의 양쪽 외측면에는 각각 가공대상 실이 감긴 권해보빈이 장착되는 권해보빈베이스와, 가공된 실이 감기는 권취보빈이 장착되는 권취보빈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가공하우징의 양측면에는 각각 슬릿 형태의 실통과홀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가공하우징의 상면 중앙에는 서로 연통되는 모터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 내부에는 위치조절모터가 내장되며, 상기 위치조절모터의 모터축에는 드럼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걸이구가 고정되며; 상기 가공하우징과 모터하우징의 경계부에는 각각 텐션롤이 설치되고; 상기 가공하우징의 내부 천정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면이 일부 개방되어 절개부를 이루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구름롤지지면이 형성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길이 일부에는 가이드슬롯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가 각각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직교되게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수평바로 이루어진 'T' 형상이며; 상기 수평바의 상부 정점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고정구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구는 나사결합되도록 하단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길이 중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고정구의 상측에는 와이어의 각 일단이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의 각 타단은 상기 텐션롤을 경유하여 상기 드럼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고정구의 하측에는 코일스프링의 각 일단이 걸림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각 타단은 상기 가공하우징의 내벽 상측부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수평바의 양단에는 각각 슬라이딩박스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박스의 내부에는 하단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구름롤지지면에 안착되는 구름롤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회전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축에는 연마롤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가공하우징의 바닥면 속에는 전체면에 걸쳐 내부덕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덕트와 연통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분사노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내부덕트에는 외부덕트가 맞대어진 채 양단이 볼트고정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덕트의 일측에는 공기펌프가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공하우징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팬을 구비한 사각형상의 흡기모듈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흡기모듈에는 장탈착 가능한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축 단면 중심에는 사각홈이 일정깊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의 둘레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1고정로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마롤의 일단면에는 상기 사각홈에 삽입되는 사각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마롤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2고정로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고정로드 각각은 스프링에 의해 결속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의 장력을 이용하여 균일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숫돌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숫돌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숫돌 교체시 실을 끊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가공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줄이면서 장력 조절을 통해 숫돌과 실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의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를 구성하는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분해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를 구성하는 가공하우징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를 구성하는 연마롤의 착탈구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숫돌 가공 방법은 도 1의 예시와 같은 형태로 개념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가공대상 실(100)이 장력을 받은 상태에서 원형막대 형상의 연마롤(200) 다수개를 엇갈려 진행하면서 연마롤(200)들과 마찰접촉하여 연마되도록 함으로써 볼류밍(Voluming)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100)을 이송시키기 위해 연마롤(200)들은 회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연마롤(200)에는 회전모터(2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100)은 권해보빈(가공되기 전에 풀릴 수 있도록 실을 감고 있는 보빈)(110)으로부터 풀려나와 다수의 연마롤(200)을 경유하여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 이동되고, 최종적으로는 권취보빈(가공된 실이 감기는 보빈)(120)에 감겨 후가공되거나 혹은 제품화된다.
이와 같이 장력이 도입된 마찰 연마개념을 가진 본 발명의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형태로 구체화된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는 가공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하우징(300)은 전,후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내장된 부품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양쪽 외측면에는 각각 권해보빈베이스(112)와 권취보빈베이스(122)가 설치되어 상술한 권해보빈(110)과 권취보빈(120)을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권해보빈(110)과 권취보빈(120)은 실(100)을 감을 수 있는 드럼을 포함한 채 세워설치되거나 혹은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설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구동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를 테면 권취보빈(120)의 경우 일정속도로 회전되게 하여 가공된 실(100)을 일정한 장력을 감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권해보빈베이스(112)와 권취보빈베이스(122)가 설치된 가공하우징(3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실통과홀(310)이 천공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실통과홀(3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된 예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슬릿형태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상면 중앙에는 모터하우징(320)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320) 내부에는 도 4와 같은 위치조절모터(330)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모터하우징(320)의 하부와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상면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되어 후술되는 와이어(W)가 배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위치조절모터(330)의 모터축에는 드럼(332)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332)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걸이구(334)가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와이어(W)는 좌우 동일하게 배선되는 한 쌍으로써 일단은 상기 걸이구(334)에 대칭되게 고정되고, 타단은 장력조절을 위한 텐션롤(336)을 거친 다음 각각 고정구(340)에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롤(336)은 상기 가공하우징(300)과 모터하우징(320)의 경계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모터(330)를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므로 좌우 한 쌍의 걸이구(334)가 동일거리만큼 이동하여 가까워지고, 반대로 풀게 되면 한 쌍의 상기 걸이구(334)는 동일거리만큼 이동하여 멀어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되는 코일스프링(350)의 탄성복귀력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바닥면(302) 속에는 전체면에 걸쳐 내부덕트(304)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302)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덕트(304)와 연통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분사노즐(30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덕트(304)에는 외부덕트(308)가 맞대어진 채 양단이 볼트고정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덕트(308)의 일측에는 공기펌프(P)가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306)을 통해 상방향으로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여 실(100) 가공시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천정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팬을 구비한 사각형상의 흡기모듈(M) 다수개를 설치함으로써 미세먼지를 포함한 가공하우징(300) 내부 공기를 빨아들여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가공하우징(300)은 전후면이 뚫려 있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함께 도입도지만, 천정면을 향해 분사노즐(306)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더 빨리 상승하기 때문에 흡기모듈(M)은 천정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를 흡기하므로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기모듈(M)에는 필터(F)를 장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천정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도 4와 같은 가이드레일(400)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400)이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됨으로 인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공하우징(3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은 연마롤(200)이 전방에 위치하나, 우측은 회전모터(210)가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후술하는 편마모방지롤(500)을 이용하여 연마롤의 편마모를 상당부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00)은 하면이 일부 개방된 형태이며, 상면 길이 일부에는 가이드슬롯(410)이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슬롯(410)에는 상기 고정구(340) 한 쌍이 각각 수직하게 끼워진다.
이때, 상기 고정구(340)의 하단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 중간쯤에는 플랜지(342)에 의해 구획되는데, 플랜지(342)에 의해 구획된 상측에는 와이어(W)의 타단이 결속되고, 플랜지(342)에 의해 구획된 하측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50)의 일단이 걸림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350)의 타단은 상기 가공하우징(300)의 내부 양측벽 상단부에 각각 결속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00)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420)가 각각 삽입되어 이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420)는 수직바(422)와, 상기 수직바(422)의 상단에 직교되게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수평바(424)에 의해 'T'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수평바(424)의 상부 정점에는 상기 고정구(340)가 나사결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바(424)의 양단에는 각각 슬라이딩박스(426)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박스(426)의 내부에는 하단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도록 구름롤(428)이 내장된다.
이때, 상기 구름롤(428)은 상기 가이드레일(400)에 끼워진 후 구름롤지지면(402)에 구름접촉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박스(426)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름롤지지면(402)의 중앙부는 절개되어 절개부(40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직바(424)가 절개부(40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수직바(424)의 하단에는 회전모터(210)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210)의 모터축에는 연마롤(200)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때문에, 연마롤(200)을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가 된 경우 신품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도 6의 예시와 같이, 연마롤(200)을 교체하기 편리하도록 장탈착이 용이한 커플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터(210)의 모터축(SFT)의 단면 중심에는 사각홈(D1)이 일정깊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모터축(SFT)의 둘레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1고정로드(R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롤(200)의 일단면에는 상기 사각홈(D1)에 삽입되는 사각돌기(D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마롤(200)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2고정로드(R2)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2고정로드(R1,R2) 각각은 스프링(SP)에 의해 결속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마롤(200) 교체시 스프링(SP)만 분리한 후 연마롤(200)을 잡고 당기면 쉽게 분리되고, 신품 연마롤을 사각돌기(D2)를 사각홈(D1)에 끼운 후 스프링(SP)만 걸어 주면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마롤(200)은 가이드레일(40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연마롤(200)이 가공하우징(300)에 전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모터(210)는 수직바(422)에 결합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수단은 나사를 이용한 고정방식과 같이 통상적인 각도조절수단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마롤(200)이 가이드레일(40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 가이드레일(400)이 가공하우징(300)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연마롤(200)도 실의 진행방행과 약간의 각도를 갖게 설치되고, 이로 인하여 실과 연마롤(200)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연마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상기 권해보빈베이스(112) 상에 설치된 권해보빈(110)으로부터 풀려 나온 실(100)은 실통과홀(310)을 관통한 다음 도 3의 도시상 우측 연마롤(20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넘어가면서 연마롤(200)에 접촉되고, 그 상태에서 반대쪽인 좌측 연마롤(200)의 하부로 파고든 다음 상부로 인출되는 형태로 대략 S자를 그리면서 진행되고, 반대쪽 실통과홀(310)을 거쳐 권취보빈베이스(122) 상에 설치된 권취보빈(120)에 감긴다.
이때, 각 연마롤(200)이 연결된 회전모터(210)가 구동되기 때문에 실(100)은 자연스럽게 두 개의 연마롤(200) 사이에서 장력이 걸친 채 연마롤(200) 표면과 마찰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균일하게 연마되게 된다.
이 경우, 권취보빈(120)이 인접한 좌측 연마롤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장력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은 실(100) 연마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장력조절이 필요할 경우 모터하우징(320)에 내장된 위치조절모터(330)를 구동시여 연마롤(200)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위치조절모터(330)가 회전하여 와이어(W)를 드럼(332)에 감는 형태로 동작되게 되면 와이어(W)가 당기기 때문에 위치조절모터(3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열된 슬라이딩박스(426)는 가이드레일(400)을 타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한 쌍의 연마롤(200)들은 서로 가까워지므로 그 만큼 실(100)에 걸리는 장력이 작아지게 된다.
반대로, 드럼(332)에 감긴 와이어(W)를 풀면 코일스프링(350)이 당기는 탄성복귀력 때문에 한 쌍의 연마롤(200)들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실(100)에 걸리는 장력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실(1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실의 가공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연마롤(200)이 마모되어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할 경우 모터축에서 빼낸 후 신품을 끼워 넣기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면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기존처럼 실(100)을 자를 필요가 없어 공정손실을 줄이고, 매듭이 생기지 않아 가공된 실(100)의 품질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실(100)이 연마롤(200)의 특정 부분만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이 경우에도 편마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편마모방지롤(5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마모방지롤(500)은 롤축(510)을 끼울 수 있도록 가공하우징(300)의 개방된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축고정대(520) 한 쌍이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축고정대(520)에는 상기 롤축(510)을 끼울 수 있는 축공(530)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롤축(510)은 각각 축공(530)에 끼워진 다음에 축고정대(520)의 각 외측에서 상기 롤축(510)의 중심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축공(530) 보다 큰 반경을 갖는 이탈방지구(54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분리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롤축(510)이 축공(530)에 끼워질 때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미도시)을 개재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마모방지롤(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00)이 배열된 방향과 일치되게 실안내홈(550)이 요입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편마모방지롤(500)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됨으로써 실(100)이 경유하는 길이를 길게 하여 장력을 더 크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실(100)이 이동할 때 실안내홈(550)을 통과하는 위치를 바꾸어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실(100)과 연마롤(200)의 접촉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연마롤(200)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는 숫돌의 편마를 방지하면서 고품질로 연마할 수 있으며, 숫돌(연마롤) 교체시에도 실을 끊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100: 실 200: 연마롤
300: 가공하우징 400: 가이드레일
500: 편마모방지롤

Claims (2)

  1. 전,후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의 가공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하우징의 양쪽 외측면에는 각각 가공대상 실이 감긴 권해보빈이 장착되는 권해보빈베이스와, 가공된 실이 감기는 권취보빈이 장착되는 권취보빈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가공하우징의 양측면에는 각각 슬릿 형태의 실통과홀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가공하우징의 상면 중앙에는 서로 연통되는 모터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 내부에는 위치조절모터가 내장되며, 상기 위치조절모터의 모터축에는 드럼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걸이구가 고정되며;
    상기 가공하우징과 모터하우징의 경계부에는 각각 텐션롤이 설치되고;
    상기 가공하우징의 내부 천정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면이 일부 개방되어 절개부를 이루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구름롤지지면이 형성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길이 일부에는 가이드슬롯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가 각각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직교되게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수평바로 이루어진 'T' 형상이며;
    상기 수평바의 상부 정점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고정구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구는 나사결합되도록 하단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길이 중간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고정구의 상측에는 와이어의 각 일단이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의 각 타단은 상기 텐션롤을 경유하여 상기 드럼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고정구의 하측에는 코일스프링의 각 일단이 걸림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각 타단은 상기 가공하우징의 내벽 상측부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수평바의 양단에는 각각 슬라이딩박스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박스의 내부에는 하단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구름롤지지면에 안착되는 구름롤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회전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축에는 연마롤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가공하우징의 바닥면 속에는 전체면에 걸쳐 내부덕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덕트와 연통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분사노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내부덕트에는 외부덕트가 맞대어진 채 양단이 볼트고정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덕트의 일측에는 공기펌프가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공하우징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팬을 구비한 사각형상의 흡기모듈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흡기모듈에는 장탈착 가능한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축 단면 중심에는 사각홈이 일정깊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의 둘레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1고정로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마롤의 일단면에는 상기 사각홈에 삽입되는 사각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마롤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제2고정로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고정로드 각각은 스프링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KR1020160026435A 2016-03-04 2016-03-04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KR10164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35A KR101641324B1 (ko) 2016-03-04 2016-03-04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35A KR101641324B1 (ko) 2016-03-04 2016-03-04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324B1 true KR101641324B1 (ko) 2016-07-20

Family

ID=5668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435A KR101641324B1 (ko) 2016-03-04 2016-03-04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3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1A (ja) * 1994-06-16 1996-01-09 Nippon Steel Corp 高張力解舒装置
JPH1121729A (ja) * 1997-07-09 1999-01-26 Nisshinbo Ind Inc 精紡糸の製造方法、精紡機及び精紡機用の毛羽制御装置
KR20020072255A (ko) * 2002-06-07 2002-09-14 이화공업주식회사 투포원 연사기의 전자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1A (ja) * 1994-06-16 1996-01-09 Nippon Steel Corp 高張力解舒装置
JPH1121729A (ja) * 1997-07-09 1999-01-26 Nisshinbo Ind Inc 精紡糸の製造方法、精紡機及び精紡機用の毛羽制御装置
KR20020072255A (ko) * 2002-06-07 2002-09-14 이화공업주식회사 투포원 연사기의 전자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5302B2 (ko)
CN213011215U (zh) 一种自动松式络筒机
KR101813451B1 (ko) 분진 포집기를 갖춘 기모사 가공장치
US5624494A (en) Paraffin coating device for textile machines
KR101726141B1 (ko) 기모사 가공장치
KR101641324B1 (ko) 공기 정화설비를 구비한 실의 숫돌 가공 기계
US7441395B2 (en) Drafting arrangement for a spinning machine
US4272038A (en) Thread-tensioning device on a warp creel
CN110589620A (zh) 一种纺织机纱线理纱器
CN216072466U (zh) 一种棉纱生产用卷料装置
KR101641323B1 (ko) 실의 교체가 용이한 숫돌 가공 기계
JP2000119934A (ja) 正面織機の切断刃のための研磨装置
CN209798332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磨毛辊
CN104787616B (zh) 用于纺织机器的滚筒中间存储器装置
JP2013522485A (ja) ガイドエプロンのためのガイドテーブルを備えるドラフト装置
CN214400890U (zh) 一种纺织机上的借线装置
KR100423871B1 (ko) 스트립 측면 부착 이물 제거 장치
CN213266842U (zh) 一种集体落纱机的高效导线装置
CN210676369U (zh) 一种钢铁行业棒材轧钢生产线切分导卫用分钢装置
CN106948043A (zh) 张力器、牵伸装置以及纺纱机械
JP2008255558A (ja) 紡績機
KR101460522B1 (ko) 광섬유 가공장치 및 방법
KR20120075063A (ko) 편직기의 장력장치
JPH04228624A (ja) 繊維材料を案内する装置
JPH0741333A (ja) 長繊維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