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290B1 - Terminal Assembly - Google Patents
Terminal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6290B1 KR101636290B1 KR1020140137342A KR20140137342A KR101636290B1 KR 101636290 B1 KR101636290 B1 KR 101636290B1 KR 1020140137342 A KR1020140137342 A KR 1020140137342A KR 20140137342 A KR20140137342 A KR 20140137342A KR 101636290 B1 KR101636290 B1 KR 101636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nd
- male
- fema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삽입부가 형성된 피메일(Male) 단자 및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메일(Female)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단자 삽입부의 내측 일 면에서 상기 피메일 단자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내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내부 단자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ale terminal provided with a terminal inserting portion and a female terminal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A male terminal protruding toward the terminal and having an inner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the mail terminal, wherein the female terminal includes a hollow into which the inner terminal is inserted and mes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자의 피메일(Male) 단자와 메일(Female)단자 체결 시, 접촉력이 향상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케이블이 장착된 메일(Male) 단자와, 상기 메일 단자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대 커넥터에 장착 가능한 피메일(Female)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는, 단자 간의 텐션을 이용하여 조립한다. Generally, the connector includes a male terminal fitted with a cable, and a fema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male terminal and attachable to the mating connector. The mail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are assembled using the tension between the terminals.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자 조립체는 메일 단자(2)의 일 단이 피메일 단자(1) 내의 단자접촉부(3)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며 조립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terminal assembly is assembled such that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메일 단자(2)가 피메일 단자(1) 내부로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메일 단자(2)와 피메일 단자(1)가 정확하게 조립되지 않을 경우, 단자 조립체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 경우, 메일 단자(2)의 일 단이 피메일 단자(1)의 단자접촉부(3)에서 이탈될 수 있다. If the
그 결과, 피메일 단자(1)와 메일 단자(2)의 접촉 변형이 발생하여 단자 접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contact deformation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일 단자(2)와 피메일 단자(1)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지 않을 경우, 단자 조립체의 접점 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메일(Male) 단자와 메일(Female) 단자 결합 시, 단자 간의 접촉성이 향상된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having enhanced contact between terminals when a male terminal and a female terminal are coupled.
또한,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 결합 시 다수의 접점 부위가 발생하여 단자 간 전기적 접촉성이 향상된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are formed when a male terminal and a mail terminal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improv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erminal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단자 삽입부가 형성된 피메일(Female) 단자 및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메일(Male)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단자 삽입부의 내측 일 면에서 상기 피메일 단자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내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내부 단자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emale terminal having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a ma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an inner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toward the female terminal and capabl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l terminal, wherein the female terminal includes a hollow into which the inner terminal is inserted and engaged .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가 조립될 때, 메일 단자의 중공에 피메일 단자의 내부 단자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가 내, 외부 모두 접촉되기 때문에 접점 부위가 증가하여 단자 조립체의 전기 접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when the mail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are assembled, the inner terminal of the fema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mail terminal. As a result, both the mails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and improves the electrical contactability of the terminal assembly.
또한, 단자 조립체가 이중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단자 조립체가 장착된 차량이나 장치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의 내,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접촉이 끊어진다고 하여도 다른 하나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자 조립체의 전기적 연결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terminal assembly is double-contacted, vibration occurs in a vehicle or a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terminal assembly, so that even if the contact between the mail terminal and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male terminal is broken, another contact is maintained . As a resul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bility of the terminal assembly is improved.
도 1은 종래의 단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의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rminal assembl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l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l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in Fig. 2;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b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단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의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ail terminal and a female terminal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l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i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조립체(10)는 일 단에 단자 삽입부(140)가 형성된 피메일(Female) 단자(100) 및 단자 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메일(Male) 단자(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이때, 상기 피메일 단자(100)는 단자 삽입부(140)의 내측 일 면에서 메일 단자(200)를 향해 돌출되며, 메일 단자(200)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내부 단자(120)를 포함하고, 메일 단자(200)는 내부 단자(120)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중공(220)을 포함한다. The
상기 내부 단자(120)는 피메일 단자(100)의 내측 일 면에서 상기 메일 단자(20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방향(도 4의 화살표 참고)과 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 단자(120)는 중공(220)에 삽입되어 장착되면 중공(220)의 내주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내부 단자(120)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내부 단자(120)가 중공(220)에 삽입될 때, 어느 방향에서도 삽입될 수 있으며, 내부 단자(120)와 중공(220)의 내주면이 접할 때, 중공(220)의 내주면과 내부 단자(120)의 외주면과의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부 단자(120)가 원기둥으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내부 단자(12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Also, the
상기 중공(220)은 상기 내부 단자(1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공간이다. 이때, 중공(220)의 너비는 내부 단자(12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내부 단자(120)가 중공(220)의 내주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내부 단자(120)가 중공(220)에 삽입되면, 중공(220)에서 내부 단자(120)가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220)에 내부 단자(120)가 삽입되면, 중공(220)의 내주면이 내부 단자(120)를 가압하는 효과를 발생시켜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의 접촉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hollow 220 is a space in which the
상기 중공(220)은 내부 단자(1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단자(1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단자(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공(220) 또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22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피메일 단자(200)는 중공(220)에 내부 단자(120)가 삽입되어 맞물리면 메일 단자(200)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50)를 포함한다. 3 to 5, the
상기 가압부(150)는 단자 조립체(10)가 조립된 상태에서 피메일 단자(100)가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메일 단자(200)가 피메일 단자(10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150)의 직경은 메일 단자(20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메일 단자(200)가 단자 삽입구(140)에 삽입될 때, 메일 단자(200)가 단자 삽입구(14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가압부(150)는 단자 조립체(10) 조립 시, 상기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단자 가압부(154)와 단자 가압부(154)와 인접하며, 상기 단자 조립체(10) 조립 시, 단자 가압부(154)의 단자 삽입구(140)의 너비를 벌려 메일 단자(200)가 피메일 단자(200)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되며, 단자 조립체(10)가 조립되면 억지 벌어진 단자 가압부(154)가 복원되도록 하여 가압부(150)가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을 홀드(Hold)하도록 하는 가압부 지지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가압부(154)와 가압부 지지부(152)에 의하여 단자 조립체(10) 조립 시, 피메일 단자(100)와 메일 단자(200)의 장착 고정력이 향상되어 피메일 단자(100) 내에서 메일 단자(2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The
또한, 피메일 단자(100)와 메일 단자(200)가 조립되면 가압부(150)가 메일 단자(200)의 표면에 장착되면서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하여 단자 조립체(10) 외부에서 진동이 발생하여도 피메일 단자(100)와 메일 단자(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가압부(150)는 피메일 단자(100)와 메일 단자(200)가 조립된 후, 메일 단자(200)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피메일 단자(100)의 끝 단에 형성되고, 피메일 단자(100)에 장착된 메일 단자(20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압부(150)의 형상, 크기 등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The
또한, 피메일 단자(100)는 단자 삽입부(140)의 내면을 따라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밴드부(16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밴드부(160)는 단자 삽입부(140)의 내면에 설치되어, 피메일 단자(100)의 단자 삽입부(140)에 메일 단자(200)가 장착되면, 메일 단자(200)의 표면과 접한다. 이때, 밴드부(160)는 주름진 형태로, 메일 단자(200)와 다수의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밴드부(160)는 내부 단자(120) 이외에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가 접촉하는 영역을 증가시켜 단자 조립체(10)의 접점 성능을 향상되게 한다. The
이러한 밴드부(160)는 피메일 단자(100)의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밴드부(160)를 피메일 단자(100)의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함에 따라 단자 조립체(10) 사용 시, 밴드부(160)의 성능 저하 또는 파손 등에 의한 교체가 요구될 때, 밴드부(160)만 피메일 단자(100)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밴드부를 피메일 단자(100)에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교체 시, 완제품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며, 부품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밴드부(160)는, 메일 단자(200)의 표면과 다수의 위치에서 접촉될 수 있도록 밴드부(160)를 이루는 패널(166)과 상기 패널(166)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밴드홀(164) 등을 포함한다. The
상기 패널(166)은 판형으로 밴드부(160)를 이루는 몸체이다. 이러한 패널(166)은 피메일 단자(100)의 내면 면적과 동일하거나 내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상기 밴드홀(164)은 패널(166) 상에 좌, 우 또는 상, 하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홀이다. 특히, 밴드홀(164)은 메일 단자(200)가 단자 삽입부(140)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가 조립될 때, 밴드홀(164)이 메일 단자(200)의 장착방향과 다른 방향일 경우 전기적 마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또한, 상기와 같이 패널(166)에 복수의 밴드홀(164)을 형성함에 따라 복수의 패널(166) 상에는 복수의 밴드면(162)이 형성된다. 즉, 패널(166)에 밴드홀(164)을 형성할 때, 일정 간격으로 밴드홀(164)을 형성하게 되므로, 밴드홀(164)과 밴드홀(16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을 밴드면(162)이라고 하며, 상기 밴드면(162)은 메일 단자(200)가 단자 삽입부(140)에 삽입될 때,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nd holes 162 are formed on the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밴드면(162)을 복수개 형성하기 때문에 메일 단자(200)가 피메일 단자(100)에 장착될 때, 메일 단자(200)의 표면은 다수의 점에서 피메일 단자(100)와 접촉하게 된다. 즉, 복수의 밴드면(162)이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의 접점 역할을 하게 되어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의 접점 부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lurality of band surfaces 162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 구성에 따른 밴드부(160)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판형의 패널(166)을 마련하면, 일정 간격으로 밴드홀(164)을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홀(164)은 패널(166)의 좌, 우 또는 상, 하 어느 방향에 관계없이 피메일 단자(100)에 삽입되는 메일 단자(200)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밴드홀(164)이 형성된 패널(166)은 밴드홀(164)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감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드부(160)를 형성하게 된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이때, 상기 패널(166)을 감는 과정에서 패널(166)를 감아 발생하는 패널(166) 외측으로의 텐션(tension)이 발생한다. 즉, 패널(166)을 원기둥이 되도록 감는 동안 밴드홀(164)과 밴드홀(164) 사이의 밴드면(162) 부분이 돌출된다. 이로 인하여 밴드부(160)가 형성되면 메일 단자(200)가 피메일 단자(100)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메일 단자(200) 표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한다. 이와 같이 메일 단자(200)가 피메일 단자(100)의 내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밴드부(160)가 메일 단자(200)의 표면을 가압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메일 단자(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피메일 단자(100)에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또한, 밴드부(160)의 단부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밴드부면(162)과 나란한 밴드부(160)의 단부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밴드홀(164)과 나란한 밴드부(160)의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end of the
밴드부(160)의 단부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단자 조립체(10)가 조립될 때, 밴드부(160)의 볼록한 단부는 메일 단자(200)의 표면과 접하는 접점부의 역할을 한다. 이때, 밴드부(160)의 볼록한 단부가 복수개이므로, 메일 단자(200)는 다수의 위치에서 밴드부(160)와 접촉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한편, 밴드부(160)는 메일 단자(200)의 표면을 압입하는 압입부(18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압입부(180)는 단자 삽입부(140)에 삽입된 메일 단자(200)의 표면을 압입하며 메일 단자(200) 표면과 접한다. 이를 위해 압입부(180)는 메일 단자(200)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부(180)는 메일 단자(200)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메일 단자(200)가 단자 삽입부(140)에 삽입되면 메일 단자(200)의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메일 단자(200)의 표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압입부(180)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100) 내의 메일 단자(200)의 안정적이 장착과 동시에 메일 단자(200)와 밴드부(160)의 접촉 효율이 증가하게 되어 단자 조립체(10)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5, when the
이때, 상기 압입부(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왜냐하면 단자 삽입부(140)에 메일 단자(200) 삽입 시, 메일 단자(200) 표면과 하나 이상의 점에서 접하도록 하여 밴드부(160)와 메일 단자(200)가 다수의 접점이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press-
상기와 같이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가 조립될 때, 메일 단자(200)의 중공(220)에 피메일 단자(100)의 내부 단자(12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가 내, 외부 모두 접촉되기 때문에 접점 부위가 증가하여 단자 조립체(10)의 전기 접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또한, 단자 조립체(10)가 이중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단자 조립체(10)가 장착된 차량이나 장치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메일 단자(200)와 피메일 단자(100)의 내,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접촉이 끊어진다고 하여도 다른 하나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자 조립체(10)의 전기적 연결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단자 조립체 100: 피메일 단자
120: 내부 단자 140: 단자 삽입부
150: 가압부 160: 밴드부
180: 압입부 200: 메일 단자
220: 중공
10: Terminal assembly 100:
120: internal terminal 140: terminal insertion portion
150: pressing portion 160: band portion
180: press-in portion 200: mail terminal
220: hollow
Claims (6)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단자 삽입부의 내측 일 면에 상기 피메일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내부 단자와, 상기 중공에 상기 내부 단자가 삽입되어 맞물리면 상기 메일 단자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 단자는,
상기 내부 단자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 단자와 상기 메일 단자 결합 시,
상기 내부 단자는 상기 중공의 내주면과 맞물리며 상기 중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메일 단자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와 상기 메일 단자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A female terminal having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ale terminal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The above-
An inner terminal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le terminal on on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male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le terminal; And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The mail terminal includes:
And a hollow to which the internal terminal is inserted and engaged,
When the mail terminal and the mail terminal are coupled,
The inner terminal being engaged with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being mounted in the hollow,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l terminal to prevent separation and separation of the mail terminal and the mail terminal.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단자 삽입부 내면을 따라 상기 메일 단자 외주면과 접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nd a band portion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 terminal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상기 밴드부는,
상기 밴드부를 이루는 패널과,
상기 패널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band-
A panel constituting the ba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band holes formed on the panel.
상기 밴드홀은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메일 단자의 장착 방향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nd hole is parallel to a mounting direction of the mail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상기 가압부는,
상기 메일 단자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단자 가압부와,
상기 단자 가압부와 인접하며, 상기 메일 단자 및 상기 피메일 단자 조립 시, 상기 피메일 단자의 상기 단자 삽입구의 너비를 벌려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피메일 단자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되며, 상기 피메일 단자 및 상기 메일 단자가 조립되면 억지 벌어진 상기 단자 가압부가 복원되도록 하여 상기 단자 가압부 상기 메일 단자의 외주면을 홀드(Hold)하도록 하는 가압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A terminal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l terminal,
Wherein the male terminal is easily inserted and mounted inside the male terminal when the male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are assembled by widening the width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 of the female terminal when the male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are assembled, And a pressing portion suppor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terminal pressing portion to be restored when the mail terminal and the mail terminal are assembled so that the terminal pressing portion hol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l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7342A KR101636290B1 (en) | 2014-10-13 | 2014-10-13 | Terminal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7342A KR101636290B1 (en) | 2014-10-13 | 2014-10-13 | Terminal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3255A KR20160043255A (en) | 2016-04-21 |
KR101636290B1 true KR101636290B1 (en) | 2016-07-06 |
Family
ID=5591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7342A KR101636290B1 (en) | 2014-10-13 | 2014-10-13 | Terminal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62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62406A (en) * | 2020-01-20 | 2020-05-15 | 杭州微慕科技有限公司 | Rigid limit flexible connection conn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87168A (en) | 2012-03-12 | 2013-09-19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Contact spring for connector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3666Y2 (en) * | 1985-11-30 | 1991-05-23 | ||
KR101583844B1 (en) * | 2010-11-03 | 2016-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terminal for electric vehicle |
-
2014
- 2014-10-13 KR KR1020140137342A patent/KR10163629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87168A (en) | 2012-03-12 | 2013-09-19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Contact spring for connector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3255A (en) | 2016-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52747B2 (en) | Connector | |
US9331414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203436B2 (en) | connector | |
US9246279B2 (en) | Electric connector | |
TWI482380B (en) | Coaxial connector plug | |
US8827755B2 (en) | High current connector | |
JP5006618B2 (en) | connector | |
US20200176930A1 (en) | Connector | |
US790573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distribution features | |
US868477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00103349A (en) | Connector | |
JP3753687B2 (en) | connector | |
JP6076952B2 (en) | Board terminal and board with terminal | |
JP6600261B2 (en) | Press-fit terminal | |
EP290309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8108560A (en) | Connector | |
KR101636290B1 (en) | Terminal Assembly | |
KR101664303B1 (en) | Terminal Assembly | |
JP4873747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ixing metal fitting | |
KR101636293B1 (en) | Terminal Assembly | |
JP6076953B2 (en) | Board terminal | |
JP2008103122A (en) | Connector | |
JP6681655B2 (en) | Coaxial connector | |
US933143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implified receptacle terminals | |
KR102226323B1 (en) | Header assembly and connector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heade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