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578B1 -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78B1
KR101636578B1 KR1020100007569A KR20100007569A KR101636578B1 KR 101636578 B1 KR101636578 B1 KR 101636578B1 KR 1020100007569 A KR1020100007569 A KR 1020100007569A KR 20100007569 A KR20100007569 A KR 20100007569A KR 101636578 B1 KR101636578 B1 KR 10163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lp
data
fra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916A (ko
Inventor
홍경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 계층 파이프(Physical Layer Pipe)에 구성하고, 상기 PLP에 방송 서비스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채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채널에 대해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해당 채널 및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el controlling in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표준은 비디오 영상 및 음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방송 통신 신호를 통해 수신기로 통신하기 위하여 OFDM울 이용한다. 2K 및 8K 모드로서 알려진 DVB-T표준을 위한 두 모드가 알려져 있다. 2K모드가 2048 부반송파를 제공하는 반면에 8K 모드는 8192부반송파를 제공한다. DVB-H(DVB-handlgeld)표준의 경우에 유사하게 데이터 반송파의 수가 3024인 4K모드가 제공되었다.
DVB-T2로서 알려진 한층 더 개발된 DVB-T방송 표준에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또 다른 모드의 제공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선명 텔레비전 신호를 운송하는데 DVB-T2 표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통신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데이터 심볼을 쌍으로 형성하고 인코딩하여 변조 심볼쌍으로서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알라모우티 인코딩(Alamouti encoding)으로 알려진 공간-주파수(space-frequency)블록 코딩 기법을 이용하도록 제안되었다. 그것으로서 OFDM변조 시스템과 결합하여 MIMI(Multiple-In- Multiple-Out) 또는 MISO(Multiple-In Signale-Out)통신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VB-T2에 따른 표준에 의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경우 종래의 1 Mux에 다수개의 TS가 존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데이터에 포함된 채널에 대해 좀 더 폭넓은 채널 대역을 최소한의 데이터 양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에게는 이에 대한 명확한 정보 제공 내지 채널의 다양한 제어 동작이 부각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DVB-T2 표준을 통해 시스템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채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 계층 파이프(Physical Layer Pipe)에 구성하고, 상기 PLP에 방송 서비스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채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채널에 대해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해당 채널 및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VB-T2로 표준 방식이 업그레이드됨에 따른 기능적 추가에 의해 다양한 채널에 대한 제공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DVB-T2 표준으로 사용되는 통신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방송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in-band 시그널링을 통해 무선 방송 서비스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DVB-T2 표준에 따라서 비디오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COFDM(Coded OFDM)송신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프로그램 소스는 COFDM송신기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를 생성한다. 비디오코더(video coder)(2), 오디오 코더(4) 및 데이터 코더(6)는 송신할 비디오, 오디오 및 다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 데이터는 프로그램 멀티플렉서(10)로 입력된다. 프로그램 멀티플렉서(10)의 출력은 비디오, 오디오 및 다른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필요한 다른 정보를 가진 멀티플렉스 스트림을 형성한다. 멀티플렉서(10)는 연결 채널(12) 상에 스트림을 제공한다. 상이한 브랜치 A, B등으로 입력되는 이러한 다수의 멀티플렉스 스트림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FDM 송신기(20)는 멀티플렉서 적응 및 에너지 확산 블록(22)에서 스트림을 수신한다. 멀티플렉서 적응 및 에너지 확산 블록(22)은 데이터를 랜덤화시키고, 적절한 데이터를 순방향 오류정정인코더(24로 입력시키고, 여기서 스트림의 오류정정 인코딩을 수행한다. 비트 인터리버(bit interleaver)(26)는 DVB-T2의 예인 LDCP/BCH인코더 출력인 인코딩된 데이터 비트를 인터리브하기 위해 제공된다. 비트인터리버(26)로부터의 출력은 비트-배열 매퍼(a bit into constellation mapper(28)로 입력되고 여기서 비트 그룹을 배열 포인트로 매핑하고 이 배열 포인트는 인코딩된 데이터 비트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비트-배열 매퍼(280)의 출력은 실제(real) 및 가상(imaginary) 성분을 나타내는 배열 포인트 레벨이다. 배열 포인트 레벨은 사용되는 변조 방식에 따라 둘 이상의 비트로부터 형성된 데이터 심볼을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 심볼은 다중 LDPC 코드워드로부터의 결과인 데이터 심볼을 인터리브하는 효과를 가진 시간-인터리버(timer interleaver)(30)를 통과한다.
데이터 심볼은 다른 채널(31)을 통해 도 1의 브랜치 B에 의해 생산되는 데이터 심볼과 함께 프레임 빌더(frame builder)(32)에서 수신된다. 그 후 프레이 빌더(32)는 다수의 데이터 심볼을 COFDM심볼상으로 운송될 시퀀스로 형성하고 여기서 DOFDM심볼은 다수의 데이터 심볼을 포함하고 각 데이터 심볼은 하나의 부반송파로 매핑된다.
각 프레임은 다수의 COFDM 심볼을 포함한다. 각 COFDM심볼에서 운송할 데이터 심볼열은 심볼인터리버(33)로 통신된다. 그 다음, COFDM심볼이 COFDM심볼 빌더블록(37)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블록(37)은 배열 데이터 레벨을 사용하여 배열 포인트의 실제 및 가상 부분을 생성하고, 또한 파일럿을 도입하고 파일럿 및 내장된 신호 형성기(3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동기화한다. 그 후 OFDM변조기(38)는 시영역에서 OFDM 심볼을 형성하고 그 출력은 심벌들 간에 가드 구간(guard interval)을 생성하기 위한 가드 삽입 프로세서(40)로 입력되고, 그 후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2)로 입력되고 마지막으로 안테나(46)로부터 COFDM 송신기에 의한 최종 방송을 위한 RF전단(44) 내에 RF증폭기로 입력된다.
도 2는 방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101은 하나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상기 하나의 프레임(101)은 프리앰블(102), L1 시그널링(103), L2 시그널링(104), 그리고 한 개 혹은 복수 개의 PLP(Physical Layer Pipe)(105, 106, …, 107) 등으로 구성된다. 프리앰블(102)은 통상적으로 수신기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프레임 경계에 대한 동기 등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L1 시그널링(103)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2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제1계층(Layer 1), 즉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의미한다. 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static 정보(108), configurable 정보,(109) dynamic 정보(110) 등으로 구성된다.
static 정보(108)는 시간적으로 거의 변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한다. static 정보(108)에 포함되는 정보를 예를 들면, cell 식별자, 네트워크 식별자, RF 채널 수, 프레임 길이, 파일럿 부반송파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configurable 정보(109)는 매 프레임마다 바뀌지는 않고 가끔 한번씩 바뀔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configurable 정보(109)에 포함되는 정보를 예를 들면, 서비스 식별자, 각 서비스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식(modulation), 부호화율(code rate) 정보 등이 있다. 이때 상기 static 정보 및 configurable 정보가 바뀌는 단위를 슈퍼 프레임이라 정의하며, 한 개의 슈퍼 프레임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dynamic 정보(110)는 매 프레임마다 바뀔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dynamic 정보(110)에 포함되는 정보를 예를 들면, 각 PLP가 현재 프레임에서 어느 위치에서 전송되는지, 즉,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디에서 끝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L2 시그널링(104)은 제2계층(Layer 2), 즉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을 나타내며, 통상 상기 L2 정보가 전송되는 PLP를 'PLP0'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기 PLP0는 PLP와 방송 서비스간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는 특정 서비스가 어떤 PLP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가리킨다. 상기 PLP0의 변경주기는 상기 슈퍼 프레임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도 2에서 참조 부호 105 , 106, 107로 표시되는 PLP 1, PLP 2, PLP N은 각각 하나 혹은 복수 개의 방송 서비스 채널을 전송하며 이는 실제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부분으로 이들은 데이터 PLP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도 2를 통해 실제 특정 방송 서비스 채널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프리앰블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동기를 획득한 수신기는 P2(103) 부분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 프레임 길이 등의 정보를 얻고, PLP0(104)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 채널이 어떤 PLP를 통해서 전송되는지의 정보를 얻은 후, 데이터 PLP들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특정 방송 서비스 채널을 일정한 긴 시간 동안 수신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프리앰블 --> P2 --> PLP0 --> 데이터 PLP 수신 등의 일련의 과정을 매 프레임마다 수행하지 않아도 되게 하기 위하여 해당 PLP에 내부 시그널링(in-band signaling)을 통해 동일 PLP의 다음 프레임에서의 L1 dynamic 정보(110)를 전송케 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도 3은 in-band 시그널링을 통해 무선 방송 서비스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201은 프레임 k, 참조 부호 202는 프레임 k+1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203 ~ 214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프리앰블, P2, PLP0, 데이터 PLP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수신기가 PLP 2를 통해 특정 방송 채널을 수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상기 수신기는 참조부호 207 부분에서 프레임 k에서 수신되는 PLP 2를 수신한다. 상기 PLP에는 in-band signaling이 포함된다. 상기 in-band signaling은 다음 프레임, 즉, 프레임 k+1에서의 상기 PLP 2의 위치 즉, dynamic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프레임 k에서 수신된 PLP 2에 포함된 in-band signaling 정보를 참조부호 216과 같이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인 프레임 k+1에서 PLP 2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는 프레임 k+1에서 P2 부분(210)을 수신하지 않고도 참조부호 217과 같이 바로 PLP 2(213)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DVB T2에 에 따른 방송데이터 수신되는 채널에 대한 설정 및 제어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한 방송데이터에서 채널 설정 메뉴화면(400)으로, 상기 메뉴 화면에서는 수신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와 PLP 방송 채널 정보를 표시한다.(405) 또한 상기 각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의 세기 및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상기 메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에 대해 선택하여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영상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배너(500)의 예시도이다. 채널 번호는 LCN(Logical Channel Number)와 PLP(505)로 채널 넘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LCN은 설정 여부에 따라 채널번호를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대로 설정하거나 채널 선국 시 신호가 수신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채널 번호를 할당하도록 한다.
도 6은 상기한 채널에 대하여 블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600) 예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블록으로 설정된 채널에 대해 선호 채널로 등록하도록 하는 경우의 화면(700) 예시도 이다. PLP 채널에 대해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해당 채널을 선택하고(605)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하여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해당 채널을 선호 채널(705)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 계층 파이프(Physical Layer Pipe(PLP))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PLP에 포함되는 채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채널에 대한 LCN(logical channel number) 및 PLP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P에 포함되는 채널에 대해 방송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세기 또는 품질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LP에 포함되는 채널에 대해 사용자 요청에 의해 선호 채널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방법.
KR1020100007569A 2010-01-27 2010-01-27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69A KR101636578B1 (ko) 2010-01-27 2010-01-27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69A KR101636578B1 (ko) 2010-01-27 2010-01-27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16A KR20110087916A (ko) 2011-08-03
KR101636578B1 true KR101636578B1 (ko) 2016-07-05

Family

ID=4492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569A KR101636578B1 (ko) 2010-01-27 2010-01-27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5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98A (ko) * 2007-03-07 200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162805B1 (ko) * 2008-02-21 201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16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494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CN105325006B (zh) 发送广播信号的装置、方法及接收广播信号的装置、方法
US11190846B2 (en) Servic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service guide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servic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service guide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JP2018513633A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及び方法
CN106537822A (zh) 广播发送设备及其处理数据的方法、广播接收设备及其处理数据的方法
CN105684392A (zh) 发送广播信号的方法、发送广播信号的设备、接收广播信号的方法和接收广播信号的设备
CN105850140B (zh) 广播信号发送装置、广播信号接收装置、广播信号发送方法以及广播信号接收方法
KR101752434B1 (ko)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TW202127843A (zh) 送訊裝置、送訊方法、收訊裝置、及收訊方法
KR101636578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TW201143318A (en) Frame de-mapp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