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127B1 -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127B1
KR101635127B1 KR1020140134699A KR20140134699A KR101635127B1 KR 101635127 B1 KR101635127 B1 KR 101635127B1 KR 1020140134699 A KR1020140134699 A KR 1020140134699A KR 20140134699 A KR20140134699 A KR 20140134699A KR 101635127 B1 KR101635127 B1 KR 10163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
contents
posting
po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193A (ko
Inventor
이강민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피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피오
Priority to KR102014013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영역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를 링크시켜 화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포스팅함으로써, 다수개의 컨텐츠의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제1컨텐츠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제2컨텐츠로 지정하는 지정부;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링크시키는 제1링크부; 상기 입력부에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관련된 정보인 키워드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키워드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그룹핑 함으로써, 그룹 컨텐츠를 생성하는 그룹핑부; 상기 그룹핑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그룹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링크하는 제2링크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제2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그룹 컨텐츠를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횡이동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룹 컨텐츠에 포함된 두개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상기 화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순차적으로 포스팅하는 포스팅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의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상기 포스팅부에서 포스팅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2컨텐츠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제1순서결정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상기 그룹 컨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상기 포스팅부에서 포스팅되는 상기 그룹 컨텐츠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제2순서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컨텐츠에 링크되어 종방향으로 화면부에 함께 포스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제1컨텐츠 및 이에 링크되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하나의 화면부에서 용이하게 구독 될 수 있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SOCIAL NETWORK SERVICE LINK AND POSTING SYSTEM}
본 발명은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컨텐츠에 링크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화면부에 함께 포스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제1컨텐츠 및 이에 링크되는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하나의 화면부에서 용이하게 구독 될 수 있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란 교호 네트워크 서비스로써,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의미하며, 페이스북(www.facebook.com), 트위터(www.twitter.com) 등이 이러한 SNS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SNS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생각이나 관념, 또는 취미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컨텐츠를 포스팅하거나, 포스팅된 타 사용자의 컨텐츠를 구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SNS의 경우, 사용자 자신의 컨텐츠를 포스팅한 순서대로 게시하는 블로그(웹상에서 기록하는 일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블로그 기능은 각 사용자 마다 영역이 할당되며, 상기 할당된 영역에는 사용자 자신만이 컨텐츠를 게시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종래의 SNS는 상술한 블로그 기능 외에 메인화면부(또는 시작화면부) 기능을 포함한다. 메인화면부 기능은 SNS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접속하는 경우, 메인화면부(또는 시작화면부)에 가장 최근에 포스팅된 컨텐츠가 순서대로 게시되도록 설계된 기능이다. 이러한 메인화면부에는 사용자 자신의 컨텐츠 뿐만 아나라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도 게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의 내용에 연관된 타 사용자의 컨텐츠를 구독하려하는 경우, 연관 검색어 또는 연관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하여 개별적으로 타 사용자의 블로그 내에 포스팅된 컨텐츠를 일일이 찾아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의 SNS의 경우, 포스팅된 다수개의 컨텐츠들 중 연관된 내용의 컨텐츠들을 하나의 화면부상에서 용이하게 구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수개의 컨텐츠(동일 또는 유사한 주제를 공유)를 포스팅하였으나,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들이 날짜 또는 시간을 달리하여 게시되는 경우가 있다. 컨텐츠들은 일반적으로 날짜 또는 시간 순으로 블로그에 게시되는데, 이때, 다른 주제의 컨텐츠가 중간에 게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 또는 유사한 주제를 공유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들이 블로그에 분산되어 포스팅 될 수 있다.
따라서, 타 사용자는 사용자의 동일 또는 유사한 주제를 공유하는 컨텐츠 전체를 일일이 읽어보지 않는 이상, 현재 구독하고 있는 사용자의 컨텐츠(동일 또는 유사한 주제를 공유)와 기존의 포스팅 되어 있던 사용자의 컨텐츠(동일 또는 유사한 주제를 공유)가 상호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SNS는 날짜 또는 시간의 순서대로 컨텐츠가 포스팅 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SNS를 이용하는 경우, 타 사용자가 현재 구독하고 있는 컨텐츠의 포스팅 의도를 구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SNS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205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260호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컨텐츠에 링크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화면부에 함께 포스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제1컨텐츠 및 이에 링크되는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하나의 화면부에서 용이하게 구독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 사용자가 제1컨텐츠의 주제 또는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영역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를 링크시켜 화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포스팅함으로써, 다수개의 컨텐츠의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제1컨텐츠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제2컨텐츠로 지정하는 지정부;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링크시키는 제1링크부; 상기 입력부에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관련된 정보인 키워드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키워드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그룹핑 함으로써, 그룹 컨텐츠를 생성하는 그룹핑부; 상기 그룹핑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그룹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링크하는 제2링크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제2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그룹 컨텐츠를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횡이동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룹 컨텐츠에 포함된 두개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상기 화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순차적으로 포스팅하는 포스팅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의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상기 포스팅부에서 포스팅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2컨텐츠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제1순서결정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상기 그룹 컨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상기 포스팅부에서 포스팅되는 상기 그룹 컨텐츠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제2순서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컨텐츠에 링크되어 종방향으로 화면부에 함께 포스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제1컨텐츠 및 이에 연관되는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컨텐츠가 하나의 화면부에서 용이하게 구독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포스팅, 즉,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연관되는 자신 또는 타인의 다수의 컨텐츠(제2컨텐츠)를 자신의 포스팅(제1컨텐츠)에 연속하여 하나의 화면에 포스팅 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자신의 생각 등을 타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블로그 등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정보가 이용되어 컨텐츠가 검색되고, 검색된 컨텐츠가 그룹핑되어 그룹 컨텐츠가 생성되며, 이후, 생성된 그룹 컨텐츠가 제1컨텐츠에 링크되어 화면부에 횡방향으로 포스팅 됨으로써, 제1컨텐츠 및 연관된 내용의 그룹 컨텐츠가 하나의 화면부에서 용이하게 구독 될 수 있다.
또한, 횡이동정보가 이용되어, 그룹 컨텐츠에 포함된 개별의 컨텐츠들이 화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순차적으로 포스팅됨으로써, 제1컨텐츠 및 그룹 컨텐츠가 하나의 화면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구독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이고,
도 3은 도 1의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100)은 입력부(101)와 저장부(102)와 제1링크부(104)와 포스팅부(105)와 제1순서결정부(106)와 검색부(107)와 그룹핑부(108)와 제2링크부(109)와 제2순서결정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01)는 제1컨텐츠(c1)와 키워드정보(k)와 횡이동정보(w)가 입력되는 것으로써, 입력된 제1컨텐츠(c1)를 후술하는 저장부(102)에 전달하도록 저장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된 키워드정보(k)를 후술하는 검색부(107)에 전달하도록 검색부(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컨텐츠(c1)란, 사용자에 의해 상술한 입력부(101)에 입력되어 후술하는 포스팅부(105)에 의해 화면부(d)에 포스팅될 사용자 자신의 생각이나 관념, 또는 취미 등에 관한 내용(게시물)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키워드정보(k)란, 컨텐츠(c)의 내용에 관련된 핵심 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컨텐츠(c) 자체에 포함되는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키워드정보(k)는 사용자가 검색부(107)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컨텐츠(c)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c)를 검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또한, 여기서, 횡이동정보(w)란, 후술하는 검색부(107) 및 그룹핑부(108)에 의해 생성되는 그룹 컨텐츠(c3)에 포함되는 각 컨텐츠(c)가 화면부(d)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순차적으로 포스팅되록 포스팅부(105)에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입력부(101)는 윈도우즈(Windows) 또는 리눅스(Linux) 등의 OS(Operating System)로 작동되는 PC(Personal Computer)기반의 SNS의 경우,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안드로이드(Android), iOS 등의 OS로 작동되는 모바일기반의 SNS의 경우, 터치패널을 이용한 가상키보드, 모바일기기에서 제공되는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101)는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OS의 종류, 디바이스의 종류를 불문하고, 제1컨텐츠(c1)를 입력받아 저장부(102)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구비되더라도 무방하다.
저장부(102)는 상술한 입력부(101)로부터 제1컨텐츠(c1)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1링크부(104)와 포스팅부(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저장부(102)는 SNS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 저장영역의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정부(103)는 다수개의 컨텐츠(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c)를 제2컨텐츠(c2)로 지정하는 것으로써, 입력부(101)와 후술하는 제1링크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컨텐츠(c)란, SNS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저장영역에 이미 저장되어 화면부(d)에 포스팅되어 있는 게시물을 의미한다.
또한, 제2컨텐츠(c2)란, 상술한 지정부(103)에 의해 다수개의 컨텐츠(c)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c)를 의미한다.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가 입력부(101)를 조작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컨텐츠(c1)에 링크되어 화면부(d)에 함께 표시할 컨텐츠(c)를 발견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서, 입력부에서 제1선택신호(s1)가 발생되며, 발생된 제1선택신호(s1)는 지정부(103)로 전달된다. 지정부에서 제1선택신호(s1)가 전달되면, 지정부(103)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c)를 제2컨텐츠(c2)로 지정한다.
이후, 지정된 제2컨텐츠(c2)는 후술하는 제1링크부(104)로 전달되고, 이후, 저장부(102)에 저장된 제1컨텐츠(c1)에 링크된다.
제1링크부(104)는 제2컨텐츠(c2)를 저장부(102)에 링크시키는 것으로써, 지정부(103) 및 저장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화면부(d)에 포스팅된 다수개의 컨텐츠(c)를 구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여 포스팅된 제1컨텐츠(c1)의 내용과 연관되는 컨텐츠(c)를 발견하는 경우, 사용자는 발견된 컨텐츠(c)를 자신이 입력한 제1컨텐츠(c1)에 링크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부(101)를 조작함으로써, 연관시킬 컨텐츠(c)를 선택하면, 제1선택신호(s1)가 생성되고, 이후, 생성된 제1선택신호(s1)를 지정부가(103) 전달받으면, 지정부(103)가 제1컨텐츠(c1)에 연관시킬 컨텐츠(c)를 제2컨텐츠(c2)로 지정한다. 이후, 지정된 제2컨텐츠(c2)는 제1링크부(104)에 의해서 저장부(102)에 링크된다.
포스팅부(105)는 저장부(102)로부터 제1컨텐츠(c1)를 전달받아 제1컨텐츠(c1)를 화면부(d)에 포스팅하며, 제2컨텐츠(c2)를 전달받아 제2컨텐츠(c2)를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화면부(d)에 포스팅하는 것으로써, 저장부(102)와 화면부(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포스팅부(105)에 의해서, 화면부(d)에 제1컨텐츠(c1)가 포스팅 되며,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제2컨텐츠(c2)가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포스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나의 화면상에 제1컨텐츠(c1) 및 이에 연관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제2컨텐츠(c2)가 하나의 화면상에 한번에 포스팅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및 타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연관된 컨텐츠(c)들을 종방향으로 이동시켜며 용이하게 구독할 수 있다.
또한, 포스팅부(105)는 후술하는 검색부(107) 및 그룹핑부(108)에 의해 생성되는 그룹 컨텐츠(c3)를 상술한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화면부(d)에 포스팅한다. 이러한 그룹 컨텐츠(c3)는 두개 이상의 컨텐츠(c)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부(101)에 횡이동정보(w)가 입력되는 경우, 포스팅부(105)는 상술한 두개 이상의 컨텐츠(c)를 제1컨텐츠(c1)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순차적으로 화면부(d)에 포스팅한다.
이러한 포스팅부(105)에 의해서, 사용자 및 타 사용자는 그룹 컨텐츠(c3)에 포함된 개별 컨텐츠(c)를 효과적으로 구독할 수 있다.
제1순서결정부(106)는 제1링크부(104)에 의해, 제2컨텐츠(c2)가 저장부(102)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포스팅부(105)에서 포스팅되는 제2컨텐츠(c2)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입력부(101)와 포스팅부(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01)에서 제1순서결정신호(s2)가 입력되면, 포스팅부(105)로 상술한 제1순서결정신호(s2)가 전달되며, 이후, 제1순서결정신호(s2)를 전달받은 포스팅부(105)는 제1순서결정신호(s2)에서 지시하는 종방향의 순서대로 링크된 다수개의 제2컨텐츠(c2)들의 순서를 결정하여 그 순서대로 다시 제2컨텐츠(c2)를 화면부(d)에 포스팅한다.
이러한 제1순서결정부(106)에 의해서,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다수개의 제2컨텐츠(c2)의 종방향 포스팅 순서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상술한 종방향 순서의 조절은 사용자가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다수개의 제2컨텐츠(c2)들 중에서 제1컨텐츠(c1)와 연관이 높은 순서대로 제2컨텐츠(c2)들을 화면부(d) 상에 배치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제1컨텐츠(c1)를 구독하는 타 사용자로 하여금 제1컨텐츠(c1)와 더불어 가장 먼저 구독시키고자 하는 제2컨텐츠(c2)를 화면부(d)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검색부(107)는 입력부(101)에 키워드정보(k)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부(101)로부터 키워드정보(k)를 전달받아 키워드정보(k)가 포함된 컨텐츠(c)를 검색하는 것으로써, 입력부(101)와 후술하는 그룹핑부(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검색부(107)는 입력부(101)로부터 키워드정보(k)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워드정보(k)를 SNS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다수개의 컨텐츠(c)에 포함되는 키워드정보(k)와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입력부(101)에서 입력된 키워드정보(k)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키워드정보(k)를 포함하는 컨텐츠(c)가 검색되면, 화면부(d)에 검색결과가 표시된다. 이러한 검색부(107)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하는 컨텐츠(c)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그룹핑부(108)는 상술한 검색부(107)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c)를 그룹핑 함으로써, 그룹 컨텐츠(c3)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검색부(107)와 후술하는 제2링크부(10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검색부(107)에 의해서,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정보(k)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키워드정보(k)를 포함하는 컨텐츠(c)가 검색되면, 검색결과가 화면부(d)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SNS에서 제공하는 버튼을 입력부(101)을 이용해 선택함으로써 그룹핑신호(s3)를 발생시키면, 그룹핑신호(s3)는 그룹핑부(108)로 전달되며, 그룹핑신호(s3)를 전달받은 그룹핑부(108)는 검색부(107)에 의해 검색된 컨텐츠(c)를 그룹핑함으로써, 그룹 컨텐츠(c3)를 생성한다.
여기서, 그룹핑이란, 동일하거나 유사한 키워드정보(k)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다수개의 컨텐츠(c)를 그룹화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그룹 컨텐츠(c3)란, 상술한 그룹핑에 의해 생성되는 컨텐츠(c), 즉, 게시물의 집단을 의미한다.
제2링크부(109)는 상술한 그룹핑부(108)에 의해 생성된 그룹 컨텐츠(c3)를 저장부(102)에 링크하는 것으로써, 그룹핑부(108)와 저장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링크부(109)에 의해서, 상술한 검색부(107)와 그룹핑부(108)에 의해 생성된 그룹 컨텐츠(c3)가 저장부(102)에 링크되고, 이후, 포스팅부(105)에 의해, 화면부(d)에서 그룹 컨텐츠(c3)가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포스팅될 수 있다.
제2순서결정부(110)는 상술한 제2링크부(109)에 의해, 그룹 컨텐츠(c3)가 저장부(102)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포스팅부(105)에서 포스팅되는 그룹 컨텐츠(c3)의 횡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입력부(101)와 포스팅부(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01)에서 제2순서결정신호(s4)가 입력되면, 포스팅부(105)로 상술한 제2순서결정신호(s4)가 전달된다. 이후, 제2순서결정신호(s4)를 전달받은 포스팅부(105)에서는 제2순서결정정보에서 지시하는 종방향의 순서대로 그룹 컨첸츠의 순서를 결정하여 그 순서대로 그룹 컨텐츠(c3)를 다시 포스팅한다.
이러한 제2순서결정부(110)에 의해서,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그룹 컨텐츠(c3)의 종방향 포스팅 순서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즉, 상술한 종방향 순서의 조절은 사용자가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다수개의 컨텐츠(c) 및 그룹 컨텐츠(c3)들 중에서 제1컨텐츠(c1)와 연관이 높은 순서대로 그룹 컨텐츠(c3)를 화면부(d) 상에 배치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c)를 구독하는 타 사용자로 하여금 가장 제1컨텐츠(c1)와 더불어 가장 먼저 구독시키고자 하는 그룹 컨텐츠(c3)를 화면부(d)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입력부(101)와 저장부(102)와 제1링크부(104)와 포스팅부(105)와 제1순서결정부(106)와 검색부(107)와 그룹핑부(108)와 제2링크부(109)와 제2순서결정부(1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100)에 의하면,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제2컨텐츠(c2) 및 검색부(107)에 의해 생성된 그룹 컨텐츠(c3)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컨텐츠(c1)에 링크되어 종방향으로 화면부(d)에 함께 포스팅되며, 그룹 컨텐츠(c3)에 포함된 개별의 컨텐츠(c)들이 화면부(d)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순차적으로 포스팅된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화면부(d)를 종방향, 횡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제1컨텐츠(c1)와 연관된 내용의 다수개의 컨텐츠(c)들(제2컨텐츠(c2) 및 그룹 컨텐츠(c3))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구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100)에 의하면, 사용자가 하나의 포스팅, 즉,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연관되는 자신 또는 타인의 다수의 컨텐츠(c)를 자신의 포스팅(즉, 제1컨텐츠(c1))에 연속하여 하나의 화면에 포스팅 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자신의 생각 등을 타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블로그 등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SNS 컨텐츠(c)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c) 링크 및 포스팅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SNS 컨텐츠(c)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c) 링크 및 포스팅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c) 링크 및 포스팅 방법(S100)은 제1컨텐츠입력단계(S101)와 저장단계(S102)와 제2컨텐츠지정단계(S103)와 제1링크단계(S104)와 제1포스팅단계(S105)와 제1순서결정단계(S106)와 검색단계(S107)와 그룹핑단계(S108)와 제2링크단계(S109)와 제2포스팅단계(S110)와 제2순서결정단계(S111)와 횡이동단계(S112)를 포함한다.
제1컨텐츠입력단계(S101)는 제1컨텐츠(c1)가 입력부(101)에 입력되는 단계로써, 사용자가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제1컨텐츠(c1)를 작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저장단계(S102)는 제1컨텐츠입력단계(S101)에 의해 입력부(101)에 입력된 제1컨텐츠(c1)가 저장부(102)에 저장되는 단계로써, 저장부(102)가 제1컨텐츠(c1)를 전달받아 내부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함으로써 구현된다.
제2컨텐츠지정단계(S103)는 다수개의 컨텐츠(c)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c)를 제2컨텐츠(c2)로 지정하는 단계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입력부(101)에 의해 발생되는 제1선택신호(s1)가 지정부(103)에 전달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제2컨텐츠지정단계(S103)에 의해서, 사용자가 제1컨텐츠(c1)에 링크시킬 제2컨텐츠(c2)가 지정된다.
제1링크단계(S104)는 상술한 제2컨텐츠지정단계(S103)에 의해서 지정된 제2컨텐츠(c2)를 저장부(102)에 링크시키는 단계로써, 제1링크부(104)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제1링크단계(S104)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c), 즉, 제2컨텐츠(c2)가 제1컨텐츠(c1)가 저장된 저장부(102) 링크된다.
제1포스팅단계(S105)는 상술한 저장단계(S102)에 의해 저장된 제1컨텐츠(c1)를 전달받아 화면부(d)에 포스팅하며, 저장부(102)에 링크되는 제2컨텐츠(c2)를 화면부(d) 상에 포스팅된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포스팅하는 단계로써, 포스팅부(105)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제1포스팅단계(S105)에 의해서, 화면부(d)에 제1컨텐츠(c1)가 포스팅 되며,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제2컨텐츠(c2)가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포스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컨텐츠(c1) 및 이에 연관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제2컨텐츠(c2)가 하나의 화면상에 한번에 포스팅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및 타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이용하여 제1컨텐츠(c1) 및 제2컨텐츠(c2)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용이하게 구독할 수 있다.
제1순서결정단계(S106)는 상술한 제1링크단계(S104)에 의해서, 다수개의 제2컨텐츠(c2)가 저장부(102)에 링크되어 상술한 제1포스팅단계(S105)에 의해 화면부(d)에 포스팅되는 경우, 화면부(d)에 포스팅되는 제2컨텐츠(c2)의 종방향의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로써, 제1순서결정부(106)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제1순서결정단계(S106)는 사용자가 입력부(101)에서 제1순서결정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시작된다. 사용자가 입력부(101)에 제1순서결정정보를 입력하면, 이후, 제1순서결정신호(s2)는 포스팅부(105)로 전달되고, 이후, 포스팅부(105)에서는 제1순서결정신호(s2)에서 지시하는 종방향의 순서대로 링크된 다수개의 제2컨텐츠(c2)들의 순서를 결정한다. 이후, 포스팅부(105)는 결정된 순서대로 다시 제2컨텐츠(c2)를 화면부(d)에 포스팅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제1순서결정단계(S106)가 진행되며, 이러한 제1순서결단계에 의해서,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다수개의 제2컨텐츠(c2)의 종방향 포스팅 순서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다수개의 제2컨텐츠(c2)들 중에서 제1컨텐츠(c1)와 연관이 높은 순서대로 제2컨텐츠(c2)들을 화면부(d) 상에 배치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제1컨텐츠(c1)를 구독하는 타 사용자로 하여금 제1컨텐츠(c1)와 더불어 가장 먼저 구독시키고자 하는 제2컨텐츠(c2)를 화면부(d)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검색단계(S107)는 입력부(101)에 키워드정보(k)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부(101)로부터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SNS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 영역에서 키워드정보(k)가 포함된 컨텐츠(c)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검색단계(S107)는 검색부(107)가 입력부(101)로부터 키워드정보(k)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해 SNS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다수개의 컨텐츠(c)에 포함된 키워드정보(k)와 동일 및 유사성을 비교함으로써 시작된다. 이후, 입력부(101)에서 입력된 키워드정보(k)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키워드정보(k)를 포함하는 컨텐츠(c)가 검색되면, 화면부(d)에 검색결과가 표시된다.
그룹핑단계(S108)는 상술한 검색단계(S107)에 의해서 검색된 다수개의 컨텐츠(c)를 하나로 그룹핑시키는 단계로써, 그룹핑부(108)에 의해 구현된다.
검색단계(S107)에 의해서, 검색결과가 화면부(d)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SNS에서 제공하는 그룹핑 버튼을 입력부(101)를 이용해 선택함으로써 그룹핑신호(s3)를 생성시키면, 생성된 그룹핑신호(s3)는 그룹핑부(108)로 전달된다. 이후, 그룹핑신호(s3)를 전달받은 그룹핑부(108)는 검색부(107)에 의해 검색된 컨텐츠(c)를 그룹핑함으로써, 그룹 컨텐츠(c3)를 생성한다.
제2링크단계(S109)는 상술한 그룹핑부(108)에 의해 생성된 그룹 컨텐츠(c3)를 저장부(102)에 링크하는 단계로써, 제2링크부(109)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제2링크단계(S109)에 의해서, 상술한 검색단계(S107)와 그룹핑단계(S108)에 의해 생성된 그룹 컨텐츠(c3)가 저장부(102)에 링크되고, 이후, 후술하는 제2포스팅단계(S110)에 의해, 화면부(d)에서 그룹 컨텐츠(c3)가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포스팅될 수 있다.
제2포스팅단계(S110)는 상술한 제2링크단계(S109)에 의해 저장부(102)에 링크된 그룹 컨텐츠(c3)를 제1포스팅단계(S105)에 의해 화면부(d)에 포스팅되는 제1컨텐츠(c1)에 대해 종방향으로 화면부(d)에 포스팅하는 단계로써, 포스팅부(105)에 의해 구현된다.
상술한 검색단계(S107)와 제2링크단계(S109)와 제2포스팅단계(S110)에 의해서, 하나의 화면상에 제1컨텐츠(c1) 및 이에 연관되는 키워드정보(k)를 포함하는 그룹 컨텐츠(c3)가 하나의 화면상에 한번에 포스팅 될 수 있다.
제2순서결정단계(S111)는 상술한 제2링크단계(S109)에 의해, 그룹 컨텐츠(c3)가 저장부(102)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화면부(d)에서 포스팅되는 그룹 컨텐츠(c3)의 횡방향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서대로 그룹 컨텐츠(c3)를 다시 화면부(d)에 포스팅하는 단계로써, 제2순서결정부(110)에 의해 구현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01)에 제2순서결정신호(s4)가 입력되면, 제2순서결정신호(s4)는 포스팅부(105)로 전달된다. 이후, 포스팅부(105)에서는 제2순서결정신호(s4)에서 지시하는 종방향의 순서대로 그룹 컨텐츠(c3)의 순서를 결정하여 그 순서대로 그룹 컨텐츠(c3)를 다시 화면부(d)에 포스팅한다.
이러한 제2순서결정단계(S111)에 의해서, 제1컨텐츠(c1)에 링크되는 그룹 컨텐츠(c3)의 종방향 포스팅 순서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횡이동단계(S112)는 그룹 컨텐츠(c3)에 포함된 두개 이상의 컨텐츠(c)를 화면부(d)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순차적으로 포스팅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횡이동단계(S112)는 사용자가 입력부(101)에 횡이동정보(w)를 입력하면, 입력된 횡이동정보(w)가 포스팅부(105)로 전달되며, 횡이동정보(w)를 입력받은 포스팅부(105)가 횡이동정보(w)에 포함된 이동값 만큼 화면부(d)를 횡으로 이동시켜가며 그룹 컨텐츠(c3)에 포함된 두개 이상의 컨텐츠(c)를 화면부(d)에 포스팅시킴으로써 구현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컨텐츠입력단계(S101)와 저장단계(S102)와 제1링크단계(S104)와 제1포스팅단계(S105)와 제1순서결정단계(S106)와 검색단계(S107)와 그룹핑단계(S108)와 제2링크단계(S109)와 제2포스팅단계(S110)와 제2순서결정단계(S111)와 횡이동단계(S1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방법에 의하면, 타 사용자가 포스팅한 제2컨텐츠(c2) 및 검색부(107)에 의해 생성된 그룹 컨텐츠(c3)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컨텐츠(c1)에 링크되어 종방향으로 화면부(d)에 함께 포스팅되며, 그룹 컨텐츠(c3)에 포함된 개별의 컨텐츠(c)들이 화면부(d)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순차적으로 포스팅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화면부(d)를 종방향, 횡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제1컨텐츠(c1)와 연관된 내용의 다수개의 컨텐츠(c)들(제2컨텐츠(c2) 및 그룹 컨텐츠(c3))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구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101 : 입력부 102 : 저장부
103 : 지정부 104 : 제1링크부
105 : 포스팅부 106 : 제1순서결정부
107 : 검색부 108 : 그룹핑부
109 : 제2링크부 110 : 제2순서결정부
d : 화면부 c : 컨텐츠
c1 : 제1컨텐츠 c2 : 제2컨텐츠
c3 : 그룹 컨텐츠 k : 키워드정보
w : 횡이동정보 s1 : 선택신호
s2 : 제1순서결정신호 s3 : 그룹핑신호
s4 : 제2순서결정신호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방법
S101 : 제1컨텐츠입력단계 S102 : 저장단계
S103 : 제2컨텐츠지정단계 S104 : 제1링크단계
S105 : 제1포스팅단계 S106 : 제1순서결정단계
S107 : 검색단계 S108 : 그룹핑단계
S109 : 제2링크단계 S110 : 제2포스팅단계
S111 : 제2순서결정단계 S112 : 횡이동단계

Claims (5)

  1.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제공되는 서버의 데이터영역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컨텐츠를 링크시켜 화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포스팅함으로써, 다수개의 컨텐츠의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제1컨텐츠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컨텐츠를 제2컨텐츠로 지정하는 지정부;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링크시키는 제1링크부;
    상기 입력부에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관련된 정보인 키워드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키워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키워드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그룹핑 함으로써, 그룹 컨텐츠를 생성하는 그룹핑부;
    상기 그룹핑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그룹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링크하는 제2링크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제2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그룹 컨텐츠를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기 화면부에 포스팅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횡이동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룹 컨텐츠에 포함된 두개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상기 화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순차적으로 포스팅하는 포스팅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의해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상기 포스팅부에서 포스팅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2컨텐츠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제1순서결정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의해 상기 그룹 컨텐츠가 상기 저장부에 다수개로 링크되는 경우, 상기 포스팅부에서 포스팅되는 상기 그룹 컨텐츠의 종방향 순서를 결정하는 제2순서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34699A 2014-10-07 2014-10-07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KR10163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699A KR101635127B1 (ko) 2014-10-07 2014-10-07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699A KR101635127B1 (ko) 2014-10-07 2014-10-07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93A KR20160041193A (ko) 2016-04-18
KR101635127B1 true KR101635127B1 (ko) 2016-06-30

Family

ID=5591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699A KR101635127B1 (ko) 2014-10-07 2014-10-07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260A (ko) * 2009-06-11 2010-12-21 (주) 키위스톤플래닝 게시물 스크랩 방법 및 시스템
KR101248186B1 (ko) * 2010-03-10 2013-03-27 최진근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개별 컨텐츠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생성하는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KR20130039883A (ko) * 2011-10-13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76095B1 (ko) * 2012-02-20 2015-12-10 네이버 주식회사 컴포넌트 단위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93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95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egory based navigation
US10223465B2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CN105027061B (zh) 具有上下文交互机制的计算系统及其操作方法
CA2948922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ecommerce transactions in messaging via search, discussion and agent prediction
CN102929483B (zh) 终端和资源分享方法
US9203926B2 (en)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unique profiles on a social networking site
US20120066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earch results by extending search to contacts of social networks
US20140059041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Automatically Generated User Profiles
CN106537927A (zh) 实况呈现的控制和修改
US10831766B2 (en) Decentralized cards platform for showing contextual cards in a stream
US20170155737A1 (en) Context-aware information discovery
US11836169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providing search query suggestions based on non-personal data and user personal data according to availability of user personal data
US20150339713A1 (en) System and device for managing multiple conversations
Neidhardt et al. RecTour 2019: workshop on recommenders in tourism
KR101635127B1 (ko) Sns 컨텐츠 링크 및 포스팅 시스템
CA284221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egory based navigation
KR102603386B1 (ko) 페이지톡 기반의 동시 접속 다중 사용자 이커머스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08715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Yin et al. Spatial context-aware recommendation
KR20230146445A (ko) 위치 관련 주제 토론 시스템 및 작동 방법
US12003467B2 (en) Sharing web entities based on trust relationships
KR20210023214A (ko) Sns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서버
JP2023164352A (ja) 適応型トピックディスカッ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実行方法
KR20230148739A (ko) 위치 기반 콘텐츠 링크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80343215A1 (en) Sharing web entities based on trust relation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