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47B1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47B1
KR101640447B1 KR1020150100313A KR20150100313A KR101640447B1 KR 101640447 B1 KR101640447 B1 KR 101640447B1 KR 1020150100313 A KR1020150100313 A KR 1020150100313A KR 20150100313 A KR20150100313 A KR 20150100313A KR 101640447 B1 KR101640447 B1 KR 10164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file
unit
dat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준
최정훈
Original Assignee
김경준
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준, 최정훈 filed Critical 김경준
Priority to KR102015010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318
    • G06F17/30017
    • G06F17/30047
    • G06F17/30268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되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콘텐츠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집, 저장, 검색 및 분석 등의 다양한 연산처리가 가능하며,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의 형태, 패턴, 사람들의 의식 예측 등의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파일에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종속되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됨으로써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big-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media data}
본 발명은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가 하나의 파일로 운영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통해 빅 데이터의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IT) 분야에서 가장 주목 받는 키워드인 빅 데이터(big data)는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로서,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빅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value) 정보를 여과해 내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빅 데이터는 대부분이 비정형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전파가 빠르며 변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전체 또는 일정한 패턴을 검출하기가 어려워 수집, 저장, 검색 및 분석 등에 활용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다.
특히 네트워크 인프라, 멀티미디어 산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단말기의 기술이 발전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이미지 파일의 사용량 및 사용분야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이미지 파일(이하 멀티미디어 데이터라고 함)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비정형화된 형태로 이루어져 방대한 사용량에 비교하여 파일 관리 및 데이터 마이닝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데이터 마이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이미지 파일은 그림 또는 사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각정보 데이터이며, jpg, png, bmp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이미지 파일은 콘텐츠 제공서버(9)에 의하여 콘텐츠(150)로 활용되어 각종 다양한 웹 사이트에 노출되어 해당 사이트에 접속된 유저에 의해 열람된다.
콘텐츠 제공서버(9)는 콘텐츠(150)를 구성하는 이미지(140)는 이미지 데이터서버(191)로, 텍스트로 구성되는 콘텐츠정보(130)는 콘텐츠정보 데이터서버(193)로 분리하여 저장한다. 이때 콘텐츠정보(130)는 콘텐츠정보 데이터서버(193)에 저장될 때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또한 콘텐츠 제공서버(9)가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콘텐츠 제공서버(9)는 콘텐츠(150)를 구성하는 이미지(140) 및 콘텐츠정보(130)를 분류한 후 분류된 이미지(140)를 이미지 데이터서버(191)로 저장하며, 분류된 콘텐츠정보(130)를 일일이 분석하여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후 분류된 콘텐츠정보들을 카테고리 별로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산처리가 복잡하며,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콘텐츠(150)에 적용된 이미지 파일(140) 자체가 정형화되어 저장, 수집 및 검색 등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이미지 파일(140)이 적용된 콘텐츠(150)의 콘텐츠정보(130)들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140)은 여전히 비정형화된 상태로 운영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이미지 파일(140) 자체의 본질적인 가치를 예측 및 여과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즉 빅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value) 정보를 여과하기 위해서는 비정형 데이터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형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및 방법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60973호(발명의 명칭 : 상세정보 이미지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에는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이미지 파일은 'Adobe' 제조사의 'Flash'가 구동되는 환경에서만 전시 및 열람이 가능하여 서비스가 제한적이며, HTML 활용 능력을 보유한 사람만이 이미지 파일을 활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제작이 이루어지고 나면, 제작자가 자신이 제작 및 편집한 이미지 파일이 어느 웹 사이트로 확산 및 응용되었는지 또는 몇 번의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다른 열람자에 의해 2차 편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의 활용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지 않아 파일 관리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1)이미지 파일에 텍스트정보를 포함하여 비정형 데이터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형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며, 2)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가 하나의 파일로 운영되어 모든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되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콘텐츠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집, 저장, 검색 및 분석 등의 다양한 연산처리가 가능하며,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의 형태, 패턴, 사람들의 의식 예측 등의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파일에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종속되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됨으로써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이미지뿐만 아니라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포함하되 텍스트 추가저장으로 인한 데이터용량의 증가를 감안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의 고효율 압축방식으로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고압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보전달성은 현저히 증가시키되 파일용량의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뷰어 프로그램이 고기능 이미지 파일에 최적화로 개발된 자바 뷰어 엔진(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유저에 의해 별도로 설치되지 않아도 모든 브라우저 환경에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전시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기 설정된 서버의 통신식별정보를 통신모듈 정보로 저장하고, 뷰어 프로그램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열람될 때 뷰어 프로그램이 열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통신정보의 통계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의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통계데이터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에 텍스트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텍스트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는 파일 편집장치;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콘텐츠에 활용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서버;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탐색하여 탐색된 텍스트정보들을 활용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수행하는 데이터마이닝 서버;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상기 파일 편집장치에 의해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웹 사이트에서 열람될 때 호출되어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뷰어 프로그램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편집장치는 기 설정된 서버의 통신정보를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호출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전시할 때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노출되는 웹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는 전송받은 활용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 별 노출 위치 및 횟수를 포함하는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 편집장치는 이미지를 불러오며,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통신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편집부; 상기 편집부에 의해 저장된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된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를 압축하는 인코딩부로 구성되는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 편집장치는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제작 또는 편집이 완료되면, 제작 또는 편집이 완료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생성정보를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는 전송받은 신규 생성정보에 따라 상기 통계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서 부가설명이 추가되고자 하는 객체인 특정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특정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정보는 상기 특정영역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제어 및 부가설명과, 상기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에 관련된 사이트의 링크정보, 상기 이미지의 파일명,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설명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링크정보로 등록된 웹 사이트가 접속될 때 접속된 웹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상기 통신정보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압축 해제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를 분석 및 추출하는 응용 서비스부; 상기 특정영역이 설정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와, 각 특정영역에 대한 텍스트정보가 전시되는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 서비스부는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로부터 호출될 때 현재 열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상기 통신정보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는 특정영역들 각각의 인접한 지점에 표시기호를 전시하고, 상기 표시기호는 대응되는 특정영역의 링크정보의 사이트가 쇼핑에 관련된 사이트인지 또는 정보제공을 위한 사이트인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상기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전시할 때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로 상기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보기 열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는 전송받은 상세보기 열람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통계데이터에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의 열람 횟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되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콘텐츠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집, 저장, 검색 및 분석 등의 다양한 연산처리가 가능하며,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의 형태, 패턴, 사람들의 의식 예측 등의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파일에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종속되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됨으로써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이미지뿐만 아니라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포함하되 텍스트 추가저장으로 인한 데이터용량의 증가를 감안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의 고효율 압축방식으로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고압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보전달성은 현저히 증가시키되 파일용량의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뷰어 프로그램이 고기능 이미지 파일에 최적화로 개발된 자바 뷰어 엔진(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유저에 의해 별도로 설치되지 않아도 모든 브라우저 환경에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기 설정된 서버의 통신식별정보를 통신모듈 정보로 저장하고, 뷰어 프로그램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열람될 때 뷰어 프로그램이 열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통신정보의 통계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의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통계데이터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데이터 마이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서버에 종래의 이미지 파일이 저장될 때와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적용될 때 데이터가 활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7은 도 4의 뷰어 프로그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8은 도 4의 파일 편집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압축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뷰어 프로그램을 모바일 및 웹 서비스에 노출시키기 위한 코딩이다.
도 11은 도 4의 뷰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실제화면이다.
도 14는 도 4의 통계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이미지와,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정보와, 파일의 응용 및 확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응용서비스정보를 포함하고,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파일과 별개로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종속되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되는 새로운 기능 및 타입의 이미지 파일(이하 멀티미디어 데이터라고 함)이다.
또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됨으로써 텍스트정보를 기반으로 수집, 저장, 검색 및 분석 등의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며, 파일 자체만으로 서비스의 형태, 패턴, 사람들의 인식 예측 등의 데이터 마이닝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이미지와,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와, 파일의 응용 및 확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정보를 포함하고,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파일과는 별개로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종속되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되는 새로운 타입 및 기능의 이미지 파일이다.
또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필드(203)와, 이미지에 대한 관련정보인 텍스트정보가 저장되는 일반필드(201)와, 파일의 운영, 응용 및 확장에 관련된 정보인 응용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응용필드(202)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일반필드(201) 및 응용필드(202)에 저장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와, 이미지 필드(203)에 저장된 이미지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압축된다.
이미지 필드(203)에는 공지된 이미지, 상세하게로는 ani, bmp, cal, fax, gif, h에, img, jpe, jpec, jpg, mac, pbm, pcd, pct, pcx, pgm, png, ppm, psd, ras, tga, tif, tiff 및 wmf 등의 이미지가 저장된다.
일반필드(201)에는 이미지에 관련된 관련정보인 텍스트정보가 저장되고, 텍스트정보는 EXIF 정보(211), 일반정보(212), 상세정보(213)로 이루어진다.
EXIF 정보(211)는 공지된 바와 같이 파일의 일반적인 속성 정보로서, 상세하게로는 제조사, 카메라 모델, 이미지 에디터, 사진보정날짜, 촬영날짜, 사진크기, 노출시간 등의 정보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메타 데이터로 불리기도 한다.
일반정보(212)는 전체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이며, 상세하게로는 이미지의 제목(파일명), 전체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상세정보(213)는 이미지 내 객체이미지들 중 제작자가 상세한 설명을 추가하고자 하는 객체(이하 특정영역이라고 함)들 각각에 관련된 텍스트정보이며, 상세하게로는 특정영역들 각각의 위치정보, 특정영역들 각각의 제목,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 각 특정영역에 연결되는 링크정보, 기타정보로 이루어진다. 이때 링크정보는 해당 특정영역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해당 특정영역에 대한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응용필드(202)에는 이미지에 대한 응용 및 확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되는 응용서비스정보가 저장되고, 응용서비스정보는 통신정보(221), 보안정보(222) 및 광고정보(223)로 이루어진다.
통신정보(221)는 기 설정된 관리서버의 통신식별정보로 정의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노출될 때 활용데이터를,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링크정보(213)의 웹 사이트가 클릭되어 접속될 때 접속확인 데이터를 후술되는 도 11의 뷰어 프로그램(500)으로부터 전송받음으로써 전송받은 활용데이터 및 접속확인 데이터를 통해 전파 및 열람경로, 전파 및 열람 위치, 열람 및 노출 정도 등을 검출함과 동시에 이들의 통계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미지 파일의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웹 사이트에서 노출이 이루어지면 후술되는 도 11의 뷰어 프로그램(500)이 응용필드(202)에 저장된 통신정보(221)의 주소를 갖는 관리서버로 활용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활용데이터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웹 사이트의 주소, 노출 횟수를 포함한다.
또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링크정보(213)가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면 뷰어 프로그램(500)은 해당 파일의 통신정보의 관리서버로 클릭된 링크정보 및 상기 링크정보로 클릭이 이루어졌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링크정보의 사이트의 접속 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활용데이터 및 접속확인데이터를 통해 비정형 데이터인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활용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활용데이터의 통계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기호, 관심 등과 같은 다양한 가치 창출이 가능하며,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각종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보안정보(222)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편집 가능한 식별자에 대한 인증정보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외부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포함한다.
인증정보는 편집 가능한 식별자에 대한 인증정보이며, 파일 제작 시 제작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됨으로써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특정한 식별자(제작자)에 의해서만 편집 또는 수정이 가능하며, 일반 유저는 열람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무분별한 2차 편집 및 비정상적인 파일 제작으로 인한 폐해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암호정보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 상세하게로는 텍스트정보(211), (212), (213) 및 응용서비스정보(221), (222), (223)들을 외부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보이다.
광고정보(223)는 일반필드(201)에 저장되는 상세정보(213)를 기반으로 키워드 광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 광고서버(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 정보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광고정보(223)에 의하여 기본정보의 텍스트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인 키워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콘텐츠 제공서버(9)는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활용하여 각종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뉴스, 검색, 전자상거래, 쇼핑 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개인 홈페이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서버(9)는 콘텐츠(150)에 적용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별도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91)에 저장한다. 이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도 2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텍스트정보(211), (212), (213)(일반필드에 저장) 및 응용서비스정보(221), (222), (223)(응용필드에 저장)가 자동 분류되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서버(9)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만을 저장하는 것만으로 이미지 파일을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수집, 분석, 검색 등의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의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1)은 클라이언트(3-1), ..., (3-N)들과, 제작자 클라이언트(2)와, 제작자 클라이언트(2)에 설치되어 전술하였던 도 3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제작 및 편집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파일 편집장치(300)와, 파일 편집장치(300)에 의해 제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이용하여 각종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과,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에 의해 해당 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열람이 이루어질 때 호출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전시함과 동시에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통신정보의 통계관리서버(7)로 활용데이터 또는 접속확인데이터를 전송하는 뷰어 프로그램(500)과, 뷰어 프로그램(500)으로부터 전송받은 활용데이터 노출 또는 클릭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하는 통계관리서버(7)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일반필드(201)에 저장되는 링크정보의 정보제공 사이트(5)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되는 링크정보의 쇼핑사이트(6)와, 콘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들을 탐색하여 데이터 분석, 수집 및 검색 등의 연산서비스를 수행하는 연산서비스 서버(30)와, 접속대상(3-1), ..., (3-N), (5), (6), (7), (9-1), ..., (9-N), (30)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뷰어 프로그램(500)은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열람이 이루어질 때 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다양한 웹 환경에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열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작자 클라이언트(2) 및 클라이언트(3-1), ..., (3-N)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작자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들 중 파일 편집장치를 이용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제작 및 편집하는 클라이언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보제공 사이트(5) 및 쇼핑사이트(6)가 한 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정보제공 사이트(5) 및 쇼핑사이트(6)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특정영역들의 수량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망(4)은 접속대상(3-1), ..., (3-N), (5), (6), (7), (9-1), ..., (9-N)들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하는 접속경로를 제공하며,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 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 망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통신망(4)에 이동 통신망이 적용되는 경우 이동 통신망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명령 신호를 인터넷 전용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도록 DCN(Data Core Network, 미도시) 및 각종 제어기(미도시) 등이 구성된다.
이때 통신망(4)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라이언트(3-1), ..., (3-N)들은 통신망(4)에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 및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통신망(4)의 형태에 따라 유선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이동통신 모듈들을 포함하며, 통신망(4)에 접속할 수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인터넷 TV 및 전자액자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작자 클라이언트(2)는 통신망(4)에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 및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이며, 파일 편집장치(300)가 설치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제작 및 편집한다.
파일 편집장치(300)는 전술하였던 도 3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제작 및 편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또한 파일 편집장치(300)는 도 3에서는 제작자 클라이언트(2)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파일 편집장치(300)는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일 편집장치(30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제작 및 편집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통계관리서버(7)로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생성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통계관리서버(7)는 새롭게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은 파일 편집장치(300)에 의해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활용하여 뉴스, 검색, 전자상거래, 쇼핑 사이트, 소셜 네트워트 서비스, 개인 홈페이지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접속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버이다.
또한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은 도 3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콘텐츠에 적용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때문에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정형화시키거나 또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작업 등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검색 등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과, 정보제공 사이트(5) 및 쇼핑 사이트(6)들이 분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의 URL 주소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링크정보로 저장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 서버(3)는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에 저장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를 탐색하여 기 설정된 연산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이때 데이터마이닝 서버(3)는 데이터 분석, 수집, 검색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서버에 종래의 이미지 파일이 저장될 때와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적용될 때 데이터가 활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서버(9'), (9)들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이미지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에 콘텐츠정보가 분리되어 저장된다.
우선 콘텐츠 제공서버(9')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종래의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데이터 분석, 수집 및 검색 등의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데이터마이닝 서버(30)가 수행될 때 데이터마이닝 서버(30)가 비정형 데이터인 이미지 파일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콘텐츠정보를 탐색하여 탐색된 정형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 자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 및 분석할 수 없는 한계를 갖게 된다.
즉 이러한 구성은 이미지 파일 자체를 활용하여 연산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이미지 파일이 활용된 콘텐츠정보를 활용하여 연산을 처리하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마이닝이 수행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빅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며, 특정 웹 사이트에서만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한계를 갖는다.
콘텐츠 제공서버(9)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술하였던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저장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때문에 데이터마이닝 서버(3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일반필드(201)에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활용하여 연산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마이닝 서버(30)는 이미지 파일 자체에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활용하여 연산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 자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텍스트정보가 파일에 종속되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됨으로써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전술하였던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제작되는 단계(S10)와, 각종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9)의 웹 사이트에 단계 10(S10)에 의해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등록되는 단계(S20)와, 단계 20(S20)에 의해 등록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91)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30)와, 관리자로부터 연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키워드를 입력받는 입력단계(S40)와, 데이터마이닝 서버(30)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를 탐색하여 키워드에 대응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들을 추출하는 단계(S50)와, 단계 50(S50)에 의해 추출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활용하여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 자체에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콘텐츠 및 이미지 파일들 각각으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여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들이 하나의 파일로 운영되기 때문에 특정 웹 사이트에 한해서만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웬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뷰어 프로그램(500)은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열람될 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로부터 호출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가 모든 서비스와 웹브라우저에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또한 뷰어 프로그램(500)은 호출되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전시할 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통신정보(221)의 통계관리서버(7)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노출되는 특정 웹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뷰어 프로그램(500)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열람하는 클라이언트(3-1), ..., (3-N)들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링크정보(213)를 클릭하여 링크정보(213)에 해당하는 사이트(5), (6)를 접속할 때 접속된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통계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는 통계관리서버(7)의 통신정보(221)가 별도로 저장되고, 뷰어 프로그램(200)에 의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콘텐츠 제공서버(9-1), ..., (9-N)들의 특정 웹페이지에 노출되어 열람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링크정보가 클릭될 때 뷰어 프로그램(200)이 통계관리서버(7)로 활용데이터 또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통계관리서버(7)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전파 및 열람경로, 전파 및 열람 위치, 열람 및 노출 정도 등의 활용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통계관리서버(7)는 전송받은 활용데이터 및 접속확인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확산되고 있는지 또는 어느 웹 사이트에서 몇 번의 열람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열람을 통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링크정보로 몇 번의 접속이 이루어졌지 등을 포함하는 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통계관리서버(7)는 자신의 통신정보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응용필드(202)에 저장되며, 새로운 형태 및 기능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통계데이터를 통해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때 통계관리서버(7)의 통신정보는 파일 편집장치(300)에 의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제작될 때 제작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도 7은 도 4의 뷰어 프로그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뷰어 프로그램(50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콘텐츠 제공서버(9)에 접속된 클라이언트(3-1), ..., (3-N)들에 의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열람이 이루어지면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는 뷰어 프로그램(500)이 호출된다(S10).
호출된 뷰어 프로그램(500)은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분석 및 추출(S20), (S30)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전시한다(S40). 이때 뷰어 프로그램(500)은 전시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클릭되면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뷰어 프로그램(500)은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콘텐츠 제공서버(9)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통신정보(221)의 통계관리서버(7)로 전송함으로써 통계관리서버(7)는 뷰어 프로그램(500)으로부터 전송받은 활용데이터를 통해 해당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어느 사이트에서 얼마만큼의 노출이 이루어졌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S50).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3-1), ..., (3-N)들은 뷰어 프로그램(500)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웹 사이트에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열람할 수 있게 되고, 뷰어 프로그램(500)은 클라이언트(3-1), ..., (3-N)들로부터 상세보기를 요청받으면 후술되는 도 14의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를 클라이언트(3-1), ..., (3-N)들의 화면에 전시한다(S70). 이때 뷰어 프로그램(500)은 클라이언트(3-1), ..., (3-N)들로부터 상세보기를 요청받으면 통계관리서버(7)로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보기 열람 데이터를 통계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또한 뷰어 프로그램(500)은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가 클라이언트(3-1), ..., (3-N)들에게 제공되면 상세보기 열람데이터를 통계관리서버(7)로 전송함으로써 통계관리서버(7)는 상세보기의 열람 횟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뷰어 프로그램(500)은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를 통해 클라이언트(3)로부터 특정영역의 링크정보가 클릭되어 링크된 사이트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통계관리서버(7)로 전송함으로써 통계관리서버(7)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링크된 사이트들 각각의 접속 횟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1)은 뷰어 프로그램(500)이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기 때문에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모든 웹 사이트에서 열람이 가능하게 되고, 호출 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통신정보(221)의 통계관리서버(7)로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뷰어 프로그램(500)은 전시 중인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링크정보들 중 클라이언트(3-1), ..., (3-N)들로부터 특정 링크정보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통계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즉 통계관리서버(7)는 전송받은 활용데이터 또는 접속확인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제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들 각각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통계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4의 파일 편집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의 파일 편집장치(30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 편집장치(이하 파일 편집프로그램이라고 함)(300)는 이미지에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삽입하여 이들을 압축하여 전술하였던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제작 및 편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또한 파일 편집기(300)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3)와, 입력된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전처리부(305)와, 전처리부(305)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입력하는 편집부(307)와, 편집부(307)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압축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제작하는 제작부(309)와, 이들 제어대상(303), (305), (307), (309)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01)로 이루어진다.
전처리부(305)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제1 메모리(351)와,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디코딩하는 디코딩부(353)와, 디코딩부(353)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이미지 파일이 편집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354)와, 판단부(354)에 의해 입력된 파일이 열람 가능한 파일이라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입력된 파일의 데이터를 분석 및 추출하는 분석 및 추출부(355)와, 분석 및 추출부(355)에 의해 추출된 이미지 및 데이터를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시하는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357)로 이루어진다.
제1 메모리(351)에는 디코딩부(353)에서 수행되는 기 설정된 압축해제 알고리즘과, 불러온 이미지 파일과, 기 제작된 전시 인터페이스인 UI(User Interface) 와 UX(User Experience)가 저장된다.
디코딩부(353)는 불러온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 상세하게로는 불러온 이미지 파일이 종래의 이미지 파일인 경우 공지된 방법으로 종래의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며, 불러온 이미지 파일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인 경우 기 설정된 압축해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이때 디코딩부(353)의 압축해제는 제작부(309)의 인코딩부(397)의 압축순서에 대향되는 순서로 디코딩을 수행한다.
판단부(354)는 디코딩부(353)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이미지 파일이 편집 가능한 파일인지를 판단한다.
분석 및 추출부(355)는 판단부(354)에 의해 편집이 가능한 파일이라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압축이 해제된 이미지 파일 또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된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추출한다.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357)는 분석 및 추출부(355)에 의해 추출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들을 기 제작된 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 전시한다. 이때 전시 인터페이스가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를 전시하는 방법은 후술되는 도 7 내지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편집부(307)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제2 메모리(371)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편집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전시하는 편집 인터페이스 제공부(373)와, 이미지에 관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부(375)와, 이미지 내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하는 객체인 특정영역을 설정하는 특정영역 설정부(376)와, 특정영역 설정부(376)에 의해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에 링크되는 링크정보가 입력되는 링크 입력부(377)와, 텍스트 입력부(375), 특정영역 설정부(376) 및 링크 입력부(377)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을 편집 인터페이스에 전시시키는 디스플레이부(379)로 이루어진다.
제2 메모리(371)에는 입력된 이미지와, 기 제작된 편집 인터페이스와, 텍스트 입력부(375)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와, 특정영역 설정부(376)에 의해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링크 입력부(377)에 입력된 특정영역이미지들 각각의 링크정보가 저장된다.
편집 인터페이스 제공부(373)는 기 제작된 편집 인터페이스를 유저의 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한다. 이때 편집 인터페이스는 이미지가 전시되는 전시란, 이미지 내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지는 객체인 특정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특정영역 설정란, 전술하였던 도 2의 통신정보(221), 보안정보(222) 및 광고정보(223)를 포함하는 응용서비스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란들을 포함하고, 텍스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란, 상세하게로는 파일명을 입력받는 입력란, 이미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란,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의 주제어를 입력받는 입력란,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부가설명을 입력받는 입력란 등을 포함한다.
또한 편집 인터페이스의 전시 및 표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내용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전시 및 표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텍스트 입력부(375)는 유저로부터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텍스트정보는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이며,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이미지의 제목, 이미지에 대한 부가설명, 특정영역들 각각의 주제어,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부가설명 등을 포함한다.
특정영역 설정부(376)는 이미지 내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하는 객체인 특정영역이 유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정된다. 이때 특정영역 설정부(376)에 의해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의 위치정보는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제2 메모리(371)에 저장된다.
링크 입력부(377)는 특정영역 설정부(376)에 의해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링크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된 링크정보는 파일 생성 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일반필드(201)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379)는 텍스트 입력부(375), 특정영역 설정부(376) 및 링크 입력부(377)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작부(309)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제3 메모리(391)와, 디스플레이부(393), 암호화부(395), 인코딩부(397)로 이루어진다.
제3 메모리(391)에는 고효율 압축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이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이미지에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가 추가로 저장됨에 따라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특성을 감안하여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고효율로 압축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고효율 압축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도 9는 도 8의 압축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인코딩부(397)는 제3 메모리(391)에 저장된 고효율 압축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편집부(307)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압축한다. 이때 고효율 압축 알고리즘은 이미지에 대한 웨이블렛(Wavelet) 코딩의 압축방식인 IW44 방식과, 웨이블렛 코딩에 의하여 손상된 이미지의 손실 값을 보정하면서 텍스트 등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허프만(Huffman)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편집부(307)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와,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와, 이미지 파일 손실에 대한 오차 값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 압축함으로써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비하여 품질 및 해상도 손실 없이 파일용량의 크기를 평균 5분의 1 이하로 압축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압축 알고리즘이다.
또한 인코딩부(397)는 입력된 이미지를 16×16의 크기의 블록들로 설정하는 블록화부(801)와, 블록화부(801)에 의해 나누어진 16×16 블록들을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처리하는 DCT부(802)와, DCT부(802)에 의해 DCT 처리된 블록들을 16×16 양자화 행렬을 통해 양자화시키는 양자화 처리부(803)와, 양자화된 16×16 블록의 DC-계수를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처리하는 DPCM부(804)와, 양자화된 16×16 블록의 AC-계수를 RLC(Run-length coding) 처리하는 RLC부(805)와, DPCM부(804)에 의해 부호화된 계수 및 RLC부(805)에 의해 부호화된 계수를 허프만 코딩하는 허프만 코딩부(806)와, DPCM부(804)에 의해 부호화된 계수 및 RLC부(805)에 의해 부호화된 계수를 웨이블렛 코딩하는 웨이클렛 코딩부(807)로 이루어진다.
블록화부(801)는 입력된 이미지를 색도 컬러 색상 공간(YIQ)로 변환한 후 'Y'값은 유지하되 색차 신호인 'I', 'Q' 값은 4×4 또는 4×2 또는 2×2 또는 2×1의 크기의 블록으로 유지하여 샘플링 함으로써 색차신호에 대한 분류를 추가한다. 이때 색차 신호는 차이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초기 컬러에 대한 값의 기준치만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블록화부(801)는 샘플링된 신호를 16×16 크기로 블록화 한 후 레벨-시프트(Level-shift) 하여 블록의 평균값을 낮춰 부호를 가진 정수로 변환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블록의 크기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압축효율은 높아지나 변환의 구현이 어려워지며, 해상도 손상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8의 크기로 블록화한 후 변환하였으나, 본 발명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16×16의 크기로 블록화한 후 변화됨으로써 종래의 이미지 파일에 대비하여 압축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를 16×16의 크기로 블록화 함으로써 압축효율을 높이는 대신 종래의 이미지 파일에 대비하여 해상도 손상이 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압축방법을 연구하여 적용하였다.
DCT부(802)는 손실압축의 변환코딩이며, 이사인 코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16×16 블록 단위로 DCT 처리하여 256개의 데이터들을 낮은 주파수 영역(DC) 및 높은 주파수 영역(AC)들로 변환한다.
양자화부(803)는 DCT 처리된 데이터들을 양자화(Quantization)하여 샘플링에서 얻어진 아날로그 레벨을 한정된 디지털 값으로 할당함으로써 데이터들을 샘플링된 아날로그 레벨을 한정된 값에 한정하는 부호화작업을 통해 비트수를 줄인다.
DPCM부(804)는 손실압축 방식의 예측 코딩 방식이며, 양자화된 DC-계수의 예측표본값과 실제 표본값의 차이를 부호화한다.
RLC부(805)는 무손실 압축 방식이며, 양자화된 AC-계수에서 집합으로 변환시키되 0은 제외하고, 0이 나오는 횟수와 0다음에 오는 값을 변환함으로써 비트수를 줄인다.
허프만 코딩부(806)는 무손실 압축 방식으로서, DPCM 처리된 DC-계수 및 RLC 처리된 AC-계수를 허프만 코드 테이블을 기반으로 허프만 코딩한다.
웨이블렛 코딩부(807)는 손실 압축 방식으로서, DPCM 처리된 DC-계수 및 RLC 처리된 AC-계수를 웨이블렛 코드 데이블을 기반으로 웨이블렛 코딩한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코딩부(397)는 오차 값 검출부(미도시), 보정부(미도시) 및 인코딩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오차 값 검출부는 허프만 코딩부(806)에 의해 검출된 계수들 각각의 코딩 값과, 웨이블렛 코딩부(807)에 의해 검출된 계수들 각각의 코딩 값을 비교한다. 이때 오차 값 검출부는 만약 두 데이터의 오차가 임계치 미만이면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만약 두 데이터의 오차가 임치계 이상이면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두 데이터의 오차 값을 검출한다.
보정부는 기 설정된 보정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차 값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오차값을 분석하여 오차를 보정한다.
인코딩 모듈은 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계수(DC-계수 및 AC-계수)들 및 보정부에 의해 보정이 이루어진 계수(DC-계수 및 AC-계수)들과, 인증 및 암호화부(395)에 의해 암호화 처리된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 정보를 인코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코딩부(397)는 손실압축 및 무손실압축 방식을 적절하게 혼합함과 동시에 예측코딩 및 양자화를 이용함으로써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비하여 품질 및 해상도의 손실 없이도 압축률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코딩부(397)는 기 설정된 오차 값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16×16 크기의 블록의 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웨이블렛 코딩 및 허프만 코딩의 오차 값을 검출한 후 이들의 오차 값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파일 편집장치(300)는 이미지를 16×16 크기의 블록단위로 변환하여 압축을 수행함으로써 압축효율을 종래의 이미지 파일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시킴과 동시에 블록크기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해상도 손상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순수 이미지에 대한 웨이블렛 코딩 및 허프만 코딩의 오차 값을 통하여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해상도 손실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미지뿐만 아니라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은 인코딩부(397)가 손실압축 및 무손실압축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미지만이 저장된 종래의 이미지 파일보다 더 작은 파일 크기를 갖게 되고, 이러한 데이터용량의 절감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포함하여 파일용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종래기술(100)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뷰어 프로그램을 모바일 및 웹 서비스에 노출시키기 위한 코딩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어 프로그램(500)은 구동 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전시하며, JAVA Engine에 연동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열람될 때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로부터 호출되어 가 모든 서비스와 모바일 및 웹브라우저에서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모든 웹사이트에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들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1)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들을 포함하여 종래의 이미지 파일이 단순히 시각정보만을 전달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2)모든 웹 사이트에서 노출이 가능하여 특정 웹 사이트에서만 열람이 가능하거나 또는 전용 뷰어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만 열람이 가능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4의 뷰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의 뷰어 프로그램(500)은 전술하였던 도 2의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열전시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뷰어 프로그램(500)은 JAVA Script Engine과 통신하기 위한 API를 제공하여 모든 서비스와 모바일 및 웹브라우저에서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뷰어 프로그램(500)은 제어부(501)와, 통신 인터페이스부(502), 메모리(503), 디코딩부(504), 응용 서비스부(505), 데이터 추출부(506), 디스플레이부(506'),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507), 마우스위치 감지부(509)로 이루어진다.
메모리(503)에는 기 설정된 전시방법 알고리즘 및 기 설정된 디코딩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3)에는 기 제작된 일반전시 전시 인터페이스 및 상세전시 전시 인터페이스가 저장된다.
디코딩부(504)는 메모리(503)에 저장된 디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입력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압축을 해제한다.
응용 서비스부(505)는 디코딩부(504)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들을 분석한다.
또한 응용 서비스부(505)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에 통신정보(221)를 검출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열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웹 사이트의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통신정보(221)의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정보의 관리서버는 뷰어 프로그램(500)의 응용 서비스부(506)로부터 전송받은 활용데이터를 통해 해당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현재 어느 웹 사이트에서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해당 파일의 노출 횟수 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추출부(506)는 데이터 분석부(505)에 의해 분석된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한다.
디스플레이부(506')는 데이터 추출부(506)에 의해 분석된 이미지를, 현재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웹 페이지에 디스플레이 한다.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507)는 디스플레이부(506')에 의해 전시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일반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70)를 유저의 화면에 전시하며, 유저로부터 상세보기를 요청받으면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를 전시한다.
마우스위치 감지부(509)는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507)에 의하여 전시 인터페이스(570) 또는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가 전시될 때 구동되며, 유저의 마우스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마우스위치 감지부(509)는 검출된 마우스의 현재 위치정보를 통해 유저의 마우스가 이미지 내에 위치하는지를 비교한다.
도 12는 도 11의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의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57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이미지(250)가 전시되는 이미지 전시란(571)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70)는 마우스위치 감지부(509)에 의해 유저의 마우스가 이미지 전시란(571) 내에 위치하면 특정영역(573-1), (573-2). (573-3)들에 표시되는 표시기호(575), (577)들을 노출시킨다. 이때 표시기호는 대응되는 특정영역이미지의 링크정보가 일반정보인 경우에 표시기호 'i'(575)로, 대응되는 특정영역이미지의 링크정보가 결제 가능 및 쇼핑 관련 정보인 경우에 's'(577)로 표시된다. 이때 일반정보는 특정영역이미지에 대한 상세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등으로 정의되며, 결제 가능 및 쇼핑 관련 정보는 특정영역이미지에 대한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사이트 등으로 정의된다.
즉 열람자는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507)에서 제공하는 일반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70)를 통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이미지(250)를 열람함과 동시에 마우스의 위치 및 표시기호를 통하여 특정영역(573-1), (573-2), (573-3)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507)는 이미지(250)가 유저의 마우스에 의해 클릭되면 후술되는 도 13의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를 화면에 전시한다.
도 13은 도 8의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실제화면이다.
도 13의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는 일반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에 전시되는 이미지(250)가 유저의 마우스에 의해 클릭될 때 전시되며, 데이터 추출부(506)에 의해 추출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가 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는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전시되는 이미지 표시부(581)를 포함한다.
또한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 상세하게로는 이미지의 제목이 전시되는 제목전시란(584)과, 이미지에 대한 상세설명이 이미지 상세설명 전시란(585)과, 특정영역들 각각의 주제어들이 표시되는 특정영역 주제어란(586-1),(586-2), (586-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정영역 주제어란(586-1), (586-2), (586-3)들 중 어느 하나가 마우스에 의해 클릭되면 클릭된 특정영역에 대한 부가설명이 전시되는 특정영역 부가설명란이 전시되거나 또는 특정영역에 대응되는 링크정보의 사이트로 접속하여 접속된 사이트의 창이 전시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세보기 전시 인터페이스(58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텍스트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전시함으로써 열람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들을 간단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세보기 뷰어 인터페이스(580)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텍스트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전시함으로써 열람자가 이미지뿐만 아니라 이미지에 관련된 텍스트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도 4의 통계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의 통계관리서버(7)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72)와, 통신망(4)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와, 파일 편집장치(300) 및 뷰어 프로그램(500)으로부터 전송받은 신규 생성정보, 활용데이터 및 접속확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74)와, 데이터 분석부(74)에 의해 분석된 신규 생성정보를 통해 신규 제작되거나 또는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을 데이터베이스부(72)에 분산 저장하는 파싱부(75)와, 데이터 분석부(74)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각 고기능 이미지 파일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하는 통계데이터 생성부(76)와, 유저의 요청에 따라 통계데이터 생성부(76)에 의해 생성된 통계데이터를 정렬하는 데이터 정렬부(77)와, 데이터정렬부(77)에 의해 정렬된 통계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78)와,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71)로 이루어진다.
제어부(71)는 통계관리서버(7)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뷰어 프로그램(500)으로부터 전송받은 신규생성 정보, 활용데이터 및 접속확인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부(74)로 입력한다.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파일 편집장치(300)에 의해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제작자 정보, 이미지, 텍스트정보, 응용서비스정보들이 저장되고, 통계데이터 생성부(76)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된 통계데이터가 저장된다.
파싱부(75)는 데이터 분석부(74)로부터 신규 생성정보를 입력받으면 신규 생성정보를 통해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의 제작자정보, 이미지, 텍스트정보 및 응용서비스정보를 파일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통계데이터 생성부(76)는 데이터 분석부(74)로부터 활용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고기능 이미지 파일(200)이 현재 노출되고 있는 웹사이트의 링크정보 및 링크정보에서의 노출 횟수 등을 포함하는 통계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한다.
또한 통계데이터 생성부(76)는 데이터 분석부(74)로부터 접속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클릭된 링크정보 및 해당 링크정보로의 클릭 횟수 등을 포함하는 통계데이터를 생성 및 갱신한다.
데이터 정렬부(77)는 관리자(유저)의 요청에 따라 통계데이터 생성부(76)에 생성된 통계데이터를 정렬한다. 이때 정렬은 파일 별, 날짜 별, 시간 별, 크기 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8)는 통계데이터 생성부(76)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된 통계데이터를 데이터 정렬부(77)에 의해 정렬된 순서에 따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1: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3-1, ..., 3-N:클라이언트
5:정보제공 사이트 6:쇼핑사이트 7:통계관리서버
9-1, ..., 9-N:콘텐츠 제공서버 30:데이터마이닝 서버
200:고기능 이미지 파일 300:파일 편집장치
500:뷰어 프로그램

Claims (9)

  1.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에 텍스트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텍스트정보를 기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는 파일 편집장치;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콘텐츠에 활용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서버;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탐색하여 탐색된 텍스트정보들을 활용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수행하는 데이터마이닝 서버;
    Java script Engine에 연동되어 상기 파일 편집장치에 의해 제작 및 편집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웹 사이트에서 열람될 때 호출되어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뷰어 프로그램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편집장치는 기 설정된 서버의 통신정보를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호출되어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전시할 때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이 노출되는 웹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는 전송받은 활용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기능 이미지 파일 별 노출 위치 및 횟수를 포함하는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집장치는
    이미지를 불러오며,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통신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편집부;
    상기 편집부에 의해 저장된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된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를 압축하는 인코딩부로 구성되는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편집장치는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제작 또는 편집이 완료되면, 제작 또는 편집이 완료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 및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생성정보를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는 전송받은 신규 생성정보에 따라 상기 통계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서 부가설명이 추가되고자 하는 객체인 특정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특정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정보는 상기 특정영역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제어 및 부가설명과, 상기 설정된 특정영역들 각각에 관련된 사이트의 링크정보, 상기 이미지의 파일명,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설명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링크정보로 등록된 웹 사이트가 접속될 때 접속된 웹 사이트의 URL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확인 데이터를 상기 통신정보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압축 해제된 고기능 이미지 파일의 텍스트정보 및 통신정보를 분석 및 추출하는 응용 서비스부;
    상기 특정영역이 설정된 이미지가 전시되는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와, 각 특정영역에 대한 텍스트정보가 전시되는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시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 서비스부는 상기 고기능 이미지 파일로부터 호출될 때 현재 열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포함하는 활용데이터를 상기 통신정보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보기 전시인터페이스는 특정영역들 각각의 인접한 지점에 표시기호를 전시하고,
    상기 표시기호는 대응되는 특정영역의 링크정보의 사이트가 쇼핑에 관련된 사이트인지 또는 정보제공을 위한 사이트인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프로그램은 상기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를 전시할 때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로 상기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보기 열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정보의 서버는 전송받은 상세보기 열람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통계데이터에 상세보기 전시인터페이스의 열람 횟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KR1020150100313A 2015-07-15 2015-07-15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KR10164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13A KR101640447B1 (ko) 2015-07-15 2015-07-15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13A KR101640447B1 (ko) 2015-07-15 2015-07-15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447B1 true KR101640447B1 (ko) 2016-07-18

Family

ID=5667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313A KR101640447B1 (ko) 2015-07-15 2015-07-15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612B1 (ko) * 2020-09-25 2021-05-13 김형준 콘텐츠의 분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524A (ko) * 2004-11-23 2007-08-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116724A (ko) * 2009-04-23 2010-11-02 (주) 아워텍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524A (ko) * 2004-11-23 2007-08-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116724A (ko) * 2009-04-23 2010-11-02 (주) 아워텍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612B1 (ko) * 2020-09-25 2021-05-13 김형준 콘텐츠의 분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385B2 (ja) デジタルイメージ再圧縮
US69316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ppending information to graphical files stored in specific graphical file formats
CN1317661C (zh) 通过提供万维网文件布局图像简化因特网搜索的系统和方法
Tsai et al. Location coding for mobile image retrieval
Jiang et al. Direct content access and extraction from JPEG compressed images
KR102138896B1 (ko) 소셜미디어, 마케팅 및 전자상거래를 통합한 o2o 기반 멀티플랫폼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30195901A1 (en) Database building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s
KR20040038458A (ko) 소형 화면 단말기를 위한 웹 컨텐츠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800121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unrestricted content on a user terminal
CN107329963B (zh) 加速网页访问的方法和装置
US20040071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based querying using video compression format
US9667696B2 (en) Low latency web-based DICOM viewer system
CN112445997A (zh) 一种提取cms多版本识别特征规则的方法及装置
KR101685932B1 (ko) 고기능 이미지 파일 및 이의 편집장치
KR101644858B1 (ko) 고기능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10164044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빅 데이터 처리 및 관리시스템
Meng et al. A robust coverless video steganography based on maximum DC coefficients against video attacks
US20020087577A1 (en) Database building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s
KR101646038B1 (ko) 이미지 파일을 활용한 분석 및 통계시스템
CN110032432A (zh) 实例的压缩方法和装置、实例的解压方法和装置
CN1592280A (zh) 用于网页概括的网关
KR20030063559A (ko) 엑스엠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변환 방법
KR20150089510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Gupta et al. Mobile web: web manipulation for small displays using multi-level hierarchy page segmentation
KR20150089508A (ko) 텍스트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과, 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