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674B1 - 연료 분사 펌프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674B1
KR101639674B1 KR1020117026742A KR20117026742A KR101639674B1 KR 101639674 B1 KR101639674 B1 KR 101639674B1 KR 1020117026742 A KR1020117026742 A KR 1020117026742A KR 20117026742 A KR20117026742 A KR 20117026742A KR 101639674 B1 KR101639674 B1 KR 10163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oil discharge
passage
pump housing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522A (ko
Inventor
마사미치 타나카
유우지 시바
요시아키 시바타
이사오 타카키시
에이타 쿠레하
마사키 난코우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25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55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7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0155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42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means preventing fuel leakage around pump plunger, e.g. fluid 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0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pecially arranged lubricating system, e.g. by fuel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펌프 하우징에 연결하는 기어 케이스 측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펌프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기 힘들게 하여,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기어 케이스(50)에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3)을 연료 분사 펌프(1)에 구비하고, 펌프 하우징(3) 내부와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결하는 윤활유 배출공(3j)과, 윤활유 배출공(3j)에 접속하는 홈부와, 펌프 하우징(3)에 장착되고 윤활유 배출공(3j) 및 상기 홈부의 일부를 기어 케이스(50)쪽에서 덮는 커버(60)를 펌프 하우징(3)에 구비하고, 윤활유 배출공(3j), 상기 홈부 및 커버(60)에 의해 펌프 하우징(3) 내부와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통하는 꺾인 형상의 연통로를 구성했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펌프{FUEL INJECTION PUMP}
본 발명은 엔진에 탑재되는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분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펌프 하우징에 베어링 지지되는 캠축을 엔진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캠축에 마련한 캠에 의해 플런저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켜, 플런저에 의해 연료를 압송시키는 구성의 연료 분사 펌프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연료 분사 펌프는 펌프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캠실에 윤활유를 저장해, 캠실에 수납한 캠 등의 구동계 부품을 윤활하게 된다.
그리고, 연료 분사 펌프는 윤활유 배출공을 펌프 하우징에 형성하고, 이 윤활유 배출공을 통해 윤활유를 캠실로부터 펌프 하우징에 연결된 기어 케이스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어 케이스로 배출된 윤활유는, 기어 케이스에서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연료 분사 펌프의 캠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윤활하거나, 엔진에서 크랭크축이나 피스톤 등을 윤활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는, 플런저 배럴이 펌프 하우징 상의 하이드롤릭 헤드(hydraulic head)에 끼워지고, 플런저 배럴에 플런저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쪽에 삽입된다. 플런저 배럴 내부에서 플런저의 상방에는 가압실(연료압실)이 형성된다. 플런저 배럴의 하방에서 플런저의 하부에는 플런저를 하방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이 감기고, 동시에 태핏이 연결된다. 태핏은 태핏실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쪽에 삽입되어 캠과 압접된다. 태핏실은 펌프 하우징의 캠실의 상방에 형성되고, 캠실과 연통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8-106780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펌프 하우징에 형성된 윤활유 배출공을 통해 윤활유가 비산하여 기어 케이스 내부로부터 펌프 하우징 내부의 캠실로 들어가, 캠실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이 많아지는 일이 있었다.
캠실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이 많아진 경우,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윤활유(82)의 비산 액적이 플런저(81)의 하부에 이르러 부착되고, 플런저(81)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에 의해 윤활유(82)가 플런저(81)와 플런저 배럴(80)의 틈새를 지나 상방으로 이동해, 연료(83)의 리크 반환홈(80a)을 통해 연료(83)에 혼입되는 경우가 있었다. 혹은, 윤활유(82)가 더욱 상승하여 가압실에 침입해, 연료(83)에 혼입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윤활유(82)가 연료(83) 중에 혼입되는 양이 많아져, 연료(83)의 흑색화나 엔진 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에 연결하는 기어 케이스 측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펌프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기 힘들게 하여,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연료 분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어 케이스에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을 구비한 연료 분사 펌프로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펌프 하우징 내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에 접속하는 홈부와, 상기 펌프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연통공 및 상기 홈부의 일부를 상기 기어 케이스쪽에서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 상기 홈부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부를 연통하는 꺾인 형상의 연통로를 구성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을 상기 커버에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과 직면하는 위치에서 어긋나게 하여 배치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로의 중간이며,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윤활유 저장부를 마련했다.
본 발명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캠을 수납하는 캠실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캠과 접하는 태핏을 수납하는 태핏실을 상기 캠실과 연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캠실과 상기 태핏실의 상기 태핏보다 플런저 측과의 사이에 이들의 연통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형성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공을 제1 윤활유 배출 통로로 하고, 상기 관통공을 제3 윤활유 배출 통로로 하고, 상기 연통로의 상기 연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제외한 부분을 제2 윤활유 배출 통로로서 이용하여, 윤활유를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 상기 제2 윤활유 배출 통로,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의 차례로 경유시켜 상기 기어 케이스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윤활유 배출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과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을 각각 상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보다 작게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을 상기 제2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보다 작게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를 상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보다 하방에 마련했다.
본 발명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결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상기 커버에 마련하고, 커버를 상기 펌프 하우징에 위치 결정 가능하도록 장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통로가 연통공에 대해 꺾이도록 접속하기 때문에, 연통로와 연통공 사이에서의 윤활유의 흐름 방향이 바뀌게 되어 기어 케이스 측으로부터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연통공을 통해 펌프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맥동압이 기어 케이스 측으로부터 연료 분사 펌프로 전파될 때 감쇠하여, 연료 분사 펌프의 맥동압이 저감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통로가 관통공에 의해 꺾이기 때문에, 연통로 중간에서 윤활유의 흐름 방향이 바뀌게 되어 기어 케이스 측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연통공을 통해 펌프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단부를 펌프 하우징에 체결구를 이용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의 내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윤활유 저장부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감쇠하여, 기어 케이스 측에서 펌프 하우징으로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캠실로부터 연료가 공급되는 가압실이 있는 태핏실의 태핏보다 플런저 측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유 배출 통로의 기어 케이스쪽 통로 면적이 펌프 하우징쪽 통로 면적보다 작아져, 윤활유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에 고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감쇠하여, 기어 케이스 측에서 펌프 하우징으로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유 배출 통로의 기어 케이스쪽 통로 면적이 기어 케이스쪽을 향해 단계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윤활유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에 의해 고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감쇠하여, 기어 케이스 측에서 펌프 하우징으로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유가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 기어 케이스 내부로 배출될 때, 윤활유 배출 통로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흘러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윤활유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연료 분사 펌프의 윤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장착 작업이 쉬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 분사 펌프의 조립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의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와 커버의 사시도이고, (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의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커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1 윤활유 배출공 및 제1 연통로에서의 윤활유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2 윤활유 배출공 및 제2 연통로에서의 윤활유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의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의 (a)는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는 커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내부와 기어 케이스 내부의 각각의 윤활유의 맥동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내부와 기어 케이스 내부의 각각의 윤활유의 맥동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태핏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플런저부 및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플런저부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런저부의 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화살표 A를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9의 (a)는 왼쪽의 윤활유 배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우측의 윤활유 배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윤활유 배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태핏 부근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22는 윤활유의 연료 중에의 혼입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화살표 F가 가리키는 방향을 연료 분사 펌프(1)의 전방으로서 전후 방향을 규정하고, 도 1의 화살표 U가 가리키는 방향을 연료 분사 펌프(1)의 상방으로서 상하 방향을 규정하고, 도 2의 화살표 L이 가리키는 방향을 연료 분사 펌프(1)의 왼쪽으로서 좌우 방향을 규정한다.
연료 분사 펌프(1)는 디젤 엔진에 탑재되는 연료 분사 장치의 구성 부품으로서,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가압한 후에 소정 타이밍에 소정량의 연료를 연료 분사 밸브에 분사관을 통해 압송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분사 펌프(1)는 연료를 복수의 연료 분사 밸브에 분배·압송하는 분배형 연료 분사 펌프이다.
연료 분사 펌프(1)는 하이드롤릭 헤드(hydraulic head)(2)와 펌프 하우징(3)을 상하로 접합해 구성한다.
하이드롤릭 헤드(2)에는 플런저 배럴(4)이 삽입된다. 플런저 배럴(4) 내부에는 플런저(5)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된다. 하이드롤릭 헤드(2)에서 플런저 배럴(4)의 왼쪽 앞에는 저온 시동 타이머 기구(6)가 마련되고, 플런저 배럴(4)을 사이에 두고 오른쪽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7)가 마련된다. 플런저 배럴(4)과 플런저(5) 상단부의 사이에는 가압실(8)이 형성된다.
플런저 배럴(4)에는, 플런저(5)와의 틈새로부터 연료가 새어 윤활유에 혼입되는 현상(연료 리크)을 저감시키기 위해, 리크 반환홈(4a)이 형성된다. 리크 반환홈(4a)은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에 연결된다.
펌프 하우징(3)의 앞쪽 상부에는 태핏실(20)이 형성됨과 함께, 플런저 배럴(4)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플런저 배럴(4)의 하단부로부터는 플런저(5)가 태핏실(20)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된다.
플런저 배럴(4)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부 스프링 받이(21)가 고정된다. 플런저(5)의 하단부에는 하부 스프링 받이(22)가 고정된다. 하부 스프링 받이(22)의 상면과 상부 스프링 받이(21)의 하면 사이에는, 플런저(5)에 하방으로의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3)이 개재된다. 플런저(5)의 하단부에는 태핏(24)이 태핏실(20)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태핏(24)은 상방으로 개구한 원통 형상이다. 태핏(24) 내부에는 하부 스프링 받이(22)가 고정된다. 태핏(24)은 하부 스프링 받이(22)를 개재하여 스프링(23)에 의해 플런저(5)와 함께 하방으로 바이어스된다. 태핏(24)의 하부에는 롤러부(25)가 롤러축(26)을 통해 회동 자재로 지지된다. 태핏(24) 내부의 상면과 하부 스프링 받이(22) 하면의 사이에는 조정 심(shim)(27)이 마련된다.
펌프 하우징(3)의 뒤쪽 상부에는 랙(rack)실(30)이 형성된다. 랙실(30)은 랙을 내장한다. 하이드롤릭 헤드(2)의 후부에는 분배축(31)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분배축(31)의 하단부는 랙실(30)로 돌출된다. 분배축(31)의 하단부에는 전달축(32)이 분배축(31)과 동일 축심상에 조인트(33)를 통해 고정된다. 전달축(32)은 펌프 하우징(3)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축(32)의 상단부는 펌프 하우징(3)의 축지부(3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가 위치 결정 부재(35)에 의해 결정된다.
분배축(31) 내부와 가압실(8)은 하이드롤릭 헤드(2)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9)에 의해 연통된다. 하이드롤릭 헤드(2)에서 분배축(31)의 뒤쪽에는 딜리버리 밸브(10)가 홀더(11)를 개재하여 마련된다. 딜리버리 밸브(10)는 연료 분사 펌프(1)의 분사 종료시에 분사관 내부의 연료가 가압실(8)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펌프 하우징(3)의 하부에는 캠실(40)이 형성된다. 캠실(40)에는 캠축(41)이 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가설된다. 캠축(41)은 펌프 하우징(3)에 제1 캠 베어링(42)과 제2 캠 베어링(43)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실(40)은 윤활유에 의해 채워진다. 캠축(41) 상의 캠(44)은 캠실(40)의 윤활유에 의해 윤활된다. 캠(44)은 캠실(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 롤러부(25)와 맞닿는다.
캠실(40)의 뒤쪽 내부에는 캠축(41)에 고정된 베벨 기어(45)가 수용된다. 캠실(40)의 상면으로부터는 전달축(32)이 캠실(40)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된다. 전달축(32)의 하단부에는 캠축(41) 상의 베벨 기어(45)에 치합하는 베벨 기어(46)가 고정된다.
캠축(41)은 펌프 하우징(3)의 후부로부터 펌프 하우징(3)의 밖을 향해 후방으로 돌출된다. 캠축(41)의 뒤쪽 돌출 부분에는 거버너 기구를 구성하는 거버너 슬리브(12) 및 거버너 웨이트(13)가 마련된다.
펌프 하우징(3)의 앞 부분(캠실(40)의 전방)에는 플런저(3a)가 형성된다. 캠축(41)은 플런저(3a)로부터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기어 케이스(50)는 펌프 하우징(3)의 전방에 배치되어 펌프 하우징(3)에 연결됨과 함께, 디젤 엔진의 엔진 본체에 장착된다. 기어 케이스(50) 내부에서는 캠축 고정 플런저(52)가 캠축(41)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캠축 고정 플런저(52)에 캠 기어(51)가 볼트(53)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디젤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의 동력이 기어 케이스(50) 내부의 동력 전달 수단, 캠축(41)에 캠 기어(51) 등을 통해 전달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런저(3a)에는 펌프 하우징(3) 내부, 즉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인 2개의 윤활유 배출공(3i·3j)이 형성된다. 캠실(40)의 윤활유는 2개의 윤활유 배출공(3i·3j)을 통해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배출된다. 이들 윤활유 배출공(3i·3j)과 대향하도록, 후술하는 커버(60)가 플런저(3a)의 외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1)에 있어서, 동력이 디젤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캠축(41)으로 전달되어 캠축(41)이 회전하면, 캠축(41)의 회전과 함께 캠(44)이 회전한다. 캠(44)의 회전에 따라 태핏(24)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플런저(5)가 태핏(24)에 고정된 하부 스프링 받이(22)를 개재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플런저(5)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가압실(8)로 들어가는 연료의 흡입 행정과 가압실(8)로부터 나오는 연료의 토출 행정이 교대로 행해진다. 즉, 흡입 행정에서 플런저(5)가 스프링(2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눌려 하강하면, 연료 탱크(feed pump)로부터 연료가 가압실(8)로 흡입된다. 토출 행정에서는, 플런저(5)가 스프링(2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밀어 올려져 상승하면, 가압실(8)에 흡입되어 있는 연료가 가압되어 유로(9)를 지나 분배축(31)에 압송된다. 분배축(31)에 압송된 연료는 분배축(31)에 의해 딜리버리 밸브(10)로 분배되고, 분사관을 지나 연료 분사 밸브로부터 분사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3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3a)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런저(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3d)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축(41)은 관통공(3d)에 삽입되어 제2 캠 베어링(43)을 통해 지지된다. 플런저(3a)의 외측면인 전면에서, 관통공(3d)의 외주 외측에는 링 형상의 보스부(3b)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보스부(3b)는 기어 케이스(50)의 후면에 천공된 관통공(50a)에 결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보스부(3b)가 기어 케이스(50) 내부에 면하도록 관통공(50a)에 결합한 상태로 볼트가 보스부(3b)의 외주 외측에 천공된 장착공(3c) 등에 끼워져, 플런저(3a)가 기어 케이스(50)와 고정된다.
도 3의 (a) 및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3b)의 전면에는 홈부(3e)가 보스부(3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링의 일부를 절개해 우측으로 개구하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C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부(3e)는 기어 케이스(50)쪽을 향하도록 앞을 향해 개구한다. 홈부(3e) 내부에는 볼록 형상의 복수의 격벽(3f·3f…)이 보스부(3b)의 둘레 방향에서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다. 홈부(3e)는 복수의 격벽(3f·3f…)에 의해 제1 홈부, 제2 홈부, 제3 홈부, 제4 홈부, 제5 홈부로 나누어진다. 이들 홈부는 홈부(3e)의 우상부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 제1 홈부, 제2 홈부, 제3 홈부, 제4 홈부, 제5 홈부의 순서로 배치된다. 홈부(3e)의 최상부(제1 홈부)에는 커버(60)의 장착공(3g)이 형성된다. 홈부(3e)의 최하부(제4 홈부)에는 커버(60)의 장착공(3h)이 형성된다.
또한, 홈부(3e) 내부의 오른쪽 상부(제1 홈부)의 바닥부에는 제1 윤활유 배출공(3i)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후단측에서 캠실(40)에 면하고, 전단측에서 펌프 하우징(3)에 연결된 기어 케이스(50) 내부에 면하도록 형성된다. 홈부(3e) 내부의 왼쪽(제3 홈부)에는 제2 윤활유 배출공(3j)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후단측에서 캠실(40)에 면하고, 전단측에서 펌프 하우징(3)에 연결된 기어 케이스(50) 내부에 면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은 각각 플런저(3a)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 및 기어 케이스(50)와 연통시킨다. 즉, 이들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에 의해,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이 기어 케이스(50)와 연통된다.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은, 연료 분사 장치가 디젤 엔진에 탑재되었을 때, 각각 연료 분사 펌프(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캠축(220)의 축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상측에, 또는 상기 수평선에 하단부가 걸리는 정도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은,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윤활유의 양에 따라 윤활유를 펌프 하우징(3) 내부로부터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의 (b),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60)는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에서의 윤활유의 흐름 방향, 즉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연신하는 평면을 갖는 수지나 금속제의 판재로, 링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6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홈부(3e)와 비슷한 형상이고, 표면적이 홈부(3e)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커버(60)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홈부(3e)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커버(60)는 제1 평면부(60a)와, 후방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60b)와, 제2 평면부(60e)와, 후방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60f)에 의해 요철 형상으로 구성된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C자 형상의 커버(60)에서, 각 부분은 커버(60)의 오른쪽 상부에 위치하는 일단에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제1 평면부(60a), 제1 오목부(60b), 제2 평면부(60e), 제2 오목부(60f)의 순서로 배치된다.
커버(60)는 그 최상부에 제1 오목부(60b)가 위치하고, 그 최하부에 제2 오목부(60f)가 위치하고, 그 왼쪽에 제2 평면부(60e)가 위치하도록 홈부(3e)에 결합된다. 결합시,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커버(60)에 의해 기어 케이스(50) 측에서 덮인다. 자세하게는, 제1 윤활유 배출공(3i)이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에 의해 기어 케이스(50) 측에서 덮이고, 제2 윤활유 배출공(3j)이 제2 평면부(60e)에 의해 기어 케이스(50) 측에서 덮인다.
각 오목부(60b·60f)의 상하 좌우 중앙에는 장착공(60c·60g)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장착공(60c·60g)은 커버(60)를 홈부(3e)에 결합시켰을 때, 플런저(3a)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제2 평면부(60e)의 하부에는 관통공인 배출공(60h)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커버(60)는 2개의 장착공(60c·60g)을 각각 홈부(3e)의 장착공(3g·3h)에 일치시킨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3a)의 홈부(3e)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60)는 체결구인 볼트(61·61)가 전방으로부터 장착공(60c·60g)에 삽입되어 장착공(3g·3h)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플런저(3a)에 장착된다(도 3의 (b) 및 도 4의 (b) 참조). 이때, 커버(60)는 제1 윤활유 배출공(3i)과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기어 케이스(50) 내부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60)가 플런저(3a)에 장착된 경우,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가 홈부(3e)의 제1 홈부 및 제1 윤활유 배출공(3i)과 직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홈부(3e)의 제1 홈부와 제1 평면부(60a)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1 윤활유 배출공(3i)과 제1 평면부(60a)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게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기어 케이스(50)가 직선상으로는 연통되지 않게 된다.
이때, 커버(60)가 격벽(3f·3f…)에 접촉하게 되고, 접촉 부분을 제외한 커버(60)와 홈부(3e)의 각 홈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들 공간 중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와 홈부(3e)의 제1 홈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은 제1 연통로(3m)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공간은 제1 윤활유 배출공(3i)이 연장되는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동시에, 제1 연통로(3m)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으로서의 배출공(60d)이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의 오른쪽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배출공(60d)은 절개공이며,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직면하는 위치로부터 오른쪽 하방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배출공(60d)에 의해 플런저(3a)와 커버(60) 사이에 간격이 생겨, 상기 제1 공간이 배출공(60d)을 통해 기어 케이스(50) 내부와 연통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연통로(3m)가 상기 제1 공간과 배출공(60d)으로 구성되고, 커버(60)와 펌프 하우징(3) 사이를 경유해 제1 윤활유 배출공(3i)에 대해 꺾이도록 접속된다. 그 결과, 제1 연통로(3m)가 제1 윤활유 배출공(3i)을 통해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연통되고, 제1 윤활유 배출공(3i)이 제1 연통로(3m)를 통해 기어 케이스(50) 내부와 연통된다. 즉,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가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1 연통로(3m)를 통해 연통된다.
따라서, 도 6의 (a)에서의 흰색 화살표와 같이, 윤활유는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부터 제1 윤활유 배출공(3i)을 흘러 제1 윤활유 배출공(3i)으로부터 제1 연통로(3m)로 나온 뒤,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에 맞닿아 흐름 방향을 전후 방향에서 대략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고, 제1 연통로(3m)를 제1 윤활유 배출공(3i)의 오른쪽 하방을 향해 흐른다. 윤활유는 배출공(60d)의 앞에 이르면, 제1 홈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흐름 방향을 대략 상하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경해, 배출공(60d)으로부터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흐른다.
즉,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1 연통로(3m), 즉 윤활유의 배출 통로(연통로)가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윤활유 배출 통로의 중간에 절곡부(3x)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윤활유는 제1 윤활유 배출공(3i)으로부터 배출되었을 때,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직선상으로 흐르지 않고, 흐름 방향을 변경해 제1 연통로(3m)로 흐르고, 다시 흐름 방향을 변경한 후 배출공(60d)을 거쳐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흘러들게 된다. 요컨대, 윤활유가 제1 윤활유 배출공(3i)과 제1 연통로(3m) 사이에서 흐름 방향을 바꾸면서, 또한 제1 연통로(3m)의 중간에서도 흐름 방향을 바꾸면서,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부터 제1 윤활유 배출공(3i), 제1 연통로(3m)를 차례로 경유해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기어 케이스(50) 내부에서, 도 6의 (a)에 나타낸 검은 화살표와 같이, 윤활유가 펌프 하우징(3)의 제1 윤활유 배출공(3i) 측으로 비산한 경우, 윤활유의 비산 액적은 제1 윤활유 배출공(3i)과 직면하는 위치 부근에서는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에 부딪혀, 제1 윤활유 배출공(3i)에의 침입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배출공(60d)에 도달한 경우에도, 윤활유의 배출 통로를 윤활유의 흐름 방향, 즉 배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절곡부(3x)를 거쳐 흘러야만 하기 때문에, 즉 제1 연통로(3m)와 제1 윤활유 배출공(3i) 사이에서 흐름 방향을 바꾸어 흘러야만 하기 때문에, 제1 윤활유 배출공(3i)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커버(60)가 플런저(3a)에 장착되었을 경우, 커버(60)의 제2 평면부(60e)가 홈부(3e)의 제3 홈부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직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홈부(3e)의 제3 홈부와 제1 평면부(60a)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제2 평면부(60e)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게 배치된다.
또한, 커버(60)의 제2 평면부(60e)와 홈부(3e)의 제3 홈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공간은 제2 연통로(3n)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3 공간은 제1 윤활유 배출공(3i)이 연장되는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2 연통로(3n)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으로서의 배출공(60h)이 커버(60)의 제2 평면부(60e)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배출공(60h)은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직면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상기 제3 공간은 배출공(60h)을 통해 기어 케이스(50)와 연통된다.
이렇게 하여, 제2 연통로(3n)가 상기 제3 공간과 배출공(60h)으로 구성되고, 커버(60)와 펌프 하우징(3) 사이를 경유해 제2 윤활유 배출공(3j)에 대해 꺾이도록 접속된다. 그 결과, 제2 연통로(3n)가 제2 윤활유 배출공(3j)을 통해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연통되고, 제2 윤활유 배출공(3j)이 제2 연통로(3n)를 통해 기어 케이스(50) 내부와 연통된다. 즉,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가 제2 윤활유 배출공(3j) 및 제2 연통로(3n)를 통해 연통된다.
따라서, 도 6의 (b)에서의 흰색 화살표와 같이, 윤활유는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부터 제2 윤활유 배출공(3j)을 흘러 제2 윤활유 배출공(3j)으로부터 제2 연통로(3n)로 나온 뒤, 커버(60)의 제2 평면부(60e)에 맞닿아 흐름 방향을 전후 방향에서 대략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고, 제2 연통로(3n)를 제2 윤활유 배출공(3j)의 하방을 향해 흐른다. 윤활유는 배출공(60h)의 앞에 이르면, 제3 홈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흐름 방향을 대략 상하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경해, 배출공(60h)으로부터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흐른다.
즉,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윤활유 배출공(3j) 및 제2 연통로(3n), 즉 윤활유의 배출 통로(연통로)가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윤활유 배출 통로의 중간에 절곡부(3y)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윤활유는 제2 윤활유 배출공(3j)으로부터 배출되었을 때,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직선상으로 흐르지 않고, 흐름 방향을 변경해 제2 연통로(3n)로 흐르고, 다시 흐름 방향을 변경한 후 배출공(60h)을 거쳐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흘러들게 된다. 요컨대, 윤활유가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제2 연통로(3n) 사이에서 흐름 방향을 바꾸면서, 또한 제2 연통로(3n)의 중간에서도 흐름 방향을 바꾸면서,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부터 제2 윤활유 배출공(3j), 제2 연통로(3n)를 차례로 경유해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윤활유는 제2 연통로(3n)를 흐를 때에는, 상기 제3 공간의 배출공(60h)보다 하방에 고이면서 배출공(60h)을 거쳐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흘러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결하는 배출 통로의 중간이면서, 펌프 하우징(3)과 커버(60)의 사이에 윤활유 저장부(3p)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도 6의 (b)에서의 검은색 화살표와 같이, 기어 케이스(50) 내부에서 윤활유가 펌프 하우징(3)의 제2 윤활유 배출공(3j) 측에 비산한 경우에도, 윤활유의 비산 액적은 제2 윤활유 배출공(3j)과 직면하는 위치 부근에서는 커버(60)의 제1 평면부(60a)에 부딪혀, 제2 윤활유 배출공(3j)으로의 침입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배출공(60h)에 도달한 경우에도, 윤활유의 배출 통로를 윤활유의 흐름 방향, 즉 배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절곡부(3y)를 거쳐 흘러야만 하기 때문에, 즉 제2 연통로(3n)와 제2 윤활유 배출공(3j) 사이에서 흐름 방향을 바꾸어 흘러야만 하기 때문에, 제2 윤활유 배출공(3j)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윤활유의 비산 액적은 기어 케이스(50) 내부로부터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 제1 연통로(3m) 및 제1 윤활유 배출공(3i), 그리고 제2 연통로(3n)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을 거치면서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캠실(40)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료 분사 펌프(1)는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플런저(5)의 하부에 도달해 부착하여, 플런저(5)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에 의해 윤활유가 플런저(5)와 플런저 배럴(4)의 틈새를 지나 리크 반환홈(4a)이나 가압실(8)에 침입해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103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단,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03a)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런저(103a)의 전면 중앙부에는 링 형상의 보스부(103b)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관통공(3d)의 외주 외측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C자 형상의 홈부(103e)가 형성된다. 홈부(103e) 내부의 외주 부분에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 커버 지지부(103k)가 형성된다. 홈부(103e)의 오른쪽 하부에는 커버(70)의 장착공(103g)이 형성된다.
또한, 홈부(103e) 내부의 오른쪽 하부에는, 관통공인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후단측에서 캠실(40)에 면하고, 전단측에서 펌프 하우징(3)에 연결된 기어 케이스(50) 내부에 면하도록 형성된다.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은 장착공(103g)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들 윤활유 배출공(103i·103i)에 의해,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이 기어 케이스(50)와 연결된다.
도 7의 (b)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0)는 각 윤활유 배출공(103i)에서의 윤활유의 흐름 방향, 즉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연신하는 평면을 갖는 수지나 금속제의 판재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7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홈부(103e)의 일부분과 비슷한 형상이고, 표면적이 홈부(103e)의 일부분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커버(70)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홈부(103e)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커버(70)는 평면부(70a)와 절개부(70c)로 구성된다. 커버(70)에서 평면부(70a)는 커버(70)의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배치되고, 절개부(70c)는 커버(70)의 둘레 방향의 중간부 외주측에 배치된다.
커버(70)는 그 최하부에 절개부(70c)가 위치하도록, 홈부(103e)의 하부에 결합된다. 결합시,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커버(70)에 의해 기어 케이스(50)쪽에서 덮인다. 평면부(70a)의 중앙부에는 커버(70)를 상기 플런저(103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70b)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70)는, 장착공(70b)을 장착공(103g)에 일치시킨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103a)의 홈부(103e)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70)는 볼트(61·61)가 펌프 하우징(3) 밖으로부터 장착공(70b)에 삽입되어 장착공(103g)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플런저(103a)에 장착된다. 이때, 커버(70)는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과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기어 케이스(50) 내부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70)가 플런저(103a)에 장착된 경우, 커버(70)의 평면부(70a)가 홈부(103e)의 일부 및 플런저(103a)의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과 직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홈부(103e)의 일부와 평면부(70a)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과 평면부(70a)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게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윤활유 배출공(103i)과 기어 케이스(50)가 직선상으로는 연통되지 않게 된다.
이때, 커버(70)가 커버 지지부(103k)에 접촉하게 되고, 접촉 부분을 제외한 커버(70)의 평면부(70a)와 홈부(103e)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이 연통로(103n)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공간은 윤활유 배출공(103i)이 연장되는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동시에, 연통로(103n)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으로서의 배출공(70d·70d)이 커버(70)의 평면부(70a)의 좌우 양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각 배출공(70d)은 절개공이며, 각 윤활유 배출공(103i)과 직면하는 위치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 상방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들 배출공(70d·70d)에 의해 플런저(103a)와 커버(70) 사이에 간격이 생겨, 상기 공간이 각 배출공(70d)을 통해 기어 케이스(50) 내부와 연통된다.
이렇게 하여, 연통로(103n)가 상기 공간과 2개의 배출공(70d·70d)으로 구성되고, 커버(70)와 펌프 하우징(3) 사이를 경유해 각 윤활유 배출공(103i)에 대해 꺾이도록 접속된다. 그 결과, 연통로(103n)가 각 윤활유 배출공(103i)을 통해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연통되고, 각 윤활유 배출공(103i)이 연통로(103n)를 통해 기어 케이스(50) 내부와 연통된다. 즉,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가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 및 연통로(103n)를 통해 연통된다.
따라서, 윤활유는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부터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을 흘러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으로부터 연통로(103n)로 나온 뒤, 커버(70)의 평면부(70a)에 맞닿아 흐름 방향을 전후 방향에서 대략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고, 연통로(103n)를 각 윤활유 배출공(103i)의 상방을 향해 흘러 배출공(70d·70d)으로부터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흐른다. 여기에서, 배출공(70d)은 윤활유 배출공(103i·103i)과 직면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통시키는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 및 연통로, 즉 윤활유의 배출 통로가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윤활유 배출 통로의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각 윤활유 배출공(103i)으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유가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직선상으로 흐르지 않고, 흐름 방향을 변경해 연통로(103n)로 흘러 배출공(70d)을 거쳐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흐르게 된다. 요컨대, 윤활유가 각 윤활유 배출공(103i)과 연통로(103n) 사이에서 흐름 방향을 바꾸면서,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부터 각 윤활유 배출공(103i), 연통로(103n)를 차례로 경유해 기어 케이스(50)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윤활유가 연통로(103n)를 흐를 때에는, 커버(70)의 평면부(70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쌓이면서 배출공(70d)을 거쳐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흘러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캠실(40)과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결하는 배출 통로의 중간이면서, 펌프 하우징(3)과 커버(70)의 사이에 윤활유 저장부(103p)가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유 저장부(103p)의 윤활유가 커버(70)의 절개부(70c)와 홈부(103e)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거쳐 기어 케이스(50)를 향해 흘러들게도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 케이스(50) 내부에서 윤활유가 펌프 하우징(3)의 각 윤활유 배출공(103i)쪽으로 비산한 경우에도, 윤활유의 비산 액적은 각 윤활유 배출공(103i)과 직면하는 위치 부근에서는 커버(70)의 평면부(70a)에 부딪혀, 각 윤활유 배출공(103i)으로의 침입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배출공(70d)에 도달한 경우에도, 윤활유의 배출 통로를 윤활유의 흐름 방향, 즉 배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절곡부를 거쳐 흘러야만 하기 때문에, 즉 연통로(103n)와 제1 윤활유 배출공(3i) 사이에서 흐름 방향을 바꾸어 흘러야만 하기 때문에, 각 윤활유 배출공(103i)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윤활유의 비산 액적은 기어 케이스(50) 내부로부터 펌프 하우징(3) 내부의 캠실(40)로, 연통로(103n) 및 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을 거치면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캠실(40)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료 분사 펌프(1)는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플런저(5)의 하부에 도달해 부착하여, 플런저(5)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에 의해 윤활유가 플런저(5)와 플런저 배럴(4)의 틈새를 지나 리크 반환홈(4a)이나 가압실(8)에 침입해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료 분사 펌프(1)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령 하부 스프링 받이(22) 및 조정 심(27)에 각각 상하 방향의 관통공(22a·27a)이 마련되었을 경우, 태핏(24)의 롤러부(25)는 캠(44)과 접해 그 회전시에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캠(44)에 공급된 윤활유가 롤러부(25)의 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져 관통공(22a·27a)으로부터 태핏실(20)의 태핏(24)보다 플런저(5) 측으로 유입되고, 또한, 플런저(5)와 플런저 배럴(4)의 틈새로부터 리크 반환홈(4a)이나 가압실(8)로 들어가 연료 중에 혼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스프링 받이(22) 및 조정 심(27)에 상하 방향의 관통공이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연료 분사 펌프(1)는 태핏(24)의 롤러부(25)와 하부 스프링 받이(22) 사이에 저지부(28)를 형성해, 태핏의 롤러부(25)에 부착된 윤활유가 태핏(24)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연료 중에의 윤활유 이행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연료 분사 펌프(1)는 기어 케이스(50)에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3)을 구비한다. 그리고, 연료 분사 펌프(1)에서 펌프 하우징(3)은, 펌프 하우징(3) 내부와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통하는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과, 제1 윤활유 배출공(3i)에 접속하는 홈부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에 접속하는 홈부와, 펌프 하우징(3)에 장착되어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 및 각 홈부의 일부를 기어 케이스(50) 측에서 덮는 커버(60)(커버(70))를 구비하고,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 각 홈부, 및 커버(60)(커버(70))에 의해, 펌프 하우징(3) 내부와 기어 케이스(50) 내부를 연결하는 꺾인 형상의 연통로, 즉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1 연통로(3m), 그리고 제2 윤활유 배출공(3j) 및 제2 연통로(3n)(2개의 윤활유 배출공(103i·103i) 및 연통로(103n))를 구성했다.
이에 따라, 제1 연통로(3m) 및 제2 연통로(3n)(연통로(103n))가 각각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각 윤활유 배출공(103i))에 대해 꺾이도록 접속하기 때문에, 제1 연통로(3m) 및 제2 연통로(3n)(연통로(103n))와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각 윤활유 배출공(103i)) 사이에서의 윤활유의 흐름 방향이 바뀌게 되어, 기어 케이스(50) 측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각 윤활유 배출공(103i))을 통해 펌프 하우징(3)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기어 케이스(50) 측으로부터 연료 분사 펌프(1)에 전파될 때 커버(60)에서 감쇠하여, 연료 분사 펌프(1)의 맥동압이 저감되게 된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하여,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3a)에 커버(60)가 장착된 경우, 펌프 하우징(3) 내부의 맥동압은 구체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의 기어 케이스(50) 내부의 맥동압과 비교해 대략 60%로 감쇠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런저(103a)에 커버(70)가 장착된 경우, 펌프 하우징(3) 내부의 맥동압은, 구체예를 들면,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의 기어 케이스(50) 내부의 맥동압과 비교해 거의 0으로 감쇠한다.
연료 분사 펌프(1)는 제1 연통로(3m) 및 제2 연통로(3n)(연통로(103n))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인 배출공(60d) 및 배출공(60h)(2개의 배출공(70d·70d))을 커버(60)에 형성하고,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각 윤활유 배출공(103i))과 직면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연통로(3m) 및 제2 연통로(3n)(연통로(103n))가 배출공(60d) 및 배출공(60h)(각 배출공(70d))에 의해 꺾이기 때문에, 제1 연통로(3m) 및 제2 연통로(3n)(연통로(103n))의 중간에서 윤활유의 흐름 방향이 바뀌게 되어, 기어 케이스(50) 측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제1 윤활유 배출공(3i) 및 제2 윤활유 배출공(3j)(각 윤활유 배출공(103i))을 통해 펌프 하우징(3)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60)(커버(70))의 단부를 펌프 하우징(3)에 볼트(61·61)를 이용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커버(60)(커버(70))의 내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연료 분사 펌프(1)는 제2 연통로(3n)(연통로(103n))의 중간이면서, 펌프 하우징(3)의 플런저(3a)(플런저(103a))와 커버(60)(커버(70))의 사이에,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윤활유 저장부(3p)(윤활유 저장부(103p))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윤활유 저장부(3p)(윤활유 저장부(103p))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감쇠하여, 기어 케이스(50) 측에서 펌프 하우징(3)으로 전파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펌프(1)는 펌프 하우징(3)에 캠(44)을 수납하는 캠실(40)을 형성함과 함께, 캠(44)과 접하는 태핏(24)을 수납하는 태핏실(20)을 캠실(40)과 연통하도록 형성하고, 캠실(40)과 태핏실(20)의 태핏(24)보다 플런저(5)측의 사이에, 이들의 연통을 저지하는 저지부(2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이 연료가 캠실(40)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실(8) 측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1)는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20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1의 화살표 F가 가리키는 방향을 연료 분사 펌프(201)의 전방으로서 전후 방향을 규정하고, 도 11의 화살표 U가 가리키는 방향을 연료 분사 펌프(201)의 상방으로서 상하 방향을 규정하고, 도 12의 화살표 R이 가리키는 방향을 연료 분사 펌프(201)의 우측으로서 좌우 방향을 규정한다.
연료 분사 펌프(201)는 디젤 엔진에 탑재되는 연료 분사 장치의 구성 부품으로서,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가압한 후에 소정 타이밍에 소정량의 연료를 연료 분사 밸브에 분사관을 통해 압송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분사 펌프(201)는 연료를 복수의 연료 분사 밸브에 연료를 분배·압송하는 분배형 연료 분사 펌프이다.
연료 분사 펌프(201)에서, 플런저(210)는 플런저 배럴(211) 내부에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플런저 배럴(211)은 펌프 하우징(212)의 상부에 마련되는 하이드롤릭 헤드(213)에 삽입된다. 그리고, 플런저(210)의 상단부와 플런저 배럴(211)의 사이에는 가압실(214)이 형성된다. 또한, 하이드롤릭 헤드(213)에서 플런저 배럴(211)의 우측에는 저온 시동 타이머 기구가 되는 열전 소자(thermo element)(215)가 마련된다. 한편, 플런저 배럴(211)의 좌측에는 어큐뮬레이터(238)가 마련된다.
플런저 배럴(211)의 하단부는 펌프 하우징(212)의 상부에 형성되는 태핏실(121)에 삽입된다. 플런저 배럴(211)의 하단부로부터는 플런저(210)가 태핏실(121)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한다. 플런저 배럴(211)의 하부 외주에는 상부 스프링 받이(216)가 고정된다. 플런저(210)의 하단부에는 하부 스프링 받이(217)가 고정된다. 이들 상부 스프링 받이(216)와 하부 스프링 받이(217)의 상하간에는 플런저(210)에 하방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18)이 개재된다. 또한, 플런저(210)의 하단부에는 태핏(219)이 태핏실(121)을 상하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태핏(219)은 상방으로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태핏(219) 내부에는 하부 스프링 받이(217)가 고정된다. 태핏(219)은 스프링(218)에 의해 하부 스프링 받이(217)를 개재하여 플런저(210)와 함께 하방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태핏(219)의 하부에는 롤러(191)가 롤러축(192)을 통해 회동 자재로 지지된다. 롤러(191)는 캠축(220) 상의 캠(221)에 맞닿는다. 또한, 하부 스프링 받이(217)와 태핏(219)의 상하간에는 조정 심(222)이 마련된다. 조정 심(222)은 캠(221)과 태핏(219)의 틈새를 적정치로 조정한다.
캠(221)은 캠축(220)에 고정되고, 펌프 하우징(2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캠실(122)의 앞 부분에 수용된다. 캠축(220)은 캠실(122)에 전후 방향으로 가설되고, 베어링(240)을 통해 펌프 하우징(21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실(122)은 윤활유에 의해 채워진다. 캠(221) 등의 구동계 부품은 윤활유에 의해 윤활된다.
또한, 펌프 하우징(212)의 앞 부분에는 플런저(234)가 형성된다. 플런저(234)에는 기어 케이스(223)가 장착된다. 플런저(234)의 전면으로부터는 캠축(220)이 기어 케이스(223) 내부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한다. 기어 케이스(223)는 펌프 하우징(212)의 전방에 배치되어 펌프 하우징(212)에 연결됨과 함께, 디젤 엔진의 엔진 본체에 장착된다. 기어 케이스(223) 내부에서는 캠 기어(224)가 캠축(220)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디젤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의 동력이 기어 케이스(223) 내부의 동력 전달 수단, 캠축(220)에 캠 기어(224) 등을 통해 전달 가능하게 된다.
한편, 펌프 하우징(212)의 후부로부터는 캠축(220)이 후방으로 돌출된다. 펌프 하우징(212) 밖에서, 캠축(220)의 후단부에는 거버너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인 거버너 슬리브(225) 및 거버너 웨이트(226)가 마련된다. 거버너 기구는 펌프 하우징(212)의 뒤쪽에 형성되는 거버너실(125)에 내장된다. 그리고, 거버너실(125)과 캠실(122)은 통기공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캠실(122)의 후부에는 캠축(220)에 고정되는 베벨 기어(227)가 수용된다. 베벨 기어(227)는 캠축(2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달축(228)은 캠실(122)의 상면으로부터 캠실(122)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한다. 전달축(228)의 하단부에는 베벨 기어(229)가 고정된다. 베벨 기어(229)는 캠축(220) 상의 베벨 기어(227)와 치합한다. 전달축(228)은 상하 방향으로 가설되어, 펌프 하우징(21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축(228)의 상하 방향(축 방향)의 위치는 스토퍼(2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펌프 하우징(212)에서 전달축(228)의 상방에는 랙실(124)이 형성된다. 랙실(124)은 연료 분사 펌프(201)의 분사량 조절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인 랙을 내장한다. 랙실(124)과 캠실(122)은 통기공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전달축(228)의 상단부에는 분배축(231)이 조인트(232)를 통해 전달축(228)과 동일 축심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이드롤릭 헤드(213)에서 분배축(231)의 후방에는 딜리버리 밸브(233)가 홀더(331)를 통해 마련된다. 딜리버리 밸브(233)는 연료 분사 펌프(201)의 분사 종료시에 분사관 내부의 연료가 가압실(2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료 분사 펌프(201)에서, 캠(221)이 회전하면, 캠(221)의 회전에 의해 태핏(219)이 상하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태핏(219)에 고정된 하부 스프링 받이(217)를 통해 플런저(210)도 상하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플런저(210)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가압실(214)에의 연료의 흡입 행정과 가압실(214)로부터의 연료의 토출 행정이 교대로 행해진다. 즉, 흡입 행정에서 플런저(210)가 스프링(218)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눌려 하강하면,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가 가압실(214)로 흡입되는 한편, 토출 행정에서 플런저(210)가 스프링(218)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밀어 올려져 상승하면, 가압실(214)에 흡입되어 있는 연료가 가압되어 유로를 지나 분배축(231)에 압송된다. 그 후, 분배축(231)에 압송된 연료는 분배축(231)에 의해 딜리버리 밸브(233)로 분배되고, 분사관을 지나 연료 분사 밸브로부터 분사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플런저(234)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런저(234)의 중심부에는 캠축(220)을 지지하는 보스부(341)가 마련된다. 그리고, 보스부(341)의 전면 위에 홈부(342)가 마련된다. 커버(251)가 홈부(342)의 개구를 기어 케이스(223)쪽에서 덮도록 배치되고, 보스부(341)에 볼트(236·236)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플런저(234)의 외주부에는, 펌프 하우징(212)을 기어 케이스(223)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3개의 볼트공(343·343·343)이 마련된다. 이들 3개의 볼트공(343·343·343)은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런저(234)의 3개의 각부에 각각 배치되며, 보스부(341)를 중심으로 대략 등 각도(대략 120도)의 간격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플런저(234)에는 2개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가 마련된다. 각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는 펌프 하우징(212) 내부와 기어 케이스(223) 내부를 연통시킨다. 윤활유는 펌프 하우징(212) 내부의 캠실(122)로부터 각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를 통해 기어 케이스(223) 내부로 배출된다. 한편,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윤활유의 흐름 방향에서 펌프 하우징(212)측을 "상류측"이라고 하고, 기어 케이스(223)측을 "하류측"이라고 한다.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는 모두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꺾이도록 형성된다. 2개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13 참조) 각각 캠축(220)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된다. 즉, 캠축(220)의 왼쪽에 윤활유 배출 통로(370L)(이하 단순히 "좌측 윤활유 배출 통로(370L)"라고 한다)가 배치되고, 캠축(220)의 오른쪽에 윤활유 배출 통로(370R)(이하 단순히 "우측 윤활유 배출 통로(370R)"라고 한다)가 배치된다.
좌측 윤활유 배출 통로(370L)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와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에 의해 구성된다. 좌측 윤활유 배출 통로(370L)에서, 보스부(341)의 전면상에 마련되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상류측에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와 대략 직교하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가 연통하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하류측에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와 대략 직교하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가 연통한다.
한편, 우측 윤활유 배출 통로(370R)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와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에 의해 구성된다. 우측 윤활유 배출 통로(370R)에서, 보스부(341)의 전면상에 마련되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상류측에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와 대략 직교하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가 연통하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하류측에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와 대략 직교하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가 연통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342)는 보스부(34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링의 일부를 절개해 왼쪽으로 개구하는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홈부(342)는 앞을 향해 개구한다. 홈부(342) 내부는 격벽에 의해 제1 홈부(342A), 제2 홈부(342B), 제3 홈부(342C)로 나누어진다. 이들 제1 내지 제3의 각 홈부(342A, 342B, 342C)에 대한 홈부(342)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는 홈부(342)에서, 홈부(342)의 개구 일단부(상단부)에 제1 홈부(342A)가 위치한다. 홈부(342)의 개구 타단부(하단부)에 제3 홈부(342C)가 위치한다. 제1 홈부(342A)와 제2 홈부(342B)의 사이에 제2 홈부(342B)가 위치한다. 환언하면, 제1 홈부(342A)는 보스부(341) 외주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홈부(342B)는 보스부(341) 외주의 측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부(341) 외주의 우측부에 위치한다. 제3 홈부(342C)는 보스부(341)의 하부 외주에 위치한다.
또한, 홈부(342) 내부에는 한 쌍의 볼트공(344·345)이 마련된다. 한 쌍의 볼트공(344·345)은 모두 커버(251)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236·236)(도 13 및 도 14 참조)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플런저(23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볼트공(344·345) 중 한쪽 볼트공(344)은 제1 홈부(342A) 내부, 구체적으로는 제1 홈부(342A) 내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마련되고, 다른 쪽 볼트공(345)은 제3 홈부(342C) 내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볼트공(344·345)은 보스부(3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대칭(선대칭)으로 배치된다.
홈부(342)의 바깥 테두리에는 한 쌍의 오목부(342D·342E)가 마련된다. 한 쌍의 오목부(342D·342E)는 홈부(342)의 바깥 테두리가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오목부(342D·342E)는, 예를 들면 홈부(342)의 바깥 테두리를 깎음으로써 쉽게 가공할 수 있다. 한 쌍의 오목부(342D·342E) 중 한쪽의 오목부(342D)는 제1 홈부(342A)의 바깥 테두리에 마련되고, 다른 쪽 오목부(342E)는 제3 홈부(342C)의 바깥 테두리에 마련된다. 그리고, 한 쌍의 오목부(342D·342E)는 보스부(3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대칭(선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오목부(342D·342E)와 한 쌍의 볼트공(344·345)은 보스부(341)의 중심을 지나는 하나의 선(직경) 위에 배치된다.
제1 홈부(342A) 내부에서 볼트공(344)의 왼쪽에는, 왼쪽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L)의 상류측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가 마련된다. 또한, 제2 홈부(342B) 내부에서 제1 홈부(342A)쪽 단부에는, 우측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R)의 상류측 통로를 구성하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가 마련된다.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는 플런저(23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으로 구성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상류측 단부는 펌프 하우징(212)의 캠실(122)(도 11 및 도 12 참조)과 연통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하류측 단부는 제1 홈부(342A) 내부와 연통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는 연료 분사 장치가 디젤 엔진에 탑재되었을 때, 연료 분사 펌프(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캠축(220)의 축심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방에, 또는 상기 수평선에 하단부가 걸리는 정도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구멍 형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 형상이 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구멍 폭(타원 단변 방향의 길이)은 제1 홈부(342A)의 홈 폭과 대략 일치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통로 면적(윤활유의 흐름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적. 이하, 동일)을 AL1으로 나타낸다.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는 플런저(23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으로 구성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상류측 단부는 펌프 하우징(212)의 캠실(122)(도 11 및 도 12 참조)과 연통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하류측 단부는 제2 홈부(342B) 내부와 연통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는 연료 분사 장치가 디젤 엔진에 탑재되었을 때, 연료 분사 펌프(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캠축(220)의 축심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방에, 또는 상기 수평선에 하단부가 걸리는 정도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구멍 형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 형상이 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구멍 폭(타원 단변 방향의 길이)은 제1 홈부(342A)의 구멍 폭과 대략 일치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통로 면적을 AR1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3,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51)는 대략 C자형의 판상 부재이며, 왼쪽으로 개구한 상태로 플런저(234)의 홈부(342) 상에 배치된다. 커버(251)는 제1 부착판(351) 또는 제2 부착판(352)을 갖는 복수의 오목부와, 왼쪽 통로판(353) 또는 오른쪽 통로판(354)을 갖는 복수의 평면부로 이루어지는 판상 구조이다. 커버(251)에는 한 쌍의 볼트공(351A·352A), 한 쌍의 볼록부(351B·352B)가 마련된다.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는 커버(251)에서, 커버(251)의 개구 일단부(상단부)는 왼쪽 통로판(353)이 된다. 왼쪽 통로판(353)에는 제1 부착판(351)이 연결된다. 한편, 커버(251)의 개구 타단부(하단부)는 제2 부착판(352)이 된다. 제2 부착판(352)에는 오른쪽 통로판(354)이 연결된다. 그리고, 커버(251)에서 제1 부착판(351)과 제2 부착판(352)은 동일 평면(도 18에 나타내는 Z1) 상에 배치되고, 왼쪽 통로판(353)과 오른쪽 통로판(354)은 평면 Z1에 대략 평행이고, 평면 Z1과는 높이가 다른 동일 평면(도 18에 나타내는 Z2) 상에 배치된다.
도 1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부착판(351)의 폭은 제1 홈부(342A) 내부의 홈 폭보다 약간 좁게 구성된다. 즉, 제1 부착판(351)은 제1 홈부(342A) 내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부착판(351)의 후면(플런저(234)쪽 면)은 제1 홈부(342A)의 바닥면(플런저(234)의 전면)을 따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부착판(351)에는 한 쌍의 볼트공(351A·352A) 중 한쪽의 볼트공(351A)이 마련된다. 볼트공(351A)은 제1 부착판(351)을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1 홈부(342A) 내부의 볼트공(344)과 함께 볼트(236)를 통과시킨다. 또한, 제1 부착판(351)의 바깥 테두리에는 한 쌍의 볼록부(351B·352B) 중 한쪽 볼록부(351B)가 마련된다. 볼록부(351B)는 제1 부착판(351)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며, 제1 홈부(342A)의 오목부(342D)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부착판(352)의 폭은 제3 홈부(342C) 내측의 홈 폭보다 약간 좁게 구성된다. 즉, 제2 부착판(352)은 제3 홈부(342C) 내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부착판(352)의 후면(플런저(234)쪽 면)은 제2 홈부(342B)의 바닥면(플런저(234)의 전면)을 따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부착판(352)에는 한 쌍의 볼트공(351A·352A) 중 다른 쪽 볼트공(352A)이 마련된다. 볼트공(352A)은 제2 부착판(352)을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3 홈부(342C) 내부의 볼트공(345)과 함께 볼트(236)를 통과시킨다. 또한, 제2 부착판(352)의 바깥 테두리에는 한 쌍의 볼록부(351B·352B) 중 다른 쪽 볼록부(352B)가 마련된다. 볼록부(352B)는 제2 부착판(352)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며, 제3 홈부(342C)의 오목부(342E)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왼쪽 통로판(353)은 커버(251)의 개구 일단부(상단부)가 제1 부착판(351)에 대해 대략 평행이 되도록 꺾여 형성된다(도 18 참조). 왼쪽 통로판(353)의 폭은 제1 홈부(342A) 내측의 홈 폭보다 약간 넓게 설정된다. 즉, 왼쪽 통로판(353)은 제1 홈부(342A)를 기어 케이스(223)쪽에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9의 (a)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홈부(342A)와 왼쪽 통로판(353)에 의해 소정의 단면적을 갖는 통로, 즉, 왼쪽의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가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통로 면적을 AL2로 나타낸다. 그리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통로 면적 AL2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통로 면적 AL1보다 작다(AL2<AL1).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상류측 단부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와 연통한다.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하류측 단부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와 연통한다. 또한,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통로 폭은, 보스부(341)의 반경 방향에서 상류측 단부의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개구폭(타원 단변)과 대략 일치한다.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하류측 단부에는 협소부(372La)가 형성된다. 협소부(372La)의 통로 폭(제1 홈부(342A) 내측의 홈 폭)은 보스부(341)의 반경 방향에서 상류측 단부의 통로폭에 비해 좁다.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는 커버(251)의 왼쪽 통로판(353)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된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는 절개공이며, 커버(251)의 왼쪽 통로판(353)의 바깥 테두리 단면(353A)을 따라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는 왼쪽 통로판(353)의 바깥 테두리 단면(353A)과 제1 홈부(342A)(협소부(372La))의 내주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의해 구성된다. 바깥 테두리 단면(353A)은 커버(251)의 개구 선단부의 단면이며, 제1 홈부(342A)를 횡단(윤활유의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의 상류측 단부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와 연통한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의 하류측 단부는 플런저(234)의 정면쪽으로 개방되어 기어 케이스(223) 내부와 연통한다. 즉,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와 함께 연통로를 이루어, 플런저(234)의 외측에서 기어 케이스(223) 내부와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를 연통시킨다. 또한,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보다 하방에 마련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의 통로 면적을 AL3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의 통로 면적 AL3은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통로 면적 AL1보다 작다(AL3<AL1). 또한,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의 통로 면적 AL3은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의 통로 면적 AL2보다 작다(AL3<AL2). 즉, 왼쪽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L)에서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의 통로 면적 AL3이 가장 작고,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의 통로 면적 AL1이 가장 크다(AL3<AL2<AL1). 바꾸어 말하면, 왼쪽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L)는 3개의 윤활유 배출 통로(371L, 372L, 373L)의 통로 면적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 즉 펌프 하우징(212)쪽에서 기어 케이스(223)쪽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오른쪽 통로판(354)은 커버(251)에서 제1 부착판(351)과 제2 부착판(352) 사이의 부분이 제1 부착판(351) 및 제2 부착판(352)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꺾이도록 형성된다(도 18 참조). 오른쪽 통로판(354)의 폭은 제2 홈부(342B)의 홈 폭보다 약간 넓게 설정된다. 즉, 오른쪽 통로판(354)은 제2 홈부(342B)를 기어 케이스(223)쪽에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9의 (b)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홈부(342B)와 오른쪽 통로판(354)에 의해 소정 단면적을 갖는 통로, 즉, 우측의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가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통로 면적을 AR2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통로 면적 AR2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통로 면적 AR1보다 작다(AR2<AR1).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상류측 단부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와 연통하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하류측 단부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와 연통한다. 또한,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통로 폭은 보스부(341)의 반경 방향에서 상류측 단부의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개구 폭(타원 단변)과 대략 일치한다.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중류부에는 협소부(372Ra)가 형성된다. 협소부(372Ra)의 통로 폭(제2 홈부(342B) 내측의 홈 폭)은 보스부(341)의 반경 방향에서 상류측 단부의 통로폭에 비해 좁다.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는 커버(251)의 오른쪽 통로판(354)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된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구멍 형상은 대략 원형이 된다. 그리고,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상류측 단부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와 연통한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하류측 단부는 플런저(234)의 정면쪽으로 개방되어 기어 케이스(223) 내부와 연통한다. 즉,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와 함께 연통로를 이루어, 플런저(234)의 외측에서 기어 케이스(223) 내부와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를 연결시킨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는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보다 하방에 마련된다. 환언하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는 오른쪽 통로판(354)에서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를 덮는 쪽과는 반대쪽의 단부에 마련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통로 면적을 AR3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통로 면적 AR3은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통로 면적 AR1보다 작다(AR3<AR1). 또한,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통로 면적 AR3은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R)의 통로 면적 AR2보다 작다(AR3<AR2). 즉, 우측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R)에서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R)의 통로 면적 AR3이 가장 작고,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R)의 통로 면적 AR1이 가장 크다(AR3<AR2<AR1). 바꾸어 말하면, 우측의 윤활유 배출 통로(370R)는 3개의 윤활유 배출 통로(371R, 372R, 373R)의 통로 면적은 상류측에서 하류측, 즉 펌프 하우징(212)쪽에서 기어 케이스(223)쪽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연료 분사 펌프(201)는 기어 케이스(223)를 펌프 하우징(212)의 플런저(234)에 장착해, 플런저(234)로부터 돌출하는 캠축(220)을 기어 케이스(223) 내부에 삽입한다. 연료 분사 펌프(201)는 캠 기어(224)를 기어 케이스(223) 내부에서 캠축(220) 상에 마련하고, 펌프 하우징(212) 내부의 윤활유를 기어 케이스(223) 내부로 배출하는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를 플런저(234)에 마련한다. 그리고, 연료 분사 펌프(201)에서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가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꺾이도록 형성되고,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와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는 펌프 하우징(212)의 플런저(234)의 일측면 상에 마련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와 대략 직교하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의 상류측에 연통한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는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와 대략 직교하고,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의 하류측과 연통한다.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의 일부를 구성하는 홈부(342)가 펌프 하우징(212)의 플런저(234)의 일측면 상에 마련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는 홈부(342) 내부에서 펌프 하우징(212)의 플런저(234)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의 상류측 단부는 펌프 하우징(212) 내부와 연통한다.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의 하류측 단부는 홈부(342) 내부와 연통해 커버(251)에 의해 덮인다.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는 홈부(342)와 커버(251)에 의해 구성된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는 커버(251)의 단면을 따라 구성된다. 또한,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의 통로 면적 AL2·AR2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의 통로 면적 AL3·AR3은, 각각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의 통로 면적 AL1·AR1보다 작게 한다.
이에 따라, 윤활유가 펌프 하우징(212) 내부의 캠실(122)로부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를 차례로 경유해 기어 케이스(223) 내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의 기어 케이스(223) 측의 통로 면적이 펌프 하우징(212) 측의 통로 면적보다 작아져, 윤활유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에 고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감쇠해, 기어 케이스(223) 측으로부터 펌프 하우징(3)으로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201)는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펌프(201)는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의 통로 면적 AL3·AR3을 제2 윤활유 배출 통로(372L·372R)의 통로 면적 AL2·AR2보다 작게 한다.
이에 따라,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의 기어 케이스(223) 측의 통로 면적이 기어 케이스(223) 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윤활유가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에 의해 고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디젤 엔진의 피스톤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맥동압이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감쇠해, 기어 케이스(223) 측에서 펌프 하우징(3)으로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201)는 펌프 하우징(3) 내부에서의 윤활유의 비산 액적량을 저감시켜, 윤활유의 비산 액적에 기인해 발생하는 윤활유가 연료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251)의 단면에 가공을 하는 것만으로,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의 통로 면적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의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어, 연료 분사 펌프(201)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3 윤활유 배출 통로(373L·373R)를 제1 윤활유 배출 통로(371L·371R)보다 하방에 마련한다.
이에 따라, 윤활유가 펌프 하우징(212) 내부로부터 기어 케이스(223) 내부로 배출될 때, 윤활유가 윤활유 배출 통로(370L·370R)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흘러 떨어진다. 따라서, 윤활유의 배출을 원활히 하여 윤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료 분사 펌프(201)는 펌프 하우징(212)의 플런저(234)에 형성된 오목부(342D·342E)에 결합 가능한 볼록부(351B·352B)를 커버(251)에 마련하고, 커버(251)를 펌프 하우징(3)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에 따라, 커버(251)의 장착 작업이 쉬워진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201)의 조립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연료 분사 펌프(201)는 커버(251)를 펌프 하우징(212)의 플런저(234)에 장착할 때, 커버(251)의 한 쌍의 볼록부(351B·352B)를 각각 플런저(234)의 한 쌍의 오목부(342D·342E)에 결합시킴으로써, 커버(251)를 플런저(234)(홈부(342)) 상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351B)가 제1 부착판(351)의 중간부 바깥 테두리에 마련되는 한편, 볼록부(352B)가 제2 부착판(352)의 선단부 바깥 테두리에 마련되기(환언하면, 볼록부(351B)와 볼록부(352B)는 보스부(3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커버(251)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볼록부(351B·352B)를 한 쌍의 오목부(342D·342E)에 각각 틀리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커버(251)의 장착 작업이 한층 더 쉬워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디젤 엔진에 탑재되는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분사 펌프에 이용할 수 있다.
1, 201 연료 분사 펌프
2 하이드롤릭 헤드
3, 212 펌프 하우징
3a, 103a 플런저
3i 제1 윤활유 배출공(연통공)
3j 제2 윤활유 배출공(연통공)
3n 제1 연통로
3m 제2 연통로
3p 윤활유 저장부
28 저지부
50, 223 기어 케이스
60, 235 커버
60d, 60h, 70d 배출공(관통공)
103i 윤활유 배출공(연통공)
103n 연통로
103p 윤활유 저장부
220 캠축
224 캠 기어
234 플런저부
370L 좌측 윤활유 배출 통로
370R 우측 윤활유 배출 통로
342 홈부
342D, 342E 오목부
351B, 352B 볼록부
371L 좌측 제1 윤활유 배출 통로
371R 우측 제1 윤활유 배출 통로
372L 좌측 제2 윤활유 배출 통로
372R 우측 제2 윤활유 배출 통로
373L 좌측 제3 윤활유 배출 통로
373R 우측 제3 윤활유 배출 통로

Claims (8)

  1. 기어 케이스에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을 구비한 연료 분사 펌프로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에 접속하는 홈부와,
    상기 펌프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연통공 및 상기 홈부의 일부를 상기 기어 케이스쪽에서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 상기 홈부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와 상기 기어 케이스 내부를 연통하는 꺾인 형상의 연통로를 구성한 연료 분사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공을 상기 커버에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과 직면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연료 분사 펌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의 중간이며,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윤활유 저장부를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에 캠을 수납하는 캠실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캠과 접하는 태핏을 수납하는 태핏실을 상기 캠실과 연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캠실과 상기 태핏실의 상기 태핏보다 플런저 측과의 사이에 이들의 연통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형성한 연료 분사 펌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을 제1 윤활유 배출 통로로 하고, 상기 관통공을 제3 윤활유 배출 통로로 하고, 상기 연통로의 상기 연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제외한 부분을 제2 윤활유 배출 통로로서 이용하여, 윤활유를 상기 펌프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 상기 제2 윤활유 배출 통로,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의 차례로 경유시켜 상기 기어 케이스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윤활유 배출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과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을, 각각 상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보다 작게 한 연료 분사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을 상기 제2 윤활유 배출 통로의 통로 면적보다 작게 한 연료 분사 펌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윤활유 배출 통로를 상기 제1 윤활유 배출 통로보다 하방에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결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상기 커버에 마련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펌프 하우징에 위치 결정 가능하도록 장착한 연료 분사 펌프.
KR1020117026742A 2009-04-20 2010-04-16 연료 분사 펌프 KR101639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2513 2009-04-20
JP2009102513A JP5255506B2 (ja) 2009-04-20 2009-04-20 燃料噴射ポンプ
JP2009217565A JP5350155B2 (ja) 2009-09-18 2009-09-18 燃料噴射ポンプ
JPJP-P-2009-217565 2009-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22A KR20120004522A (ko) 2012-01-12
KR101639674B1 true KR101639674B1 (ko) 2016-07-14

Family

ID=4301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742A KR101639674B1 (ko) 2009-04-20 2010-04-16 연료 분사 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39674B1 (ko)
CN (1) CN102405345B (ko)
WO (1) WO2010122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6104B2 (ja) * 2012-03-28 2016-03-16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984A (ja) 2003-11-14 2005-06-09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JP2008106780A (ja) 2007-12-04 2008-05-08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259Y2 (ko) * 1984-10-31 1990-02-21
JPS63201308A (ja) * 1987-02-17 1988-08-19 Honda Motor Co Ltd デイ−ゼルエンジン
JP2004150290A (ja) * 2002-10-29 2004-05-27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燃料供給用ポンプおよびタペット構造体
US8061328B2 (en) * 2005-03-09 2011-11-22 Caterpillar Inc. High pressure pump and method of reducing fluid mixing within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984A (ja) 2003-11-14 2005-06-09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JP2008106780A (ja) 2007-12-04 2008-05-08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22A (ko) 2012-01-12
CN102405345A (zh) 2012-04-04
CN102405345B (zh) 2013-10-02
WO2010122963A1 (ja)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0020B2 (ja) 燃料ポンプ
JP4124786B2 (ja) 燃料供給用ポンプ
US9188096B2 (en) Fuel pump and fuel supply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24744B1 (ko) 연료 분사 펌프
JP5187254B2 (ja) 高圧ポンプ
JP5187255B2 (ja) 高圧ポンプ
JP2015505011A (ja) 燃料ポンプ用のポンプヘッド
CN107923357B (zh) 高压燃料泵及其制造方法
JPWO2005068823A1 (ja) 燃料供給用ポンプ
KR101567794B1 (ko) 연료 펌프
EP2050956A1 (en) Pump assembly
KR101639674B1 (ko) 연료 분사 펌프
US10584700B1 (en) High-pressure fuel pump
JP2013053555A (ja) 燃料供給ポンプ
KR101511962B1 (ko) 가솔린 엔진용 직접 분사식 고압연료펌프
CN115398090B (zh) 高压燃料供给泵和制造方法
US20230374962A1 (en) Fuel Pump
JP5350155B2 (ja) 燃料噴射ポンプ
JP5437031B2 (ja) 燃料噴射ポンプ
JP5255506B2 (ja) 燃料噴射ポンプ
JP2008291764A (ja) 高圧燃料ポンプ
JP2004324546A (ja) 燃料供給用ポンプ
JP3099289B2 (ja) 単気筒ポンプの吸入脈動低減装置
JP5592519B2 (ja) 燃料噴射ポンプ
JP2009209793A (ja) 燃料供給ポンプの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