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444B1 - 음질지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질지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444B1
KR101637444B1 KR1020090072434A KR20090072434A KR101637444B1 KR 101637444 B1 KR101637444 B1 KR 101637444B1 KR 1020090072434 A KR1020090072434 A KR 1020090072434A KR 20090072434 A KR20090072434 A KR 20090072434A KR 101637444 B1 KR101637444 B1 KR 10163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frequency
level
quality index
sound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862A (ko
Inventor
김진동
김호산
강명주
한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4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질지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운전시 발생되는 소음의 특성을 분석하여 소음 인자들을 결정하고 그 소음 인자들을 조합하여 수많은 음원을 제작하며 그 수많은 음원을 주관적 평가하여 상관성 함수를 도출하고 그 상관성 함수를 이용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함으로써, 냉장고의 소음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음질지수를 개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장고 소음에 대한 신뢰성 높은 음질지수를 제공하여 냉장고 소음을 실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냉장고 소음, 음질지수, 소음 인자

Description

음질지수 제작 방법{CALCULATION MATHOD FOR SOUND QUALITY INDEX}
본 발명은 음질지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작동시 발생되는 냉장고 소음에 대한 소음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음질지수를 개발하고자 하는 음질지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쾌적하고 아늑한 공간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전제품 분야에서도 다양한 기능에 대한 요구는 물론 저소음에 대한 요구가 널리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냉장고의 경우에는 주로 주방이나 거실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다른 가전제품과는 달리 온/오프를 반복함에 따라 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냉장고 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급자는 냉장고의 소음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하고 관계당국은 냉장고 소음에 대한 소음기준을 세분화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하여야 할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냉장고 관련산업의 오랜 역사와 공급자 사이의 치열한 경쟁에 의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는 소음기준을 세분화하는 것이 과도한 진입장벽을 야기할 수도 있고 기술적으로 쉽지 않아 괄목하게 성장하고 있지는 못 한 것이 사실이다.
소음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최적화된 음질지수가 제작되어야 한다. 음질지수(sound quality index)는 음의 크기(loudness), 음의 거칠기(roughness), 음의 날카로움(sharpness) 등을 토대로 제작된다. 여기서, 음의 크기는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SPL), 음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에 의해 결정되고, 음의 거칠기는 음압레벨, 음의 주파수, 변조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며, 음의 날카로움은 음의 크기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객관적 음질 지수 중 대표적인 것은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라우드니스로서, 1kHz 40dB 소음을 1sone이라 한다. 이를 주파수 별로 같은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선을 이은 것을 도 1과 같은 등라우드니스 선도(Equal Loudness Contour)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라우드니스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음질지수는 냉장고의 소음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냉장고의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음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전술한 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객관적 음질지수로 산출하는 동시에 실제 냉장고 소음을 음향전문가 또는 소비자로 구성된 음질평가단이 수차례의 임상실험(jury test)을 통해 주관적 음질지수로 산출한다. 그리고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객관적 음질지수와 주관적 음질지수에 대한 상관성 함수를 도출함으로써 제품의 최종적 음질지수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음질지수 제작 방법에서는, 제품의 다양한 소음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소리 자체의 크기나 거슬리는 정도를 가지고 평가함에 따라 제품의 소음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소음 특성을 분석하여 소음인자를 결정하여 음질지수의 개발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뢰도가 높은 음질지수를 개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장고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음질지수 제작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음 특성을 분석하여 복수 개의 소음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소음 인자를 이용하여 평가에 사용될 음원을 만들기 위해 상기 소음 인자를 수준별 조합하는 단계; 추출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실시하여 각각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수준별 음원에 대한 주관적 음질지수를 평가하는 단계; 소음 인자의 수준별 조합과 주관적 음질지수 평가를 비교하여 상관성 함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성 함수에 기초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지수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 인자가 수준별 조합되는 단계에서는 소음 주파수에서 임의의 어떤 소음 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주파수의 소음 크기가 선정되지 않은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서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고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순서로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송음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 인자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어느 한 개의 음원을 제작한 다음에는 다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하는 단계로 이동하여 다른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를 다수 회 반복하면서 다수 개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개의 음원을 제작한 다음에 다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할 때, 소음 주파수에서 임의의 어떤 소음 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로 이동하거나, 또는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로 이동하거나, 또는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선정되지 않은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서 선정된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중에서 어느 한 단계로 이동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질지수 제작방법은, 상기 냉장고의 운전시 발생되는 소음의 특성을 분석하여 소음 인자들을 결정하고 그 소음 인자들을 조합하여 수많은 음원을 제작하며 그 수많은 음원을 주관적 평가하여 상관성 함수를 도출하고 그 상관성 함수를 이용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함으로써, 냉장고의 소음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음질지수를 개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장고 소음에 대한 신뢰성 높은 음질지수를 제공하여 냉장고 소음을 실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질지수 제작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냉장고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 제작을 위한 소음 인자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냉장고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 제작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제작 과정에서 소음 인자 조 합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질지수 제작방법은, 냉장고의 운전시 발생되는 소음 자체의 크기나 거슬리는 정도, 즉 소리 크기와 같은 단편적인 자료를 근간으로 음질지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냉장고 소음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소음 인자를 추출하여 그 소음 인자를 조합하는 작업을 다수 회 반복하여 평가한 후 최종적인 음질지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냉장고 소음을 분석하여 복수 개의 소음 인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시행한 후 음원을 제작하며, 그 제작된 음원을 소비자의 평가를 거쳐 앞선 수준별 조합된 자료와 비교하면서 회귀분석법을 통해 상관성 함수를 도출한다. 그리고 그 도출된 상관성 함수를 이용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 소음이란 냉장고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에서 나는 소음들로 이 소음들은 각각 부품마다 고유한 주파수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냉기를 불어주는 팬과 응축기에서는 저주파수의 소음을 발생하고, 냉매가 흘러가면서 내는 유동소음은 중주파수의 소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서는 온/오프 되는 과정이나 밸브타음 등에서 상당히 높은 고주파수의 소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냉장고 소음의 소음원을 일일이 분석하여 각 부품들이 내는 소음 주파수별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세분화된 음원을 만드는 것이 음질지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음 주파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게 되는 소음 인자는 냉장 고의 주요 소음 주파수, 즉 앞에서 열거한 것과 같은 주요 주파수들 중에서 선택하는 주파수(frequency), 선택된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베이스 레벨(base level), 선택된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피크 레벨(peak level), 그리고 선택된 주파수가 베이스 레벨에서 피크 레벨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변동 시간(transient time) 등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레벨은 피크 레벨보다 항상 낮다.
상기와 같은 소음 인자를 이용하여 음원을 만들고 그 음원에 대한 임상실험을 거쳐 최종적으로 음질지수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고의 소음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1) 여기서, 상기 냉장고의 소음은 반 무향실, 후면 반사판 설치 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서 냉장고의 전, 후, 좌, 우, 높이 등을 변경시켜가면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녹음할 수 있다.
다음, 냉장고의 소음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복수 개의 소음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2) 여기서, 복수 개의 소음 인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베이스 레벨, 피크 레벨, 그리고 변동 시간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앞서 추출된 소음 인자를 이용하여 소비자 평가에 사용될 음원을 만들기 위해 상기 소음 인자를 수준별 조합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3) 즉, 도 5에서와 같이 냉장고의 소음 주파수에서 임의의 어떤 소음 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S31)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32)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33)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이 결정된 소음 크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34)로 진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32)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33)는 그 순서를 바꿔서 진행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소음 인자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소음 주파수 중에서 100kHz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소음 크기는 대략 0~30dB로 결정하며, 상기 선택한 주파수의 소음 크기는 40dB로 결정한다. 그리고 변동시간은 초 단위로 결정한다.
다음, 앞서 추출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샘플로 각각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4) 여기서, 복수 개의 다른 소음 주파수에 대해서도 베이스 레벨과 피크 레벨 그리고 변동 시간을 서로 변경하면서 반복하여 조합한 후 음원을 만들게 되므로 대략 수 백개의 음원이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 앞서 제작된 수준별 음원들에 대한 주관적 음질지수를 평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5) 여기서, 평가의 주체는 소비자 특히 냉장고의 사용량이 많은 주부들로 구성하여 주관적으로 평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앞서 실시한 소음 인자의 수준별 조합과 앞서 실시된 소음 인자의 주관적 음질지수 평가 자료를 비교하여 상관성 함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 여기서, 상기 상관성 함수는 회귀분석법이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상관성 함수에 기초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7)
한편, 상기 소음 인자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S4)에서는 어느 한 개의 음원을 제작한 다음에는 다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하는 단계(S3)로 이동하여 다른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S4)를 수회 반복하면서 다수 개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개의 음원을 제작한 다음에 다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할 때, 냉장고의 소음 주파수에서 임의의 어떤 소음 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S31)로 이동하거나 또는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동시에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32,S33)로 이동하거나 또는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이 결정된 소음 크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34)로 이동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냉장고의 운전시 발생되는 소음의 특성을 분석하여 소음 인자들을 결정하고 그 소음 인자들을 서로 반복 조합하여 수많은 음원을 제작하며 그 수많은 음원을 평가단을 통해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상관성 함수를 도출하고 그 상관성 함수를 이용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함으로써, 냉장고의 소음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음질지수를 개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장고 소음에 대한 신뢰성 높은 음질지수를 제공하여 냉장고 소음을 실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질지수 제작방법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음질지수 제작과정을 살펴보았으나, 굳이 냉장고에 대해 한정되지 않고 에어콘이나 기타 가전제품의 소음을 평가하는데에도 고르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 설계에 사용되는 등라우드니스 선도.
도 2는 종래 냉장고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 제작 과정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냉장고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 제작을 위한 소음 인자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냉장고 소음에 대한 음질지수 제작 과정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작 과정에서 소음 인자 조합과정을 보인 블록도.

Claims (5)

  1. 소음 특성을 분석하여 복수 개의 소음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소음 인자를 이용하여 평가에 사용될 음원을 만들기 위해 상기 소음 인자를 수준별 조합하는 단계;
    추출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실시하여 각각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수준별 음원에 대한 주관적 음질지수를 평가하는 단계;
    소음 인자의 수준별 조합과 주관적 음질지수 평가를 비교하여 상관성 함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성 함수에 기초하여 냉장고 음질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로 수행하고,
    상기 소음 인자가 수준별 조합되는 단계에서는,
    소음 주파수에서 임의의 어떤 소음 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주파수의 소음 크기가 선정되지 않은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서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지수 제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고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순서로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결정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지수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인자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어느 한 개의 음원을 제작한 다음에는 다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하는 단계로 이동하여 다른 음원을 제작하는 단계를 다수 회 반복하면서 다수 개의 수준별 음원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지수 제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음원을 제작한 다음에 다시 소음 인자에 대한 수준별 조합을 할 때, 냉장고의 소음 주파수에서 임의의 어떤 소음 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로 이동하거나, 또는 선정된 소음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크기와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로 이동하거나, 또는 선정된 소음 주파수의 선정되지 않은 소음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서 선정된 주파수의 소음 크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중에서 어느 한 단계로 이동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질지수 제작 방법.
KR1020090072434A 2009-08-06 2009-08-06 음질지수 제작 방법 KR101637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34A KR101637444B1 (ko) 2009-08-06 2009-08-06 음질지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34A KR101637444B1 (ko) 2009-08-06 2009-08-06 음질지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62A KR20110014862A (ko) 2011-02-14
KR101637444B1 true KR101637444B1 (ko) 2016-07-07

Family

ID=4377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34A KR101637444B1 (ko) 2009-08-06 2009-08-06 음질지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92B1 (ko) * 2012-05-14 2014-01-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신호를 이용한 차량의 음질 평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975A (ja) 2000-05-29 2001-12-07 Fuji Xerox Co Ltd 音質評価装置及び音質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69B1 (ko) * 1999-12-30 2002-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소음 음질 분석 방법
KR100677879B1 (ko) * 2005-05-30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소음 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975A (ja) 2000-05-29 2001-12-07 Fuji Xerox Co Ltd 音質評価装置及び音質評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진회외 3인, "감성공학을 기초한 냉장고의 음질 인덱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제14권, 제11호, pp.1195~1202, 20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62A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0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system simulation
KR101637444B1 (ko) 음질지수 제작 방법
US20100204992A1 (en) Method for indentifying an acousic event in an audio signal
Jafari et al. Effects of noise on mental performance and annoyance considering task difficulty level and tone components of noise
CN106323454B (zh) 空调室内机异音识别方法及装置
You et al. Just noticeable differences in sound quality metrics for refrigerator noise
Minard et al. Perceptual evaluation of the sound quality of car HVAC systems
Cho et al. Quality evaluation of car window motors using sound quality metrics
Bradley et al. Quantifying the double slope effect in coupled volume room systems
Sung et al. Descriptors of sound from HVAC&R equipment
Sottek et al. Tonal annoyance vs. tonal loudness and tonality
Sottek et al. Sound quality evaluation of fan noise based on advanced hearing-related parameters
Sung et al. Sound quality evaluation of residential HVAC&R equipment
JP727816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3883671A (zh) 空调器异常噪音遮蔽控制方法、空调器、可读存储介质
Tuzel et al.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frigerators
Torjussen Analysing Tones in Industrial and Commercial Sound
Atamer Estimation of Electric Shaver Sound Qual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Shin et al. Development of Sound Quality Index for Excavator's Hydraulic Relief Noise
Cerrato-Jay et al. Implementation of sound quality measurements in component rating tests
Lee et al. Analyses of refrigerator noises
CN114802540B (zh) 一种汽车天窗遮阳帘系统声音评价设计方法
Yehorova et al. Acoustic properties of washing machines in terms of customer expectations
Silveira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in compressors for commercial applications
Lee et al. Modeling refrigerator noi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