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713B1 - 정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713B1
KR101639713B1 KR1020140126985A KR20140126985A KR101639713B1 KR 101639713 B1 KR101639713 B1 KR 101639713B1 KR 1020140126985 A KR1020140126985 A KR 1020140126985A KR 20140126985 A KR20140126985 A KR 20140126985A KR 101639713 B1 KR101639713 B1 KR 10163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ilur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iltering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408A (ko
Inventor
백원길
이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Abstract

정전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정전 관리 시스템은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수신부; 그룹화 된 정전 이벤트 정보에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소거하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하는 필터링 룰 생성부; 및 상기 이벤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에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 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를 상기 분석부로 전달하는 이벤트 필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 관리 시스템{OUTAGE-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정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정전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상황을 분석, 관리하기 위한 정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전관리시스템은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정전발생정보를 이용하여 정전상황를 분석하고 고장위치를 예측하여 작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정전상황의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정전발생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TCS, AMI, DMS, WMS, SCADA 등을 통해 정전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정전관리시스템에 전달하고 정전관리시스템은 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역정전 상황에서는 대량의 정전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망의 불안정 상황에서는 동일한 스마트 미터에서 정전/복전 이벤트가 여러번 중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정전이벤트 발생 상황에서 정전관리시스템이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정전상황 분석 전에 앞서 언급한 중복이벤트와 과다한 이벤트들의 적절한 필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정전관리시스템에서의 정전이벤트 필터링은 TCS, AMI, DMS, SCADA 등 송신단에서 필터링 룰을 기준으로 이벤트를 필터하여 수신단인 정전관리시스템에 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대규모 실시간 처리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시스템 간 필터링 룰의 정보전송에 따른 시간 차이로 인해 효과적인 이벤트 필터가 어려우며, 필터링 기능이 분석 알고리즘에 포함되어 알고리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체적인 필터링 룰 및 방법에 대한 제시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단에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 및 이미 분석된 정전 이벤트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는 정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수신부; 그룹화 된 정전 이벤트 정보에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소거하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하는 필터링 룰 생성부; 및 상기 이벤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에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 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를 상기 분석부로 전달하는 이벤트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은 단위 시간당 동일한 미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 중 연속되는 정전 발생 정보 또는 복전 발생 정보는 중복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필터링부는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이용하여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순간정전 또는 일시정전 여부를 판단하여 순간정전 이벤트 룰은 폐기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원인이 되는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구성하여 상기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룰 생성부는 상기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필터링부는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 원인 디바이스의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폐기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필터링부는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 정보에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갱신하는 필터링 룰 갱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정전 관리 시스템은 중복되거나 이미 분석된 정전 이벤트 정보를 필터링 하여 새로운 정전 이벤트 정보에 대한 분석만을 수행함으로써 정전 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이벤트 필터링을 수신단에서 수행함으로써 고객 전화 응대 시스템(TCS, Trouble Call System),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서버, 배전관리시스템 및 작업자 관리시스템 등의 송신단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 관리 시스템(100)은 이벤트 수신부(110), 데이터 베이스(120), 분석부(130), 필터링 룰 생성부(140), 이벤트 필터링부(150) 및 필터링 룰 갱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벤트 수신부(110)는 고객 전화 응대 시스템(TCS, Trouble Call System)(10),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서버(20), 배전관리시스템(DMS)(30) 및 작업자 관리시스템(WMS)(40), SCADA시스템(50) 으로부터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전 이벤트 정보란 정전 발생 정보 및 복전 발생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벤트 수신부(110)는 정전 또는 복전 상황이 발생되면 고객 전화 응대 시스템(10)또는 AMI서버(20)를 통하여 검증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배전관리시스템(30), 작업자관리시스템(40) 또는 SCADA시스템(50)으로부터 검증된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검증된 정전 이벤트 정보는 실제로 수용가측 또는 변압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전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AMI서버(20), 배전관리시스템(30), 작업자관리시스템(40)은 CIM(Common Information Model) 기반 미들웨어를 통하여 정전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다.
데이버 베이스(120)에는 그룹화 된 정전 이벤트 정보에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소거하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과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이 저장될 수 있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은 단위 시간당 동일한 미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 중 연속되는 정전 발생 정보 또는 복전 발생 정보를 중복 처리하는 룰과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순간정전 또는 일시정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O1, O2, ···, On 은 동일한 미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전 발생 정보를 의미하며, R1, R2, ···, Rn은 동일한 미터리로부터 수신하는 복전 발생 정보를 의미한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1은 단위시간 동안 수신하는 연속된 정전 발생 정보는 최초 정전 발생 정보를 제외하고 모두 폐기하는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2는 단위시간 동안 정전 발생 정보 및 복전 발생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 간의 수신 간격을 고려하여 순간정전 및 일시정전을 판별하기 위한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순간정전은 예를 들면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 간의 수신 간격이 5분 이내인 경우이며, 일시정전은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 간의 수신 간격이 5분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3은 단위시간동안 수신하는 연속된 복전 발생 정보는 최초 복전 발생정보를 제외하고 모두 폐기하는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4는 복전 발생 정보와 정전 발생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복전 이벤트 발생에 이어 정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는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5는 단일 복전 정보 수신시에는 폐기하지 않고 복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는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6은 단일 정전 이벤트 수신시에는 폐기하지 않고 정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는 룰을 의미할 수 있다.
도2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이 작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120)에는 기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저장되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과 필터링 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되고 필터링 룰 갱신부에 의하여 자동 갱신되는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이 저장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30)에 전달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정전 이벤트 정보 중 이벤트 필터링부(150)에서 폐기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 정보만을 의미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원인이 되는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구성하여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외부에서 수집한 배전계통 정보와 정전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정전이 발생된 지점을 디바이스를 통하여 확정할 수 있다.
필터링 룰 생성부(140)는 분석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링 룰 생성부(140)는 분석부(130)에서 분석한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이용하여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필터링 룰 생성부(140)는 전력계통의 구조를 활용하여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한다. 필터링 룰 생성부(140)는 예를 들면 전력계통의 구조에 따라 정전이 발생한 구역을 확인하고 정전 발생 상황 정보에 해당 이벤트의 미터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필터링 룰 생성부(140)는 해당 미터기의 상단부인 변압기의 ID를 찾아서 변압기 정전상황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필터링 룰 생성부(140)는 변압기 상단의 고압선 ID를 찾아서 해당 고압선이 고압선 정전상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필터링 룰 생성부(140) 이와 같이 전력계통 구조에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순차적인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확인하여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이벤트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에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를 분석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정전 상황을 분석하기 전에 수신된 정전 이벤트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 이미 분석된 정전 이벤트 정보, 불필요한 정전 이벤트 정보를 사전에 폐기함으로써 분석부(130)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전 발생 상황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이벤트 수신부(110)에서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참조하여 1차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며, 폐기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 정보에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2차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참조하여 단위 시간당 연속하여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 중 연속되는 정전 발생 정보 또는 복전 발생 정보는 중복 처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참조하여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순간정전 또는 일시정전 여부를 판단하여 순간정전 이벤트 룰은 폐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 정보에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정전 발생 원인이 되는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 중 하위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로부터 보고된 정전 이벤트는 폐기할 수 있다. 즉,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분석부(130)를 통하여 이미 정전 발생 상황에 대한 분석이 완료된 배전계통으로부터 보고되는 정전 이벤트는 페기할 수 있다. 단, 이벤트 필터링부(150)는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 중 하위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로부터 복전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폐기하지 않고 분석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필터링 갱신부(160)는 분석부(130)에서 분석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갱신할 수 있다. 필터링 갱신부(160)는 변동된 사항을 필터링 룰 생성부(140)에 전달하거나 또는 데이터 베이스(120)에 직접 접근하여 변동된 사항을 갱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고객 전화 응대 시스템(TCS, Trouble Call System)
20: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서버
30: 배전관리시스템(DMS)
40: 작업자 관리시스템(WMS)
50: SCADA시스템
100: 정전 관리 시스템
110: 이벤트 수신부
120: 데이터 베이스
130: 분석부
140: 필터링 룰 생성부
150: 이벤트 필터링부
160: 필터링 룰 갱신부

Claims (8)

  1. 정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수신부;
    그룹화 된 정전 이벤트 정보에서 중복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소거하는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하는 필터링 룰 생성부; 및
    상기 이벤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에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 및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 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를 상기 분석부로 전달하는 이벤트 필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은 단위시간 동안 동일한 미터기로부터 수신하는 연속된 정전 발생 정보 또는 복전 발생 정보가 있는 경우 최초 정전 발생 정보 또는 최초 복전 발생 정보를 제외하고 폐기처분하는 룰과 단위시간 동안 정전 발생 정보 및 복전 발생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정보 간의 수신 간격을 고려하여,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발생 정보간의 수신 간격이 5분 미만인 경우 순간정전으로 판별하고, 정전 발생 정보와 복전 정보 간의 수신 간격이 5분 이상인 경우 일시정전으로 판별하는 룰을 포함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필터링부는 순간정전 및 일시정전 발생 여부 판별 결과에 따라 순간정전 이벤트는 폐기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정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발생 원인이 되는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구성하여 상기 정전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룰 생성부는 상기 정전 원인 디바이스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생성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필터링부는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 원인 디바이스의 하위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정전 이벤트 정보를 폐기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필터링부는 상기 중복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여 폐기되지 않은 정전 이벤트 정보에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적용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정전 발생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기 인지 이벤트 필터링 룰을 갱신하는 필터링 룰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정전 관리 시스템.
KR1020140126985A 2014-09-23 2014-09-23 정전 관리 시스템 KR10163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85A KR101639713B1 (ko) 2014-09-23 2014-09-23 정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85A KR101639713B1 (ko) 2014-09-23 2014-09-23 정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08A KR20160035408A (ko) 2016-03-31
KR101639713B1 true KR101639713B1 (ko) 2016-07-14

Family

ID=5565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985A KR101639713B1 (ko) 2014-09-23 2014-09-23 정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6341B2 (ja) 2017-03-22 2019-04-03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ス成分測定装置
CN112557802B (zh) * 2021-02-24 2021-07-02 国网江西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台区停电精准分析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67B1 (ko) * 2010-12-23 2012-06-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정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34A (ko) * 2007-05-25 2009-01-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Gis를 이용한 정전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67B1 (ko) * 2010-12-23 2012-06-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정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08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242B2 (en) Cloud service recovery time predic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04301136B (zh) 故障信息上报及处理的方法及设备
WO2019006654A1 (zh) 金融自助设备维修派单生成方法、手持终端及电子设备
CN108737182A (zh) 系统异常的处理方法及系统
CN105049223B (zh) 一种电力通信网缺陷故障处理决策辅助分析方法
CN103502990A (zh) 用于事件的内存中处理的系统和方法
EP23639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ty maintenance in a network
CN103838637A (zh) 基于数据挖掘的终端自主故障诊断与恢复方法
CN111884878A (zh) 基于区块链的数据监控方法
CN105549508B (zh) 一种基于信息合并的报警方法及装置
CN103166773A (zh) 监测服务器运行状态的方法与系统
CN109660402A (zh) 业务系统实时运营监控平台及方法
CN104216763A (zh) 用于解决在受管基础架构中发生的事件的方法和系统
CN107896172A (zh) 监听故障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3763127A (zh) 一种设备状态告警监控方法及系统
CN104243192B (zh) 故障处理方法及系统
KR101639713B1 (ko) 정전 관리 시스템
CN102761432B (zh) Cgi监控方法及其装置和系统
CN114172921A (zh) 一种调度录音系统的日志审计方法及装置
Albanese et al. Scalable detection of cyber attacks
CN113411209A (zh) 一种分布式的密码服务全链路检测系统及方法
CN110609761B (zh) 确定故障源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8984362A (zh) 日志采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4979268B (zh) 工业气体企业的数据传输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KR101973728B1 (ko) 통합 보안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