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882B1 -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882B1
KR101640882B1 KR1020140006199A KR20140006199A KR101640882B1 KR 101640882 B1 KR101640882 B1 KR 101640882B1 KR 1020140006199 A KR1020140006199 A KR 1020140006199A KR 20140006199 A KR20140006199 A KR 20140006199A KR 101640882 B1 KR101640882 B1 KR 10164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hermoelectric
battery cells
battery ce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584A (ko
Inventor
양인석
홍승태
김종희
임형규
김인정
박석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0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2Peltier elements or thermo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이차전지 시스템은, 복수의 이차전지 셀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각각은 이차전지 셀로부터 돌출되는 양극 탭과 음극 탭을 가지고,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각각에 대하여 이차전지 셀의 표면 중 양극 탭 및 음극 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탭이 돌출된 부위에 일방 전극이 부착된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이차전지 셀의 운전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열전 발전 소자를 발열량이 가장 많은 이차전지 셀의 전극 탭 주변에 부착함으로써 열전 발전 성능을 최대한 높여 에너지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Secondary battery system having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heat generated from secondary battery operation}
본 발명은 차량이나 주택 등에 사용되는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전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을 끊임없이 반복할 수 있어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 활용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고용량의 리튬 이차전지가 개발됨으로써, 이러한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석 연료에 의한 에너지 자원 고갈의 문제, 환경 오염에 대한 이슈, 에너지 사용의 경제성 등에 대한 이슈가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전력 사용량과 전력 생산량의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전력 과잉 공급에 의한 낭비 및 전력 공급 부족에 의한 과부하 현상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 통신 인프라와 연계되어 전력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시스템이라는 개념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는 전력 소비량이 적을 때에는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전력 소비량이 많을 때에는 이와 같이 저장된 전력을 생산 전력과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하는 인프라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매체가 활용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복수의 이차전지의 집합체인 이차전지 팩(모듈)은 전력을 저장하는 주요한 요소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저장 시스템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도 많은 양의 전력을 저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여기에도 전력 저장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고, 주택등의 에너지 공급원으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차전지 팩은 상당한 개수의 이차전지가 다양한 구조로 집합(예를 들어, 이차전지 팩이 상하 구조로 적층된 형태인 타워형 스택 등)되어 대용량의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차전지는 내부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이러한 충방전 과정은 불가피하게 발열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이차전지가 고용량화되는 경우 상기 충방전에 따른 발열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열 현상은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이차전지에 내재적인 데미지(손상)을 미치게 되어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차전지의 수명을 보장할 수 없는 부수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발열에 의한 폭발 현상 등 안전성에도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운전에 따라 발생된 열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가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장치는 대부분 방열판이나 히트 파이프를 사용한 냉각장치로서, 이차전지의 효율적인 냉각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이 냉각장치에 의해 흡수되어 방열되는 이차전지의 운전열은 폐열로서 버려지게 되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특허공개 제2007-38265호나 특허공개 제2005-18184호 등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냉각 및/또는 가열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는 열전소자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펠티어(Peltier) 소자로서, 이 역시 전력을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냉각(흡열) 또는 가열(발열)하는 장치에 지나지 않고 이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냉각(흡수)한 열 에너지를 재활용하고 있지 않는 점에서 전술한 일반적인 냉각장치와 다르지 않다.
한편, 특허공개 제1999-42457호와 일본 특허공개 제2004-63384호는 이차전지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이른바 제벡(Seebeck) 효과를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사용하여 폐기되는 열 에너지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벡 효과를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의 열-전기 에너지의 변환 효율은 그다지 높지 않아 실용화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의 문제점 내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전지의 운전열을 열전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이차전지 시스템으로서, 열전 발전 소자에 의한 발전 효율을 최대한 높여 실용가능한 이차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시스템은, 복수의 이차전지 셀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각각은 이차전지 셀로부터 돌출되는 양극 탭과 음극 탭을 가지고,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각각에 대하여 이차전지 셀의 표면 중 상기 양극 탭 및 음극 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탭이 돌출된 부위에 일방 전극이 부착된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는 복수의 이차전지 셀 각각의 일방의 표면 또는 양방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열전 발전 소자가 이차전지 셀의 일방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 각각의 타방 전극과 인접하는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전 발전 소자가 이차전지 셀의 양방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의 타방 전극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상기 갭을 통해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복수의 이차전지 셀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에 의해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력 관리 시스템 또는 외부 부하의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시스템에 의하면, 열전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이차전지 셀의 운전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 발전 소자를 발열량이 가장 많은 이차전지 셀의 전극 탭 주변에 부착함으로써 열전 발전 성능을 최대한 높여 에너지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 발전 소자의 타방 전극을 냉각 공기로 냉각시킴으로써 열전 발전 소자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간 온도차를 크게 하여 열전 발전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 열전 발전 소자가 일방의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전 발전 소자가 표면에 부착된 이차전지 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 열전 발전 소자가 양방의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 시스템에 대한 개괄적이고 전반적인 설명을 먼저 기술하고, 각 세부 구성은 해당되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상하좌우, 전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대로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상대적인 용어로서, 보는 방향에 따라서 달리 지칭될 수 있는 방향임을 명기해 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차전지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이차전지 스택은 하나 이상의 이차전지 모듈(100)이 이차전지 모듈 케이스(200)에 수납되고, 하나 이상의 이차전지 모듈(100)을 수납한 이차전지 모듈 케이스(200)를 한 단 이상 적층한 스택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각 단의 이차전지 모듈 케이스(200)에는 3 개씩의 이차전지 모듈(100)이 수납되고, 또한 3 단을 적층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차전지 모듈(100)의 개수와 이차전지 모듈 케이스(200)의 적층 단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이차전지 모듈(100)이 적층되어 스택을 이루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이차전지 시스템은 하나의 모듈만을 가지는 경우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이차전지 시스템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전기 자동차 충전소 또는 주택 등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전력 저장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이차전지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차전지 모듈(100)은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 또는 어셈블리(assembly) 등이 집합된 것을 지칭하며,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으로 불릴 수 있다.
이차전지 시스템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이차전지 모듈(100)은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독립한 전력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서 이차전지 시스템의 전면(前面)에 참조부호 300으로 도시된 구성요소는, 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는데, 각 이차전지 모듈(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각 이차전지 모듈(100)로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팬이다. 송풍 팬(300)을 통해 이차전지 모듈(100)로 공급되는 냉각 공기는, 각각의 이차전지 모듈(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차전지 셀(10)간의 갭을 거쳐 이차전지 모듈(100)의 후면으로 빠져 나가게 되어, 각각의 이차전지 셀(10)과 후술하는 열전 발전 소자(20)의 타방 전극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송풍 팬(300)은 각 이차전지 모듈(100)의 전면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각 단의 이차전지 모듈 케이스(200)에 공통으로 하나씩 배치되거나, 이차전지 모듈의 전체 적층체인 스택에 공통으로 전면에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이차전지 모듈(100)에 고르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이차전지 스택의 전면에 덕트를 구비할 수 있고 이차전지 스택의 후면에도 덕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은 이차전지 모듈(100)의 전면이 아니라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참조부호 400으로 도시된 구성요소는,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는데, 축전 시스템이다. 축전 시스템(400)은 각 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 부착된 열전 발전 소자(20)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전선(31, 32)을 통해 모아 축적하는 전용 배터리이다. 이 축전 시스템(400)에는 실제로 전력을 축전하는 전용 배터리 이외에도, 생성된 전력을 정류하는 레귤레이터나, 전류가 역방향 즉, 축전 시스템(400)에서 각 열전 발전 소자(2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 등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참조부호 500으로 도시된 구성요소는,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는데, 축전 시스템(400)에 축적된 전력을 사용하는 부하이다. 이 부하(500)는 본 실시예의 이차전지 시스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외부 부하일 수도 있으나, 상기 송풍 팬(300)이나, 이차전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이차전지 모듈(100) 또는 각 이차전지 셀(10)의 충방전 동작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력 관리 시스템(500)은 각 이차전지 모듈(100) 또는 각 이차전지 셀(10)의 충방전 상태나 온도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를 통해 이차전지 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수단과 관리자로부터 필요한 파라미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이차전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냉각되고 폐열로서 외부로 버려졌던 이차전지의 운전열을 열전 발전 소자(20)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차전지 모듈(100)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운전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아이디어 자체는 알려져 있으나 그 실용화에 한계가 있는 것은, 열전 발전 소자를 구성하는 열전 변환 재료의 열전 변환 성능이 낮다는 데에도 그 이유가 있지만, 열전 발전 소자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지 못한 데에도 이유가 있다.
일반적으로 열전 발전 소자(20)는, 열전 변환 재료와, 열전 변환 재료의 양측에 각각 접하여 열전 변환 재료를 협지하는 두 전극과, 두 전극에 각각 연결된 두 리드 선(21, 2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전 변환 재료의 열전 변환 성능은 제벡 계수, 전기 전도도 및 열 전도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구체적으로 열전 변환 재료의 열전 변환 성능은 제벡 계수의 제곱 및 전기 전도도에 비례하고 열 전도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되도록 제벡 계수와 전기 전도도가 높고 열 전도도가 낮은 열전 변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전 발전 소자의 열전 변환 성능은 사용하는 열전 변환 재료에 의해 결정되지만, 동일한 열전 발전 소자라 하더라도 그 배치에 따라서 실제 열전 발전 성능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열전 발전 소자는 두 전극간의 온도차가 클수록 발생되는 기전력이 커지므로, 열전 발전 소자의 두 전극을 온도차가 큰 곳에 배치하는 것이 열전 발전 성능을 높이는 데에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이차전지 셀(10)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되고 전해질이 채워진 전형적인 리튬 이차전지이다. 또한, 이차전지 셀(10) 내부에는 과충전 등의 오사용에 의한 발화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폭안전 장치나 제어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이차전지 셀(10)은 단위 이차전지 셀일 수도 있고, 복수의 단위 셀의 집합체일 수도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 참조부호 11 및 12로 도시된 구성요소는 각각 이차전지 셀(10)의 음극 및 양극 단자인 전극 탭이다. 각 이차전지 셀(10)의 전극 탭(11, 12)은 버스 바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차전지 셀(10)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이차전지 셀(10)이 운전과정에서 발열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이차전지 셀(10)의 전체 표면에서 균일하게 발열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차전지 셀(10)의 표면 중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전극 탭(11, 12), 이중에서도 양극 탭(12) 주변부이다. 따라서, 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 부착되는 열전 발전 소자(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서도 양극 탭(12)이 돌출된 부위에 일방 전극이 부착되거나(도 4의 (a)), 양극 탭(12) 및 음극 탭(11)이 돌출된 부위에 일방 전극이 부착되는(도 4의 (b))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차전지 셀(10)의 전극 탭(11, 12)이 돌출되는 부위의 표면에 열전 발전 소자(20)를 부착함으로써, 이차전지 셀(10)의 표면 중 다른 부위 또는 표면 전체에 부착하는 경우보다 열전 발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서 전극 탭(11, 12) 주변부에 부착되는 열전 발전 소자(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10)의 두 표면 중 일방의 표면에만 부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10)의 양방의 표면에 모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이차전지 셀(10)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열전 발전 소자(20)의 타방 전극(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 부착되는 일방 전극과는 반대쪽 전극)은 인접하는 다른 이차전지 셀(10)의 타방의 표면과 대향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열전 발전 소자(20)의 타방 전극은 인접하는 다른 이차전지 셀(10)의 타방의 표면에 부착된 다른 열전 발전 소자(20)의 타방 전극과 대향하게 된다.
또한 이때, 열전 발전 소자(20)의 타방 전극은, 대향하는 다른 이차전지 셀(10)의 타방의 표면(도 2 및 도 3) 또는 다른 열전 발전 소자의 타방 전극(도 5)과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갭을 통해 냉각 공기가 유동되면서 열전 발전 소자의 타방 전극의 표면이 냉각되어 열전 발전 소자의 일방 전극과 타방 전극 간의 온도차를 되도록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열전 발전 소자의 열전 발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갭을 통해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팬(300)을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열전 발전 소자(20)의 두 전극간 온도차를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열전 발전 성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 셀(10)의 운전열을 이용하여 열전 발전하는 열전 발전 소자(20)를 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폐열로서 버려지던 이차전지의 운전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 발전 소자(20)를 이차전지 셀(10)의 표면에서도 발열량이 가장 많은 부위에 부착함으로써 열전 발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어, 이차전지 시스템에서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채택하는 구성을 실용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이차전지 셀 11, 12: 전극 탭
20: 열전 발전 소자 21, 22: 리드 선
31, 32: 전선 100: 이차전지 모듈
110: 이차전지 셀 케이스 200: 이차전지 모듈 케이스
300: 송풍 팬 400: 축전 시스템
500: 부하(전력 관리 시스템)

Claims (6)

  1. 복수의 이차전지 셀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각각은 이차전지 셀로부터 돌출되는 양극 탭과 음극 탭을 가지고,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의 각각에 대하여 이차전지 셀의 표면 중 상기 양극 탭이 돌출된 부위에 일방 전극이 부착되고 냉각 공기에 의하여 표면이 냉각되는 타방 전극이 상기 일방 전극의 반대쪽에 구비된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는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 각각의 일방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 각각의 상기 타방 전극과 인접하는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는 상기 냉각 공기가 유동되도록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상기 갭을 통해 상기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는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 각각의 양방의 표면에 부착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 각각의 상기 타방 전극 사이에는 상기 냉각 공기가 유동되도록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상기 갭을 통해 상기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이차전지 셀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열전 발전 소자에 의해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력 관리 시스템의 전원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KR1020140006199A 2014-01-17 2014-01-17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KR10164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199A KR101640882B1 (ko) 2014-01-17 2014-01-17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199A KR101640882B1 (ko) 2014-01-17 2014-01-17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3524A Division KR101478785B1 (ko) 2010-12-06 2010-12-06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584A KR20140026584A (ko) 2014-03-05
KR101640882B1 true KR101640882B1 (ko) 2016-07-19

Family

ID=5064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199A KR101640882B1 (ko) 2014-01-17 2014-01-17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609A (ko) * 2020-10-27 2022-05-0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7744A (ja) 2002-10-03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電素子一体型薄膜電池
JP2008218352A (ja) 2007-03-07 2008-09-18 Nec Corp 無停電電源装置、該無停電電源装置に用いられるバッテリ温度調節方法及びバッテリ温度調節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7744A (ja) 2002-10-03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電素子一体型薄膜電池
JP2008218352A (ja) 2007-03-07 2008-09-18 Nec Corp 無停電電源装置、該無停電電源装置に用いられるバッテリ温度調節方法及びバッテリ温度調節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584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329B2 (en) Battery unit, battery module, power storage system, electronic device, power system, and electric vehicle
KR101807115B1 (ko) 언더 베이스 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US10892528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N105190988B (zh) 具有改善的冷却效率的车辆电池组
KR101453780B1 (ko) 배터리 모듈 수납장치, 배터리 모듈 온도조절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102259414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3002803B1 (en) Battery module array
EP3780250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KR101261736B1 (ko) 배터리 팩
KR101478785B1 (ko)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KR20150115250A (ko) 내부 텐션-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142338A (ko)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부싱을 포함한 배터리 팩
US20190267684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101593122B1 (ko) 이차전지 용 냉각핀
KR20150142790A (ko) 스웰링 현상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외형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용 엔드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611120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1821376B1 (ko) 중앙 프레임 타입의 2 셀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KR101232784B1 (ko) 이차전지 냉각장치 및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1640882B1 (ko) 이차전지 운전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소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KR102067709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281036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이차전지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KR101821377B1 (ko) 케이스 프레임 타입의 2 셀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CN211790897U (zh) 电池装置、电池供电装置和电子设备
JP3224790U (ja) 蓄電池及び蓄電池システム
TW201906223A (zh) 複合式電池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