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906B1 -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 Google Patents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906B1
KR101634906B1 KR1020150091088A KR20150091088A KR101634906B1 KR 101634906 B1 KR101634906 B1 KR 101634906B1 KR 1020150091088 A KR1020150091088 A KR 1020150091088A KR 20150091088 A KR20150091088 A KR 20150091088A KR 101634906 B1 KR101634906 B1 KR 10163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rollment
mileage
course
application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갑영
이준기
김동훈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Abstract

본 발명은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동일과목의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시점에 집중되는 현상과 수강과목의 비교육적인 매매 현상 등의 부작용 문제가 발생하는 종래의 선착순 온라인 수강신청 방식의 폐해를 방지하고, 신청자의 수강권 및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학생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ON-LINE COURSE APPLICATION METHOD USING OF MILEAGE ALLOCATION AND WAITING ORDER COUNT}
본 발명은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착순 방식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고 신청자의 수강권 및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운용을 통한 양질의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네트워크 및 통신 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 유, 무선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각종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한편, 교육 서비스의 하나의 예로, 학교 및 학원 등에서 강의 과목, 강의 시간, 강사명 등을 포함하는 강의 목록을 미리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두고, 수강을 원하는 임의의 이용자들이 온라인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수강 신청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신속하게 자신이 원하는 과목에 대해 강의 신청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온라인에 의해 수강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제한된 시간동안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접속하고, 원하는 강의에 대해 실시간으로 수강신청을 하게 되므로 인기강의는 수강신청과 동시에 수강이 종료되고, 이에 따라 늦게 접속한 이용자들은 그 강의에 대한 수강신청 기회조차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수강신청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이용자의 접속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 수강신청 결과가 정해지는 불합리한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착순 온라인 수강신청 방식은 수강신청자의 의도와 다르게 수강신청 결과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수강과목에 대한 자기 결정권이 훼손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단순히 온라인 접속순서에 따르는 종래의 방식으로 인하여 수강결정 과목을 타인에게 매매하는 비교육적인 부작용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학교의 학사 정책상 원활하게 학과별, 학년별 개별적 상황과 환경에서 합리적으로 수강하고 학점을 이수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수강자 개인별 조건에 합당한 수강신청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551호(공개일자: 2010년11월2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7545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본 발명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종래의 선착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폐해를 방지하고자 함이다.
둘째, 본 발명은 특정 과목 수강에 대한 욕구의 정도를 신청자 스스로 반영하게 하여 신청자의 수강권 및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셋째, 본 발명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수강 신청자 불만을 최소화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동일과목의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강신청 단말은, 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는,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여 부여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택한 각 수강신청 과목의 학점 합산이 상기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선택한 수강과목은 강의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여, 상기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수강과목당 할당된 상기 수강신청 마일리지는,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 허용학점이 가장 작은 그룹 수강신청자의 총 마일리지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선택한 수강신청 과목 중 일부 특정과목에 0 값을 갖는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마일리지가 높은 순서에 따라 수강가능 인원의 범위내에서 해당 과목의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동일한 수강과목에 대하여 동일한 수강신청 마일리지가 할당된 수강신청자가 적어도 2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우선권 기준에 따라 수강허가 순위를 설정하여 수강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선권 기준은, 학기당수강가능학점 대비 직전학기 이수학점을 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과목 개설학과의 전공 또는 복수전공 일치여부, 신청과목수, 졸업신청여부 및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강가능 인원은, 상기 수강신청자의 전공, 학과 및 학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별적 정원을 설정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각 동일과목의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 허가여부를 결정하고, 일정기간의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상기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수강 리스트 및 대기 리스트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강신청 결과를 바탕으로 선신청 우선 방식을 포함하는 대기순번제 방식으로, 기간을 설정하여 추가신청 및 수강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는,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여 부여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여, 상기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수강과목당 할당된 상기 수강신청 마일리지는,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 허용학점이 가장 작은 그룹 수강신청자의 총 마일리지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c) 단계는, 상기 선택한 수강신청 과목 중 일부 특정과목에 0 값을 갖는 마일리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마일리지가 높은 순서에 따라 수강가능 인원의 범위내에서 해당 과목의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동일한 수강과목에 대하여 동일한 수강신청 마일리지가 할당된 수강신청자가 적어도 2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우선권 기준에 따라 수강허가 순위를 설정하여 수강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우선권 기준은,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과목 개설학과의 전공 또는 복수전공 일치여부, 신청과목수, 졸업신청여부,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 및 학기당수강가능학점 대비 직전학기 이수학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수강 희망과목을 입력하여 예비신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강가능 인원은, 상기 수강신청자의 전공, 학과 및 학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별적 정원을 설정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추가신청은, 일정한 기간의 추가수강신청 기간에 수강신청하되, 상기 대기리스트의 해당과목에서 수강신청 성공자가 이탈하여 여석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대기리스트의 순번에 따라 수강신청이 허가되고, 새로운 과목의 수강신청은 선신청 우선방식에 따라 먼저 수강신청한 순서에 따라 수강신청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수강변경은, 일정한 기간의 수강변경 기간에 수강신청하되, 상기 대기리스트를 초기화하고, 선신청 우선방식을 적용하는 대기순번제에 의해 수강신청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컴퓨터에 상술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그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특정 시점에 집중되는 현상과 수강과목의 비교육적인 매매 현상 등의 부작용 문제를 발생하는 종래의 선착순 온라인 수강신청 방식의 폐해를 방지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특정 과목 수강에 대한 욕구의 정도를 수강 신청자 스스로 반영하게 하여 신청자의 수강권 및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학생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과도한 수강 경쟁을 완화하고 보다 유연하고 자유롭게 전략적인 수강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본 발명은 수강신청에 대한 수요가 정확하게 반영된 기초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목의 정원 및 추가 개설 등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 가능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수강신청 방법에 적용되는 총 마일리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적용되는 개설과목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의한 수강신청 과목의 선택 및 마일리지 할당 리스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의한 수강신청에 따른 결과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적용되는 수강신청 결과 공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서 추가 수강신청의 신청리스트 및 대기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추가 수강신청에서 대기리스트에 의한 수강 성공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서 수강변경의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은,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100)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각 동일과목의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수강신청 방법은, 종래의 선착순 방식이나 타임티켓 방식을 적용하여 수강신청 하는 방법과 달리, 수강신청자에게 일정한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부여된 마일리지에 따라 수강신청할 수강 과목에 배분 및 할당하여 수강신청한 후, 수강신청된 각 해당과목의 수강 가능인원을 고려하여 각 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에 따라 수강을 허가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선착순 방법에 따른 특정 시점의 신청 집중 및 수강과목의 비교육적 매매현상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특정 과목 수강에 대한 욕구의 정도를 학생 스스로 반영하게 하여 학생의 수강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수강신청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은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학생 불만을 최소화시키고, 수강신청에 대한 수요가 정확하게 반영되는 기초자료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과목의 정원 및 추가 개설 등의 학사정책의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강신청 방법은 온라인 신청방법으로,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100)과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여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강신청 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온라인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것도 학교 또는 단체 등의 인트라넷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강신청 단말(100)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장치로 송수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서, PC, 노트북 등의 컴퓨터와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 등 모바일 기기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는 상술한 온라인 마일리지 수강신청 방법을 수행하는 대용량 저장장치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별도의 컴퓨팅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학교의 경우 학생 즉, 수강신청자의 학사정보 및 학사정책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다양한 학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학사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와 학사정보 시스템이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통합 정보시스템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과 함께, 컴퓨터에 이하의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이하의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그 특징으로 제안한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술한 모바일 기기, 컴퓨터, 서버 등의 기기를 통해 저장되고 이를 실행하고, 외부 매체를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 1에서 예시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단계적인 프로세스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생 등의 수강신청자는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 또는 수강신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ID 및 패스워드(PW)를 입력하여 수강신청 요청을 수행한다. 이처럼 ID 및 패스워드를 통한 접속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수강신청은 개인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것이고, 수강 대상 학생 이외의 타인이 아무나 접속하여 발생하는 혼선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ID 및 패스워드뿐만 아니라, 등록된 수강신청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단계는,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 접속하여 수강신청을 요청하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은, 수강신청자에게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이 마일리지를 바탕으로 선택한 수강과목에 할당하여 마일리지의 비교우위에 의해 수강을 허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강신청자에게 부여되는 총 마일리지는 수강신청을 위한 기본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하는 총 마일리지 부여 방식은 수강신청자 모두에게 일정한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일괄부여 방식도 있고, 수강신청자 각자에게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방식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괄방식의 획일성에 따른 다양한 환경과 변수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별적 부여 방식에 따른 산만성 및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각 학과 특성에 따른 단위 그룹별로 주어지는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라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은 학과별 수강 커리큘럼이 다르고, 대학별(단과대) 또는 학부별로 커리큘럼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원할하고 효율적인 학사정책상 그룹별로 다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그룹단위로 구분된 대학별 또는 학부별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라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총 마일리지의 값은 단순히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을 차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그룹별(대학별, 학부별, 계열별 등)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총 마일리지의 수가 작으면 수강신청 하고자 하는 과목별로 할당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높지 않아, 다수의 수강신청자가 동일 과목에 할당된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을 허가하기 위한 분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총 마일리지의 수를 적당히 높이고, 수강신청자가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분배 및 할당이 용이할 수 있는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을 기준으로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것은, 각 수강신청자가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이 다를 수 있는데, 이를 획일적인 하나의 통일된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게 되면,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에 할당하는 마일리지 배분에 있어서 형평성이 떨어지고,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이 많은 수강신청자가 많은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마일리지를 할당하여 피해를 볼 수 있는 불합리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수강신청 방법에 적용되는 총 마일리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학별, 학부별, 계열별 등으로 그룹을 나누어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이 인정되고,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4배수를 곱하여 해당하는 수강신청자 또는 학생에게 총 마일리지를 부여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경대학, 경영대학, 사회과학대학 등은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이 18학점이고, 문과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등은 19학점이고, 의예, 치의예과, 약학대학 등은 24학점이며, 성적우수자 등의 3학점 초과신청 가능자는 21학점에서 24학점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각 허용학점에 4배수로 총 마일리지를 각각, 72, 76, 96 및 84 내지 96으로 부여하게 된다. 이 외에도 학사정책상 합리적인 방안으로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이 그룹별로 부여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소수의 수강신청자에게 적용되는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그룹별로 각 학과의 커리큘럼 특성상 달라지는 학기당 허용학점에 따라 분류하여, 4배수 하여 총 마일리지를 부여함으로써, 각 학과별 특성에 알맞게 유연하고 공평하게 총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고, 일괄적 총 마일리지의 분배 및 할당에 의한 수강신청의 불합리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서는, 각 수강과목당 할당된 상기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를 초과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하여, 과도한 마일리지 할당으로 인한 수강신청의 공평한 기회 및 합리적 처리 취지에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는 일괄적으로 하나의 마일리지로 통일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학과 또는 대학별 특성에 따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Max Mileage), 즉 한 과목에 사용가능한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 허용학점이 가장 작은 그룹 수강신청자의 총 마일리지(72)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것(1 ~ 36)이 바람직하다. 이는 총 마일리지가 적은 수강신청자를 기준으로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를 설정함으로써 형평성에 부합시키고, 과도한 마일리지 할당으로 인한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적용되는 개설과목 리스트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의한 수강신청 과목의 선택 및 마일리지 할당 리스트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의한 수강신청에 따른 결과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강신청자가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 접속하여 수강신청을 요청하면,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는 개설강좌 또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의 리스트를 일목요연하게 수강신청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은 수강신청 과목 대상 리스트는, 수강신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개설강좌의 총 리스트로서, 단순히 과목명이나 인원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수강신청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강과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학점, 교수명, 강의시간, 강의실, 여석(남은 좌석), 전공자 여석, 외부가능생, 학년별 연석 등의 구체적인 정보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공자 여석, 외부생 가능 및 학년별 여석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개설학과, 학부 및 계열 그룹의 커리큘럼에 적합한 수강을 유도하기 위해, 비전공자가 많은 마일리지 할당을 통해 전공자가 수강받지 못하는 불합리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전공별 및 학년별 정원을 미리 설정하여, 외부자 및 비전공자가 그 외의 정원을 통해 수강을 허가하도록 하는 스크린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최대한 수강신청자의 수강 욕구를 반영함과 동시에, 개설학과, 학부 및 계열 그룹의 커리큘럼을 반영하고, 전공자의 전공과목 우선 원칙과 수강과목의 시기별 수강이라는 큰 틀에서의 학사정책을 반영하여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물론 예외적인 사항을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개설학과, 학부 및 계열 그룹에서의 정책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강신청자는 도 3에서 예시된 수강과목 대상 리스트를 확인하고,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선택하고((b) 단계), 부여받은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최우선적으로 수강해야할 과목에 마일리지를 순서대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할당한다.((c) 단계)
도 4에 예시에서는, 2번 과목에 가장 많은 마일리지(30)를 할당하고, 5번(12), 1번(10), 4번(8) 등의 순으로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고, 7개의 과목 총 18학점에 대하여 부여받은 총 마일리지 72를 모두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선택한 각 수강신청 과목의 학점 합산이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강신청이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의 범위에서 가능하고,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을 넘어서는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경우 입력을 불활성화시키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수강신청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진행시키고, 취지에 적합하도록 진행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선택한 수강과목은 강의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수강신청자가 2중으로 동일한 시간대에 서로 다른 수강과목을 신청하여 공석이 발생하여 다수 신청자의 합리적 수강 배분에 따른 교육 기회 공평분배의 취지에 어긋나는 불합리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각자에게 부여된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여, 상기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할당함으로써, 수강신청자의 수강과목의 중요도 및 수요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수강신청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강신청에 사용되는 총 마일리지 전부를 사용하여 수강할 과목에 배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부를 사용하여 배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수강과목의 경쟁도 및 수강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마일리지의 사용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경쟁을 완화하고 이후의 남는 마일리지를 추가신청에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유연하고 자유롭게 전략적인 수강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d) 단계는,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수강신청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마일리지 할당 수강신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동일과목에 대한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이다. 즉,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수강신청자가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수강신청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설된 과목에 대한 정원 내에서 각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 판단하여 수강을 허용할 수강신청자를 선별하는 과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마일리지 할당 수강신청 방법의 프로세스 결과를 예시한 도면으로,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일정한 학사 개인정보(학번, 학년, 이수학기, 전공, 복수전공 여부, 총이수학점, 직전학기 이수학점 등)를 갖는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상술한 방법으로 수강할 과목을 선택하고, 각 과목에 마일리지를 배분하여 할당하여 신청하게 되면,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각 과목별로 수강 정원 내에서 각 수강신청자의 마일리지를 내림차순으로(수강신청 마일리지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수강을 허가하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도 5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1번에서 7번의 과목을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인 18학점을 배분하여 선택하고, 각 과목에 74의 총 마일리지를 배분 할당하여 수강신청한 수강신청 리스트를 입력한다.
도 5에 나타낸 수강신청 리스트 중 2번 과목의 예를 살펴보면, 2번 과목은 정원 30명 개설과목으로, 수강신청자가 마일리지를 3번째로 높은 12를 할당하여 수강신청 하였다.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는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수강신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비교 판단하여 수강 허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2번 과목의 경우 19명이 수강신청한 상태이고, 2번 과목에 할당한 수강신청 마일리지가 가장 높은 순서에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그 순위가 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번 과목에 12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할당한 빨간색 박스안의 수강신청자는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서 12번째 순위로 확인되어 정원 30명 이내의 순위라는 점에서 수강이 허용될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서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수강신청 데이터를 분석, 비교 및 판단 처리 프로세스는 수강신청자에게 개방되지 않고, 자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처리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수강성공 리스트와, 수강실패 및 대기 리스트를 이후에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실시간으로 수강신청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강신청자에게 제공하지 않는 이유는, 수강신청 기간 동안 수강신청자의 과도한 변경 및 수강신청 상태에 따라 수강신청 만료시간에 몰려 눈치를 보며 신청하는 수강신청자가 과도하게 많아져 시스템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강신청 기간 동안 수강신청자는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수강신청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입력할 수 있고, 그 결과는 수강신청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제공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즉,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결과는 수강신청 기간 종료 후에 수강신청자가 선택한 수강신청 마일리지 점수에 의하여 과목별 순위가 정해지며 해당 순위가 과목 정원의 범위에 들어온 경우는 수강 허가를 받아 수강신청 성공 리스트 결과를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확인받을 수 있다.
그리고, 특정과목에 신청한 복수의 신청자 수강신청 마일리지 점수가 동점인 경우는 미리 설정된 우선권 기준에 따라 수강허가 순위를 설정하여 수강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우선권 기준은, 수강신청자의 수강과목 개설학과의 전공 또는 복수전공 일치여부, 신청과목수, 졸업신청여부,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 및 학기당수강가능학점 대비 직전학기 이수학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수강신청 마일리지 동점자에 대한 우선권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정원범위를 넘어서는 동점자가 발생하는 경우, 수강 허가여부를 결정할 기준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우선권 기준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보다 합리적으로 세분화하여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제도의 취지, 수강신청 기회의 공평성 및 합리성과 효율성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개설학과의 전공 또는 복수전공 일치여부는 각 학과의 이수해야할 과목 커리큘럼의 중요성을 반영한 것이고, 신청과목수는 많이 신청한 수강신청자가 총 마일리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졸업신청여부는 졸업신청자 및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총이수학점/졸업이수학점)은 졸업 장려정책의 일환이며, 직전학기 이수학점/학기당수강가능학점은 가능한한 많은 수강을 장려할 목적으로 설정한 요소이다.
도 5에 나타난 예시를 살펴보면, 빨간색 박스의 12번 순위의 수강신청자의 경우, 11번과 마일리지, 전공, 복수전공, 신청과목 개수, 졸업여부신청,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이 모두 동일하지만, 직전학기 이수학점/학기당수강가능학점의 우선권 기준 가중치가 0.88로 1.0인 11번 순위 수강신청자 보다 낮기 때문에 후순위로 밀린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 과목에 대하여 2인 이상의 수강신청 마일리지 동점자가 발생하는 경우, 다양한 목적을 갖는 우선권 기준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순위를 구분하고, 각각의 우선권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하여, 수강신청자의 학사정보 상태에 최적화시키고, 학교 및 학사정책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하여 세분화함으로써, 수강신청의 기회 공평성, 합리성 및 시스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은,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100)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따른 총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단계(S100);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S200);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S300);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각 수강과목에 할당된 각 동일과목의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수강 허가여부를 결정하고, 일정기간의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상기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수강 리스트 및 대기 리스트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S400,S450); 및 (e) 상기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상기 수강신청 성공 리스트 및 대기순번 리스트를 바탕으로 선신청 우선 방식을 포함하는 대기순번제 방식으로 추가신청 및 수강변경하는 단계(S500,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추가수강신청 단계와 수강변경 단계가 더 구비된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a) 단계 내지 (c) 단계의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강신청 기간 동안 상술한 방법으로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수강신청하고, 마일리지 수강서버(200)에서 신청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 판단하여 결정한 후, 수강신청 기간 종료 후 일정 기간 경과 후에 수강성공 리스트와 수강실패 및 대기 리스트 정보를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적용되는 수강신청 결과 공개(S45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으로 다수의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수강신청하고,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이를 비교 판단하여 수강신청 결과를 수강신청 기간 종류 후 일정기간의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을 정하여 공개한다. 수강신청 결과는 수강 허가를 받은(Success) 수강리스트와 수강 허가를 받지 못한(Fail) 대기리스트를 포함하여 공개하는데, 수강리스트의 경우 해당과목과 학점 정보를 표시하고, 대기리스트의 경우 해당과목 학점, 정원 및 대기순번의 정보 등 최소한의 간략한 정보만을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수강신청 결과를 수강신청 기간 종료 후에 일정한 기간의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을 정하여 공개하는 것은, 수강신청 기간 내에 공개로 인한 혼란 및 민원의 발생을 저감하고, 추가 수강신청에 대하여 사전에 전략적 판단을 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대기리스트를 통해 실패한 과목의 경우 해당 순위에 따른 대기순번이 부여공개되므로 추가 수강신청 기간을 대비하여 다른 과목을 수강신청할 것인지 지속적으로 대기를 할 것인지를 전략적으로 판단할 정보 및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수강신청 단말(100)을 통해 수강 희망과목을 입력하여 예비신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수강신청은 불가능 하지만, 희망과목 담기 기능 등의 수강 희망과목을 예비신청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추가 수강신청 기간에 신청하고자 하는 과목을 미리 설정하여 추가 수강신청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서 추가 수강신청의 신청리스트 및 대기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추가 수강신청에서 대기리스트에 의한 수강 성공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강신청자는 신청리스트에 의해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수강신청 할 수 있는데, 추가 수강신청 방식은 마일리지 제도를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선신청 우선방식(선착순)에 따라 수강신청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그리고, 도 7에 예시된 수강신청 결과의 대기 리스트를 바탕으로, 대기리스트에 존재하는 해당과목을 추가 수강신청에 포함되고, 이미 허가된 수강 성공자가 이탈 또는 탈락하는 경우에 대기순번에 의해 수강 허가 여부가 결정되는 방식을 적용한다.
즉, 상기 추가 수강신청(S500)은, 일정한 기간의 추가수강신청 기간에 수강신청하되, 상기 대기리스트의 해당과목에서 수강신청 성공자가 이탈하여 여석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대기리스트의 순번에 따라 수강신청이 허가되고, 새로운 과목의 수강신청은 선신청 우선방식에 따라 먼저 수강신청한 순서에 따라 수강신청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일리지 수강서버(200)가 새로운 추가 수강신청의 경우 선신청 우선방식을 적용하여 수강 허가여부를 결정하고, 대기리스트의 수강신청은 대기순번에 의해 수강 허가여부를 결정함으로써, 1차로 마일리지에 의한 수강신청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종래의 선신청 우선방식(선착순)을 조합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추가 수강신청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리스트에 의한 대기순번의 수강 허가여부 결정의 과정을 살펴보면,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는 상기 수강신청에서 생성된 수강신청 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수강성공 리스트 및 대기리스트를 포함하는 예비 수강신청순위 리스트를 산출한다.
정원의 30명인 해당과목의 대기순번은 31번 순위 이하의 수강신청자가 존재하고, 추가 수강신청 기간 중에 탈락 또는 이탈자(3번 순위)가 발생하게 되면, 2번 순위 이하의 수강신청자 들은 1단계 순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31번 순위로 수강 허가를 받지 못했던 대기 수강신청자가 자동으로 30번 순위로 상승하여 수강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1차 수강신청의 결과에서 수강신청을 실패한 수강신청자가 대기순번의 상위자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추가 수강신청리스트에 포함시켜 수강 허가를 받을 확률을 높임으로써, 빠르고 편리하게 추가 수강신청을 할 수 있고, 마일리지 할당 수강신청 방법의 합리성 및 효율성을 추가 수강신청에 전가하여 전체적인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추가 수강신청(S500)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가. 마일리지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수강신청 결과 정보에 따른 대기순번제로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나. 해당 과목의 수강신청 성공자 중에서 이탈자가 발생하면 대기자 중에서 대기순번이 빠른 순서대로 상향 전환되어 일부 대기 신청자는 수강신청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짐.
다. 추가 수강신청 기간 중에는 신청리스트(성공)와 대기리스트(실패)에 있는 사항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나, 신청리스트와 대기리스트의 학점의 합계는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다른 과목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리스트 또는 대기리스트의 과목을 취소하여 신청이 가능한 만큼 학점의 여유분을 확보하여야 함.
라. 정원의 여석이 있는 과목은 정원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수강신청할 수 있음.
마. 정원이 충족된 과목을 수강신청하는 경우는 신청하는 순서대로 대기순번이 부여됨.
바. 정원이 충족되어 이미 대기자가 존재하는 경우는 해당 과목의 마지막 대기순번 이후 번호로 신규 대기순번이 부여됨.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서 수강변경의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수강신청 기간이 종료된 후, 기간을 설정하여 수강변경이 가능한데, 선신청 우선방식(선착순)방식을 적용하므로, 마일리지 수강서버(200)는 종래의 대기리스트는 완전히 초기화하여 먼저 수강변경하는 신청자를 우선으로 하여 정원범위 내에서 수강 허가여부를 결정한다.
즉, 수강변경(S600) 방법은, 수강변경 기간 전에 대기순번 또는 대기리스트는 모두 초기화되고 새로운 수강변경 신청에 의한 대기순번이 부여되는 신규 대기순번제가 진행되고(선신청 우선방식:선착순), 선신청 우선방식을 적용하는 대기순번제의 구체적인 진행방식은 추가 수강신청 기간의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서, 선신청 우선방식을 적용하는 대기순번제 기본적으로 기존의 선착순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대기순번제이다.
종래의 선착순제도 방식에서는 이탈자가 생기는 순간에 시도하는 특정한 학생이 성공함으로써, 많은 수강신청자 그 순간만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불필요한 시도를 할 수밖에 없는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이를 이용하여 수강신청 매매 등의 비교육적 행태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하는 선신청 우선방식을 포함하는 대기순번제는 이탈자가 생기는 순간에 가장 상위 번호의 대기순번을 가진 수강신청자가 성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순위 번호의 대기순번을 가진 학생과 아직 신청하지 않은 다른 학생들이 불필요한 시도 및 비교육적 매매 행태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강신청 단말 200: 마일리지 수강서버

Claims (28)

  1.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각 수강신청자의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여 부여하는 단계;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동일과목에 대해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마일리지가 높은 순서에 따라 수강가능 인원의 범위내에서 해당 과목의 수강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동일한 수강과목에 대하여 동일한 수강신청 마일리지가 할당된 수강신청자가 적어도 2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학기당수강가능학점 대비 직전학기 이수학점을 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과목 개설학과의 전공 또는 복수전공 일치여부, 신청과목수, 졸업신청여부 및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는 우선권 기준에 따라 수강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강신청 단말은,
    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강신청자가 성적우수자이면, 학점의 초과신청이 가능하며,
    총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초과신청학점을 합산한 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택한 각 수강신청 과목의 학점 합산이 상기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선택한 수강과목은 강의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여, 상기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 수강과목당 할당된 상기 수강신청 마일리지는,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 허용학점이 가장 작은 그룹 수강신청자의 총 마일리지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선택한 수강신청 과목 중 일부 특정과목에 0 값을 갖는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강가능 인원은, 상기 수강신청자의 전공, 학과 및 학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별적 정원을 설정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4. 다수의 수강신청 단말 및 마일리지 수강서버로 구성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사용하는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다수의 수강신청자에게 각 수강신청자의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여 부여하는 단계;
    (b)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에서 제공되는 수강신청 과목 대상에서 수강과목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배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d)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동일과목에 대해 상기 각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비교하여 마일리지가 높은 순서에 따라 수강가능 인원의 범위내에서 해당 과목의 수강을 허가여부를 결정하고, 일정기간의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상기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신청 수강 리스트 및 대기 리스트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강신청 결과를 바탕으로 선신청 우선 방식을 포함하는 대기순번제 방식으로, 기간을 설정하여 추가신청 및 수강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일리지 수강서버가 동일한 수강과목에 대하여 동일한 수강신청 마일리지가 할당된 수강신청자가 적어도 2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 학기당수강가능학점 대비 직전학기 이수학점을 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수강신청자의 수강과목 개설학과의 전공 또는 복수전공 일치여부, 신청과목수, 졸업신청여부 및 졸업이수학점 대비 총이수학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는 우선권 기준에 따라 수강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강신청자가 성적우수자이면, 학점의 초과신청이 가능하며,
    총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신청 허용학점에 초과신청학점을 합산한 학점에 일정한 배수를 총 마일리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 수강신청자가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상기 총 마일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여, 상기 선택한 각 수강과목에 수강신청 마일리지를 할당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각 수강과목당 할당된 상기 수강신청 마일리지는,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일 수강신청 허용 최대 마일리지는 학기당 수강 허용학점이 가장 작은 그룹 수강신청자의 총 마일리지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선택한 수강신청 과목 중 일부 특정과목에 0 값을 갖는 마일리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강신청 결과 공개기간에 수강신청 단말을 통해 수강 희망과목을 입력하여 예비신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24.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강가능 인원은, 상기 수강신청자의 전공, 학과 및 학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별적 정원을 설정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2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추가신청은, 일정한 기간의 추가수강신청 기간에 수강신청하되,
    상기 대기리스트의 해당과목에서 수강신청 성공자가 이탈하여 여석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대기리스트의 순번에 따라 수강신청이 허가되고,
    새로운 과목의 수강신청은 선신청 우선방식에 따라 먼저 수강신청한 순서에 따라 수강신청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2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수강변경은, 일정한 기간의 수강변경 기간에 수강신청하되,
    상기 대기리스트를 초기화하고,
    선신청 우선방식을 적용하는 대기순번제에 의해 수강신청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27. 컴퓨터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의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의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50091088A 2015-06-26 2015-06-26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KR10163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88A KR101634906B1 (ko) 2015-06-26 2015-06-26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88A KR101634906B1 (ko) 2015-06-26 2015-06-26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906B1 true KR101634906B1 (ko) 2016-06-29

Family

ID=5636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088A KR101634906B1 (ko) 2015-06-26 2015-06-26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0981A (zh) * 2019-09-23 2020-01-14 北京谦仁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40042352A (ko) 2023-07-03 2024-04-02 고승환 우선순위와 가산점을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70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과학기술원 포인트 할당방식의 수강신청 방법
KR20100123551A (ko) 2009-05-15 2010-11-24 이필구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 강의선택 방법
KR101067545B1 (ko) 2009-05-15 2011-09-27 이철구 오프라인 일대다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70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과학기술원 포인트 할당방식의 수강신청 방법
KR20100123551A (ko) 2009-05-15 2010-11-24 이필구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에서 강의선택 방법
KR101067545B1 (ko) 2009-05-15 2011-09-27 이철구 오프라인 일대다 학원의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0981A (zh) * 2019-09-23 2020-01-14 北京谦仁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40042352A (ko) 2023-07-03 2024-04-02 고승환 우선순위와 가산점을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id et al. Operating room scheduling by considering the decision-making styles of surgical team members: a comprehensive approach
Chory‐Assad et al. Classroom justice: Student aggression and resistance as reactions to perceived unfairness
Barnes et al. Harmful help: the costs of backing-up behavior in teams.
Helm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hospital admission control for operational effectiveness
Taut et al. Resistance to evaluation: A psychological perspective
L De Grano et al. Accommodating individual preferences in nurse scheduling via auctions and optimization
Miles-Johnson et al. Police recruits and perceptions of trust in diverse groups
van Eeden et al. Care on demand in nursing homes: a queueing theoretic approach
Oliveira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patient prioritization on operating room schedules
KR101634906B1 (ko)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Lavelle et al. Delivering bad news: How procedural unfairness affects messengers’ distancing and refusals
Greenberg et al. Redesigning the US Army’s branching process: A case study in minimalist market design
Schacht Improving same-day access in primary care: Optimal reconfiguration of appointment system setups
Pinto et al. The Brazilian More Doctors Program: evaluat 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 axis from 2013 to 2015
KR20170014147A (ko) 마일리지 할당 및 대기 순번제를 이용한 온라인 수강신청 방법
Ayob et al. Solving a practical examination timetabling problem: a case study
Barbee et al. Workforce development strategies to address racial disproportionality and disparities in child welfare systems
Been et al. Allocation of the limited subsidies for affordable housing
Szczepanikova et al. The future of migration in the European Union
Furtick et al. Weighted student formula yearbook
Andrichenko et al.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Migration Legislation in the Context of Modern Challenges
Hopper et al. 1.4 Trauma-informed care for street-involved youth
Daugherty et al. Percent plans, automatic admissions, and college enrollment outcomes
JP6329315B1 (ja) 合格者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rieto et al. Evaluating School Priorities for Equal Opportunity in Admission to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