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900B1 -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 Google Patents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900B1
KR101635900B1 KR1020140124053A KR20140124053A KR101635900B1 KR 101635900 B1 KR101635900 B1 KR 101635900B1 KR 1020140124053 A KR1020140124053 A KR 1020140124053A KR 20140124053 A KR20140124053 A KR 20140124053A KR 101635900 B1 KR101635900 B1 KR 10163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wall
plate
caisson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3379A (en
Inventor
이요섭
Original Assignee
(유) 이도건설
이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이도건설, 이요섭 filed Critical (유) 이도건설
Priority to KR102014012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900B1/en
Publication of KR2016003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16Jointing caissons to the foundation soil, specially to uneven foundation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항만용 케이슨, 이를 포함한 방파제 및 안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항만용 케이슨에 있어서, 해저면 상에 설치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후측 상면에 설치되는 후측벽, 상기 하판의 좌측 상면에 설치되는 좌측벽 및 상기 하판의 우측 상면에 설치되는 우측벽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한 외벽부를 구축하고, 상기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로 입사하는 파랑의 흐름을 변형시켜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해 상기 좌측벽의 선단 내벽에는 제1 소파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의 선단 내벽에는 제2 소파판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소파판과 상기 제2 소파판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을 반복적으로 이격하여 배치하며,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상기 외벽부의 상기 내부공간을 등분하도록 +자 형태의 대형 분리격벽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적어도 4개의 대형 분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대형 분리공간 중 후방의 대형 분리공간은 자중이 있는 속채움재를 채워 중력실로 사용하고, 전방의 대형 분리공간은 해수가 유입되도록 유수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issons for coastal harbors, breakwaters including them, and quay wall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isson for a coastal harbor, comprising: a lower plate installed on a sea floor; a rear wall provid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left side wall provided on a left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he front wall is opened by the right wall to construct an outer wall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inner wall of the left wall is provided with a first sofa for dissipating the energy of the waves, A second sofa plate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wall and a space between the first sofa plate and the second sofa plate is provided with a T-shaped first sofa column and an inverted T- 2 soap pillars are repeat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t least one And at least four large separation spaces are formed. The large separation space at the rear of the large separation space is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having its own weight and used as a gravity chamber, and the large separation space at the front is used as a water- .

Description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s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본 발명은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후측벽 및 좌,우측벽으로 구성되어 전면이 개방되어진 외벽부에 있어서, 좌,우측벽의 선단 내벽에는 제1,2 소파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2 소파판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을 반복적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진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isson having a T-shaped and inverted T-type sofa column, a breakwater containing the same, and a seawal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wall having front and rear walls, The first and second sofa plates are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wall, and a first sofa column of the T shape and a second sofa column of the inverted T shape are repeat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ofa plates ,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T sofa pillar, a breakwater containing the same, and a quay.

일반적으로 방파제 시설과 안벽 시설 등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은 항내측의 정온도를 확보하거나, 해일이나 파도로부터 항만 시설물을 보호하고, 선박의 승하선 및 하역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어진다.In general, harbor structures including breakwater facilities and quay wall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arbor, protecting harbor facilities from tidal waves and waves, and facilit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ships.

방파제 시설은 해저면에 사석을 축조하고 사석 경사면에 피복석이나 소파블록을 피복한 경사식 방파제와 사석 기초부를 형성하고 블록이나 케이슨을 설치하는 직립식 방파제, 상기 경사식 방파제와 직립식 방파제를 혼용한 혼성 방파제 등이 있으며, 안벽 시설은 직립식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블록을 적층하거나 케이슨을 설치하여 형성하게 된다.The breakwater facility consists of an inclined breakwater with stones on the bottom of the seabed and a clay stone or soap block on the incised slope, an upright breakwater with a block or caisson forming the base of the slate, a combination of the inclined breakwater and the upright breakwater Composite breakwaters, etc., and it is preferable to plan the quay wall facilities in an upright manner, so that they are formed by laminating blocks or installing caissons.

상기 케이슨을 이용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685호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2010. 05. 20. 공개)이 있다.Prior art documents using the above-mentioned caisson include Korean Patent No. 10-1043685 'Caisson of a sofa structure shown in FIG. 1, a quay wall, a breakwater, and a backhoe (disclosed on May 20, 2010).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일반적인 케이슨과는 달리 슬릿을 형성하여 전면부 또는 측면부가 개방되어 소파 효과를 꾀하고자 하였으나, 유수실의 사이즈에 한계가 있었으며, 반사파 저감 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Unlike the conventional caisson, the prior art document has a slit to open the front surface or the side surface to provide a sofa effect. However, the size of the oil seals is limit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reflected waves is small.

또한, 슬릿이 형성된 전면부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일정 두께 이상을 확보해야만 하여, 자중이 증가되고,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where the slit is formed is structurally fragile, so that a certain thickness or more must be secured, leading to an increase in self weight and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한편, 반사파 저감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전면부와 후면부에 슬릿을 형성하여 이중 슬릿을 형성한 케이슨이 있으나, 케이슨의 내부에 속채움을 할 수 없어 파랑에너지의 양압력에 의하여 제체의 활동성이 증가하므로 케이슨의 폭이 크게 증가하고, 소파실의 전면벽과 후면격벽의 부재의 두께가 커져 경제성이 저하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reduction of the reflected wave, there is a caisson having a slit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sides to form a double slit, but since the inside of the caisson can not be filled in, The width of the caisson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of the sofa chamber is increased, resulting in an economical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 효과를 증대시켜, 반사파 저감의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유수실의 사이즈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벽체의 두께를 줄여 자중을 감소하면서도 개방되어진 전면의 강도를 확보하며, 상승파에 대한 충분한 저항성을 확보하고, 수직형 벽체로만 구성되어 연속적인 콘크리트 타설로 일체로 T형, 역T형 소파기둥이 형성된 케이슨을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sofa effect on wave energy and to sufficiently secure the size of the water discharge chamber so as to secure the effect of reducing reflected waves, It secures the strength of the open front while decreasing its weight, secures enough resistance against the rising waves, and forms a caisson with only T-shaped and inverted T-shaped sofa columns integrally formed with vertical concrete wall by continuous casting of concret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해안항만용 케이슨(C)에 있어서, 해저면 상에 설치되는 하판(100), 상기 하판(100)의 후측 상면에 설치되는 후측벽(210), 상기 하판(100)의 좌측 상면에 설치되는 좌측벽(220) 및 상기 하판(100)의 우측 상면에 설치되는 우측벽(23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S)을 구비한 외벽부(200)를 구축하고, 상기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200)로 입사하는 파랑의 흐름을 변형시켜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해 상기 좌측벽(220)의 선단 내벽에는 제1 소파판(3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230)의 선단 내벽에는 제2 소파판(32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소파판(310)과 상기 제2 소파판(320)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을 반복적으로 이격하여 배치하며, 상기 하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내부공간(S)을 등분하도록 +자 형태의 대형 분리격벽(DW1)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적어도 4개의 대형 분리공간(SS)을 형성하고, 상기 대형 분리공간(SS) 중 후방의 대형 분리공간(SS)은 자중이 있는 속채움재를 채워 중력실(400)로 사용하고, 전방의 대형 분리공간(SS)은 해수가 유입되도록 유수실(500)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isson (C) for a coastal harb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plate (100) installed on a sea floor, a rear wall (210) provid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The front wall is opened by the left side wall 220 and the right side wall 230 insta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lower plate 100 to construct the outer wall part 200 having the inner space S, A first sofa plate 31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left wall 220 so as to dissipate the energy of waves by deforming the flow of waves incident on the opened outer wall portion 200, A second sofa plate 320 protrudes from an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sofa plate 310 and a space between the first sofa plate 310 and the second sofa plate 320, A second sofa column 350 of an inverted T shape is repeated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100, At least one large separating partition wall DW is formed by equally dividing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nto a large separation space SS at the rear of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s used as the gravity chamber (400) by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with its own weight, and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at the front is used as the water chamber (500) so that seawater flows in.

또한, +자 형태의 상기 대형 분리격벽(DW1) 중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200)로 연장 형성된 격벽(DW1)의 선단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소파판(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third sofa plate 330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DW1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part 200, which is open from the front, of the large partition barriers DW1 of + shape is formed .

또한, 상기 중력실(400) 내부에는 +자 형태의 소형 분리격벽(DW2)을 설치하여 4개의 소형 분리공간(4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avity chamber 400 is provided with a small-sized diaphragm DW2 to form four small separation spaces 410.

또한,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는 좌,우측벽(220)(230)을 연결하는 상판(S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board SB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220 and 230 is installed on the first sofa pillar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 350.

그리고 상기 중력실(400)의 상부에는 상치콘크리트(4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upper concrete 420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avity chamber 4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방파제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안항만용 케이슨(C)을 복수 개 제작하여 복수 개 케이슨(C)의 측면을 연결하여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breakwaters including cais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caissons (C) for coastal harb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connecting the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caissons (C)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안벽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안항만용 케이슨(C)을 복수 개 제작하여 복수 개 케이슨(C)의 측면을 연결하여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seawall including the cais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caissons (C) for coastal harb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connecting the sides of a plurality of caissons (C)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에 따르면, T형, 역T형 제1,2 소파기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전면과 후면에 슬릿이 형성되어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aisson having the T-shaped and inverted T-type sofa columns and the breakwaters and the quay walls including the T-shaped, inverted-T type sofa columns, A slit is formed to obtain a sofa effect on the wave energy.

또한, T형, 역T형 제1,2 소파기둥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어 소파 효과와 반사파 저감의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ofa columns of the T-shape and the inverted T-shape are mutually shifted, so that the effect of the sofa and the reduction of the reflected wave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또한, 소파부와 유수실을 각기 형성하여 유수실의 사이즈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size of the water discharge chamber by separately forming the sofa portion and the water discharge chamber.

또한, 제1,2 소파판 및 제1,2 소파기둥을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하여 단면계수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두께를 줄여 자중을 감소하면서도 슬릿이 형성된 전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Also, since the first and second sofa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sofa columns are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so that the sectional modulus is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wall can be reduced to secure the strength of the front surface having the slits while reducing its own weight.

또한, 제1 소파기둥 및 제2 소파기둥의 상부에는 상판을 일체로 설치하여 소파부 전체가 구조단면으로 작용하여 파력에 대한 충분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anel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ofa column and the second sofa column, so that the entire sofa portion acts as a structural cross-section, thereby ensuring sufficient resistance against the wave force.

나아가, 유수실 하부에 속채움을 하여 양압력에 의하여 케이슨의 전면부가 들리는 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henomenon that the front face of the caisson is lifted by the positive pressure by filling the bottom of the water chamber.

또한, 케이슨이 수직형 벽체로만 구성되어 연속적인 콘크리트 타설로 일시에 T형, 역T형 제1,2 소파기둥이 형성된 케이슨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isson is constituted only by a vertical wall, and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 T-shaped first and second sofa columns formed at a time by continuous concrete casting is advantageo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타설한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을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부와 유수실 내부의 유수의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방파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안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 T-type sofa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s 2b and 2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 T-shaped sofa pill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 T-shaped sofa pillar, in which a top plate is lai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showing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 T-type sofa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flows of running water in a sofa part and a water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isson having a T-shaped, inverted T-shaped sofa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rbor structure including a caiss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eakwater including a caisso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ptum including a caisson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is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전면은 해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fac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meaning the sea sid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을 도시한 사시도로, 일반적인 케이슨과는 달리 슬릿을 형성하여 전면부 또는 측면부가 개방되어 소파 효과를 꾀하고자 하였으나, 소파부와 유수실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 유수실의 사이즈에 한계가 있었으며, 후면부가 개방되지 않아 반사파 저감 효과가 적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iss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nlike a general caisson, a slit is formed to open a front part or a side part to provide a sofa effect. However, since a sofa part and a water- There was a limit to the size, and the effect of reducing reflected waves was small because the rear portion was not opened.

또한, 슬릿이 형성된 전면부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일정 두께 이상을 확보해야만 하여, 자중이 증가되고,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where the slit is formed is structurally fragile, so that a certain thickness or more must be secured, leading to an increase in self weight and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이에 본 발명은 도 2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항만용 케이슨(C)에 있어서, 해저면 상에 설치되는 하판(100), 상기 하판(100)의 후측 상면에 설치되는 후측벽(210), 상기 하판(100)의 좌측 상면에 설치되는 좌측벽(220) 및 상기 하판(100)의 우측 상면에 설치되는 우측벽(23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S)을 구비한 외벽부(200)를 구축한다.2 to 7, the caisson C for a coastal harb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100 installed on a sea floor, a rear wall 210 install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A left side wall 220 provided on a left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and a right side wall 230 provided on a right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200).

또한, 상기 하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내부공간(S)을 등분하도록 +자 형태의 대형 분리격벽(DW1)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적어도 4개의 대형 분리공간(SS)을 형성하고, 상기 대형 분리공간(SS) 중 후방의 대형 분리공간(SS)은 자중이 있는 속채움재를 채워 중력실(400)로 사용하고, 전방의 대형 분리공간(SS)은 해수가 유입되도록 유수실(500)로 사용한다.At least one large-sized separating partition wall DW1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so as to equally divide the inner space S of the outer wall part 200 into at least four large separation spaces SS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n the rear of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s used as the gravity chamber 400 by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having its own weight and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n front of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s filled with seawater So that it is used as the water retention chamber 500.

한편, 상기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200)로 입사하는 파랑의 흐름을 변형시켜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해 상기 좌측벽(220)의 선단 내벽에는 제1 소파판(3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230)의 선단 내벽에는 제2 소파판(32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소파판(310)과 상기 제2 소파판(320)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을 반복적으로 이격하여 배치한다.A first sofa plate 31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wall 220 to dissipate the energy of waves by deforming the flow of waves incident on the front wall 200, A second sofa plate 320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wall 230. A space between the first sofa plate 310 and the second sofa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T- The pillars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s 350 of the inverted T shape are repeatedly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제1 소파판(310)과 상기 제2 소파판(320)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은 상기 외벽부(200)의 전면과 후면에 자연스럽게 슬릿을 형성한다.At this time, a T-shaped first sofa pillar 340 and an inverted T-shaped second sofa pillar 350 ar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ofa plate 310 and the second sofa plate 320, Thereby forming a slit naturally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art 200.

상기 제1 소파기둥(340)과 제2 소파기둥(350)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나,

Figure 112014088362859-pat00001
Figure 112014088362859-pat00002
등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T자, 역T자 형태는 상기한 형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second sofa column 350 may be variously formed,
Figure 112014088362859-pat00001
Figure 112014088362859-pat00002
, And the T character and the inverted T character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to include the above shape.

상기 제1 소파판(310)과 상기 제2 소파판(320) 그리고 제1 소파기둥(340)과 제2 소파기둥(350)은 파랑에너지에 대한 소파 효과를 얻기 위한 구성으로, 파랑에너지가 폭이 좁아지는 전면의 슬릿에서 1차로 소파되어지고, 후면의 슬릿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로 소파되어 파도의 파랑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The first sofa plate 310, the second sofa plate 320,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second sofa column 350 are configured to obtain a sofa effect on the wave energy, And the wave energy of the wave is reduced due to the second soaking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lit on the rear side.

이때, 종래 기술과는 달리, 소파부를 유수실(500)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유수실(500)의 사이즈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랑에너지가 유수실(500)의 대형 분리격벽(DW1)에 의하여 반사되어 돌아나오는 반사파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unlike the prior art, the sofa portion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water chamber 500 to sufficiently secure the size of the water chamber 500, and as shown in FIG. 3B,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by the large partition wall DW1.

또한, 상기 제1 소파기둥(340)과 제2 소파기둥(350)을 이용하여 일체화된 소파부를 형성하여 단면계수가 증가되도록 하는 바, 상기 제1,2 소파판(310)(320) 및 제1,2 소파기둥(340)(350)을 포함하는 소파부 자체가 하나의 두꺼운 벽체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sofa poles 310 and 320 and the first and second sofa poles 350 and 35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sofa poles 340 and 350, The sofa portion itself including the 1,2 sofa pillars 340 and 350 functions as one thick wall.

이로써, 외벽부(200)의 후측벽(210), 좌,우측벽(220)(230)의 두께를 줄여 자중을 감소시키고, 전, 후면에 슬릿을 형성하면서도, 소파부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Thus,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210, the left and right walls 220 and 230 of the outer wall 200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inner wall 200, and sufficient strength can be secured in the sofa, .

또한, 상기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지는바, 자연스럽게 전면의 슬릿과 후면의 슬릿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shaped first sofa pillars 340 and the inverted T-shaped second sofa pillars 350 are dispos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slits and the rear slits are naturally shifted from each other.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 후면의 슬릿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면, 유수의 흐름이 전환되게 되고, 전환되어진 유수에 의한 반사파는 대형 분리격벽(DW1)에 다시금 반사되어, 유수실(500)내에서 연쇄적인 반사파 저감의 효과를 꾀할 수 있다.3B, when the slit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mutually shifted,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is switched, and the reflected wave due to the converted flowing water is reflected again on the large partition wall DW1, It is possible to effect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flection wave in a chain.

이로써, 상기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에 의한 소파 효과와 반사파 저감의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Thus, the sofa effect and the reflected wave reduction effect by the T-shaped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inverted T-shaped second sofa column 350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상기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의 크기와 배치 간격은 케이슨(C)의 설치 현장의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벽체에 대한 슬릿의 면적 비율을 의미하는 개구율은 통상적으로 25 ~ 30%의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and arrangement interval of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inverted T-shaped second sofa column 350 can be changed flexib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caisson C, It is preferable that the aperture ratio, which means the area ratio of the slits, is usually in the range of 25 to 3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수실(500)은 설치 현장의 파고와 수심에 따라 내부에 속채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water retention chamber 500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fill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depth and depth of the installation site.

또한, +자 형태의 상기 대형 분리격벽(DW1) 중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200)로 연장 형성된 격벽(DW1)의 선단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소파판(33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sofa plate 3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DW1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part 200, which is open to the front of the large partition barriers DW1.

상기 제3 소파판(330)은 제1 소파기둥(340) 및 제2 소파기둥(350)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는 부분을 보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과 동일하게 소파 효과 및 반사파 저감의 효과를 꾀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sofa plate 330 functions to reinforce a portion that is structurally vulnerable due to the first sofa pillars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s 350. The T- So that the effect of the sofa effect and the reflected wave can be reduced as in the case of the column 340.

또한, 상기 중력실(400) 내부에는 +자 형태의 소형 분리격벽(DW2)을 설치하여 4개의 소형 분리공간(41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four small separation spaces 410 can be formed by providing the + Z-shaped small separation barrier DW2 in the gravity chamber 400. [

이로써, 중력실(400)의 공간을 보다 세분화하여 효율적으로 속채움재를 구비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이 있다.Thereby, there is a technical advantage that the space of the gravity chamber 400 can be further subdivided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can be efficiently provided.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는 좌,우측벽(220)(230)을 연결하는 상판(SB)이 설치되어질 수 있다.2A, an upper plate SB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220 and 23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second sofa column 350, have.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소파판(310)(320) 및 제1,2 소파기둥(340)(350)을 포함하는 소파부는 자체로서 하나의 강한 벽체로서 기능하는 것이나, 상기 소파부를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어진 제1,2 소파기둥(340)(350)은 강한 파랑에너지 및 그 반사파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ofa portion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sofa plates 310 and 320 and the first and second sofa columns 340 and 350 functions as one strong wall itself, The first and second sofa pillars 340 and 3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damaged by strong wave energy and reflected waves thereof.

이에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는 좌,우측벽(220)(230)을 연결하는 상판(SB)을 설치하여 제1 소파기둥(340)과 인접한 제2 소파기둥(350)을 상호 일체화하여 소파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n upper plate SB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20 and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second sofa column 35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ofa column 340, The second sofa pillars 350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sufficiently secure the strength of the sofa portion.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는 프리캐스트 커버(36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프리캐스트 커버(360)를 덮도록 상판(SB)이 타설되어질 수 있다.2B, a precast cover 360 is provided on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second sofa column 350, and the precast cover 360 The upper plate SB can be installed.

즉,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 상기 프리캐스트 커버(360)를 구비하고, 상판(SB)을 타설함에 따라,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이 상호 일체화되고,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반사 상승파에 대한 충분한 저항성을 확보하여, 상승파에 대한 제어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cast cover 360 is provided on the first sofa column 340 and the second sofa column 350 and the first sofa column 340 is installed by installing the upper plate SB. And the second sofa pillars 35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strength of the first sofa pillars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s 35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furthermore,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rising wave.

또한,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하부에 전면연결벽(370) 및 후면연결벽(380)이 형성되어, 소파부의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front connection wall 370 and a rear connection wall 380 are formed under the first sofa pillars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s 350 to ensur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sofa portion.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방파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안항만용 케이슨(C)을 복수 개 제작하여 복수 개 케이슨(C)의 측면을 연결하여 구축된다.6, a plurality of caissons C for coastal harbor according to one of claims 1 to 5 are manufactured, and a plurality of caissons (not shown) C).

이때, 상기 방파제는 기초 사석부(600), 피복석(700) 및 본 발명의 케이슨(C)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eakwater may be composed of a base stone 600, a clay stone 700, and a caisson C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방파제는 전후면에 각각 전면 경사부(610)와 후면 경사부(620)가 형성되어지고, 상부에 평탄부(630)가 마련되도록 기초 사석부(600)가 형성되어진다.Specifically, the breakwater has a front inclined portion 610 and a rear inclined portion 620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and a base inclined portion 600 is formed so that the flat portion 630 is provided thereon.

이때, 상기 전면 경사부(610)와 후면 경사부(620)를 덮도록 피복석(700)이 구비되어 기초 사석부(600)의 붕괴를 막고,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lasp 700 is provided to cover the front slope part 610 and the rear slope part 620 to prevent collapse of the base slate part 600 and to maintain the shape.

상기 평탄부(630)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C)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케이슨(C)의 중력실(400)의 내부에 속채움재가 구비되어지되, 상부에 상치콘트리트(420)가 타설되어 완성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flat part 630 is provided with a caisson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ll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gravity chamber 400 of the caisson C, Can be installed and completed.

상기 상치콘크리트(420)는 중력실(400) 내부에 마련된 속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중을 증대시키고, 상부면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floatation concrete 420 prevents leakage of the filling material provided in the gravity chamber 400, increases its own weight, and enables utilization of the upper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을 포함하는 안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안항만용 케이슨(C)을 복수 개 제작하여 복수 개 케이슨(C)의 측면을 연결하여 구축된다. 7, a plurality of caissons C for coastal harb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re manufactured, and a plurality of caissons (C).

이때, 상기 안벽은 기초 사석부(600), 피복석(700), 뒷채움부(800) 및 본 발명의 케이슨(C)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quay wall is composed of a base stone 600, a clay stone 700, a backfill 800 and a caisson C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안벽은 전면에 전면 경사부(610)가 형성되어지고, 상부에 평탄부(630)가 마련되도록 기초 사석부(600)가 형성되어진다.Specifically, the front wall is formed with a front inclined portion 610 on its front surface and a base inclined portion 600 so that a flat portion 630 is formed on the front inclined portion 610.

이때, 상기 전면 경사부(610)를 덮도록 피복석(700)이 구비되어 기초 사석부(600)의 유실을 막고,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clay stone 700 is provided to cover the front slanting part 610 to prevent leakage of the base slushing part 600 and to maintain the shape.

상기 평탄부(630)의 상부에 본 발명의 케이슨(C)이 설치되어지며, 안벽 시설물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슨(C)의 후면에 뒷채움부(800)가 형성되어진다.The caisson 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lat portion 630 and the backfill portion 80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isson C so as to form a quay wall facility.

또한, 상기 케이슨(C)의 중력실(400)의 내부에 속채움재가 구비되어, 자중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부에 상치콘크리트(420)가 타설되어 완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l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gravity chamber 400 of the caisson (C) so that its own weight can be secured, and the upper concrete 42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케이슨의 제작방법(M)은, 하판 거푸집 형성단계(S100), 격벽 거푸집 형성단계(S200), 철근 배근단계(S300) 및 콘크리트 타설단계(S400)를 포함한다.The method M for constructing the caisson for constructing the harb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lower plate form S100, a barrier form forming step S200, a reinforcement step S300, and a concrete pouring step S400. .

상기 하판 거푸집 형성단계(S100)는 케이슨 하판(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판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이다.The lower plate forming step S100 is a step of forming a lower plate form to form the caisson lower plate 100. [

상기 하판 거푸집 형성단계(S100) 이후에 진행되는 벽체 거푸집 형성단계(S200)는 후측벽(210), 좌측벽(220) 및 우측벽(23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S)을 구비한 외벽부(200)를 구축하고, 좌측벽(220)의 선단 내벽에는 제1 소파판(31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우측벽(230)의 선단 내벽에는 제2 소파판(320)을 돌출형성하며, 상기 제1 소파판(310)과 상기 제2 소파판(320)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을 반복적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내부공간(S)을 4등분하도록 +자 형태의 대형 분리격벽(DW1)을 설치하여 4개의 대형 분리공간(SS)을 형성하기 위하여 벽체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이다.The step S200 of forming the wall formwork after the step S100 of forming the lower plate is performed by opening the front side by the rear side wall 210, the left side wall 220 and the right side wall 230, A first sofa plate 31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left wall 220 and a second sofa plate 32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right wall 230, The first sofa pillar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 350 in the T shape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ofa plate 310 and the second sofa plate 320, And a wall mold is formed to form four large separation spaces SS by installing a large-sized separating partition wall DW1 in a shape of a letter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S into four equal parts.

이때, 상기 케이슨(C)은 수직형 벽체만으로 구성되어 기타 수평형 부재가 불요한 바, 전체 수직형 벽체에 대한 거푸집을 한 번에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isson (C) is composed of only the vertical wall, and other horizontal members are unnecessary, so that the form for the entire vertical wall can be formed at one time.

상기 철근 배근단계(S300)는 상기 하판 거푸집 및 벽체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이다.The reinforcement step S300 is a step of placing reinforcing bars inside the lower plate formwork and the wall formwork.

이때, 중력실(400) 상부의 상치콘크리트(420)와 구조적 일체성을 꾀하기 위하여 철근의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protrude upward to achieve structural integrity with the upright concrete 420 on the upper part of the gravity chamber 400.

상기 철근 배근단계(S300) 이후에 진행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400)는 상기 하판 거푸집 및 벽체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는 단계이다.The concrete pouring step S400 after the reinforcement step S300 is a step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lower plate formwork and the wall formwork at a time.

즉, 종래의 케이슨은 전면의 자중을 증가하기 위하여 수평형 부재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거푸집 형성과 콘크리트 타설을 수회에 걸쳐 행하여야 하는바,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케이슨의 제작방법(M)은 수직형 벽체로만 구성되어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일시에 케이슨을 형성할 수 있는바,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installing a horizontal member or the like in order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nventional caisson, the formability and the concrete pouring must be carried out several times to reduce the workability. However, The method (M) is constituted only by a vertical wall, and a caisson can be formed at a time with a single concrete pouring, which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workability.

또한,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는 프리캐스트 커버(360)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커버(360)를 덮도록 상판(SB)을 설치하는 상판 설치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360 is provided on the first sofa pillars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s 350 and the top plate SB is installed to cover the precast covers 360 Step S500.

상기 상판(SB)의 콘크리트 타설은 케이슨의 설치 현장에서 타설되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중력실(400) 상부의 상치콘크리트(420)도 함께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crete pouring of the upper plate SB may be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caiss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crete 420 located above the gravity chamber 400 is also pour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한 방파제 및 안벽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caisson having the T-type and inverted T-type sofa pill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reakwaters and the quay walls including the caisson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케이슨 DW1:대형 분리격벽
DW2:소형 분리격벽 S:내부공간
SS:대형 분리공간 SB:상판
100:하판 200:외벽부
210:후측벽 220:좌측벽
230:우측벽 310:제1 소파판
320:제2 소파판 330:제3 소파판
340:제1 소파기둥 350:제2 소파기둥
360:프리캐스트 커버 370:전면연결벽
380:후면연결벽 400:중력실
410:소형 분리공간 420:상치콘크리트
500:유수실 600:기초 사석부
610:전면 경사부 620:후면 경사부
630:평탄부 700:피복석
800:뒷채움부
M:케이슨의 제작방법 S100:하판 거푸집 형성단계
S200:벽체 거푸집 형성단계 S300:철근 배근단계
S400:콘크리트 타설단계 S500:상판 설치단계
C: Caisson DW1: Large separation barrier
DW2: Small separation barrier S: Inner space
SS: Large separation space SB: Top plate
100: lower plate 200: outer wall portion
210: rear side wall 220: left side wall
230: right side wall 310: first sofa plate
320: second sofa plate 330: third sofa plate
340: first sofa pillar 350: second sofa pillar
360: precast cover 370: front connection wall
380: rear connection wall 400: gravity chamber
410: Small separation space 420: Thick concrete
500: water retention chamber 600:
610: front inclined portion 620: rear inclined portion
630: flat part 700:
800: backfill
M: Method of making caisson S100: Formation of lower plate form
S200: Formation of wall mold S300: Reinforcement step
S400: concrete pouring step S500: top plate installing step

Claims (7)

해안항만용 케이슨(C)에 있어서,
해저면 상에 설치되는 하판(100),
상기 하판(100)의 후측 상면에 설치되는 후측벽(210), 상기 하판(100)의 좌측 상면에 설치되는 좌측벽(220) 및 상기 하판(100)의 우측 상면에 설치되는 우측벽(23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S)을 구비한 외벽부(200)를 구축하고,
상기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200)로 입사하는 파랑의 흐름을 변형시켜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하기 위해 상기 좌측벽(220)의 선단 내벽에는 제1 소파판(3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230)의 선단 내벽에는 제2 소파판(32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소파판(310)과 상기 제2 소파판(320)의 사이 공간에는 T자 형태의 제1 소파기둥(340) 및 역T자 형태의 제2 소파기둥(350)을 반복적으로 이격하여 배치하며,
상기 하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내부공간(S)을 등분하도록 +자 형태의 대형 분리격벽(DW1)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적어도 4개의 대형 분리공간(SS)을 형성하고, 상기 대형 분리공간(SS) 중 후방의 대형 분리공간(SS)은 자중이 있는 속채움재를 채워 중력실(400)로 사용하고, 전방의 대형 분리공간(SS)은 해수가 유입되도록 유수실(500)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항만용 케이슨.
In a caisson (C) for coastal harbor,
A lower plate 100 installed on the sea floor,
A left side wall 220 installed on a left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and a right side wall 230 installed on a right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The rear side wall 210 is provid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An outer wall part 200 having an open front and an inner space S,
A first sofa plate 31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wall 220 to dissipate the energy of waves by deforming the flow of waves incident on the outer side wall 200 opened to the front side, A second sofa plate 320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ont end of the wall 230 and a space between the first sofa plate 310 and the second sofa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T- 340 and an inverted T-shaped second sofa column 350 are repeatedly spaced apart,
At least one large-sized divergent partition wall DW1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so as to equally divide the internal space S of the outer wall part 200 to form at least four large separation spaces SS. And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at the rear of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is filled with a filling material having its own weight and is used as the gravity chamber 400. The large separation space SS at the front is used as a water- (500).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자 형태의 상기 대형 분리격벽(DW1) 중 전면이 개방된 외벽부(200)로 연장 형성된 격벽(DW1)의 선단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소파판(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항만용 케이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sofa plate (330)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DW1) extended from the outer wall part (200) of which the front face is open out of the large partition wall part (DW1) Caisson f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실(400) 내부에는 +자 형태의 소형 분리격벽(DW2)을 설치하여 4개의 소형 분리공간(4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항만용 케이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avity chamber (400) is provided with a small-sized separating partition wall (DW2) of + shape to form four small separation spaces (4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파기둥(340) 및 상기 제2 소파기둥(350)의 상부에는 좌,우측벽(220)(230)을 연결하는 상판(S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항만용 케이슨.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top board SB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alls 220 and 230 is installed on the first sofa pillar 340 and the second sofa pillar 35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실(400)의 상부에는 상치콘크리트(4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항만용 케이슨.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upper concrete (420)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avity chamber (40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안항만용 케이슨(C)을 복수 개 제작하여 복수 개 케이슨(C)의 측면을 연결하여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A breakwa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aissons (C) for coastal harb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connecting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caissons (C).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안항만용 케이슨(C)을 복수 개 제작하여 복수 개 케이슨(C)의 측면을 연결하여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A quay wall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caissons (C) for coastal harb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connecting side faces of a plurality of caissons (C).
KR1020140124053A 2014-09-18 2014-09-18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KR101635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053A KR101635900B1 (en) 2014-09-18 2014-09-18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053A KR101635900B1 (en) 2014-09-18 2014-09-18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379A KR20160033379A (en) 2016-03-28
KR101635900B1 true KR101635900B1 (en) 2016-07-04

Family

ID=5650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053A KR101635900B1 (en) 2014-09-18 2014-09-18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9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1882B1 (en) * 2019-01-23 2020-12-25 Daniel Mouton Prefabricated stackable box
CN109736261B (en) * 2019-03-14 2020-12-18 王静波 Port breakwater and offshore water-blocking d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28A (en) 1998-06-15 2000-03-07 Hitachi Zosen Corp Caisson with wave dissipating and sea water cleaning function
KR200352921Y1 (en) 2004-03-10 2004-06-22 이오진 Seawater distribution caisson breakwater
KR101126341B1 (en) 2011-04-21 2012-03-22 이오진 Caisson structure and harbor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461B1 (en) * 2012-02-15 2014-01-17 이승준 Breakwater caiss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28A (en) 1998-06-15 2000-03-07 Hitachi Zosen Corp Caisson with wave dissipating and sea water cleaning function
KR200352921Y1 (en) 2004-03-10 2004-06-22 이오진 Seawater distribution caisson breakwater
KR101126341B1 (en) 2011-04-21 2012-03-22 이오진 Caisson structure and harbor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379A (en)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092B1 (en) Prefabricated caisson blocks and breakwater, seawall using it
EP1624114A1 (en) Modular dike for shore protection
CN212103878U (en) Breakwater component and breakwater structure thereof
KR101635900B1 (en) Caisson having T-shaped and Reverse T-shaped Column,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CN109736261B (en) Port breakwater and offshore water-blocking d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35384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crete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US10400407B2 (en) Modular wave-break and bulkhead system
KR101338834B1 (en) Concrete pile using waisted tire and a wave dissipating concrete block and seashore structure using thereof
KR101694524B1 (en) Port of caisson structure
KR101255961B1 (en) Caison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KR100730981B1 (en) Structure of cofferdam for open caisson
JP7285392B2 (en) L-shaped caisson structure
KR20120012726A (en) Caiss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aisson with friction increased structure
KR200272975Y1 (en) A quay wall structure of gravity in which various methods are mixed
KR20030068347A (en) Breakwater using pile foundation
KR20070075118A (en) Rabbet joint block and structure using thereof
KR102601005B1 (en) Interlocking block And Port structure using interlocking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of port structure using interlocking block
JP2013023874A (en) Breakwater water structure
JP5541267B2 (en) Tide barrier
KR101635905B1 (en) Caisson having Hollow Pillar, and Port Structures using it
RU197845U1 (en) FLOATING WAVE
KR102383735B1 (en) Caisso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idal level difference
NL2029543B1 (en) foundation assembly of a plurality of buoyant bodies
JP4109387B2 (en) Void structure
KR102557753B1 (en) U-shaped caisson and its buoyancy laun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