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013B1 -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 Google Patents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013B1
KR101640013B1 KR1020160001058A KR20160001058A KR101640013B1 KR 101640013 B1 KR101640013 B1 KR 101640013B1 KR 1020160001058 A KR1020160001058 A KR 1020160001058A KR 20160001058 A KR20160001058 A KR 20160001058A KR 101640013 B1 KR101640013 B1 KR 10164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equency signal
detection frequency
dete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범
Original Assignee
유경제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제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경제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1Obstacle de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G01R31/024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은,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의 단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증폭부, 제1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 필터부,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디지털 증폭부, 및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TRANSMITTER MODULE AND RECEIVER MODULE FOR DETECTING OBSTRU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를 횡단하는 고가 차도나 낙석 또는 토사 붕괴가 우려되는 지역 등에는 자동차나 낙석 등과 같은 장애물이 선로에 침입하는 것을 검지하여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0658호(2012.05.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7456호(2010.07.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로에 지장물이 침입되었는지 여부를 항상 실시간으로 검지할 수 있는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은,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의 단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디지털 증폭부; 및 상기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진부는, 상기 지장물 검지망의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제1 발진부; 상기 지장물 검지망의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제2 발진부; 및 상기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 및 상기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발진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지장물 검지 장치에 마련되는 테스트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패스 필터는,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대역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증폭부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제1 디지털 증폭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제2 디지털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1 필터부 및 상기 제2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2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상기 지장물 검지망과 연결되는 튜닝부로 출력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튜닝부로부터 상기 튜닝부에서 상기 지장물 검지망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출력 레벨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지장물 검지 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제1 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 단자;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원의 레벨과 다른 레벨을 가지는 제2 전원을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 단자; 상기 입력된 제1 전원을 과전류 및 써지로부터 보호하는 제1 전원 보호부; 및 상기 입력된 제2 전원을 과전류 및 써지로부터 보호하는 제2 전원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전원 보호부로부터 상기 제1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제1 색 LED; 및 상기 제2 전원 보호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제1 색과는 다른 색을 발광하는 제2 색 LE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색 LED 및 상기 제2 색 LED는, 상기 제1 색 LED 및 상기 제2 색 LED의 동작 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이 혼합되어 제3 색을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은,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의 단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및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상기 지장물 검지망으로 출력하는 튜닝부로부터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출력 레벨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레벨 검출부는, 상기 튜닝부로부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를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듈은,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모듈에서 상기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상기 지장물 검지망과 연결되는 튜닝부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모듈로서,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값과 기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제어부는,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값과 기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이 일치하는 제1 조건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검지 주파수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을 상기 비교 제어부로 전달하는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튜닝부로부터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매칭 트랜스부; 상기 매칭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비교 제어부로 전달하는 출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비교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정류하며, 정류한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레벨에 따라 지장물 검지 장치의 지장물 계전기부를 동작시키는 계전기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전기 구동 제어부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계전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지장물 계전기부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계전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지장물 계전기부를 구동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제어부는,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지장물 검지 장치에 마련되는 테스트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지장물 검지 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원을 상기 제1 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제2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정전압부; 및 상기 제1 정전압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을 상기 제2 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제3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정전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장물 검지망의 단선 여부를 상시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열차 운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신호 정지시 열차의 기관사가 지장물 침입 여부를 현장에서 확인하고 열차 운행이 가능 시에 보호 해제 버튼 장치를 취급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열차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구간(예를 들어, 폐색 구간 및 역 구내 등)의 지장물 검지망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의 상태를 인접역으로 전송함으로써, 인접역에서도 지장물 침입 여부 및 열차 운행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속선 구간이 아닌 일반선 구간 및 고속화 구간에서도 선로변 지장물(예를 들어, 낙석, 차량 등)의 침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장물 검지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1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부(112) 및 수신 모듈부(113)와 튜닝부(120)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 및 전송부(150)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계전기부(130) 및 제1 인터페이스부(140)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어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부(16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팬 모듈(116)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부(11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듈부(11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장물 검지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장물 검지 시스템(10)은 지장물 검지 장치(100), 지장물 검지망(200),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 신호 제어 장치(400), 및 인접역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시스템(10)은 선로에서 폐색 구간 단위 및/또는 역 구내 구간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폐색 구간은 열차의 충돌 또는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간으로서, 한 폐색 구간에는 한 대의 열차만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역 구내 구간은 역에서 열차의 진입 구간 및 진출 구간을 포함하는 구간으로, 역 구내 구간의 열차 진입 및 진출은 전자 연동 장치(Electroinc Interlocking System : EI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을 통해 제1 선로(50) 및 제2 선로(60)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즉, 검지선의 단선 여부)를 검지하여 지장물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된 경우, 열차가 해당 선로(50, 60)(즉,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된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선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해당 선로(50, 60) 인근에 설치된 신호 제어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와 연동하여 신호 제어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된 경우, 지장물 검지 신호를 해당 선로 구간의 신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와 연동하여 신호 제어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차의 기관사가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된 영역의 지장물 유무를 확인하여 선로 변에 이상이 없는 경우,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신호 제어 장치(400)를 제어하여 열차가 해당 선로(50, 60)를 해당 선로 구간의 규정 속도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해제 신호를 신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인접역 장치(500)로 지장물 검지망(200)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지장물 검지망(200)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선로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인접역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역에서 열차 안전 운행을 감시 및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지장물 검지망(200)은 제1 선로(50)(열차가 제1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선로) 및 제2 선로(60)(열차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지장물(支障物)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지장물 검지망(200)은 일종의 펜스(Fence) 구조물로서, 제1 선로(50) 및 제2 선로(60)를 따라 제1 선로(50) 및 제2 선로(6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지장물 검지망(200)은 일정 선로 구간 별(즉, 폐색 구간 별)로 지장물 유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선로(50) 및 제2 선로(60)를 따라 일정 구간마다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선로 구간에 지장물 검지망(200)이 1개 설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선로(50) 또는 제2 선로(60)에 설치되는 경우) 1선 검지가 이루어지며, 선로 구간에 지장물 검지망(200)이 2개 설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선로(50) 및 제2 선로(60)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2선 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는 제1 선로(50)를 따라 제1 선로(50)의 인근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는 제2 선로(60)를 따라 제2 선로(60)의 인근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지장물 검지 장치(100)에서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을 검지한 경우, 해당 선로(50, 60)로 진입하려고 하는 열차는 신호기의 정지 신호에 따라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열차의 기관사는 해당 선로(50, 60)의 지장물 유무를 확인하여 열차 운행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를 누르게 된다. 이때,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는 지장물 해제 신호를 지장물 검지 장치(100)로 발생시킬 수 있다.
신호 제어 장치(400)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선로(50, 60) 변에 설치되는 신호기(4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 제어 장치(400)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로부터 지장물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선로(50, 60) 이전에 설치되는 신호기(420)가 "정지" 신호를 현시하도록 신호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제어 장치(400)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로부터 지장물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선로(50, 60) 이전에 설치되는 신호기(420)가 "진행" 신호(또는 신호 현시 계열에 부합한 신호)를 현시하도록 신호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제어 장치(400)는 선로변 제어 유니트(Line Electronic Unit : LEU) 및 폐색 제어 장치(Automatic Block System : AB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역 구내 구간의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는 전자 연동 장치(Electroinc Interlocking System : E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접역 장치(500)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지장물 검지망(200)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열차 안전 운행을 감시 및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외부 케이스(101) 및 외부팬 모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1)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케이스를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외부 케이스(101)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케이스(10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방열형 기구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팬 모듈(103)은 외부 케이스(101)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팬 모듈(103)은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환기 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부팬 모듈(103)은 외부 케이스(101)의 내측 상단에서 외부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장물 검지 장치(100)는 검지 제어부(110), 튜닝부(120), 제어 계전기부(130), 제1 인터페이스부(140), 전송부(150), 및 전원 장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모듈 형태(또는 카드 화일)로 구성될 수 있다.
검지 제어부(11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를 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검지 제어부(11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에 따라 제어 계전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검지 제어부(110)는 전송부(150)를 통해 지장물 검지망(200)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접역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지 제어부(110)는 전원부(111), 송신 모듈부(112), 수신 모듈부(113),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 및 내부팬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1)는 전원 장치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원부(111)는 전원 장치부로(160)부터 제공되는 교류(AC) 220V의 전원을 직류(DC) 24V 및 직류 10V로 각각 변환한 후, 직류 24V의 전원 및 직류 10V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각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각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11)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대기 2중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송신 모듈부(112)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주파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지 주파수를 튜닝부(120)(보다 자세하게는, 송신 튜닝부(12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송신 모듈부(112)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개수에 따라 1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24Hz)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79Hz)를 생성하고, 생성한 1선용 검지 주파수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를 송신 튜닝부(121)로 출력할 수 있다. 송신 모듈부(112)는 검지 주파수를 상시(즉,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수신 모듈부(113)는 튜닝부(120)(보다 자세하게는, 수신 튜닝부(122))로부터 검지 주파수를 수신한다. 수신 모듈부(113)는 튜닝부(120)로부터 1선용 검지 주파수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를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장물 검지망(200)에 단선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신 모듈부(113)는 검지 주파수를 상시 수신하게 된다. 지장물 검지망(200)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수신 모듈부(113)는 검지 주파수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수신 모듈부(113)는 검지 주파수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어 계전기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부(113)는 검지 주파수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계전기부(130)의 지장물 검지 계전기(Intrusion Detector Relay : IDR)를 온(On)시키고, 검지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 계전기부(130)의 지장물 검지 계전기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는 지장물 검지망(200)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즉, 상태 정보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는 지장물 검지망(200)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예를 들어, F1 ~ F18)를 생성할 수 있다.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송신 모듈부(112)로부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송신 모듈부(112)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수신 모듈부(113)로부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수신 모듈부(113)가 수신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로부터 상태 정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는 측정된 전압 레벨 및 주파수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팬 모듈(116)은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팬 모듈(116)은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 ℃) 이상인 경우 동작되어 검지 제어부(110)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내부팬 모듈(116)은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튜닝부(120)는 송신 모듈부(112) 및 수신 모듈부(113)와 지장물 검지망(200)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튜닝부(120)는 송신 튜닝부(121) 및 수신 튜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튜닝부(121)는 송신 모듈부(112)와 지장물 검지망(200) 사이에 마련되고, 송신 모듈부(112)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튜닝부(121)는 송신 모듈부(112)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를 임피던스 매칭시켜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튜닝부(122)는 지장물 검지망(200)과 수신 모듈부(113) 사이에 마련되고, 지장물 검지망(200)과 수신 모듈부(113) 간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튜닝부(122)는 지장물 검지망(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검지 주파수를 임피던스 매칭시켜 수신 모듈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 계전기부(13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상태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에 따라 신호 제어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계전기부(13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이 검지된 경우(즉, 지장물 검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로 지장물 검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는 해당 선로(50, 60) 이전에 설치되는 신호기(420)가 "정지" 신호를 현시하도록 하여 열차가 해당 선로(50, 60)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계전기부(130)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보호 해제 버튼이 눌려진 경우(즉,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만족된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로 지장물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는 해당 선로(50, 60) 이전에 설치되는 신호기(420)가 "진행" 신호(또는 신호 현시 계열에 부합한 신호)를 현시하도록 하여 열차가 해당 선로(50, 60)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140)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와 지장물 검지 장치(100) 간을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140)는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로 펄스를 발생하여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부(14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복구 전까지 자기 유지(Self-Holding)를 통해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계속적으로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140)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와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 간의 회선이 단선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부(140)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유지 및 보수 시 보수자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부(150)는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가 생성하는 상태 정보 주파수를 인접역 장치(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전송부(150)는 인접역 장치(500)와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 사이에서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장치부(160)는 신호 제어 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장치부(160)는 신호 제어 장치(400)로부터 교류 220V 또는 교류 600V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신호 제어 장치(400)로부터 교류 600V를 입력받는 경우, 전원 장치부(160)는 교류 600V를 교류 220V로 변환할 수 있다. 전원 장치부(160)는 신호 제어 장치(4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전원부(11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1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부(111)는 주 전원부(1111), 부 전원부(1112), 휴즈부(1113), 및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전원부(1111)는 전원 장치부(160)로부터 교류 전원(예를 들어, AC 220V)을 입력받을 수 있다. 주 전원부(1111)는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10V 및 직류 24V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주 전원부(1111)는 직류 10V 및 직류 24V의 전원을 해당 전원이 필요한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주 전원부(1111)는 과전류 보호를 위해 휴즈부(1113)를 통해 직류 10V 및 직류 24V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부 전원부(1112)는 주 전원부(1111)의 고장 시 전원을 각 구성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평상시에는 주 전원부(1111)가 전원을 공급하며, 주 전원부(1111)의 고장 시 부 전원부(1112)가 주 전원부(1111)를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부 전원부(1112)는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1114)를 통해 전원 장치부(160)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부 전원부(1112)는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10V 및 직류 24V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부 전원부(1112)는 직류 10V 및 직류 24V의 전원을 해당 전원이 필요한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부 전원부(1112)는 과전류 보호를 위해 휴즈부(1113)를 통해 직류 10V 및 직류 24V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1114)는 주 전원부(1111)의 고장 시 전원 장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부 전원부(1112)로 인가하고, 주 전원부(1111)의 고장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1114)는 a 접점(1114a) 및 b 접점(1114b)을 포함할 수 있다. a 접점(1114a)의 일단은 주 전원부(1111) 및 부 전원부(1112)의 직류 출력 전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a 접점(1114a)의 타단은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b 접점(1114b)의 일단은 부 전원부(1112)의 교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b 접점(1114b)의 타단은 전원 장치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주 전원부(1111)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1114)에 전원이 인가되어 여기됨에 따라 a 접점(1114a)은 단락되고, b 접점(1114b)은 개방되어 주 전원부(1111)를 통해 각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반면, 주 전원부(1111)의 고장으로 고장 신호(Fail)가 출력되는 경우,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1114)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여기가 해제됨에 따라 a 접점(1114a)은 개방되고, b 접점(1114b)은 단락되어 부 전원부(1112)를 통해 각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부(111)는 주 전원부(1111) 및 부 전원부(1112)에 의한 대기 2중계로 구현됨으로써, 주 전원부(1111)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부(112) 및 수신 모듈부(113)와 튜닝부(120)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 모듈부(112)는 제1 송신 모듈(112a) 및 제2 송신 모듈(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모듈(112a)은 1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24 Hz)를 생성하여 튜닝부(120)로 출력하고, 제2 송신 모듈(112b)은 2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79 Hz)를 생성하여 튜닝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장물 검지망(200)이 1선용인지 2선용인지에 따라 제1 송신 모듈(112a) 또는 제2 송신 모듈(112b)이 1선용 검지 주파수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 모듈부(113)는 제1 수신 모듈(113a) 및 제2 수신 모듈(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모듈(113a)은 튜닝부(120)로부터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수신 모듈(113b)은 튜닝부(120)로부터 2선용 검지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 모듈부(112) 및 수신 모듈부(113)는 1선용 지장물 검지망(200) 및 2선용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를 모두 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신 모듈(113a) 및 제2 수신 모듈(113b)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검지 주파수 선택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수신 모듈(113a) 및 제2 수신 모듈(113b) 중 적어도 하나에는 1선용 검지 주파수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를 각각 수신할 수 있도록 검지 주파수 선택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튜닝부(120)는 송신 튜닝부(121) 및 수신 튜닝부(122)를 포함하며, 송신 튜닝부(121)는 제1 송신 튜닝부(121a) 및 제2 송신 튜닝부(121b)를 포함하고, 수신 튜닝부(122)는 제1 수신 튜닝부(122a) 및 제2 수신 튜닝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튜닝부(121a)는 제1 송신 모듈(112a)에서 출력되는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매칭하여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송신 튜닝부(121b)는 제2 송신 모듈(112b)에서 출력되는 2선용 검지 주파수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매칭하여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수신 튜닝부(122a)는 지장물 검지망(200)으로부터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매칭하여 제1 수신 모듈(113a)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수신 튜닝부(122b)는 지장물 검지망(200)으로부터 2선용 검지 주파수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매칭하여 제2 수신 모듈(113b)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송신 튜닝부(121a)는 제1 써지 보호부(1211a), 임피던스 매칭부(1212a), 거리 보상부(1213a), 및 제2 써지 보호부(1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써지 보호부(1211a)는 제1 송신 모듈(112a)로부터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써지 보호부(1211a)는 제1 송신 모듈(112a)과 제1 송신 튜닝부(121a) 간에 발생하는 위협 요인으로부터 제1 송신 튜닝부(121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1212a)는 제1 송신 모듈(112a)과 지장물 검지망(200)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임피던스 매칭부(1212a)에서 출력되는 1선용 검지 주파수의 출력 레벨값이 제1 송신 모듈(112a)로 피드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리 보상부(1213a)는 제1 송신 튜닝부(121a)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의 거리에 따라 1선용 검지 주파수의 출력이 보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보상부(1213a)는 제1 송신 튜닝부(121a)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1선용 검지 주파수의 출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제2 써지 보호부(1214a)는 임피던스 매칭부(1212a)에서 출력되는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써지 보호부(1214a)는 제1 송신 튜닝부(121a)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에 발생하는 위협 요인으로부터 제1 송신 튜닝부(121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송신 튜닝부(121b)는 제1 송신 튜닝부(121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수신 튜닝부(122a)는 제1 써지 보호부(1221a), 임피던스 매칭부(1222a), 거리 보상부(1223a), 및 제2 써지 보호부(122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써지 보호부(1221a)는 임피던스 매칭부(1222a)에서 출력되는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제1 수신 모듈(113a)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써지 보호부(1221a)는 제1 수신 모듈(113a)과 제1 수신 튜닝부(122a) 간에 발생하는 위협 요인으로부터 제1 수신 튜닝부(122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1222a)는 제1 수신 모듈(113a)과 지장물 검지망(200)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리 보상부(1223a)는 제1 수신 튜닝부(122a)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의 거리에 따라 1선용 검지 주파수의 출력이 보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보상부(1213a)는 제1 수신 튜닝부(122a)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1선용 검지 주파수의 출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제2 써지 보호부(1224a)는 지장물 검지망(200)으로부터 입력되는 1선용 검지 주파수를 임피던스 매칭부(1222a)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써지 보호부(1224a)는 제1 수신 튜닝부(122a)와 지장물 검지망(200) 간에 발생하는 위협 요인으로부터 제1 수신 튜닝부(122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수신 튜닝부(122b)는 제1 수신 튜닝부(122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송신 튜닝부(121)는 송신 모듈부(112)와 별개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 모듈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튜닝부(122)는 수신 모듈부(113)와 별개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 모듈부(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 및 전송부(150)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는 지장물 검지망 상태 정보 송신부(1141), 보호 해제 버튼 상태 정보 송신부(1142), 제1 예비 송수신부(1143), 및 제2 예비 송수신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는 전원부(111)로부터 직류 전원(예를 들어, 직류 24V 및 직류 10V)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지장물 검지망 상태 정보 송신부(1141)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생성하여 전송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지장물 검지망 상태 정보 송신부(1141)는 제어 계전기부(130)로부터 지장물 검지망(200)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지장물 검지망(200)의 상태는 정상, 단선, 및 복구 등이 있을 수 있다. 지장물 검지망 상태 정보 송신부(1141)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각 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보호 해제 버튼 상태 정보 송신부(1142)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생성하여 전송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보호 해제 버튼 상태 정보 송신부(1142)는 제어 계전기부(130)로부터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는 정상, 보호 해제, 및 보수 등이 있을 수 있다. 보호 해제 버튼 상태 정보 송신부(1142)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각 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예비 송수신부(1143) 및 제2 예비 송수신부(1144)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상태 정보 및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상태 정보 이외에 다른 송신 제어 정보 조건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예비 송수신부(1143) 및 제2 예비 송수신부(1144)는 인접역으로 주파수 송신 기능과 인접역으로부터 주파수 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는 지장물 검지망 상태 정보 송신부(1141), 보호 해제 버튼 상태 정보 송신부(1142), 제1 예비 송수신부(1143), 및 제2 예비 송수신부(1144)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를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할 수 있다.
전송부(150)는 라인 트랜스부(151) 및 통신용 보안기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트랜스부(151)는 제1 라인 트랜스부(151a) 및 제2 라인 트랜스부(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 트랜스부(151a)는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와 인접역 A(예를 들어, 이전 역)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상태 정보 주파수 신호를 인접역 A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라인 트랜스부(151b)는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와 인접역 B(예를 들어, 다음 역)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상태 정보 주파수 신호를 인접역 B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라인 트랜스부(151a) 및 제2 라인 트랜스부(151b)는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 주파수 신호의 전송 특성 및 신호대 잡음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용 보안기부(152)는 제1 통신용 보안기부(152a) 및 제2 통신용 보안기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용 보안기부(152a)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써지로부터 제1 라인 트랜스부(151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통신용 보안기부(152b)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써지로부터 제2 라인 트랜스부(151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통신용 보안기부(152a) 및 제2 통신용 보안기부(152b)는 아날로그 주파수 전송에 영향이 없는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계전기부(130) 및 제1 인터페이스부(140)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계전기부(130)는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 및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는 수신 모듈부(113)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는 수신 모듈부(113)가 검지 주파수를 수신하는 경우 온(On) 동작되고, 수신 모듈부(113)가 검지 주파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오프(Off) 동작될 수 있다.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가 오프(Off)되는 것은 지장물 검지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지장물 검지 조건이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2)는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가 온(On)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로 지장물 검지망(200)이 정상임을 알리는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가 오프(Off) 동작하는 경우,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로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임을 알리는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에서는 지장물 검지망(200)이 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정보 주파수가 출력되다가 상기 상태 정보 주파수의 출력이 중단되게 된다. 그러면, 인접역에서는 상기 상태 정보 주파수의 수신이 되지 않음을 보고 해당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된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2)는 신호 제어 장치(400)로 지장물 검지 조건(또는, 지장물 검지 신호)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2)는 제1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보호 해제 버튼 조건(또는, 지장물 해제 신호)을 신호 제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는 제1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114)로 전달하여 기관사가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를 취급한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정보 주파수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140)는 정전압부(141), 펄스 발생부(142), 펄스 제어부(143),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 보수자 확인 알람부(145),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 및 보호 해제 버튼 회선 검지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부(141)는 전원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24V 전원을 직류 12V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인터페이스부(14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압부(141)는 제1 인터페이스부(140)에 전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펄스 발생부(142)는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펄스 발생부(142)는 예를 들어, 60 Hz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펄스 발생부(142)는 펄스 신호의 발생을 위해 정현파 발진기를 구비할 수 있다.
펄스 제어부(143)는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의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펄스 신호를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로 전달하여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를 점멸시킬 수 있다. 또한, 펄스 제어부(143)는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의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펄스 신호를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로 전달하여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를 점멸시킬 수 있다.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는 보수자가 취급할 수 있는 보수자 확인 스위치(또는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는 보수자가 보수자 확인 스위치를 취급하는 경우 온(On) 동작될 수 있다. 이때, 펄스 제어부(143)는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의 동작 조건(즉, 보수자 확인 조건)에 따라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를 점멸시킬 수 있다.
보수자 확인 알람부(145)는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의 동작 조건에 따라 알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수자 확인 알람부(145)가 알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보수자는 보수자 확인 스위치를 취급하였음을 인지하고 작업 완료 시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평상 시에 오프(Off)되어 있다가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로부터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온(On)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지장물 검지 조건이 입력된 상태에서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온(On) 동작된다. 그러면, 펄스 제어부(143)는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의 동작 조건에 따라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를 점멸시킬 수 있다.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단선이 된 지장물 검지망(200)이 복구될 때까지 자기 유지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면, 펄스 제어부(143)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LED를 계속적으로 점멸시키게 된다.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지장물 검지망(200)이 복구되는 경우(즉,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가 다시 온(On) 동작되는 경우), 자기 유지를 해제하여 오프(Off)된다. 그러면, 펄스 제어부(143)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로 펄스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어 계전기부(130)의 제어부(132)는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의 동작 조건에 따라 신호 제어 장치(400)로 지장물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호 해제 버튼 회선 검지부(147)는 제1 인터페이스부(140)와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 간의 회선이 단선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 및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가 제1 인터페이스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 및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제어 계전기부(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 및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의 일부는 제1 인터페이스부(140)에 구비되고, 나머지는 제어 계전기부(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는 단자대(301), 스위치부(302), 점멸 표시부(303), 및 시설명 확인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부호 300a는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단자대(301)는 제1 단자(1), 제2 단자(2), 제3 단자(3), 및 제4 단자(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는 회선 검지를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제1 단자(1)는 보호 해제 버튼 회선 검지부(147) 및 스위치부(302)의 b 접점(b)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2)는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을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제2 단자(2)는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 및 스위치부(302)의 a 접점(a)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3 단자(3)는 펄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제3 단자(3)는 펄스 제어부(143) 및 점멸 표시부(30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4 단자(4)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스위치부(302)는 a 접점(a) 및 b 접점(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b 접점(b)은 항상 연결된 상태로 있어 보호 해제 버튼 회선 검지부(147)가 제1 인터페이스부(140)와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 간의 회선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접점(a)은 기관사가 취급하는 버튼(즉, 보호 해제 버튼)으로, 평상시에는 단선되어 있다가 기관사가 눌렀을 때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즉, 기관사가 지장물 검지망(200)이 단선된 상태에서 열차 운행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a 접점(a)을 눌러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을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로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는 지장물 검지 조건이 입력된 상태에서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되므로 온(On) 동작하게 되고, 펄스 제어부(143)는 펄스 신호를 점멸 표시부(303)로 출력하여 점멸 표시부(303)를 점멸시키게 된다.
그러나, 지장물 검지망(200)이 정상인 상태에서는 기관사가 a 접점(a)을 누르더라도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에 지장물 검지 조건이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가 온(On) 동작하지 않게 되고, 펄스 제어부(143)도 점멸 표시부(303)를 점멸시키지 않게 된다.
점멸 표시부(303)는 펄스 제어부(143)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를 통해 점멸될 수 있다. 점멸 표시부(303)는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146)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점멸 표시부(303)는 지장물 검지망(200)이 복구될 때가지 계속적으로 점멸됨으로써, 기관사가 보호 해제 버튼을 취급하였음을 인지(또는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점멸 표시부(303)는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144)의 동작 조건에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점멸 표시부(303)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이외에 점멸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시설명 확인부(304)는 기관사가 해당 위치를 확인하고, 보호 해제 버튼 장치(300)의 취급에 관련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어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제어 장치(400)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와 인터페이스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410)를 포함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410)는 인터페이스 단자대(411),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 및 제2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단자대(411)는 지장물 검지 장치(100)의 제어 계전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단자대(411)는 제5 단자(5), 제6 단자(6), 제7 단자(7), 및 제8 단자(8)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단자(5)는 지장물 검지 조건이 입력되는 단자일 수 있다. 제5 단자(5)는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와 연결된다. 제6 단자(6)는 보수자 확인 조건이 입력되는 단자일 수 있다. 제6 단자(6)는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와 연결된다. 제7 단자(7)는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될 수 있다. 제7 단자(7)는 제2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413)와 연결된다. 제8 단자(8)는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제8 단자(8)는 입력되는 전원을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 및 제2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413)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는 평상시에는 온(On) 동작하다가 지장물 검지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오프(Off)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는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가 온(On) 동작하는 경우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도 온(On) 동작하고,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가 오프(Off)되는 경우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도 오프(Off) 될 수 있다.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가 오프(Off) 되는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는 신호기(420)가 "정지" 신호를 현시하도록 신호기(4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는 제2 지장물 계전기부(412)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보수자 확인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온(On)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제어 장치(400)는 신호기(420)가 "진행" 신호(또는 신호 현시 계열에 부합한 신호)를 현시하도록 신호기(4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413)는 평상 시에 오프(Off)되어 있다가 보호 해제 버튼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온(On) 동작될 수 있다. 제2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413)가 온(On) 동작되는 경우, 신호 제어 장치(400)는 신호기(420)가 "진행" 신호(또는 신호 현시 계열에 부합한 신호)를 현시하도록 신호기(4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부(16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원 장치부(160)는 제1 휴즈부(161), 보안기부(162), 전원 트랜스부(163), 및 제2 휴즈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휴즈부(161)는 제2 인터페이스부(410)와 전원 트랜스부(16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휴즈부(161)는 과전류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부(4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안기부(162)는 제1 휴즈부(161)와 전원 트랜스부(163)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기부(162)에는 써지 카운터, 전원 입력 확인, 및 고장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예를 들어, LED)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 트랜스부(163)는 제2 인터페이스부(410)로부터 교류 전원(예를 들어, AC 220 V 또는 AC 600 V)를 입력받는다. 전원 트랜스부(163)는 입력받은 교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예를 들어, AC 600 V를 AC 220 V로 변환)하여 전원부(111)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휴즈부(164)는 전원 트랜스부(163)와 전원부(1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휴즈부(164)는 과전류로부터 전원 트랜스부(16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팬 모듈(116)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팬 모듈(116)은 센서부(1161), 역방향 방지 회로(1162), 팬 제어부(1163), 및 내부 팬(116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61)는 제1 온도 센서(1161a) 및 제2 온도 센서(1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1161a) 및 제2 온도 센서(1161b)는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1161a) 및 제2 온도 센서(1161b)는 검지 제어부(11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역방향 방지 회로(1162)는 내부팬 모듈(116)로부터 외부로의 역 전류를 차단하여 다른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팬 제어부(1163)는 센서부(1161)를 통해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팬 제어부(1163)는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에 따라 내부 팬(1164)을 동작시킬 수 있다. 팬 제어부(1163)는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 ℃) 이상인 경우, 내부 팬(1164)을 동작시켜 검지 제어부(110)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내부 팬(1164)은 검지 제어부(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와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내부 팬(1164)은 DC용 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내부팬 모듈(11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외부팬 모듈(103)도 이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모듈부(11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송신 모듈부(112)는 발진부(11201), 출력 조절부(11202), 제1 증폭부(11203), 제1 필터부(11204), 디지털 증폭부(11205), 제2 필터부(11206), 출력 레벨 검출부(11207), 표시 알림부(11208), 전원 입력부(11209), 전원 스위치부(11210), 제1 전원 보호부(11211), 및 제2 전원 보호부(1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부(11201)는 지장물 검지망(200)의 단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역할을 한다. 발진부(11201)는 1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24 Hz
Figure 112016000892404-pat00001
20 Hz) 신호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79 Hz
Figure 112016000892404-pat00002
20 Hz) 신호를 상시 발진하여 제1 증폭부(1123)로 제공할 수 있다. 발진부(11201)는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제1 발진부(11201a),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제2 발진부(11201b),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 또는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도록 하는 스위치부(11201c)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1201c)에 의해 제1 발진부(11201a) 및 제2 발진부(11201b)는 선택적으로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거나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게 된다.
출력 조절부(11202)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지장물 검지 장치(100)(보다 자세하게는, 송신 모듈부(112))에서 요구되는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 조절부(11202)는 가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조절부(11202)는 제1 증폭부(11203) 내에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증폭부(11203)는 발진부(11201)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증폭부(11203)는 증폭시킨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제1 필터부(11204)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증폭부(11203)는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하여 증폭시킨 검지 주파수 신호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증폭부(11203)는 증폭시킨 검지 주파수 신호를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 주파수 신호를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함으로써,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1 증폭부(11203)에서 검지 주파수 신호를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 모듈부(112)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제1 필터부(11204) 또는 제2 필터부(11206) 등)에서 검지 주파수 신호를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필터부(11204)는 제1 증폭부(112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필터부(11204)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밴드 패스 필터는 제1 증폭부(112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824 Hz 또는 879 Hz)과 대응되는 주파수를 통과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11204)를 제1 증폭부(112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대응되는 밴드 패스 필터로 구현함으로써,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검지 주파수 신호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밴드 패스 필터는 LC 직렬 공진 회로 또는 LC 병렬 공진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증폭부(11205)는 제1 필터부(11204)에서 출력되어 입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제2 필터부(11206)로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증폭부(11205)는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증폭부(11205)는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의 2중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있더라도 정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검지 주파수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제1 필터부(11204)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제1 필터부(11204)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고,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쇼트 및 언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각각 PWM 변조 회로, 전력 증폭 회로, 온도 감지 회로, 및 과전류 차단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과전류 또는 과열 등의 발생 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여 송신 모듈부(11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 및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b)는 과전류 또는 과열 등의 차단 조건이 해소되는 경우, 검지 주파수 신호를 다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2 필터부(11206)는 디지털 증폭부(11205)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여 튜닝부(120)(보다 자세하게는 송신 튜닝부(12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필터부(11206)는 디지털 증폭부(11205)와 마찬가지로 2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필터부(11206)는 제2-1 필터부(11206a) 및 제2-2 필터부(1120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필터부(11206a)는 제1 디지털 증폭부(11205a)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제2-2 필터부(11206b)는 제2 디지털 증폭부(11205a)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출력 레벨 검출부(11207)는 튜닝부(120)(보다 자세하게는 송신 튜닝부(121))로부터 튜닝부(120)에서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출력 레벨 검출부(11207)는 튜닝부(120)에서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여 표시 알림부(11208)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레벨 검출부(11207)는 정류부(11207a), 측정 단자부(11207b), 및 알림 제어부(11207c)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1207a)는 튜닝부(120)로부터 튜닝부(120)에서 지장물 검지망(200)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정류부(11207a)는 입력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를 DC 전압으로 정류할 수 있다. 측정 단자부(11207b)는 튜닝부(120)에서 피드백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알림 제어부(11207c)는 정류부(11207a)에서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레벨을 검지하고, 검지된 전압 레벨에 따라 표시 알림부(11208)로의 제어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알림 제어부(11207c)는 표시 알림부(11208)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튜닝부(120)에서 피드백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알림 제어부(11207c)는 표시 알림부(11208)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전원 입력부(11209)는 전원부(111)로부터 송신 모듈부(112)에 필요한 전원(DC 전원)을 입력받는다. 전원 입력부(11209)는 전원부(111)로부터 24V 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209a) 및 전원부(111)로부터 10V 전원을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 단자(11209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209)로 입력된 24V 전원 및 10V 전원은 해당 전원이 필요한 구성으로 공급되게 된다.
전원 스위치부(11210)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209a)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부(11210)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209a)로 입력되는 24V 전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스위치부(11210)가 온(ON) 되는 경우 24V 전원을 출력하고, 전원 스위치부(11210)가 오프(OFF) 되는 경우 24V 전원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송신 모듈부(112)의 디지털 증폭부(11205) 및 제2 필터부(11206)는 24V 전원을 사용하고, 그 이외의 구성은 10V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스위치부(11210)에서 24V 전원의 출력을 제어함에 따라, 송신 모듈부(112)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원 스위치부(11210)는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오프(OFF)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락(LOCK)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원 보호부(11211)는 전원 스위치부(11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 보호부(11211)는 전원 스위치부(112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즉, 24V 전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전원 보호부(11211)는 제1 휴즈부(11211a) 및 제1 써지 보호부(11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휴즈부(11211a)는 전원 스위치부(11210)로부터 출력되는 24V 전원에 대한 과전류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휴즈부(11211a)는 전원 스위치부(11210)로부터 출력되는 24V 전원을 제1 써지 보호부(11211b)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써지 보호부(11211b)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24V 전원을 보호하며 24V 전원을 안정적으로 표시 알림부(11208)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원 보호부(11212)는 제2 전원 입력 단자(11209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원 보호부(11212)는 제2 전원 입력 단자(11209b)로 입력되는 전원(즉, 10V 전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원 보호부(11212)는 제2 휴즈부(11212a) 및 제2 써지 보호부(11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즈부(11212a)는 제2 전원 입력 단자(11209b)로 입력되는 10V 전원에 대한 과전류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휴즈부(11211a)는 제2 전원 입력 단자(11209b)로 입력되는 10V 전원을 제2 써지 보호부(11212b)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써지 보호부(11212b)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10V 전원을 보호하며 10V 전원을 안정적으로 표시 알림부(11208)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08)는 튜닝부(120)에서 피드백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 및 송신 모듈부(112)의 전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08)는 출력 레벨 상태 표시부(11208a) 및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레벨 상태 표시부(11208a)는 알림 제어부(11207c)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튜닝부(120)에서 피드백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레벨 상태 표시부(11208a)는 알림 제어부(11207c)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온(ON)되고,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오프(OFF)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는 송신 모듈부(112)로 입력되는 전원(예를 들어, 24V 및 10V)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는 2색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는 제1 전원 보호부(11211)와 연결되며 24V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적색 LED 및 제2 전원 보호부(11212)와 연결되며 10V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녹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4V 전원 및 10V 전원이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는 주황색으로 발광되게 된다. 그리고, 24V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는 녹색으로 발광하게 되고, 10V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원 상태 표시부(11208b)는 적색으로 발광하게 되는 바, 송신 모듈부(112)로 입력되는 전원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듈부(11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신 모듈부(113)는 매칭 트랜스부(11301), 필터부(11302), 출력 조절부(11303), 제1 증폭부(11304), 제1 정류부(11305),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11306), 비교 제어부(11307), 입력 측정 단자부(11308), 제2 증폭부(11309),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 인터페이스부(11311), 표시 알림부(11312), 전원 스위치부(11313), 제1 정전압부(11314), 휴즈부(11315), 및 제2 정전압부(11316)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트랜스부(11301)는 튜닝부(120)(보다 자세하게는 수신 튜닝부(122))로부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는다. 매칭 트랜스부(11301)는 튜닝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매칭 트랜스부(11301)는 튜닝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입력비를 수신 모듈부(113)에 필요한 입력비(예를 들어, 1:1 또는 1:0.5 등)로 조절할 수 있다.
필터부(11302)는 매칭 트랜스부(11301)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11302)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밴드 패스 필터는 송신 모듈부(112)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824 Hz 또는 879 Hz)과 대응되는 주파수를 통과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출력 조절부(11303)는 필터부(11302)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지장물 검지 장치(100)(보다 자세하게는 수신 모듈부(113))에서 요구되는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 조절부(11303)는 가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폭부(11304)는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증폭부(11304)는 증폭시킨 검지 주파수 신호를 비교 제어부(11307)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정류부(11305)는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DC 전압으로 정류할 수 있다. 제1 정류부(11305)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정류부(11305)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값을 비교 제어부(11307)로 제공한다. 반면, 제1 정류부(11305)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값을 비교 제어부(11307)로 제공하지 않는다.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11306)는 해당 수신 모듈부(113)에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을 비교 제어부(11307)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듈부(112)에서 1선용 검지 주파수를 검지망(200)으로 출력한 경우,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11306)는 1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24Hz) 값을 비교 제어부(11307)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송신 모듈부(112)에서 2선용 검지 주파수를 검지망(200)으로 출력한 경우,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11306)는 2선용 검지 주파수(예를 들어, 879Hz) 값을 비교 제어부(11307)로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11306)는 사용자가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딥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비교 제어부(11307)는 제1 증폭부(11304)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값과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11306)로부터 입력되는 기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이 일치(이하, 제1 조건이라 지칭될 수 있음)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비교 제어부(11307)는 제1 정류부(11305)로부터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값이 수신(이하, 제2 조건이라 지칭될 수 있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비교 제어부(11307)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입력 측정 단자부(11308)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교 제어부(11307)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제2 증폭부(11309)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교 제어부(11307)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는 경우, 비교 제어부(11307)는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입력 측정 단자부(11308), 제2 증폭부(11309), 및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각각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정류부(11305)가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비교 제어부(11307)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값을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정류부(11305)가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값을 비교 제어부(11307)로 전달하고, 비교 제어부(11307)에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입력 측정 단자부(11308)는 비교 제어부(11307)에서 제공하는 검지 주파수 신호(즉,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증폭부(11309)는 비교 제어부(11307)에서 제공하는 검지 주파수 신호(즉, 출력 조절부(11303)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신호 레벨 안정화를 위해 증폭시킬 수 있다. 제2 증폭부(11309)는 증폭시킨 검지 주파수 신호를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증폭부(11309)는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하여 증폭시킨 검지 주파수 신호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제어 계전기부(130)의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제2 증폭부(11309)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DC 전압으로 정류할 수 있다.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레벨에 따라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를 온(ON)시킬 수 있다. 반면,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를 온(ON) 시키는 경우,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DC 24V)을 입력받아 인터페이스부(113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을 테스트 인터페이스부(115)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는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의 동작 상태를 표시 알림부(11312)로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311)는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와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 사이에 마련된다. 인터페이스부(11311)는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와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1311)는 계전기 구동 제어부(11310)로부터 외부 전원(예를 들어, DC 24V)를 입력받아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1311)는 별도의 외부 조건을 입력받아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전원 스위치부(11313)는 전원부(111)로부터 전원(예를 들어, 24V)을 입력받는다. 전원 스위치부(11313)는 전원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스위치부(11313)가 온(ON) 되는 경우 24V 전원을 출력하고, 전원 스위치부(11313)가 오프(OFF) 되는 경우 24V 전원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부(11313)는 전원 스위치부(11313)의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 알림부(11312)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부(11313)는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오프(OFF)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락(LOCK)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정전압부(11314)는 전원 스위치부(11313)로부터 출력되는 24V 전원을 써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전압부(11314)는 전원 스위치부(11313)로부터 출력되는 24V 전원을 예를 들어, 12V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정전압부(11314)는 12V 전원을 휴즈부(11315)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정전압부(11314)는 12V 전원의 출력 상태를 표시 알림부(11312)로 제공할 수 있다.
휴즈부(11315)는 제1 정전압부(11314)에서 출력되는 12V 전원을 수신 모듈부(113) 내에서 해당 전원이 필요한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휴즈부(11315)는 과전류를 검지 시 12V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휴즈부(11315)는 과전류에 따른 차단 조건이 해소되는 경우, 12V 전원을 다시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2 정전압부(11316)는 제1 정전압부(11314)에서 출력되는 12V 전원을 +5V 및 -5V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정전압부(11316)는
Figure 112016000892404-pat00003
5V 전원을 수신 모듈부(113) 내에서 해당 전원이 필요한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312)는 제1 지장물 계전기부(131)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312)는 전원 스위치부(11313)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312)는 제1 정전압부(11314)의 전원 출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선로 지장물 검지 시스템
50 : 제1 선로
60 : 제2 선로
100 : 지장물 검지 장치
101 : 외부 케이스
103 : 외부팬 모듈
110 : 검지 제어부
111 : 전원부
1111 : 주 전원부
1112 : 부 전원부
1113 : 휴즈부
1114 : 주전원부 검지 계전기부
1114a : a 접점
1114b : b 접점
112 : 송신 모듈부
11201 : 발진부
11201a : 제1 발진부
11201b : 제2 발진부
11201c : 스위치부
11202 : 출력 조절부
11203 : 제1 증폭부
11204 : 제1 필터부
11205 : 디지털 증폭부
11205a : 제1 디지털 증폭부
11205b : 제2 디지털 증폭부
11206 : 제2 필터부
11206a : 제2-1 필터부
11206b : 제2-2 필터부
11207 : 출력 레벨 검출부
11207a : 정류부
11207b : 측정 단자부
11207c : 알림 제어부
11208 : 표시 알림부
11208a : 출력 레벨 상태 표시부
11208b : 전원 상태 표시부
11209 : 전원 입력부
11209a : 제1 전원 입력 단자
11209b : 제2 전원 입력 단자
11210 : 전원 스위치부
11211 : 제1 전원 보호부
11211a : 제1 휴즈부
11211b : 제1 써지 보호부
11212 : 제2 전원 보호부
11212a : 제2 휴즈부
11212b : 제2 써지 보호부
112a : 제1 송신 모듈
112b : 제2 송신 모듈
113 : 수신 모듈부
11301 : 매칭 트랜스부
11302 : 필터부
11303 : 출력 조절부
11304 : 제1 증폭부
11305 : 제1 정류부
11306 :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
11307 : 비교 제어부
11308 : 입력 측정단자부
11309 : 제2 증폭부
11310 : 계전기 구동 제어부
11311 : 인터페이스부
11312 : 표시 알림부
11313 : 전원 스위치부
11314 : 제1 정전압부
11315 : 휴즈부
11316 : 제2 정전압부
113a : 제1 수신 모듈
113b : 제2 수신 모듈
114 : 상태 정보 주파수 송신부
1141 : 지장물 검지망 상태 정보 송신부
1142 : 보호 해제 버튼 상태 정보 송신부
1143 : 제1 예비 송수신부
1144 : 제2 예비 송수신부
115 : 테스트 인터페이스부
116 : 내부팬 모듈
1161 : 센서부
1161a : 제1 온도 센서
1161b : 제2 온도 센서
1163 : 팬 제어부
1164 : 내부 팬
120 : 튜닝부
121 : 송신 튜닝부
121a : 제1 송신 튜닝부
1211a : 제1 써지 보호부
1212a : 임피던스 매칭부
1213a : 거리 보상부
1214a : 제2 써지 보호부
121b : 제2 송신 튜닝부
122 : 수신 튜닝부
122a : 제1 수신 튜닝부
1221a : 제1 써지 보호부
1222a : 임피던스 매칭부
1223a : 거리 보상부
1224a : 제2 써지 보호부
122b : 제2 수신 튜닝부
130 : 제어 계전기부
131 : 제1 지장물 계전기부
132 : 제어부
140 : 제1 인터페이스부
141 : 정전압부
142 : 펄스 발생부
143 : 펄스 제어부
144 : 보수자 확인 계전기부
145 : 보수자 확인 알람부
146 : 제1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
147 : 보호 해제 버튼 회선 검지부
150 : 전송부
151 : 라인 트랜스부
151a : 제1 라인 트랜스부
151b : 제2 라인 트랜스부
152 : 통신용 보안기부
152a : 제1 통신용 보안기부
152b : 제2 통신용 보안기부
160 : 전원 장치부
161 : 제1 휴즈부
162 : 보안기부
163 : 전원 트랜스부
164 : 제2 휴즈부
200 : 지장물 검지망
300 : 보호 해제 버튼 장치
301 : 단자대
302 : 스위치부
303 : 점멸 표시부
304 : 시설명 확인부
400 : 신호 제어 장치
410 : 제2 인터페이스부
411 : 인터페이스 단자대
412 : 제2 지장물 계전기부
413 : 제2 보호 해제 버튼 계전기부
420 : 신호기
500 : 인접역 장치

Claims (18)

  1.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의 단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디지털 증폭부; 및
    상기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지장물 검지 장치에 마련되는 테스트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게 하는, 송신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상기 지장물 검지망의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제1 발진부;
    상기 지장물 검지망의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제2 발진부; 및
    상기 1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 및 상기 2선용 검지 주파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발진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송신 모듈.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패스 필터는,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대역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되는, 송신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증폭부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제1 디지털 증폭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제2 디지털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1 필터부 및 상기 제2 디지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2 필터부를 포함하는, 송신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상기 지장물 검지망과 연결되는 튜닝부로 출력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튜닝부로부터 상기 튜닝부에서 상기 지장물 검지망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출력 레벨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송신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지장물 검지 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제1 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 단자;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1 전원의 레벨과 다른 레벨을 가지는 제2 전원을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 단자;
    상기 입력된 제1 전원을 과전류 및 써지로부터 보호하는 제1 전원 보호부; 및
    상기 입력된 제2 전원을 과전류 및 써지로부터 보호하는 제2 전원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송신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전원 보호부로부터 상기 제1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제1 색 LED; 및
    상기 제2 전원 보호부로부터 상기 제2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제1 색과는 다른 색을 발광하는 제2 색 LE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색 LED 및 상기 제2 색 LED는, 상기 제1 색 LED 및 상기 제2 색 LED의 동작 시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이 혼합되어 제3 색을 구현하도록 마련되는, 송신 모듈.
  9.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의 단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및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상기 지장물 검지망으로 출력하는 튜닝부로부터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출력 레벨 검출부를 포함하는, 송신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 검출부는,
    상기 튜닝부로부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를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받은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 모듈.
  11. 선로 내의 지장물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모듈에서 상기 선로 인근에 설치되는 지장물 검지망으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를 상기 지장물 검지망과 연결되는 튜닝부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모듈로서,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값과 기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 제어부는,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값과 기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이 일치하는 제1 조건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수신 모듈.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검지 주파수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설정된 검지 주파수 값을 상기 비교 제어부로 전달하는 주파수 선택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모듈.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튜닝부로부터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매칭 트랜스부;
    상기 매칭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검지 주파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비교 제어부로 전달하는 출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모듈.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비교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를 정류하며, 정류한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DC 전압 레벨에 따라 지장물 검지 장치의 지장물 계전기부를 동작시키는 계전기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모듈.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 구동 제어부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계전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지장물 계전기부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계전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지장물 계전기부를 구동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모듈.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제어부는,
    상기 튜닝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주파수 신호를 지장물 검지 장치에 마련되는 테스트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 상기 검지 주파수 신호의 전압 레벨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게 하는, 수신 모듈.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지장물 검지 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원을 상기 제1 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제2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정전압부; 및
    상기 제1 정전압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을 상기 제2 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제3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모듈.
KR1020160001058A 2016-01-05 2016-01-05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KR10164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58A KR101640013B1 (ko) 2016-01-05 2016-01-05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58A KR101640013B1 (ko) 2016-01-05 2016-01-05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168A Division KR101863118B1 (ko) 2016-05-02 2016-05-02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013B1 true KR101640013B1 (ko) 2016-07-15

Family

ID=5650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58A KR101640013B1 (ko) 2016-01-05 2016-01-05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165A (ko) * 2017-07-10 2019-01-23 에릭스바이오(주) 전자기파 대역 특성에 의한 성장 제어 시스템 및 그 성장 제어 방법
KR102171576B1 (ko) * 2019-12-11 2020-10-29 이국현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수신모듈장치
KR102217659B1 (ko) * 2020-10-22 2021-02-18 이국현 낙석 및 차량낙하 지장물검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56B1 (ko) 2008-06-13 2010-07-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건널목 지장물 영상 검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5755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f궤도회로장치에서의 수신신호 검지 회로
KR101140658B1 (ko) 2010-08-18 2012-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d 레이저레이더를 이용한 철도 건널목 지장물 검지 시스템 및 지장물 검지 방법
KR20120137979A (ko) * 2011-06-14 2012-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디텍터를 이용한 철도건널목 지장물 검지장치 및 동 장치를 이용한 검지방법
KR20130127156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56B1 (ko) 2008-06-13 2010-07-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건널목 지장물 영상 검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5755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f궤도회로장치에서의 수신신호 검지 회로
KR101140658B1 (ko) 2010-08-18 2012-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d 레이저레이더를 이용한 철도 건널목 지장물 검지 시스템 및 지장물 검지 방법
KR20120137979A (ko) * 2011-06-14 2012-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디텍터를 이용한 철도건널목 지장물 검지장치 및 동 장치를 이용한 검지방법
KR20130127156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통신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165A (ko) * 2017-07-10 2019-01-23 에릭스바이오(주) 전자기파 대역 특성에 의한 성장 제어 시스템 및 그 성장 제어 방법
KR102255907B1 (ko) * 2017-07-10 2021-05-25 에릭스바이오(주) 전자기파 대역 특성에 의한 성장 제어 시스템 및 그 성장 제어 방법
KR102171576B1 (ko) * 2019-12-11 2020-10-29 이국현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수신모듈장치
KR102217659B1 (ko) * 2020-10-22 2021-02-18 이국현 낙석 및 차량낙하 지장물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99B1 (ko) 레일의 절손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0013B1 (ko)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RU2667107C2 (ru) Направляемое назем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 сходе с рельс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и сходе с рельсов
CA3006820C (en) Railroad crossing gate monitoring and alarm system
KR101621217B1 (ko) 지장물 검지 장치 및 시스템
KR20090123414A (ko) 레일의 절손 위치 파악 장치 및 그 방법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KR101863118B1 (ko) 지장물 검지를 위한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US20070228223A1 (en) Device for activation and monitoring of a light-signal system for railway traffic
KR101983550B1 (ko) 궤도 회로 안전 모니터링 장치
CN102470884B (zh) 带有传感器装置的有轨车辆
KR100968671B1 (ko)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JP5800697B2 (ja) 鉄道信号保安システム
US20230356762A1 (en) Signal box controlled crew warning system
KR102145481B1 (ko) 열차 감지를 통한 선로 안전지원 시스템
US6753777B2 (en) Detecting device applied to a vehicle door
EP2236386A1 (en)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pproaching train in a track section
EP3067246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ignal connection
KR20010057275A (ko) 철도선로용 이동식 경보장치
KR100264522B1 (ko) 무선송수신기를이용한다용도무선경보장치
AU2015100292A4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ignal connection
KR20170079682A (ko) 열차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장치
JP3577022B2 (ja) 駅・ホームから鉄道車両への非常停止警報システム
KR101429258B1 (ko) 철도 궤도를 이용한 휴대용 열차 접근 경보장치와 열차 접근 경보방법
KR20190106186A (ko)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