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609B1 -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609B1
KR101634609B1 KR1020150101761A KR20150101761A KR101634609B1 KR 101634609 B1 KR101634609 B1 KR 101634609B1 KR 1020150101761 A KR1020150101761 A KR 1020150101761A KR 20150101761 A KR20150101761 A KR 20150101761A KR 101634609 B1 KR101634609 B1 KR 10163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video
audio
information
binar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행운
권오훈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워크
Priority to KR102015010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609B1/ko
Priority to PCT/KR2016/001019 priority patent/WO201701438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상기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시청하면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외부 장치에 출력하고 나머지 일부를 단말 장치의 내부 프로세서에 제공함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음성 정보의 일부를 분석하여 음성 정보에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VIDEO/AUDIO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에 장착(裝着)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로서, 핸드폰과 노트북 컴퓨터, MP3, PMP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음향변환장치이다.
이어폰은 핸드폰의 스피커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귓구멍에 꽂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만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음향장치 기능을 가진 현재의 핸드폰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들리지 않게 하고 동시에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화 시 상대방의 통화음을 듣거나 핸드폰을 음향장치로서 사용시 음악을 듣는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어폰을 핸드폰에 연결하여 영상 음성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봄과 동시에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를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는 단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곧바로 이어폰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시청하면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외부 장치에 출력하고 나머지 일부를 단말 장치의 내부 프로세서에 제공함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음성 정보의 일부를 분석하여 음성 정보에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상기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단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하는 음성 분석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상기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의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음성 분석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시청하면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외부 장치에 출력하고 나머지 일부를 단말 장치의 내부 프로세서에 제공함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음성 정보의 일부를 분석하여 음성 정보에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에 영상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영상 정보”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 영상 음성 데이터 상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주소 정보, 영상 음성 데이터 상의 상품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하여 다양한 영상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DMB, 광고 영상 등)를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에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등)(200)를 연결하지 않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는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를 통해 소리를 듣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에 외부 장치(200)를 연결하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는 단말 장치(100)의 외부 장치(200)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외부 장치(200)를 통해 소리를 듣게 된다. 이때, 단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되거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에 외부 장치(200)를 연결하지 않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는 경우 단말 장치(100)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 정보에서 미리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고,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에 외부 장치(200)를 연결하고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는 단말 장치(100)의 내부 프로세서(도 2, 음성 분석부)에 제공되지 않고 곧바로 외부 장치(200)에 전송된다. 이로 인해, 단말 장치(10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 장치(100)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말 장치(100)는 확인 결과 외부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으면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외부 장치(200)에 제공하고 나머지 일부를 내부 프로세서에 제공한다. 이로 인해, 단말 장치(10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분석하고 음성 정보에서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단말 장치(100)가 음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단말 장치(10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에 있는 각각의 파형 영역에 대해서 기 구축된 이진수 값 별 막대 그래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파형 영역이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 및 파형 영역이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각의 이진수 값을 조합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100)는 기 구축된 이진수 코드 별 영상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120), 음성 분석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에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이때,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됨과 동시에 외부 장치 연결 신호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120)가 외부 장치 연결 신호를 제어부(140)에 제공함에 따라 제어부(14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나누어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 및 음성 분석부(13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음성 분석부(130)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고,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분석부(13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에 있는 각각의 파형 영역에 대해서 기 구축된 이진수 값 별 막대 그래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파형 영역이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 및 파형 영역이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을 각각 추출하고, 각각의 이진수 값을 조합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한다.
음성 분석부(130)는 기 구축된 이진수 코드 별 영상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120)로부터 외부 장치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정보가 외부 장치(200)로 출력되기 이전에 음성 정보를 나누어 음성 정보의 일부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제공하고 음성 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음성 분석부(13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120)로부터 외부 장치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정보가 외부 장치(200)로 출력되기 이전에 음성 정보를 나누어 음성 정보의 일부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제공하고 음성 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음성 분석부(13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음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영상 음성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0)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메모리(160)에는 이진수 값 별 막대 그래프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이를 기초로, 음성 분석부(13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에 있는 각각의 파형 영역에 대해서 파형 영역이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을 추출하고, 이진수 값을 조합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60)에는 기 구축된 이진수 코드 별 영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이를 기초로, 음성 분석부(130)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단계 S310). 단말 장치(100)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20).
단말 장치(100)는 확인 결과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단계 S330),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를 나누어 음성 정보의 일부를 외부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S340).
단말 장치(10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한다(단계 S350).
단계 S35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에 있는 각각의 파형 영역에 대해서 기 구축된 이진수 값 별 막대 그래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파형 영역이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 및 파형 영역이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을 각각 추출하고, 각각의 이진수 값을 조합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한다(단계 S360).
도 4 내지 도 6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에 영상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 데이터영상 음성 데이터 생성 장치(미도시됨)는 영상 음성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하여 참조번호(410)과 같이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오디오 파형을 선택한다. 이때, 참조번호(410)의 오디오 파형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오디오 파형일 수 있다. 즉, 참조번호(410)의 오디오 파형은 20Hz~20,000Hz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오디오 파형일 수 있다.
영상 음성 데이터 생성 장치는 오디오 파형 중 삽입 대상 정보가 삽입될 시작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영상 음성 데이터 생성 장치는 참조번호(420)과 같이 삽입 대상 정보가 삽입될 시작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음성 데이터 생성 장치는 오디오 파형의 시작 위치(420)부터 오디오 파형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파형 영역을 생성하고,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의 이진수 값에 따라 파형 영역을 해당 오디오 파형을 기준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킨다.
예를 들어,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1001 이고, 파형 영역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킨 것이 "1"을 의미하고, 파형 영역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위로 막대 그래프화시킨 것이 "0"을 의미한다고 정의되어 있는 경우, 오디오 파형의 시작 위치(420)부터 오디오 파형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파형 영역(431, 432, 433, 434)을 생성하고,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의 이진수 값에 따라 파형 영역(431, 432, 433, 434)을 해당 오디오 파형을 기준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영상 음성 데이터 생성 장치는 이진수 코드의 첫 번째 이진수 값 "1"에 대해서 파형 영역(431)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킬 수 있고, 이진수 코드의 두 번째 이진수 값 "0"에 대해서 파형 영역(432)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킬 수 있고, 이진수 코드의 세 번째 이진수 값 "0"에 대해서 파형 영역(433)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킬 수 있고, 이진수 코드의 네 번째 이진수 값 "1"에 대해서 파형 영역(434)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파형 영역을 막대 그래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영상 음성 데이터 생성 장치는 이진수 코드의 이진수 값 "1"에 대해서 파형 영역(431)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킬 때, 참조번호(440)과 같이 오디오 파형을 분할하는데 사용된 선분과 오디오 파형이 만나는 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선을 생성하여 파형 영역(431)을 막대 그래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진수 코드의 이진수 값 "0"에 대해서 파형 영역(433)을 파형 영역(433)을 해당 오디오 파형의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시킬 때, 오디오 파형을 분할하는데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선분 중 긴 선분(460)에 맞도록 짧은 선분(450)을 연장하고 두 선분(450, 460)을 이어 파형 영역(433)을 막대 그래프화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단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
130: 음성 분석부
14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메모리
200: 외부 장치

Claims (10)

  1.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상기 단말 장치에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단말 장치에 음성 출력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음성 정보의 일부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내부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이 아래 영역 또는 위 영역 중 어느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에 삽입된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에 있는 각각의 파형 영역에 대해서 기 구축된 이진수 값 별 막대 그래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파형 영역이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 및 파형 영역이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이진수 값을 조합하여 상기 이진수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기 구축된 이진수 코드 별 영상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6.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에 삽입된 이진수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결정하여 처리하는 음성 분석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면 상기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의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음성 분석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연결 확인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출력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음성 정보의 일부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음성 분석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부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이 아래 영역 또는 위 영역 중 어느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에 삽입된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부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의 오디오 파형에 있는 각각의 파형 영역에 대해서 기 구축된 이진수 값 별 막대 그래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파형 영역이 아래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 및 파형 영역이 위 영역으로 막대 그래프화 되었을 때의 이진수 값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각각의 이진수 값을 조합하여 상기 이진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부는
    기 구축된 이진수 코드 별 영상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50101761A 2015-07-17 2015-07-17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KR10163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61A KR101634609B1 (ko) 2015-07-17 2015-07-17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PCT/KR2016/001019 WO2017014388A1 (ko) 2015-07-17 2016-01-29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61A KR101634609B1 (ko) 2015-07-17 2015-07-17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609B1 true KR101634609B1 (ko) 2016-06-29

Family

ID=5636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761A KR101634609B1 (ko) 2015-07-17 2015-07-17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4609B1 (ko)
WO (1) WO20170143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47A (ko) * 2000-02-25 2001-09-06 서평원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JP2005151067A (ja) * 2003-11-14 2005-06-09 Hitachi Ltd 通信端末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5203863A (ja) * 2004-01-13 2005-07-28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20090093531A (ko) * 2008-02-29 2009-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 신호에서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 및 추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8829A4 (en) * 2007-10-18 2016-09-14 Sumitomo Heavy Industries ORIENTATION DRIVE CONTROL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HAVING THE DEVICE
KR101315970B1 (ko) * 2012-05-23 2013-10-08 (주)엔써즈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콘텐츠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47A (ko) * 2000-02-25 2001-09-06 서평원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JP2005151067A (ja) * 2003-11-14 2005-06-09 Hitachi Ltd 通信端末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5203863A (ja) * 2004-01-13 2005-07-28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20090093531A (ko) * 2008-02-29 2009-09-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 신호에서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 및 추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388A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891B2 (en) Voice dictation systems using earpiece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EP3127116B1 (en) Attention-based dynamic audio level adjustment
CN107463247B (zh) 一种文本阅读处理的方法、装置以及终端
CN106406867B (zh) 一种基于android系统的读屏方法及装置
WO2017032030A1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用户终端
CN106782613B (zh) 信号检测方法及装置
CN10699728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1930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US8320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spike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341862B1 (ko) 전자 장치 및 통화 내용 표시 방법
CN10998223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41234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199172A1 (en) Non-audio notification of audible events
US202003107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output
CN105120063A (zh) 一种输入语音的音量提示方法及电子设备
US202203299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139848A (zh) 数据转换方法和装置
TW201517650A (zh) 資訊傳輸方法及相關設備、系統
TW201423587A (zh) 被叫提示系統及方法
US10530927B2 (en) Muted device notification
KR101507468B1 (ko) 사용자 음성 중심의 음원 데이터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442022B1 (ko)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4609B1 (ko)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CN107957860A (zh) 可自动调整声音输出的方法及电子装置
CN111800699A (zh) 音量调节提示方法、装置、耳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