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67B1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0467B1 KR101640467B1 KR1020100036910A KR20100036910A KR101640467B1 KR 101640467 B1 KR101640467 B1 KR 101640467B1 KR 1020100036910 A KR1020100036910 A KR 1020100036910A KR 20100036910 A KR20100036910 A KR 20100036910A KR 101640467 B1 KR101640467 B1 KR 101640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information
- communication module
- mobile terminal
- access point
- local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단말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동작에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에 있어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대응할 시 로컬 네트워크용 제2 통신모듈을 턴 온 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을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멀티모드(multi-mode) 이동단말에서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접속을 위한 동작에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대절전모드(hibernation)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되고 있다. 즉, 유선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이동성 제약을 무선 기술로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술들 중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서비스를 위한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술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로컬 네트워크의 경우 비교적 높은 서비스 속도와 저렴한 서비스 비용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지만, 좁은 서비스 영역과 낮은 이동성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경우 서비스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고가이지만 넓은 서비스 영역과 높은 이동성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상호 연동하게 하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에 모두 접속 가능한 멀티 무선접속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multi-mode mobile terminal)도 개발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 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비롯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빠른 데이터 속도의 휴대 인터넷 등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AP를 통한 무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 AP에 접속될 때까지 로컬 네트워크 검색(scan)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로컬 네트워크를 검색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검색 동작을 시도한다. 또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유지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단절에 대비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로컬 네트워크의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불필요하게 AP 검색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동일 시간에 하나의 네트워크(예컨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과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로컬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불필요한 전류를 계속하여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을 위한 최대절전모드(hibernation)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대절전모드를 지원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과, 그 이동단말에서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의 턴 온(turn on) 및 턴 오프(turn off)를 제어하여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에서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 지원 통신모듈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하여 전류 소모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절전모드(power saving)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에 있어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대응할 시 로컬 네트워크용 제2 통신모듈을 턴 온 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을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있어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교신하여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과, 로컬 네트워크와 교신하는 제2 통신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AP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가 매핑된 위치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할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온 제어하고,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을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 등과 같은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를 개선할 수 있는 최대절전모드(hibernation) 제공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로컬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을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따라 턴 온하거나 턴 오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사용자 정의에 따른 위치에서만 턴 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따라 턴 온하거나 턴 오프 제어함으로써 멀티모드 이동단말에서 로컬 네트워크의 AP 검색에 따른 전류 소모 및 평균 AP 검색(scan) 시간을 모두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에 의하여 해당 통신모듈을 턴 온하고 AP 검색 동작을 시작함에 따라 통신모듈이 턴 온 되는 지역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해당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AP만을 검색함으로써 AP 검색에 소요되는 평균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전류 소모 개선을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전류 소모 개선을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와 같은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모드(multi-mode) 이동단말과, 이러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에서 전류 소모 개선을 위한 최대절전모드(hibernation)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최대절전모드는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의 턴 온(turn on) 및 턴 오프(turn off)를 제어하여 멀티모드 이동단말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로컬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연결하는 지역은 사용자의 집, 회사, 그리고 핫 스팟(Hot spot) 지역과 같이 대부분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역에서만 로컬 네트워크의 AP 접속을 위한 로컬 네트워크용 통신모듈을 턴 온하고, 그 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로컬 네트워크용 통신모듈을 턴 오프 하도록 함으로써, 소모 전류 및 평균 AP 탐지시간을 모두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 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WLAN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이동단말(100)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및 로컬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SM, UMTS, IMT-2000, CDMA, WCDMA 및 OFDMA 등과 같은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100)과 교신하여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210 내지 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베이스스테이션(BS, Base Station), 기지국 트랜시버(BTS, Base Transceiver Station) 및 노드-B(Node-B) 등을 대표하는 용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210 내지 25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에 따른 모든 형태의 기지국을 대표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커버리지를 형성하는 셀(Cell)들의 복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셀 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WiFi, WiMAX 등과 같은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WLAN과 같은 로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사업자의 셀 플랜(Cell Plan)에 의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100)과 교신하여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AP들(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네트워크는 하나의 AP에 의해 커버리지를 형성하는 셀을 구축할 수 있으며,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셀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들(310, 320)에 의한 커버리지 영역은 기지국들(210, 230)에 의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각 셀 내에는 다수개의 로컬 네트워크들의 셀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셀에는 어떠한 로컬 네트워크의 셀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각 셀들을 구성하는 각 기지국들(210 내지 250)은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예컨대, GSM, UMTS, IMT-2000, CDMA, WCDMA, OFDMA 등)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100)과 무선 링크를 연결하여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100)과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각 셀들을 구성하는 각 AP들(310, 320)은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예컨대, WiFi, WiMAX 등)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100)과 무선 링크를 연결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100)과 휴대인터넷,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IP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100)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210 내지 250)과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AP들(310, 3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수신 감도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의 채널 환경을 가지는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신호를 통하여 최적의 채널 환경 즉, 최적의 셀을 결정하는 과정은 표준 규약에 정의된 규정에 따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서 상기 이동단말(100)은 결정된 최적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셀에 진입하여 해당 셀과 설정된 무선접속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하여 해당 셀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100)은 해당 셀에 접속된 이후에도 접속된 셀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DL, Down Link) 신호의 레벨과 네이버 셀(Neighbor Cell)들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들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된 셀보다 최적의 셀이 측정될 시 해당 셀로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단말(100)은 결정된 셀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 간 이동(예컨대, 핸드오버)에 따른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네트워크의 AP들(310, 320)의 경우, 셀 플랜 등에 의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보다 세밀하게 설치되지 않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100)이 현재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셀(예컨대, 참조번호 220, 참조번호 240, 참조번호 250의 기지국들에 의해 형성된 셀)에는 로컬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100)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서 상기 이동단말(100)과 인접하는 로컬 네트워크의 AP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100)의 주변에 로컬 네트워크의 AP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도 상기 이동단말(100)은 로컬 네트워크 검색을 위한 절차를 계속하여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100)의 주변에 로컬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해 네트워크 검색 절차를 진행하더라도 검색되는 로컬 네트워크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100)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서 존재하지도 않는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불필요한 검색을 수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결국, 존재하지도 않는 로컬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프로세싱(processing)을 계속하여 진행함에 따라 이동단말(100)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또는, 이동단말(100)이 현재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셀(예컨대, 참조번호 230의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셀)에는 로컬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100)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서 상기 이동단말(100)과 인접하는 로컬 네트워크의 AP(320)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단말(100)이 상기 AP(320)에 접속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AP(320)에 의한 IP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100)은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네트워크로의 연결은 유지하여 로컬 네트워크의 단절에 대비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동일 시간에 하나의 네트워크(예컨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이동단말(100)은 두 개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연결과 검색을 위한 프로세싱을 진행하게 된다. 이는 결국 이동단말(100)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전류 소모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컬 네트워크의 AP(320)가 존재하더라도 실제 사용자가 IP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로컬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류 소모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컬 네트워크의 AP를 연결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역은 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집, 회사, 그리고 자주 가는 장소(예컨대, AP가 설치된 핫 스팟(Hotspot) 지역) 등과 같이 대부분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이 미리 정의된 특정 위치(예컨대, 참조번호 310의 AP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서만 로컬 네트워크용 통신모듈을 턴 온하고, 나머지 다른 위치에서는 로컬 네트워크용 통신모듈을 턴 오프 하여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이동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단말(100)은 제1 통신모듈(110), 제2 통신모듈(120), 입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저장부(160), 그리고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이동단말(100)은 사진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은 이동단말(100)의 이동통신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와 설정된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frequency)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와,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모듈(11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모듈(110)은 GSM 방식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코드(LAC, Location Area Code)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은 이동단말(100)의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와 설정된 프로토콜 기반의 인터넷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인터넷 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로컬 네트워크와 인터넷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은 WLAN과 같은 로컬 네트워크의 AP와 통신을 수행하고,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주어진 규칙에 따라 처리하는 송수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은 이동단말(100)의 위치정보에 따른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3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30)는 로컬 네트워크용 통신모듈(예컨대,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위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상기 이동단말(100)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 Speaker)와, 사용자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 Microphon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상기 이동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 특정 기능(예컨대, 제2 통신모듈(120) 턴 온 또는 턴 오프) 실행에 따른 알람을 위한 오디오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이동단말(100)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촬영 기능, 사진보기 기능,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예컨대,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온 또는 턴 오프에 따라 운용되는 화면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이동단말(100)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60)는 이동단말(100)의 운영체제, 제1 통신모듈(110)에 의한 통신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제2 통신모듈(120)에 의한 통신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온 및 턴 오프의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15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이동단말(100)의 위치에 따라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AP 정보와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매핑하여 정보 테이블(예컨대, 위치정보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온을 희망하는 지역 즉, 로컬 네트워크의 접속에 의한 IP 기반의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지역의 AP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100)은 AP 정보 저장 시 이동단말(100)이 해당 위치에서 수신하여 업데이트한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상기 AP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GSM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이동단말(1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로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를 제1 통신모듈(1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100)은 위치정보 수신시 마다 상기 저장부(160)에 이전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LAC 정보로 저장부(160)의 LAC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이동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GSM 네트워크)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AP 등록 시 해당 AP의 AP 정보와 해당 위치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와 저장부(160)에 저장된 정보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정보 테이블의 위치정보 중 수신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할 시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온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제2 통신모듈(120)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하고, 이후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 접속 중에 접속된 로컬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정보 테이블(예컨대, 위치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위치정보를 비교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종료될 시 이동단말(100)의 위치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체크한다. 만약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위치정보가 변경된 경우 제2 통신모듈(120)을 턴 오프 한다. 제어부(170)는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오프에 따라 최대절전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위치정보의 변경이 아닌 경우 로컬 네트워크의 AP 재검색(resca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 환경의 신호 세기 약화, 음영 지역 진입 등에 의한 로컬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AP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치정보와 정보 테이블(예컨대, 위치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위치정보를 비교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위치정보의 변경을 감지할 시 변경된 위치정보를 정보 테이블(예컨대,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하여 해당 AP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70)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제어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제어부(170)는 이동단말(100)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1 통신모듈(110)에 의한 통신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2 통신모듈(120)에 의한 통신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전류 소모 개선을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3은 이동단말이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100)은 제1 통신모듈(110)을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접속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GSM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모듈(120)은 턴 오프 상태인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301단계).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위치정보 업데이트 시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 리스트(예컨대, LAC 리스트)를 체크할 수 있다(3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와 위치정보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305단계).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수신된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와 위치정보(예컨대, LAC 리스트)의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 중 일치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전술한 301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70)는 수신된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 중 일치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할 시 제2 통신모듈(120)을 턴 온 제어한다(307단계).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2 통신모듈(120)에 의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그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309단계).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 검색 시 상기 위치정보에 의하여 이동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제2 통신모듈(120) 턴 온 후 로컬 네트워크 검색 시 해당 위치에서 등록된 AP에 대해서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의 AP 검색에 따른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전류 소모 개선을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4는 이동단말이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100)은 제2 통신모듈(120)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를 가정한다(401단계). 즉, 제2 통신모듈(120)이 턴 온 상태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이동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제2 통신모듈(120)에 의한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1 통신모듈(110)에 의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GSM 네트워크)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의 AP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AP와의 연결 상태의 변경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4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의 AP와의 연결이 단절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상기 AP와의 연결 상태의 변경이 없으면(예컨대, AP와 연결이 유지된 상태)(403단계의 No), 상기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와 위치정보 리스트(예컨대, LAC 리스트)의 위치정보(예컨대, LAC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70)는 위치정보의 변경이 없을 시(405단계의 No) 전술한 401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위치정보 리스트에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할 시 전술한 401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70)는 위치정보의 변경을 감지할 시(405단계의 Yes) 변경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하고(407단계), 변경된 위치정보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4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위치정보 리스트에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변경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위치정보가 변경되더라도 로컬 네트워크의 AP와 연결이 유지된 경우 이동단말(100)의 해당 위치에서의 위치정보를 해당 AP의 AP 정보와 매핑하여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AP와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면(예컨대, AP와 연결이 단절된 상태)(403단계의 Yes)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위치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70)는 위치정보의 변경이 없을 시(411단계의 No) 로컬 네트워크의 AP 재검색을 제어할 수 있다(4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할 시(이동단말(100)의 위치정보 변경 없이 로컬 네트워크의 AP와 연결이 단절된 경우) 로컬 네트워크의 AP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로컬 네트워크 환경의 신호 세기 약화, 이동단말(100)의 음영 지역 진입 등에 의한 단절인 것으로 판단하고 로컬 네트워크의 AP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4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표준 규약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AP 재검색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위치정보의 변경이 있을 시(411단계의 Yes) 제2 통신모듈(120)을 턴 오프 제어한다(4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이동단말(100)의 위치정보가 변경되고 로컬 네트워크의 AP와 연결이 단절된 경우) 이동단말(100)이 위치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위치가 아닌 지역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오프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지역에서의 로컬 네트워크 검색에 따른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2 통신모듈(120)의 턴 오프 제어 후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4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1 통신모듈(110)에 의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전술한 도 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이동단말
110: 제1 통신모듈 120: 제2 통신모듈
130: 입력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표시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10, 220, 230, 240, 250: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310, 320: 로컬 네트워크의 AP
110: 제1 통신모듈 120: 제2 통신모듈
130: 입력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표시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10, 220, 230, 240, 250: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310, 320: 로컬 네트워크의 AP
Claims (12)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용 제 1 통신모듈이 턴 온되고 로컬 네트워크용 제 2 통신 모듈이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온 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오프 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통신모듈이 턴 온 되면,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턴 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전송하는 제1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위치정보와 미리 정의된 위치정보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 온 하는 과정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온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제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의 변경은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이 단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제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응한다면, 액세스 포인트의 재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제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모듈의 턴 온 상태에서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이 유지된다면,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위치정보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전류 소모 개선 방법.
- 멀티모드 이동단말에 있어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교신하여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과,
로컬 네트워크와 교신하는 제2 통신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AP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가 매핑된 위치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할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온 제어하고,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을 시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턴 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모듈이 턴 온 되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연결의 상태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턴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의 변경은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이 단절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단절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한다면, 액세스 포인트의 재검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 제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모듈의 턴 온 상태에서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이 유지된다면, 상기 제 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된 위치정보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AP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910A KR101640467B1 (ko) | 2010-04-21 | 2010-04-21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US13/091,591 US9049659B2 (en) | 2010-04-21 | 2011-04-2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bernation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
US14/727,484 US9788276B2 (en) | 2010-04-21 | 2015-06-0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bernation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6910A KR101640467B1 (ko) | 2010-04-21 | 2010-04-21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446A KR20110117446A (ko) | 2011-10-27 |
KR101640467B1 true KR101640467B1 (ko) | 2016-07-18 |
Family
ID=4481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6910A KR101640467B1 (ko) | 2010-04-21 | 2010-04-21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9049659B2 (ko) |
KR (1) | KR1016404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2063A (ko) * | 2011-12-02 | 2013-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EP2856778B1 (en) * | 2012-05-30 | 2018-10-03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localization using fake location updates |
CN105027662B (zh) * | 2013-01-03 | 2018-12-07 | Lg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改变服务的方法和设备 |
US9485718B2 (en) * | 2013-09-13 | 2016-11-01 | Qualcomm Incorporated | Out-of-service recovery for a multi-SIM wireless device |
JP6164301B2 (ja) * | 2013-10-16 | 2017-07-19 | 富士通株式会社 | 移動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
CN110048824B (zh) * | 2019-03-25 | 2022-01-04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通信模块的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WO2021207933A1 (en) * | 2020-04-14 | 2021-10-21 | Qualcomm Incorporated | A method to avoid irat ping-pong and save pow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29092A1 (en) * | 2005-12-06 | 2007-06-07 | Sbc Knowledge Ventures Lp | Method for conserving energy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25457B1 (en) * | 2000-04-11 | 2003-09-23 | Ericsson Inc. | Mobile terminal with location database |
US20050153736A1 (en) * | 2004-01-05 | 2005-07-14 | Ganton Robert B.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with a communication system |
KR100666943B1 (ko) * | 2005-01-11 | 2007-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 무선 단말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
EP2083599A3 (en) * | 2008-01-24 | 2013-05-29 | Fujitsu Limit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
KR100983027B1 (ko) * | 2008-12-16 | 2010-09-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
2010
- 2010-04-21 KR KR1020100036910A patent/KR101640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4-21 US US13/091,591 patent/US9049659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6-01 US US14/727,484 patent/US978827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29092A1 (en) * | 2005-12-06 | 2007-06-07 | Sbc Knowledge Ventures Lp | Method for conserving energy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64648A1 (en) | 2015-09-17 |
US20110263290A1 (en) | 2011-10-27 |
KR20110117446A (ko) | 2011-10-27 |
US9788276B2 (en) | 2017-10-10 |
US9049659B2 (en) | 2015-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0467B1 (ko) |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최대절전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
WO2020010595A1 (zh) | 一种选择nsa和sa组网方式的方法和终端设备 | |
KR101661681B1 (ko) | 휴대 단말기의 eplmn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1083542B1 (ko) | 소형 기지국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 |
US9426724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scanning | |
RU2395912C2 (ru) | Мобильный узел, способ и компьютерный программный продукт для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от одного типа сети к другому типу сети | |
CN102474821B (zh) | 用于无线通信的功率节省的设备、系统和方法 | |
US805960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WLAN in portable terminal | |
KR101510714B1 (ko) | 무선 랜 AP(Access Point) 접속 방법 및 이를이용한 장치 | |
CN102860095A (zh) | 家庭节点识别、干扰减少和能量节约 | |
US8359036B2 (en) |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5637908A (zh) | 用于无线网络接入图和应用的系统和方法 | |
TW201032628A (en) | GPS-assisted cell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 |
WO2013178111A1 (zh) | Wlan热点搜索的控制方法及装置 | |
CN103069885A (zh) | 针对毫微微小区操作的基于邻近代理的带外通信 | |
CN107820302B (zh) |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 |
US20160219520A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duct | |
CN107896385B (zh) |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 |
JP2008067184A (ja) | 無線通信端末 | |
KR20150136900A (ko) | 무선랜 망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간 로밍을 위한 로밍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방법 | |
US11910264B2 (en) | Network re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1540936B1 (ko) |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
KR20100054278A (ko) |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검색 방법 및 시스템 | |
KR102054894B1 (ko) | 무선 랜 접속을 위한 채널 스캔 방법 | |
KR20120107236A (ko) | 액세스 포인트 위치 보정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