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186B1 -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186B1
KR101641186B1 KR1020140071339A KR20140071339A KR101641186B1 KR 101641186 B1 KR101641186 B1 KR 101641186B1 KR 1020140071339 A KR1020140071339 A KR 1020140071339A KR 20140071339 A KR20140071339 A KR 20140071339A KR 101641186 B1 KR101641186 B1 KR 10164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fixing
modu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454A (ko
Inventor
최재빈
조재호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최재빈
조재호
김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빈, 조재호, 김대원 filed Critical 최재빈
Priority to KR102014007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1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되어 자외선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의 UV LED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발광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발광 모듈의 결합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은 상기 발광 모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 LED를 통하여 살균 또는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살균 또는 경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PORTABLE UV OPTICAL SEMICONDUCTOR ILLU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살균 또는 경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발광 다이오드), 유기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광원을 이용하는 광 반도체는 백열등과 형광등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적으면서도 사용 수명이 길며 내구성도 뛰어남은 물론 훨씬 높은 휘도로 인하여 최근 조명용으로 널리 각광받고 있는 부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엘이디를 포함한 광 반도체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식물 생육에 필요한 파장의 빛을 조사한다든가, UV 경화성 수지의 경화에 필요한 UV 파장을 조사한다든가, 살균에 필요한 UV 파장을 조사한다든가 하는 광 반도체의 제작 및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UV 파장을 조사하는 광 반도체(이하 'UV LED')는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살균 제품 또는 경화 제품들이 개발되고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UV LED는 스팩트럼에 따라 많은 방법으로 분류되고, 이중 태양광에 대한 ISO 분류 기준인 ISO-DIS-21348에 따른 분류법에 의거하면, 315 내지 400nm 파장의 UVA와, 280 내지 315nm 파장의 UVB와, 100 내지 280nm 파장의 UVC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UVA는 폴리머나 프린트 잉크의 경화, 가스 측정, 질소 요소 측정, 집충기, 조명, 광학 센서, 이미지 색조 측정 ID, 위폐 감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UVB는 UV 경화, 광학 치료, 광학 센서, 이미지 색조 측정, 범죄 분석, 단백질 분석, DNA 스쿼엔싱, 신약 개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VC는 살균, 오존 탐지, 표면이나 물 오염 제거, 단백질 분석, DNA 스쿼엔싱, 신약 개발, 광학 센서, 이미지 색조 측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칫솔이나 젖병 등과 같은 생활용품의 재사용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살균용 UV 파장이 조사되도록 하는 UV 광 반도체를 이용한 살균장치라든가, 네일 아트용의 모조 손톱 등의 수지를 UV 파장으로 경화시키기 위하여 UV 광 반도체를 이용한 네일 아트용 경화기 등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살균장치 및 경화기 등은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있으며, 형상 또한 변형이 불가하여 살균 또는 경화시킬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일정하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2-0106387호 공개특허 제10-2013-00249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살균 또는 경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되어 자외선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의 UV LED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발광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발광 모듈의 결합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은 상기 발광 모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 LED를 통하여 살균 또는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모듈은,상기 복수의 UV LED들이 어레이된 상기 기판이 오목하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모듈은,양단부가 상호 대면되게 휘어진 상기 발광 모듈의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편을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은 상기 한 쌍의 제1 편과 상기 발광 모듈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발광 모듈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편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발광 모듈의 양단부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제2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발광 모듈의 양단부에 상호 대응하여 양단 관통인 원기둥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원기둥 형상을 고정하는 제3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제3 편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원기둥의 개방된 양측 끝면 중 일면을 밀폐하는 제4 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는, 상기 고정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UV LED들 일부 또는 전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발광 모듈이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UV LED들의 가동을 제어하는 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UV LED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광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복수의 UV LED들 중 일부는 경화용 UV 파장을 조사하고, 나머지는 살균용 UV 파장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구부리거나 휘어지는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플렉시블한 발광 모듈의 특정 형상을 고정 모듈이 결합되어 유지토록 함으로써, 플렉시블한 발광 모듈이 고정 모듈과의 결합을 통하여 형성된 공간부에 살균 또는 경화 등이 필요한 대상물을 수용시켜, 살균 또는 경화 등에 적합한 UV 파장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살균 또는 경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발광 모듈과 고정 모듈로 이루어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구부리고 휘어진 발광 모듈의 형상에 따라 칫솔이나 젖병 등과 같은 생활용품의 소독용으로 활용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독은 물론, 네일 아트의 모조 손톱 제작용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살균 및 경화는 플렉시블한 기판상에 살균용 UV 파장을 조사하는 UV LED와, 경화용 UV 파장을 조사하는 UV LED를 적절히 혼합 배치하고, 이러한 복수의 UV LED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점등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UV 파장이 조사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시점에서 바라본 측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결합 관계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결합 관계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주요부인 발광 모듈과 고정 모듈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단자와 컨트롤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살균 또는 경화용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시점에서 바라본 측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100)과 고정 모듈(200)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발광 모듈(100)은 플렉시블한 기판(110)과, 기판(110)에 어레이되어 자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UV LED(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살균 및 경화용의 자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 모듈(200)은 발광 모듈(100)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발광 모듈(100)과 탈착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모듈(200)과 결합된 발광 모듈(100)이 형성하는 공간(폐공간)에 도 3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대상물(900)이 수용되어 살균될 수 있으며, 또한 네일 아트용 모조 손톱 제작용 수지와 같은 것을 경화시키는(도 4 참조) 것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광 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3은 물론, 후술시 함께 설명할 도 4 내지 도 11과 같이 다양한 용도에 활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UV LED(120)들이 어레이된 기판(110)의 제1 면(111)이 오목하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형상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
여기서, 기판(110)의 제1 면(111)에는 경우에 따라 휘어지거나 구부러져 형상이 변형된 발광 모듈(100)과 고정 모듈(2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구석구석 균일하게 자외선 파장의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UV LED(120)들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키는 반사코팅층(이하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UV LED(120)들 중 일부는 경화용 UV 파장을 조사하고, 나머지는 살균용 UV 파장을 조사하도록 그 배치 구조를 적절히 변형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 모듈(200)은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양단부가 상호 대면되게 휘어진 발광 모듈(100)의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편(201, 201)을 포함하는 구성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나 도 4와 같이 네일 아트용 모조 손톱 제작용 수지와 같은 대상물(900)은 한 쌍의 제1 편(201, 201)과 발광 모듈(100)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납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편(201, 201)에는 도 2의 확대부 사시도와 같이 발광 모듈(100)의 가장자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01g)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 모듈(200)에 의한 발광 모듈(100)의 고정은 전술한 고정부(201g)와 같이 홈의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의 형태로 제작하는 등 적용 가능한 결합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 모듈(200)은 자외선 파장의 빛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이나 점막부위 또는 피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 편(201, 201)과 결합된 발광 모듈(100)의 외면을 감싸며 발광 모듈(100)의 외면을 통하여 발광 모듈(100)로부터 UV 파장이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차폐 커버(8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차폐 커버(800)는 발광 모듈(10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한 쌍의 제1 편(201, 201)과 함께 발광 모듈(100)과 고정 모듈(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완벽히 차폐하여 살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제2 편(20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편(202)은 한 쌍의 제1 편(201, 201)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발광 모듈(100)의 양단부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지니고 납작한 형태를 가진 대상물(900)은 한 쌍의 제1 편(201, 201) 및 제2 편(202)과 발광 모듈(100)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납되고 살균되어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편(202)의 일단부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살균이 완료되면 대상물(900)을 수용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편(201, 201) 중 하나의 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문 손잡이 등과 같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 구조물의 살균에도 활용될 수 있게 제3 편(203)을 포함하는 고정 모듈(200)을 발광 모듈(100)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고정 모듈(200)은 상호 맞물리게 양단 관통인 원기둥 형상으로 휘어진 발광 모듈(100)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3 편(203)을 포함하며, 문 손잡이 등과 대상물(900)은 제3 편(203)과 발광 모듈(100)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의 내주면과 대면하며 자외선 파장의 빛에 노출되어 살균되는 것이다.
여기서, 발광 모듈(100)의 양단부는 제3 편(203)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 형태의 고정부(203g)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모듈(200)에 의한 발광 모듈(100)의 고정은 전술한 고정부(203g)와 같이 홈의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의 형태로 제작하는 등 적용 가능한 결합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편(203)으로 양단부가 고정된 발광 모듈(100)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살균장치를 대상물(9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왕복시키면서 살균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고정 모듈(20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칫솔이나 젖병 뚜껑 등과 같은 생활용품의 살균을 위하여 제3 편(203)과 함께 제4 편(204)을 포함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3 편(203)은 상호 맞물리게 양단 관통인 원기둥 형상으로 휘어진 발광 모듈(100)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것이며, 제4 편(204)은 제3 편(203)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원기둥의 개방된 양측 끝면 중 일면을 밀폐하는 것이다.
따라서, 젖병 뚜껑이나 칫솔 등과 같은 대상물(900)은 제3 편(203)과 발광 모듈(100) 및 제4 편(204)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납되고 살균된 후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편(203)은 제4 편(204)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4 편(204)에 탈착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발광 모듈(100)은 대상물(900)이 살균되는 동안 자외선 파장의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4 편(204)과 대면하고, 원기둥의 개방된 양측 끝면 중 타면을 개폐하는 제1 커버(13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 모듈(200)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칫솔은 물론, 젖병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생활용품의 살균을 위하여 제5 편(205)과 제6 편(206) 및 제7 편(207)을 포함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5 편(205)은 발광 모듈(이하 '제1 발광 모듈(100a)')의 일단부와, 발광 모듈(100)과 이웃한 별개의 발광 모듈(이하 '제2 발광 모듈(100b)')의 타단부를 상호 맞물리게 고정하는 것이다.
제6 편(206)은 제1 발광 모듈(100a)의 타단부와 제2 발광 모듈(100b)의 일단부를 상호 맞물리게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5 편(205) 및 제6 편(206)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 발광 모듈(100a) 및 제2 발광 모듈(100b) 각각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홈 형태의 고정부(205g, 206g)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 모듈(200)에 의한 발광 모듈(100)의 고정은 전술한 고정부(205g, 206g)와 같이 홈의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의 형태로 제작하는 등 적용 가능한 결합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7 편(207)은 제5 편(205) 및 제6 편(206)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발광 모듈(100a)과 제2 발광 모듈(100b)에 의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개방된 양측 끝면 중 일면을 밀폐하는 것이다.
즉, 제5 편(205)과 제6 편(206)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큰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젖병 등과 같은 대상물(900)은 제5 편(205) 및 제6 편(206)과 발광 모듈(100) 및 제7 편(207)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납되고 살균된 후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편(205) 및 제6 편(206)은 제7 편(207)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7 편(207)에 탈착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발광 모듈(100)은 대상물(900)이 살균되는 동안 자외선 파장의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7 편(207)과 대면하고, 원기둥의 개방된 양측 끝면 중 타면을 개폐하는 제2 커버(13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모듈(200)에 구비되고, 복수의 UV LED(120)들 일부 또는 전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와, 발광 모듈(100)과 고정 모듈(200)이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400)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300)는 도 12와 같이 복수의 UV LED(120)들을 가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10)와, 복수의 UV LED(120)들의 가동을 제어하는 광 제어부(320)와, 발광 모듈(1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와 조사되는 UV의 종류 및 UV LED(120)의 작동 시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광 제어부(320)는 복수의 UV LED(120)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인가되는 전류 등을 통하여 광량 등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기(321)와, 복수의 UV LED(120)들 중 경화용 UV 파장을 조사하는 UV LED(120)들과 살균용 UV 파장을 조사하는 UV LED(120)들을 선택하여 가동시키는 용도 선택기(322)와, 복수의 UV LED(120)들의 가동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323)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살균 또는 경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발광 모듈
100a...제1 발광 모듈
100b...제2 발광 모듈
110...기판
111...제1 면
120...UV LED
131...제1 커버
132...제2 커버
200...고정 모듈
201, 201...제1 편
201g, 203g, 205g, 206g...고정부
202...제2 편
203...제3 편
204...제4 편
205...제5 편
206...제6 편
207...제7 편
300...컨트롤러
310...전원 공급부
320...광 제어부
321...광량 제어기
322...용도 선택기
323...타이머
400...접속 단자
800...차폐 커버
900...대상물

Claims (10)

  1. 플렉시블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되어 자외선 파장을 조사하는 복수의 UV LED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은 경화용 UV LED와 살균용 UV LED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진 형상을 유지하여 폐공간을 만들도록, 상기 발광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고정 모듈;
    상기 경화용 UV LED와 상기 살균용 UV LED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시키는 용도 선택기를 구비하는 광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도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UV LED를 동작시켜서, 상기 폐공간에 수용되는 대상물을 선택 가동된 UV LED를 통하여 살균 또는 경화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복수의 UV LED들이 어레이된 상기 기판이 오목하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양단부가 상호 대면되게 휘어진 상기 발광 모듈의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편을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은 상기 한 쌍의 제1 편과 상기 발광 모듈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발광 모듈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편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발광 모듈의 양단부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제2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발광 모듈의 양단부에 상호 대응하여 양단 관통인 원기둥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원기둥 형상을 고정하는 제3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제3 편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원기둥의 개방된 양측 끝면 중 일면을 밀폐하는 제4 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발광 모듈이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71339A 2014-06-12 2014-06-12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KR10164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339A KR101641186B1 (ko) 2014-06-12 2014-06-12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339A KR101641186B1 (ko) 2014-06-12 2014-06-12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54A KR20150142454A (ko) 2015-12-22
KR101641186B1 true KR101641186B1 (ko) 2016-07-20

Family

ID=550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339A KR101641186B1 (ko) 2014-06-12 2014-06-12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96A1 (ko) * 2019-05-17 2020-11-26 Lee Yeona 반지형 네일 경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343B1 (ko) * 2020-09-09 2022-11-16 (주)진영에이치앤에스 Uvc 엘이디 조립체
KR102533530B1 (ko) 2020-11-30 2023-05-18 조홍식 패드형 살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51B1 (ko) 2008-08-29 2009-03-10 김호연 네일용 자외선 경화기
KR200456636Y1 (ko) 2011-06-22 2011-11-09 김배성 측면발광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11249535A (ja) 2010-05-26 2011-12-08 Daisho Denshi Co Ltd 曲げ変形可能配線基板、発光モジュール、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曲げ変形可能配線基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387A (ko) 2011-03-18 2012-09-26 이동원 자외선 살균 칫솔
KR20130014729A (ko) * 2011-08-01 2013-02-12 알파웨이브(주)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자외선 살균기
KR20130024946A (ko) 2012-12-05 2013-03-08 김용진 자외선 살균장치 및 물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51B1 (ko) 2008-08-29 2009-03-10 김호연 네일용 자외선 경화기
JP2011249535A (ja) 2010-05-26 2011-12-08 Daisho Denshi Co Ltd 曲げ変形可能配線基板、発光モジュール、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曲げ変形可能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200456636Y1 (ko) 2011-06-22 2011-11-09 김배성 측면발광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96A1 (ko) * 2019-05-17 2020-11-26 Lee Yeona 반지형 네일 경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54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697B1 (ko) Uvc 엘이디를 이용한 조립형 살균장치
US10596288B2 (en) Ultraviolet absorbent enclosure
US10556026B2 (en) Ultraviolet transparent structure for ultraviolet illumination
US10456488B2 (en) Ultraviolet transparent structure for ultraviolet illumination using scattered and focused radiation
US9138499B2 (en) Electronic gadget disinfection
US2008028614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lf-decontaminating a surface
US20170086560A1 (en) Cosmetic case
CN104415384B (zh) 利用紫外线led的便携式杀菌装置
US20190201570A1 (en) Ultraviolet Illumination With Optical Elements
JP7270838B2 (ja) 照明システムを備えたハンドヘルド型パーソナルケア装置
KR101641186B1 (ko) 휴대 가능한 uv 광 반도체 조사장치
WO2015137679A1 (ko) 큐어링 및 살균 장치
JP2010198824A (ja) ライトガイド装置及び空調関連機器
KR20150025660A (ko) 유브이-씨 칩을 이용한 휴대용 자외선 살균 장치
KR20160133119A (ko) 살균 기능을 가진 문손잡이
CN110060570B (zh) 一种显示装置
RU2589278C2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х линз
KR20130021158A (ko)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ITFI20080224A1 (it) Dispositivo per la sterilizzazione di viti e/o protesi dentali
KR101818502B1 (ko) Uvc 엘이디를 이용한 조립형 살균장치
JP2007130029A (ja) 光抗菌トイレ装置
KR20070098525A (ko)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CN115697422A (zh) Uv消毒系统
KR200423035Y1 (ko)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KR20210131806A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