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04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04B1
KR101638904B1 KR1020090097802A KR20090097802A KR101638904B1 KR 101638904 B1 KR101638904 B1 KR 101638904B1 KR 1020090097802 A KR1020090097802 A KR 1020090097802A KR 20090097802 A KR20090097802 A KR 20090097802A KR 101638904 B1 KR101638904 B1 KR 10163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astening
stand
main body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504A (ko
Inventor
김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9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며,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를 스위블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의 두께 및 부피가 최소화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의 높이 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스탠드, 스위블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영상정보를 외부에서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CRT(고진공전자관으로서 음극선, 즉 진공 속의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이용해서 가시상(可視像)을 만드는 표시장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최근 LCD(liquid crystal display,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기체방전(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패널 등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으며, LCD 방식 또는 PDP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종래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 그 두께가 혁신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LCD 방식 또는 PDP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탠드 방식 또는 벽걸이 방식으로 거치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 방식으로 설치면에 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넥부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스탠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하부 또는 배면에 결합되어 본체의 하중을 지지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넥부는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설치면에 분산시켜,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직립한 상태로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는 최적의 시청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를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위블(Swiveling) 기능, 본체를 앞뒤로 기울일 수 있는 틸팅(Tilting) 기능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기능, 상기 틸팅 기능 또는 상기 높이조절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 결합된 스탠드에서 제공될 수 있다.
모니터와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장치는 틸팅 기능 및/또는 높이조절 기능이 많이 제공되고 있으며, TV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틸팅 기능 및/또는 높이조절 기능을 제외한 스위블 기능이 주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TV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스위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탠드의 구성요소는 복잡해지고, 스탠드의 부피 역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배면 측에 삽입 및 체결되어 장착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앞으로 기울어지려는 회전 모맨트가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 기능은 스탠드가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되도록 구성됨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스탠드가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슬림화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트렌드에 일조할 수 있는 구성이 단순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를 스위블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의 두께 및 부피가 최소화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의 높이 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스탠드 측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스탠드를 스위블 가능하게 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스탠드 측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 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본체 측에 체결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슬립부재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에 의하여 함께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는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의 와셔를 구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셔는 상기 결속부재의 결속력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디스크 와셔를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에 의하여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슬라이드 회전시 상기 결속부재의 변위를 안내하는 타원 형태의 결속홀이 복수 개 구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헤드를 갖는 범용 볼트이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중심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스탠드 측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홀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스탠드 측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개구부 둘레에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위한 결속홀과 상기 본체와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는 결속홀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의 결속홀은 상기 회전부재의 체결홀보다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스탠드탑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스탠드탑을 매개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탠드와 체결되는 스탠드탑, 상기 스탠드탑에 체결 및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스탠드에 체결 및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드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는 결속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드 회 전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다른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결속부재가 결속되는 결속홀을 각각 복수 개 구비하며, 상기 결속부재와 함께 슬라이드 회전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결속홀 형상은 타원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는 링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원형 결속홀은 동심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 상기 본체 측에 고정되는 제1 부재, 상기 스탠드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의 결속지점에서 각각의 결속부재에 의하여 결속된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슬라이드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상기 본체가 스위블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지점은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심원의 직경은 본체의 무게에 비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지점의 개수는 상기 본체의 무게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본체의 스위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를 스위블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의 두께 및 부피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본체의 스위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의 높이 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5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넥부(210) 및 상기 넥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베이스부(260)를 포함하는 스탠드(200) 및,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스탠드(200) 측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스탠드(200)를 스위블 가능하게 하는 힌지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그 본체(100)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으며, 시청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아장치(500) 전체를 들어올려 시청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모니터 등과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장치와 달리 본체(100)의 무게와 크기가 큰 경우, 시청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200) 자체에서 스위블(Swiveling)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와 스탠드(200)를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스위블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5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보다 자세하게, 도 2(a)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 배면을 덮는 후면커버(13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 배면을 덮는 후면커버(13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스탠드(2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넥부(210)와 상기 넥부(21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100)의 하중을 설치면(바닥면)에 분산시키는 베이스부(260)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스탠드(200)를 구성하는 넥부(210)와 베이스부(260)가 슬라이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탠드(200) 자체가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스탠드(200)와 직접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를 스탠드(200)에 체결하도록 매개하는 스탠드탑(3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결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탑(300)은 상기 본체(100)의 배면측 하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등으로 체결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스탠드(200)의 넥부(210) 측에 체결된다.
상기 스탠드탑(300) 중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는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구성하는 모듈프레임(110f)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모듈프레임(110f)에 체결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0)를 구성하는 후면커버(130)에 의하여 차폐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스탠드(200)의 넥부(210) 측에 체결되는 상기 스탠드탑(300)의 다른 부분은 상기 넥부(210)와 후술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매개로 슬라이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와 스탠드(2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와 스탠드(200)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b)는 상기 스탠드(200) 및 스탠드탑(3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탑(300)은 상부가 본체(100)의 후방 하부로 삽입된 뒤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는 상기 스탠드(200)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매개로 스위블 가능하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직접 체결될 수도 있으나, 그 각각의 별도의 장착부재(46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460)에 의하여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 사이 공간의 유격을 방지하며, 형합성을 향상시키고 윤활재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200)의 낵부의 상부는 그 내부에 힌지 어셈블리(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12) 내부에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복수 개 형성된 융기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214)는 후술하는 힌지 어셈블리(400)의 고정부재(410)가 체결 및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탠드(200)는 넥부(210)와 베이스부(260)가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200)의 베이스부(260)는 그 하부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베이스 메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스탠드탑(300), 힌지 어셈블리(400) 및 스탠드(200)의 결합부위의 확대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320), 상기 장착부재(460)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동일한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320h), 상기 장착부재(460)의 체결홀(460h)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회전부재(430)의 체결홀(430h)이 동일한 제1 체결부재(b1)에 의하여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가 상기 스탠드(200)의 낵부 의 함몰부(212) 내부의 융기부(214)에 체결된 경우, 슬라이드 회전가능하다.
즉, 상기 회전부재(43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 고정부재(410)가 상기 융기부(214)에 제2 체결부재(b2)에 의하여 체결 및 고정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430)는 상기 고정부재(4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를 스위블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의 결속(結束)이란 결속부재에 의하여 분리될 수 없도록 구속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결속(結束) 상태는 완전한 고정상태가 아닌 상대적인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결속부재에 의하여 상호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은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융기부(214)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b2)는 상기 고정부재(410)의 체결홀(410h)과 상기 융기부(214)의 체결홀(214h)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와 스탠드(200)를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400)의 구조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 어셈블리(40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5(a)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b)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c)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스탠드(200) 측에 체결되는 고정부재(410) 및 상기 고정부재(410)와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본체(100) 측에 체결되는 회전부재(430)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410) 또는 회전부재(43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를 스탠드(200)를 기준으로 스위블되는 경우, 고정 또는 회전되는지 여부에 따라 고정 또는 회전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는 서로 회전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본체(100) 측에 고정되는 제1 부재(회전부재), 상기 스탠드(200)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부재(회전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의 결속지점에서 각각의 결속부재(b3)에 의하여 결속된 제2 부재(고정부재)를 포함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410)는 제2 부재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430)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410)는 힌지 어셈블리(400) 최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원판 디스크 형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410h)과 외곽 테두리에 후술하는 결속홀(415h)이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스탠드(200)와 체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410)가 상기 스탠드(200)의 넥부(210)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212)의 융기부(214)에 제2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융기부(214)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410h, 215h)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고정부재(410) 하부에 상기 회전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10)와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는 결속부재(b3)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부재(b3)는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결속하는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제1 체결부재(b1) 및 제2 체결부재(b2)와 역할이 다르다. 즉, 도 4에 도시된 제1 체결부재(b1)는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와 상기 회전부재(4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수단이며, 제2 체결부재(b2)는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스탠드(200)의 융기부(214)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수단이다.
상기 결속부재(b3)와 상기 체결부재는 모두 범용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체결수단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10) 및 상기 회전부재(430)는 결속부재(b3)에 의하여 슬라이드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재(b3)는 상기 고정부재(410) 또는 상기 회전부재(430)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다른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부재(b3)는 상기 회전부재(430)와 함께 상기 고정부재(4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회전부재(430) 또는 고정부재(410) 중 일측의 결속홀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타측의 결속홀을 원형으로 형성하면 결속부재(b3)의 회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부재(b3)와 함께 슬라이드 회전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결속홀 형상은 타원형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결속부재(b3)가 고정부재(410) 측에 고정되면, 상기 회전부재(430)의 결속홀을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하면 동일한 스위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고정부재(410)와 회전부재(430)의 결속홀 중 어느 한가지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면 스위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b3)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410)와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는 각각 결속홀(415h, 435h)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상기 회전부재(430) 및 상기 결속부재(b3)의 슬라이드 회전시 상기 결속부재(b3)의 변위를 안내하는 타원 형태의 결속홀(415h)이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홀(415h)은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타원형 결속홀(415h)은 동심원(X)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0)가 상기 스탠드(200)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경우, 상기 회전부재(430)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결속부재(b3)가 상기 결속홀(415h) 내부에서 슬라이드 변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속홀(415h)의 길이 또는 형상에 따라 상기 결속부재(b3)의 슬라이드 변위의 범위가 결정되며, 결국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0)의 스위블 범위를 결정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상기 회전부재(43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b3)는 헤드를 갖는 벙용 볼트이며, 상기 고정부재(4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그 중심부에 제2 체결부재(b2)와 스탠드(20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410h)이 형성되고, 그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타원 형태의 결속홀(415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10)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부재(430)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부재(410)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탠드(200)의 융기부(214)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b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430p)가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430)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430p)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410)는 그 중심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410h)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10)를 상기 스탠드(200) 측에 체결하는 체결부재(b2)는 상기 고정부재(410)의 체결홀(410h)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430)의 개구부(430p)를 경유하여 상기 스탠드(200) 측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0)는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320)와 제1 체결부재(b1)에 의하여 체결되는 체결홀(430h)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410)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410)에 의하여 차폐되는 영역 둘레에 체결홀(430h)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30)에 형성된 체결홀(430h)은 회전부재(430)의 결속홀(435h)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회전부재(430)의 개구부 둘레에 상기 회전부재(430)와 상기 고정부재(410)를 결속하는 결속부재(b3)를 위한 결속홀(435h)과 상기 본체(100)와 체결을 위한 체결홀(430h)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430)는 결속홀(435h)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430p)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재(430)의 결속홀(435h)은 상기 회전부재(430)의 체결홀(435h)보다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 사이에 슬립부재(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 사이에 마찰을 줄이고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슬립부재(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립부재(420) 역시 상기 회전부재(430)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재(410)를 상기 스탠드(200)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b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개구부(420p)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립부재(420)는 상기 회전부재(430)와 상기 고정부재(410)를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b3)에 의하여 함께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립부재(420)는 상기 회전부재(430)의 결속홀(435h)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홀(425h)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10)가 상기 스탠드(200) 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430)가 본체(100) 측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슬립부재(420) 역시 상기 회전부재(430)와 결속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립부재(420)는 상기 고정부쟁의 하면과 슬립되면서 본체(100)의 스위블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립부재(420)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재질의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립부재(420)는 스탠드(200) 또는 본체(100) 측에 체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의 체결홀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0) 및 상기 회전부재(430) 중 어느 하나는 링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430)가 링타입으로 구성됨이 도시된다. 상기 회전부재(430)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재(410)를 상기 스탠드(200)의 융기부(214) 측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b2)가 통과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립부재(420) 역시 상기 회전부재(430)와 마찬가지로 중심부가 개방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속홀(425h) 부위가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본체(100)(스탠드탑(300)) 및 상기 스탠드(200)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회전부재(430)와 상기 고정부재(410)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430)와 상기 고정부재(410)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b3)에 의하여 스위블 기능을 구현한다.
즉, 고정부재(410)는 스탠드(200) 측에 체결 고정되며, 회전부재(430)는 본체(100) 측에 체결 고정되지만,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결속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스위블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가 스위블 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410)만 상기 스탠드(200) 측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430), 상기 슬립부재(420)는 상기 결속부재(b3)에 결속된 상태로 슬립 회전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b3)는 상기 회전부재(430)와 함께 상기 고정부재(410)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속부재(b3)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타원 형태의 결속홀을 회전부재(430)에 구비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b3)는 범용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용 볼트 등의 헤드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접촉면(즉, 상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결속부재(b3)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와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상기 결속부재(b3)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마모에 의한 응력 집중을 예방하기 위하여 채용된다. 상기 와셔는 상기 결속부재(b3)의 결속력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디스크 와셔(w1)와 상기 고정부재(410) 상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접시형 와셔(w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10) 상면에 복수 개의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 둘레에 윤활홈(415g)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b3)에 장착된 상기 접시형 와셔 등의 하면과 고정부재(410)의 결속홈(415h) 근방에서의 윤활을 위하여 상기 윤활홈(415g) 등에 구리스 등이 충진할 수 있다. 상기 윤활홈(415g)은 구리스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구리스 등에 의한 윤활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b3)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와셔들에 의하여 반발력이 발생되고, 쉽게 풀리는 것이 방지되며 동시에 구리스 등과 같은 윤활재에 의하여 슬라이드 회전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400)의 작동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가 스위블되지 않고 정면을 향한 상태의 힌지 어셈블리(400)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6(b)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가 제1방향으로 스위블된 경우의 힌지 어셈블리(400)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6(c)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가 제2방향으로 스위블된 경우의 힌지 어셈블리(4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스탠드(200)의 베이스부(260)는 고정되고, 상기 본체(100)가 상기 베이스부(260)에 대하여 스위블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10)는 스탠드(200) 측에 체결 및 고정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가 상기 스탠드(200)에 대하여 회전되더라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430)는 상기 결속부재(b3)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410)에 결속된 상태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는 상대적으로 회전하므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다른 하나가 회전되지만, 설명의 편의상 스탠드(200)에 체결되는 부재를 고정부재(410)로 명명하며, 본체(100) 측에 체결되는 부재를 회전부재(430)로 명명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b3)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회전부재(430)가 결속되는 지점, 즉 결속지점은 도 6에 도시된 동심원(X) 상에 위치한다. 상기 동심원(X)은 가상의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0)가 커지면, 상기 동심원(X)의 직경이 커지도록 고정부재(410)의 직경, 회전부재(430)의 직경 및 결속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심원(X)의 크기가 커지면 상기 결속지점의 개수 또한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와 스탠드(20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결속지점이 많아지는 경우, 본체(100)의 무게 등이 증가되어도 본체(100)의 무게에 의한 회전 모맨트를 분산시켜 힌지 어셈블리(400)의 결속지점 각각에 인가되는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 어셈블리(4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7(a)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b)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c)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회전부재(430)와 상기 고정부 재(410)를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b3)를 채용하여 별도의 스위블 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부재(b3)를 연결하는 가상의 동심원(X, 도 6참조)의 직경을 갖는 가상의 축이 스위블 축으로서 작용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스위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두께를 갖는 스위블 축을 구비하였다.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의 크기에 비례하여 스위블 축의 직경도 증가될 필요가 있으며, 본체(1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블 축의 직경은 큰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스위블 축의 직경을 증가시키면, 스탠드(200)의 무게와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스위블 축을 생략하고, 스위블 축의 역할을 수행하는 결속부재(b3)를 채용하여, 스위블 축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410)와 회전부재(430)의 위치가 변경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10)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430)가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위치변화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스탠드탑(300)의 하부와 상기 회전부재(430)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b1)와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스탠드(200)의 융기부(214)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b2)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30)가 상측에 배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제1 체결부재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10)가 하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10)와 상기 스탠드(200)의 융기부(214)를 체결하기 위한 도 4에 도시된 제2 체결부재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410)와 회전부재(4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본체(100) 측과 스탠드(200) 측에 각각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재(b1)와 제2 체결부재(b2)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부재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체결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본체(100) 하중에 의한 모맨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한 힌지 어셈블리(4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 어셈블리(4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8(a)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b)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c)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결속부재(b3)의 수가 4개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결속부재(b3)의 수를 증가시키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스탠드(200)를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100)의 크기가 증가되 는 경우, 전술한 가상의 스위블 축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가상의 스위블 축을 증가시키는 경우, 가상의 스위블 축의 직경 증가에 따른 원주의 길이도 증가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힌지 어셈블리(400’)를 결속하기 위하여 결속부재(b3)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와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상기 스탠드탑, 힌지 어셈블리 및 스탠드의 결합부위의 확대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 어셈블리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작동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Claims (24)

  1.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 측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본체 측에 체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슬라이드 회전 시 상기 결속부재의 변위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된 슬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결속하는 복수 개의 결속부재에 의하여 함께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 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는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의 와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결속부재의 결속력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디스크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홀은 타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헤드를 갖는 범용 볼트이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중심부에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스탠드 측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홀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개구부를 경유하여 상기 스탠드 측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개구부 둘레에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위한 결속홀과 상기 본체와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결속홀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결속홀은 상기 회전부재의 체결홀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스탠드탑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스탠드탑을 매개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탠드와 체결되는 스탠드탑;
    상기 스탠드탑에 체결 및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스탠드에 체결 및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슬라이드 회전가능하게 결속되는 회전부재;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부재의 슬라이드 회전시 상기 결속부재의 변위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다른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홀 형상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는 링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결속홀은 동심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영상이 표시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
    상기 본체 측에 고정되는 제1 부재;
    상기 스탠드 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의 결속지점에서 각각의 결속부재에 의하여 결속된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슬라이드 회전 시 상기 결속부재의 변위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슬라이드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상기 본체가 스위블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속지점은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의 직경은 본체의 무게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지점의 개수는 상기 본체의 무게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97802A 2009-10-14 2009-10-14 디스플레이장치 KR10163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02A KR101638904B1 (ko) 2009-10-14 2009-10-14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02A KR101638904B1 (ko) 2009-10-14 2009-10-14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04A KR20110040504A (ko) 2011-04-20
KR101638904B1 true KR101638904B1 (ko) 2016-07-12

Family

ID=4404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02A KR101638904B1 (ko) 2009-10-14 2009-10-14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9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390A (ja) * 2005-02-18 2006-08-31 Munekata Co Ltd モニタースタンド用回転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7390A (ja) * 2005-02-18 2006-08-31 Munekata Co Ltd モニタースタンド用回転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04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8997B1 (en) Flat-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stand unit with cable passing through hinge shaft
KR101498025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6024335A (en) Flat-panel display apparatus
US5978211A (en) Stand structure for flat-panel display device with interface and speaker
US7287729B2 (en) Display apparatus
US7195214B2 (en) Stand for display
US8628052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swiveling structure
US7798460B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KR100586983B1 (ko) 모니터장치
US64112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2311845A (ja) 表示装置
US11268650B2 (en) Rotatable stand for LCD monitor
US20050258334A1 (en) Display apparatus
US7707691B2 (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GB2420697A (en) Display stand and computer
US7320454B2 (en)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US9188272B2 (en) Display device with variable height and angles of view by virtue of rotatable stand
KR10163890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050253037A1 (en) Display apparatus
US20060076857A1 (en) Display device
EP2388506A2 (en) Stan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tand
JPH0526611Y2 (ko)
KR1013875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16466A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WO2007037565A1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