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395B1 -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395B1
KR101639395B1 KR1020160047951A KR20160047951A KR101639395B1 KR 101639395 B1 KR101639395 B1 KR 101639395B1 KR 1020160047951 A KR1020160047951 A KR 1020160047951A KR 20160047951 A KR20160047951 A KR 20160047951A KR 101639395 B1 KR101639395 B1 KR 10163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backward
sound source
foam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근호
Original Assignee
노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근호 filed Critical 노근호
Priority to KR102016004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골을 형성하고 있는 머리뼈를 직접 진동시키는 골전도를 통해 청각신경을 자극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불루투스 무선통신하여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원앰프를 구비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수면 중 목을 편안하게 보호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높낮이 조절을 통해 개인별 체형에 맞출 수 있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는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후두부가 안착되는 후두부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부폼과, 상기 상부폼의 하부로 연결되는 하부폼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경추지지부와 후두부안착부 사이에 구비되어서 두개골을 진동자극하는 골전도유닛;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수신하고, 이를 증폭하여 상기 진동유닛으로 송출하는 음원앰프; 상기 상부폼과 하부폼의 간격을 조절하여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Pillow equipped with bone-conduction speaker}
본 발명은 두개골을 형성하고 있는 머리뼈를 직접 진동시키는 골전도를 통해 청각신경을 자극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불루투스 무선통신하여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원앰프를 구비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수면 중 목을 편안하게 보호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높낮이 조절을 통해 개인별 체형에 맞출 수 있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되면, 전달된 파동 형태의 소리는 공기 분자를 진동시켜 귀의 고막을 진동시킴으로써, 인간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공기분자의 진동에 의해 들리는 소리는 청각 장애인에게는 잘 전달되지 않기에 두개골을 형성하고 있는 머리뼈를 직접 진동시시키는 골전도를 통해 청각신경을 자극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베개가 근래에 보급되고 있다.
골전도 베개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310891호 "초소형 골도 스피커", 등록특허 제390003호 "떨판을 이용한 골도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등 다수가 개시되었다.
골전도 베개는 머리를 지지하는 본체와, 본체에 떨판이 노출되도록 내장되는 골전도유닛과, 골전도유닛에 음원데이터를 제공하는 음향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베개는 전용 음향기기를 사용하여 다른 음향기기를 사용할 수 없고, 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어 별도의 음향기기에 대한 수요가 적은 지금 종래기술의 골전도 베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체형이 제각각이고 선호하는 베개의 높이가 다르다. 그래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가 있지만, 높이조절 방법이 번거롭고 부드럽게 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골전도 베개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널리 대중화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경추의 C 커브를 형성하여 수면 중 목을 편안헥 보호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베개의 높이 조절이 간단하면서 부드럽게 행해지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는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후두부가 안착되는 후두부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부폼과, 상기 상부폼의 하부로 연결되는 하부폼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경추지지부와 후두부안착부 사이에 구비되어서 두개골을 진동자극하는 골전도유닛;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수신하고, 이를 증폭하여 상기 골전도유닛으로 송출하는 음원앰프;
상기 상부폼과 하부폼의 간격을 조절하여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폼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폼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과,
상기 회전원판이 회전하는 때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진하는 전후진로드와,
상기 회전원판의 주변의 상기 하부판에 장착되어서 상기 전후진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전후진로드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승하강핀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핀의 단부가 접촉되는 경사면을 갖는 승하강블럭과,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조작레버를 통해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면 상기 전후진로드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상기 승하강핀이 상기 승하강블럭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상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핀의 단부에는 상기 승하강블럭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승하강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인출입하는 인출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와 승하강핀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하부판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음원앰프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무선단말기와의 페어링이 끊기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절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는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음향기기로 이용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를 줄이고, 경추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도 경추를 보호하고, 개인별 체형과 기호에 맞게 베개의 높이를 간편하면서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게 사용된 베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앰프의 블럭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는 본체(10), 골전도유닛(20), 음원앰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 목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11)와, 상기 경추지지부(11)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후두부안착부(12)가 형성되는 상부폼(15)과, 상기 상부폼(15)의 하부로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폼(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골전도유닛(20)은 상기 본체(10)의 경추지지부(11)와 후두부안착부(12) 사이에 떨판이 노출되도록 내삽되어서, 귀 근처의 두개골을 진동자극하여 음향이 사용자의 귀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음원앰프(30)는 페어링된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음원 데이터를 증폭한 후에 골전도유닛으로 송출한다.
상기 무선단말기는 전화통화, 음악청취, 영상시청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이 대표적이지만, 스마트폰 이외에도 블루투스 방식으로 음원 데이터를 송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들오 무선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음원앰프(30)는 무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하여 음원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모듈(31)과, 상기 블루투스모듈(31)에서 수신된 음원 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2)와, 상기 증폭기(32)에서 증폭된 음원 데이터를 골전도유닛(20)으로 송출하는 송출부(33)와, 음원앰와 무선단말기를 페어링시키는 페어링부(34)와,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전원소비를 최소화하고, 무선단말기와의 페어링이 끊기면 전원을 오프시켜서 불필요한 전원소비를 차단하는 절전부(35)와, 음원앰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6)와, 외부전원으로 상기 배터리(36)를 충전시키는 충전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본체(10)에 내장되어서 상기 상부폼(15)과 하부폼(17)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본체(10)의 높이, 즉, 목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부판(41), 하부판(42), 회전원판(43), 전후진로드(44), 승하강핀(45), 가이드블럭(46), 승하강블럭(47), 조작레버(48), 커버(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판(41)은 상기 본체(10)의 상부폼(15)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판(42)은 상기 본체(10)의 하부폼(17)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판(42)의 중앙에는 샤프트(421)가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42)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421)로 삽입되어 인출입하는 인출입관(41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원판(43)은 중앙에 형성된 축공(431)이 상기 샤프트(421)로 삽입되어서, 상기 하부판(42)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원판(43)에는 복수의 가이드홈(433)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데, 외측에서 내측의 중심을 향하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쳐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원판(43)의 가장자리에는 톱니(435)가 일정구간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럭(46)은 상기 회전원판(43)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판(42)에 장착된다.
상기 전후진로드(44)는 상기 가이드블럭(46)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후진로드(44)의 전방에는 전후진롤러(441)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후진롤러(441)는 상기 회전원판(43)의 가이드홈(433)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승하강핀(45)은 상기 전후진로드(44)의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핀(45)의 상단에는 승하강롤러(451)가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블럭(47)은 상기 상부판(41)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블럭(47)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471)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471)에는 상기 승하강롤러(451)가 접촉된다. 상기 경사면(471)에는 상기 승하강롤러(451)가 안치되는 안치홈(473)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레버(48)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회전원판(4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레버(48)의 전방에는 상기 회전원판(43)에 구비되는 톱니(435)에 치합되는 기어(485)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손잡이(48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49)는 상기 하부판(42)을 덮는다. 상기 커버(49)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421)가 관통하는 관통공(49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91)의 주변에는 상기 승하강핀(45)이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493)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40)을 통해 본체(10)의 높낮이, 즉, 상부판(41)과 하부판(42)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레버(48)의 손잡이(481)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485)와 톱니(435)가 맞물려 이동함으로써 회전원판(43)이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원판(43)이 회전을 하면 회전방향에 따라 가이드홈(433)의 내벽이 전후진롤러(441)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전후진롤러(441)가 가이드홈(433)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전후진롤러(441)가 가이드홈(433)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면 전후진로드(44)가 같이 이동하여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되며, 승하강핀(45)도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승하강핀(45)이 전진 또는 후진을 하면 승하강롤러(451)가 승하강블럭(47)의 경사면(471)을 타고 이동하여 상부판(41)을 위로 밀어 승강시키거나 상부판(41)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판(41)과 하부판(42)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처럼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사용자가 조작레버(48)의 손잡이(481)를 잡고 돌리는 것만으로 본체의 높낮이가 간편하게 조절되고, 전후진롤러(441)와 승하강롤러(451)가 가이드홈(433)의 내벽과 승하강블럭(47)의 경사면(471)을 회전을 하며 접촉이동하여서 이동에 따른 부하와 접촉에 따른 소음을 줄여주고, 회전원판(43)의 회전에 전후진로드(44)들의 전후진이 동기화되어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부판(41)은 치우침 없이 전체가 균일한 거리로 승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경추지지부
12 : 후두부안착부 15 : 상부폼
17 : 하부폼 20 : 골전도유닛
30 : 음원앰프 31 : 블루투스모듈
32 : 증폭기 33 : 송출부
34 : 페어링부 35 : 절전부
36 : 배터리 37 : 충전부
40 : 높이조절수단 41 : 상부판
42 : 하부판 43 : 회전원판
44 : 전후진로드 45 : 승하강핀
46 : 가이드블럭 47 : 승하강블럭
48 : 조작레버 49 : 커버

Claims (4)

  1.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후두부가 안착되는 후두부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부폼과, 상기 상부폼의 하부로 연결되는 하부폼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경추지지부와 후두부안착부 사이에 구비되어서 두개골을 진동자극하는 골전도유닛;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수신하고, 이를 증폭하여 상기 골전도유닛으로 송출하는 음원앰프;
    상기 상부폼과 하부폼의 간격을 조절하여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폼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폼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과,
    상기 회전원판이 회전하는 때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진하는 전후진로드와,
    상기 회전원판의 주변의 상기 하부판에 장착되어서 상기 전후진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전후진로드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승하강핀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핀의 단부가 접촉되는 경사면을 갖는 승하강블럭과,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조작레버를 통해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면 상기 전후진로드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상기 승하강핀이 상기 승하강블럭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상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핀의 단부에는 상기 승하강블럭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승하강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인출입하는 인출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와 승하강핀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하부판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앰프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원 데이터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무선단말기와의 페어링이 끊기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절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KR1020160047951A 2016-04-20 2016-04-20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KR10163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51A KR101639395B1 (ko) 2016-04-20 2016-04-20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51A KR101639395B1 (ko) 2016-04-20 2016-04-20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395B1 true KR101639395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951A KR101639395B1 (ko) 2016-04-20 2016-04-20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3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20073390A (ko) * 2010-12-27 2012-07-05 윤성훈 베개 자세조절장치
KR101358881B1 (ko) * 2012-09-21 2014-02-06 주식회사 라비오텍 양방향 기능성 음원 내장 수면상태진단 및 수면유도기능을 구비한 골전도 베개
KR20150134778A (ko)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유타렉스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433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훈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20073390A (ko) * 2010-12-27 2012-07-05 윤성훈 베개 자세조절장치
KR101358881B1 (ko) * 2012-09-21 2014-02-06 주식회사 라비오텍 양방향 기능성 음원 내장 수면상태진단 및 수면유도기능을 구비한 골전도 베개
KR20150134778A (ko)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유타렉스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7066B (zh) 单声道无线耳机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US20080112581A1 (en) Vibrating earphone with enhanced base sound effect
JP2007531029A5 (ko)
US11564030B2 (en)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20230285762A1 (en) External system for implanted medical devices
KR101757845B1 (ko) 헬멧용 골전도 음향장치
CN103067809A (zh) 一种头戴耳机调整装置及一种头戴耳机
KR20110011394A (ko) 주파수 대역별 출력 조절이 가능한 무선 보청기
CN105025412B (zh) 多用途运动耳机
CN102387442B (zh) 一种头戴耳机
KR101639395B1 (ko) 블루투스 골전도 베개
US9973841B2 (en) Earbud set, and hearing aid and earphone using same
KR20170100932A (ko)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US20200214480A1 (en) Memory Foam Pillow with a Shoulder Recess and a Riser for Height Adjustment
JP6230192B2 (ja) 補聴器
KR20170133823A (ko) 이갈이 방지 장치 및 방법
CN213305709U (zh) 一种可调节耳撑的无线耳机
KR101796623B1 (ko) 골전도 귀마개
CN207518808U (zh) 脖戴式语音交互耳机
KR200363949Y1 (ko) 다목적 안경
CN209252144U (zh) 一种助听座椅
CN202276445U (zh) 一种头戴耳机
CN206612489U (zh) 一种u形睡觉枕头
CN214507385U (zh) 一种基于nfmi技术的低功耗助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