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175B1 -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175B1
KR101636175B1 KR1020140186808A KR20140186808A KR101636175B1 KR 101636175 B1 KR101636175 B1 KR 101636175B1 KR 1020140186808 A KR1020140186808 A KR 1020140186808A KR 20140186808 A KR20140186808 A KR 20140186808A KR 101636175 B1 KR101636175 B1 KR 10163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instrument panel
turned
stat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6602A (en
Inventor
송홍석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175B1/en
Publication of KR2016007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onto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속도계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계기판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조명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명 제어 상태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에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명 설정을 위한 세트 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최종 설정된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디지털속도계의 일부 표시만 동작시키고 계기판의 나머지 조명을 전부 소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와 같이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키는 단계를 통해,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f a vehicle in which a light of a instrument panel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digital speedometer, Controlling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n accordance with a preset illumination control stat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trip switch for selecting the light switch; (b) if an operation of the set switch for setting the illumination occurs in a state of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trip switch in the above step, only a partial display of the digital speedometer is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final set illumination control mode, All of the remaining lights are turned off; And (c) selectively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through the step of illuminating all of the lights turned off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tate where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mode as in the step (b) .

Description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속도계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control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control method of a vehicle in which a light of a instrument panel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digital speedometer.

차량의 계기판은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량 및 차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등의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계기판의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display a physical quantity represen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engine speed, the amount of fuel,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visibility of the instrument panel is secured by the lighting control device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have.

한편, 근래의 차량은 디지털속도계를 적용한 계기판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에 디지털속도계를 적용한 차량의 계기판이 개시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ashboards using digital speed meters are increasingly used. Fig. 1 shows a dash panel of a vehicle to which a digital speedometer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계기판(10)은 엔진회전수를 표시해주는 영역(11), 차량 속도를 표시해주는 영역(12), 그리고 주행가능거리와 변속기의 상태, 연료량 및 냉각수 온도, 그리고 주행거리를 등을 디지털로 표시해주는 디지털속도계(13)를 포함한다.1, the instrument panel 10 of a general vehicle includes an area 11 for displaying the engine speed, an area 12 for displaying the vehicle speed, and a vehicle distance and a state of the transmission, a fuel amount, and a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a digital speed meter 13 for digitally displaying the driving distance and the like.

이러한 계기판에 있어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온 상태로 동작시키면, 계기판 전체의 조명이 점등되고, 조명을 오프 상태로 동작시키면 계기판 전체의 조명이 소등된다.In such an instrument panel,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instrument panel in an on state as required, the entire instrument panel is illuminated, and when the illuminator is operated in the off state, the entire instrument panel is turned off.

또한, 디지털속도계를 적용한 차량 계기판에 대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093242호(2010.08.25. 공개)에 개시되었다.Also,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a vehicle instrument panel to which a digital speedometer is applied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93242 (published on August 25, 2010).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패널, RGB픽셀의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RGB픽셀의 그래픽 이미지를 RGB픽셀의 그래픽 이미지로 변환하여 패널로 전달하는 그래픽 모듈을 포함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 graphic image, a memory unit for storing a graphic image of RGB pixels, a graphic unit for converting a graphic image of RGB pixels into a graphic image of RGB pixels, Module.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기술은 풀(full) HD급 고해상도 TFT-LCD를 차량 계기판에 적용시켜 화이트 픽셀 추가로 인한 조명 휘도를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 full HD class high-resolution TFT-LCD is applied to a vehicle instrument panel, thereby improving illumination luminance due to the addition of white pixels and realizing high-quality images.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093242호(2010.08.25. 공개)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3242 (Published Aug. 25, 20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지털속도계를 적용한 일반적인 차량은 조명 제어 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전체 계기판의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방식이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계기판의 일부 조명만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However, in a general vehicle to which the digital speedometer is applied, the lighting of the entire instrument panel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during the lighting control, and it is not possible to selectively turn on or off only some lights of the instrument pan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

아울러 종래기술도 고해상도 TFT-LCD를 적용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휘도의 조절은 할 수 있으나, 계기판의 일부 조명만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by applying a high-resolution TFT-LCD, but it is impossible to selectively turn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특히, 종래기술은 고해상도 TFT-LCD를 적용함으로써 휘도가 높아 야간 주행시 눈의 피로감을 높여, 오히려 운전 집중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high luminance by applying a high-resolution TFT-LCD, thereby increasing eye fatigue at nighttime driving, and may also act as a factor that hinders driving concent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 계기판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디지털속도계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peedometer capable of selectively lighting or extinguishing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of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야간 주행 시 불필요한 조명을 소등시킴으로써, 야간 주행 시 눈의 피로감을 줄여 운전 집중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strument panel lighting of a vehicle, which can reduce unnecessary illumination during nighttime driv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iver, thereby reducing fatigue of eyes during nighttime driving and improving driving concent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은 (a) 계기판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조명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명 제어 상태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명 설정을 위한 세트 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최종 설정된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디지털속도계의 일부 표시만 동작시키고 계기판의 나머지 조명을 전부 소등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와 같이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f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controlling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trip switch for selecting an illumination control mode, Controlling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correspondingly; (b) when the operation of the set switch for setting the illumination occurs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rip switch in the step (a), only a partial display of the digital speedometer And extinguishing all of the remaining illumination of the dashboard; (c) illuminating all of the lights turned off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tate where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as in the step (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은 (d) 상기 (c)단계와 같이 위급 상황이 발생하여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킨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다시 세트 스위치가 조작되면 이전 조명 제어 모드로 복귀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 When the set switch is operated again by the driver in a state in which all the lights turned off due to an emergency have occurred and the set switch is operated again as in the step (c),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turning to the mode and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상기에서 (a)단계는 계기판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트립 스위치가 조작되면 클러스터 LCD, 주행가능거리 표시영역의 조명만 점등하는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제어 모드에서 트립 스위치가 다시 조작되면 클러스터 LCD, 디지털 속도계 표시영역의 조명만 점등하는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a), when the trip switch is operated in a state that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turned on, the cluster LCD controls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illumination in the travelable distance display area is turned on, The illumin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illumination of the cluster LCD and the digital speedometer display region is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속도계를 장착한 차량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digital speedometer,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특히,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야간 주행 시 불필요한 조명을 소등시킴으로써, 야간 주행시 눈의 피로감을 줄여 운전 집중도를 향상토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by turning off unnecessary lights during nighttime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of eyes during nighttime driving, thereby improving the driving concentration.

또한, 차량에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차량의 정보를 운전자가 직접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으로 이에 따른 운전자 시선 및 주행에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한 필요 정보 등을 운전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er can directly select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ed to the driver from the vehicle, the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driver's gaze and necessary information excluding the information unnecessary for driving.

도 1은 디지털속도계를 적용한 일반적인 차량의 계기판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계기판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ashboard of a general vehicle to which a digital speedometer is applied,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n exemplary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control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조명 스위치(101), 트립 스위치(102), 세트 스위치(103), 조명 제어부(104) 및 계기판(105)을 포함한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ncludes a lighting switch 101, a trip switch 102, a set switch 103, a lighting control section 104, do.

상기 조명 스위치(101)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트립 스위치(102)는 운전자가 조명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상기 세트 스위치(103)는 상기 트립 스위치(102)에 의해 선택된 조명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light switch 101 serves to generate a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he trip switch 102 serves to allow the driver to select an illumination control mode, and the set switch 103 serve to set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trip switch 102. [

또한, 상기 조명 제어부(104)는 상기 조명 스위치(101), 트립 스위치(102) 및 세트 스위치(103)와 연동하여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계기판(105)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ighting control unit 104 is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lighting switch 101, the trip switch 102 and the set switch 103 to selectively turn on or off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105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mode do.

여기서 조명 제어 모드는 클러스터 LCD에 주행거리표시만 점등하고 나머지 조명을 오프하는 제1 조명 제어 모드, 클러스터 LCD에 주행가능거리표시만 점등하고 나머지 조명을 오프하는 제2 조명 제어 모드, 상기 클러스터 LCD에 디지털속도계 표시만 점등하고 나머지 조명을 오프하는 제3 조명 제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includes a first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mileage display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llumination is turned off in the cluster LCD, a second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travelable distance display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lights are turned off in the cluster LCD, And a third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digital speedometer display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llumination is turned of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명 제어 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간단한 프로그램의 변경만으로 더욱 다양한 조명 제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illumination control mode,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more various illumination control modes only by changing a simple program.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은 나타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4A and 4B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S represents a step.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은 (a) 계기판 조명을 초기 상태로 점등시킨 상태에서 조명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명 제어 상태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S101 ~ S106); (b) 상기 (a)단계에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명 설정을 위한 세트 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최종 설정된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디지털속도계의 일부 표시만 동작시키고 계기판의 나머지 조명을 전부 소등시키는 단계(S107 ~ S109); (c) 상기 (b)단계에서와 같이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키는 단계(S110 ~ S111); (d) 상기 (c)단계와 같이 위급 상황이 발생하여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킨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다시 세트 스위치가 조작되면 이전 조명 제어 모드로 복귀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S112 ~ S113)를 포함한다.4A and 4B,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etting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n the initial state, (S101 to S106) controlling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tion control state; (b) when the operation of the set switch for setting the illumination occurs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rip switch in the step (a), only a partial display of the digital speedometer (S107 to S109) for extinguishing all the remaining lights of the instrument panel; (c) illuminating all of the lights turned off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mode, as in the step (b) (S110 to S111); (d)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by returning to the previous illumination control mode when the set switch is operated again by the driver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lights turned off due to the emergency occur and are turned on as in the step (c)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명 스위치(101)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조명 제어부(104)는 단계 S101에서와 같이 클러스터 LCD에 주행거리표시, 계기판 조명 온 상태와 같은 제1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제어한다.First,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lighting switch 101 to the ON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the lighting control unit 104 displays the traveling distance on the cluster LCD, the first illumination such as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ON state Controls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mode.

상기와 같이 계기판(105)의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운전자는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서 트립 스위치(102)를 조작하여 조명 제어 모드를 선택한다. 예컨대, 단계 S102에서와 같이 트립 스위치(102)가 조작되면 조명 제어부(104)는 단계 S103에서와 같이 클러스터 LCD, 주행가능거리표시에 대한 조명만을 점등시키고 나머지 계기판 조명은 소등하는 제2 조명 제어 모드로 계기판(105)의 조명을 제어한다. 이때 실제로 계기판(105)의 조명을 현재 트립 스위치의 위치에 대응하게 제어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실제 제어되는 계기판의 조명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105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selects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by operating the trip switch 102 to selectively turn on or off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For example, when the trip switch 102 is operated as in step S102,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second LCD control unit 110 to turn on only the cluster LCD, To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10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105 is contro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urrent trip switch so that the driver is aware of the lighting state of the instrument panel actually controlled.

상기 제2 조명 제어 모드로 계기판 조명이 제어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다시 다른 상태로 계기판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단계 S104에서 트립 스위치를 조작하면 단계 S105에서 클러스터 LCD, 디지털속도계 표시에 대한 조명만을 점등시키고 나머지 계기판 조명은 소등하는 제3 조명 제어 모드로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한다. 이후 운전자가 다시 단계 S106에서와 같이 트립 스위치를 조작하면 조명 제어부(104)는 단계 S101로 이동하여 초기 상태의 조명 제어 모드로 계기판 조명을 제어한다.In a state where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controlled in the second illumination control mode, if the driver manipulates the trip switch in step S104 to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to another state, only the illumination for the cluster LCD and digital speedometer display is turned on in step S105 The remaining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controls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n a third illumination control mode that goes off. Thereafter, when the driver again operates the trip switch as in step S106, the lighting control part 104 moves to step S101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n the initial lighting control mode.

만약, 상기 단계 S105에서와 같이 계기판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상태로 계기판 조명 상태를 유지하고 싶다면 세트 스위치(103)를 조작하여 계기판 조명을 설정한다. 즉, 단계 S107에서와 같이 상기 세트 스위치(103)가 조작되면 단계 S108에서 조명 제어부(104)는 마지막으로 설정된 제3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계기판 조명 제어를 설정한다. If the user desires to maintain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controlled as in step S105, the user operates the set switch 103 to set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That is, when the set switch 103 is operated as in step S107, the lighting control unit 104 sets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control in response to the finally set third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step S108.

이 경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판(105)의 디지털속도계 표시 영역(105c)에 대한 조명만 점등되고, 나머지 조명(예를 들어, 엔진회전수 표시 영역(105a), 차량속도 표시영역(105b)의 조명)은 전부 소등되는 상태의 계기판 조명 제어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only the illumination of the digital speedometer display area 105c of the instrument panel 105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llumination (for example, the engine speed display area 105a, the vehicle speed display area 105a, (Illumination of the lamp 105b) are all turned off.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운전자가 선택한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계기판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단계 S110에서와 같이 위급(WARNING) 상황이 발생하면, 단계 S111로 이동하여 계기판의 조명을 전부 점등시킨다. 여기서 위급 상황은 운전자가 급하게 감속 페달을 밟은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에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급 상황을 모든 포함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control mode selected by the driv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f a WARNING situation occurs as in step S110, the procedure goes to step S111 to illuminate all of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Here, the emergency situation may be the case where the driver hastily depressed the deceleration pedal, and in addition to this case, it may include all the emergency situations that may occur while driving.

상기와 같이 계기판 조명을 전부 점등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다시 단계 S112에서와 같이 세트 스위치를 조작하면, 단계 S113으로 이동하여 이전에 계기판 조명을 제어하는 모드로 복귀한다. 즉, 제3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클러스터 LCD, 디지털속도계 표시 영역에 대한 조명만 점등시키고, 나머지 계기판 조명은 전부 소등시키는 상태로 계기판 조명을 제어하게 된다.When the operator again operates the set switch as in step S112 in the state where all of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goes to step S113 and the mode is returned to the previous control of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That is, only the illumination for the cluster LCD and the digital speedometer display area is turned 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ird illumination control mode, and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controlled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turned off.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일부만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야간 주행 시 계기판의 모든 조명이 점등되어 오히려 눈의 피로감을 높이고, 이로 인해 운전 집중도가 저하되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lluminate or partially turn on the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so that all the lights on the instrument panel are turned on at night to increase the fatigue of the eye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조명 스위치
102: 트립 스위치
103: 세트 스위치
104: 조명 제어부
105: 계기판
105a: 엔진회전수 표시영역
105b: 차량속도 표시영역
105c: 디지털속도계
101: Lighting switch
102: Trip switch
103: Set switch
104:
105: Instrument cluster
105a: Engine speed display area
105b: Vehicle speed display area
105c: Digital speedometer

Claims (3)

디지털속도계를 적용한 차량에서 계기판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계기판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조명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명 제어 상태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트립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게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명 설정을 위한 세트 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최종 설정된 조명 제어 모드에 대응하게 디지털속도계의 일부 표시만 동작시키고 계기판의 나머지 조명을 전부 소등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와 같이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계기판의 조명을 제어한 상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와 같이 위급 상황이 발생하여 소등시킨 조명을 전부 점등시킨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다시 세트 스위치가 조작되면 이전 조명 제어 모드로 복귀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계기판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트립 스위치가 조작되면 클러스터 LCD, 주행가능거리 표시영역의 조명만 점등하는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제어 모드에서 트립 스위치가 다시 조작되면 클러스터 LCD, 디지털 속도계 표시영역의 조명만 점등하는 조명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계기판 조명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n a vehicle to which a digital speedometer is applied,
(a) controlling illumin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n accordance with a preset illumination control stat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trip switch for selecting an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turned on;
(b) when the operation of the set switch for setting the illumination occurs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rip switch in the step (a), only a partial display of the digital speedometer And extinguishing all of the remaining illumination of the dashboard;
(c) lighting all of the lights turned off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tate where the lighting of the instrument pan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mode as in the step (b); And
(d) returning to the previous illumination control mode and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when the set switch is operated again by the driver in a state in which all the lights turned off due to the emergency have occurred, as in the step (c)
In the step (a), when the trip switch is operated in the state that the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is turned on, the cluster LCD controls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illumination in the travelable distance display area is turned on, Wherein the illumination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n illumination control mode in which only the illumination of the cluster LCD and the digital speedometer display area is turned 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86808A 2014-12-23 2014-12-23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KR101636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808A KR101636175B1 (en) 2014-12-23 2014-12-23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808A KR101636175B1 (en) 2014-12-23 2014-12-23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02A KR20160076602A (en) 2016-07-01
KR101636175B1 true KR101636175B1 (en) 2016-07-04

Family

ID=5650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808A KR101636175B1 (en) 2014-12-23 2014-12-23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17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25B1 (en) 1999-09-30 2001-11-15 정주호 Cluster Lighting System of Black Face Meter in Vehicles
JP2012088099A (en) 2010-10-18 2012-05-10 Nippon Seiki Co Ltd Combined instrument for vehicle
KR101290093B1 (en) 2011-03-29 2013-07-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irculating Display-Mode of Trip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242A (en) 2009-02-16 2010-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instrument panel using lcd with high resolution
KR20140039822A (en) * 2012-09-25 2014-04-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of cluster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25B1 (en) 1999-09-30 2001-11-15 정주호 Cluster Lighting System of Black Face Meter in Vehicles
JP2012088099A (en) 2010-10-18 2012-05-10 Nippon Seiki Co Ltd Combined instrument for vehicle
KR101290093B1 (en) 2011-03-29 2013-07-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irculating Display-Mode of Trip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02A (en)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143B1 (en)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for the 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method for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thereof
JP5056831B2 (en) Head-up display device
EP1588888B1 (en) Display device, instrument panel and automotive vehicle
WO2016006182A1 (en) Vehicle display device
WO2014002711A1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08209724A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EP3395601A1 (en) Vehicular head-up display system
WO2015002258A1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2006290284A (en) On-vehicle meter display device
JP7265716B2 (en) Display device
JP2012162117A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unit and program
JP2013119268A (en) Vehicular display system
JP548825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KR101636175B1 (e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lighting control method
JP5199716B2 (en) Meter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5813721B2 (en) Vehicle instrument
US11705081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0901301B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664336B2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JP200530889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10164075A1 (en) Display device
JP2009166628A (en) On-vehicle display
JP2019028102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57686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4873318B2 (en) Display device and alarm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