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110B1 -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110B1
KR101634110B1 KR1020150094568A KR20150094568A KR101634110B1 KR 101634110 B1 KR101634110 B1 KR 101634110B1 KR 1020150094568 A KR1020150094568 A KR 1020150094568A KR 20150094568 A KR20150094568 A KR 20150094568A KR 101634110 B1 KR101634110 B1 KR 10163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metal base
layer
texture
based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5009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노다이징을 하지 않은 주조물의 표면이 실제 애노다이징을 한 것과 매우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은,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해 Mg, Al, Zn, 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를 가열하여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열처리단계와, 상기 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면장식부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단계는,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층을 형성하는 하도단계와,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2층을 형성하는 중도단계와,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3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상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는 Mg, Al, Zn, 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제조되어 40~300℃의 온도로 열처리된 금속모재와,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표면연마를 통해 형성된 가공영역과, 상기 가공영역의 표면에 형성되어 금속질감을 나타내는 표면장식부 및 상기 표면장식부를 덮으며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도장을 통해 형성된 반투명 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THE METAL EXTERIOR CASE HAVING TEXTURE OF ANODIZ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애노다이징을 하지 않은 주조물의 표면이 실제 애노다이징을 한 것과 매우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애노다이징을 통해 제조된 금속 외장재는 금속 특유의 광택과 고급스러운 질감을 동시에 가짐으로써 최근에는 스마트폰, 테블릿 기기, 노트북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금속 외장재 중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시 원가절감을 위해 플라스틱 외장재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과 내구성을 매우 중요시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금속 외장재를 적용하는 것이 최근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는 판재나 압연재와 같은 금속모재를 CNC가공, 밀링, 절삭, 압축 등의 후가공을 통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 후 애노다이징(Anodizing ; 양극산화표면처리)을 실시하여 제조하게 되며, 애노다이징을 통해 제조된 금속 외장재는 도 1의 (a)와 같은 질감을 나타낸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에 관한 종래기술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제조방법(등록특허 10-1056041)"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제조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의 형 상에 대응되는 압출금형과 압출소재를 준비하는 과정과, 압출금형 및 압출소재가 준비되면 정해진 조건하에서 압출성형 하여 사각형상의 관체를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사각형 상의 관체를 절삭, 절개, 압축하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부품이 실장 될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가공 과정과, 형상가공이 완료되면 도장, 애노다이징을 통해 표면처리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를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케이스에 필요부품을 실장하고, 개방된 상하단을 밀폐하여 단말기용 케이스로 최종완성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제조방법에도 나타나 있듯이, 애노다이징의 경우 압출/압연 등에 의해 제조된 금속모재를 적용하게 되는데, 압출/압연 등에 의해 제조된 금속모재는 주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후가공이 필수적으로 발생되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압출/압연 등에 의해 제조된 금속모재가 가지는 단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주조공법을 이용해 제조된 금속모재를 적용하여 애노다이징을 실시하는 것이지만, 도 1의 (b)와 같이 금속모재의 표면 경도가 높을 경우 산화가 거의 안되어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므로 애노다이징 특유의 고급스러운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조공법을 이용해 제조된 금속모재의 경우 애노다이징이 가지는 고급스러운 표면 질감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한계는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뿐만 아니라 애노다이징이 적용되는 모든 분야에서 공통된 문제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주조공법을 통해 제조된 금속모재는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056041 (2011. 08. 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비용과 공정만으로 애노다이징을 하지 않은 주조물의 표면이 실제 애노다이징을 한 것과 매우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은,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해 Mg, Al, Zn, 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를 가열하여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열처리단계와, 상기 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면장식부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단계는,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층을 형성하는 하도단계와,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2층을 형성하는 중도단계와,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3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상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40℃~30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장식단계는, 버핑(Buffing) 가공, 샌더(Sander) 가공, 헤어라인(Hairline) 가공, 패터닝(Pattering) 가공, 다이아컷(Dia Cut) 가공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도장단계는,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25㎛의 두께를 가지는 단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장단계는,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복층과,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2복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도단계, 중도단계 및 상도단계는,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형성시 40℃~300℃ 온도범위에서 10분~8시간 이내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준비단계 이후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모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인서트사출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는 Mg, Al, Zn, 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제조되어 40~300℃의 온도로 열처리된 금속모재와,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표면연마를 통해 형성된 가공영역과, 상기 가공영역의 표면에 형성되어 금속질감을 나타내는 표면장식부 및 상기 표면장식부를 덮으며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도장을 통해 형성된 반투명 층을 포함한다.
상기 반투명 층은,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층과,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2층과,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반투명 층은,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25㎛의 두께를 가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투명 층은,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복층과,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2복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장식부는, 버핑(Buffing) 가공, 샌더(Sander) 가공, 헤어라인(Hairline) 가공, 패터닝(Pattering) 가공, 다이아컷(Dia Cut) 가공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조되어 높은 경도를 가지는 금속모재가 실제 애노다이징을 한 것과 매우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내구성과 고급스러운 질감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을 이용해 금속모재를 제조함으로써 절삭과 같은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를 제조하기 위해 복잡하고 값비싼 장치들이 필요하지 않아 실제 현장에 즉시 적용하기에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애노다이징 질감과 함께 다양한 색상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의 (a)는 압출/압연에 의해 제조된 금속모재의 표면을 애노다이징한 사진, (b)는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모재의 표면을 애노다이징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버핑(Buffing)에 따른 금속모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b)는 샌딩(Sanding)에 따른 금속모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c)는 패터닝(Pattering)에 따른 금속모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금속 외장재를 나타낸 사진, (b)는 종래의 압출/압연 제품에 애노다이징을 실시하여 제조한 금속 외장재를 나타낸 사진, (c)는 다이캐스팅을 이용해 금속모재를 제조한 후 일반적인 도장공정을 실시한 금속 외장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구성인 반투명 층을 하나의 층으로 형성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구성인 반투명 층을 두 개의 층으로 형성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은, 재료준비단계(S100), 표면처리단계(S300), 열처리단계(S400), 표면장식단계(S500) 및 도장단계(S600)를 포함한다.
재료준비단계(S100)는 Mg, Al, Zn, 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10)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강도, 경도, 내충격성 등의 높은 기계적 성질을 갖는 금속모재(10)를 제조하기 위해 다이캐스팅 공법을 적용한다.
이때, Mg/Al/Zn/Sn는 각각 650℃, 660℃, 419℃, 231℃의 저융점을 갖는 금속 소재로서 융점이 낮기 때문에 다이캐스팅에 적용시 주조사이클이 짧고, 에너지비용이 저렴하며, 작업이 용이하여 복잡하고 얇은 형상까지 생산할 수 있다. 상기의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점은 높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Cu, Fe 등도 금속모재의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재료준비단계(S100)를 통해 제조된 금속모재(10)는 금속 외장재의 핵심적인 틀이 되므로, 제조하고자 하는 금속 외장재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모재(10)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 외주면을 둘러싸며 외장재로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금속모재(10)의 내측에 위치한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에는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PCB, 모듈 등의 부품들이 위치하게 된다.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와 금속모재(10)는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인서트사출단계(S200)를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다만,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가 다이캐스팅 공정시 발생되는 고열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인서트사출단계(S200)는 재료준비단계(S100)가 완료된 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금속모재(10)의 표면에는 미세한 기공과 같은 표면결함들이 다수 존재하여 매우 거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도장단계(S600)를 실시할 경우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표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금속모재(10)의 표면과 도장층(이하 "반투명 층"이라 함)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져 반투명 층(40)이 쉽게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표면연마(Polishing)를 통해 금속모재(10)의 표면을 가공하여 표면결함을 최소화시키는 표면처리단계(S300)를 실시한다.
표면처리단계(S300)가 완료된 금속모재(10)의 내부에는 다량의 가스가 잔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스는 상술한 재료준비단계(S100)시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금속모재(10)를 제조할 때 액상의 원재료와 함께 존재하다가 원재료가 고체화될 때 미쳐 빠져나오지 못하고 내부에 갇혀 있던 가스들이다.
금속모재(10)의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들은 후술하는 도장단계(S600)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외부로 조금씩 빠져나오게 되는데, 반투명 층(40)이 형성되는 과정 중 가스가 빠져나오게 되면 가스가 빠져나오는 기공이 형성되는 등 반투명 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금속모재(10)의 표면과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던 부분조차 빠져나오려는 가스에 의해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처리단계(S300)가 완료된 금속모재(10)는 소정의 온도로 어닐링(Annealing)하는 열처리단계(S400)를 실시하여 금속모재(10)의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한다.
이러한 열처리단계(S400)는 금속모재(10)를 40℃~3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서서히 식힘으로써 금속모재(10) 내부에 잔류하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가열온도가 40℃ 미만일 경우 가스 제거효과가 거의 없고 300℃ 이상일 경우 금속모재(1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가 녹아내리게 되므로 상기의 온도구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단계(S400)시 금속모재의 경도, 취성, 인성, 결정 조직의 미세화, 내부응력 제거 등의 부가적인 특성을 얻고자 한다면 노멀라이징(Normalizing), ?칭(Quenching), 템퍼링(Tempering) 등의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열처리단계(S400)가 완료된 금속모재(10)의 표면은 매우 밋밋한 질감을 가지게 되는데, 최근에는 시각적인 디자인을 매우 중요시하기 때문에 밋밋한 느낌의 금속 외장재는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품질의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금속모재(10)의 표면을 장식하여 표면장식부(30)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S500)를 실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표면장식단계(S500)는 버핑(Buffing) 가공, 샌더(Sander) 가공, 헤어라인(Hairline) 가공, 패터닝(Pattering), 다이아컷(Dia Cut) 가공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한다.
버핑(Buffing) 가공은, 가죽이나 천, 나무, 소둔철(모재보다 무른 쇠)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문질러 거울처럼 광이 나도록 하는 가공법으로서, 표면조도를 최대한 높여 준다.
샌더(Sander)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표면에 모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는 가공법으로서, 단순히 광택만 가지던 기존의 금속 외장재를 탈피하여 불투명한 느낌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고, 보다 세련된 느낌의 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헤어라라인(Hairline)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표면에 수많은 미세한 선을 섬세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미려한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가리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헤어라인 가공은, 브러쉬, 사포, 수세미 등을 이용해 실시할 수 있다.
패터닝(Patterning)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표면에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 형상, 그림, 글자 등을 새기는 것으로, 제품이 나타내고자 하는 특징에 따라 다양한 패터닝이 가능하다.
다이아컷(Dia Cut)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특성을 살려 외관상 도금 효과를 내는 데코레이션(Decoration) 가공법으로, 다이아몬드 툴과 고속회전 가공장치로 가공 피치(Pitch)를 최소한으로 줄여 가공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표면장식부(30)는 금속모재(10) 전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분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표면장식단계(S500)가 완료된 금속모재(10)의 표면은 고급스러운 느낌의 표면장식부(30)와 함께 광택이 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장식단계(S500)가 완료된 금속모재(10)의 표면은 매우 고급스러운 질감을 나타내지만 도 1의 (a)에 도시된 애노다이징을 실시하였을 때와는 질감이 다르다.
따라서, 표면장식단계(S500)가 완료된 금속모재(10)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S600)를 실시하며, 이러한 도장단계(S600)는 하도, 중도, 상도의 3단계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실시되는 하도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는 제1층(41)을 형성하고, 중도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는 제2층(42)을 형성하며, 상도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제3층(43)을 형성한다.
제1층(41)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는 금속모재(10)와 제2층(42) 사이의 층간 부착력 및 금속모재(10)와 제1층(41)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반투명 층과 금속모재(10) 사이를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층(42)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제1층(41)과 제3층(43) 사이의 층간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변성 아크릴은 제2층(42)의 휘도 및 입자감을 향상시키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한다. 은분은 제2층(42)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구현하며, 케톤계 용제는 제2층(42)의 점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제2층(42)은 반투명 층에 색감을 부여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며, 사용되는 안료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층(43)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마감을 위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하이드로 카본계 및 에스테르계 용제는 제3층(43)의 점도를 조절하며, 제3층(43)은 제2층(4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층(41)은 1~20㎛의 두께로 형성하고, 제2층(42)은 1~20㎛의 두께로 형성하며, 제3층(43)은 1~40㎛의 두께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3~80㎛의 두께를 갖는 반투명 층이 되도록 도장한다.
애노다이징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요부구성인 반투명 층(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층이 아닌 하나의 층 또는 두 개의 층만을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층으로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때는,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단층(44)을 1~25㎛의 두께로 형성하고, 두 개의 층으로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때는,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는 제1복층(45)을 1~20㎛의 두께로 형성하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제2복층(46)을 1~40㎛의 두께로 형성한다.
단층(44)에 포함된 변성 아크릴은 휘도 및 입자감을 향상시키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금속모재(10)와 단층(44)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기능을 한다. 은분은 단층(44)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구현하며,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는 단층의 점도를 조절한다.
제1복층(45)에 포함된 변성 아크릴은 휘도 및 입자감을 향상시키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는 금속모재(10)와 제1복층(45)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제2복층(46)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제1복층(45)과 제2복층(46)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마감을 위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한다. 은분은 제2복층(46)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구현하며,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는 제2복층(46)의 점도를 조절한다.
각 층에 대한 두께가 상기 값보다 적을 경우에는 도장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더 많을 경우에는 표면장식단계(S500)에서 나타낸 고품질의 금속질감이 반투명 층에 의해 덮여져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각 층에 대한 두께는 상기의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층의 형성시 40℃~300℃의 온도범위 내에서 10분~8시간 이내로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 및 각 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재료들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40℃~200℃의 온도범위에서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온도가 40℃ 미만이거나 건조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에는 건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도장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300℃를 초과하게 되면 금속보다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에 변형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각 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재료들이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해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또한, 300℃ 이하의 온도로 건조하더라도 건조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에 되면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11)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효과에도 큰 차이가 없으므로 8시간 이하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에는 상술한 재료준비단계(S100)-인서트사출단계(S200) - 표면처리단계(S300) - 열처리단계(S400) - 표면장식단계(S500) - 도장단계(S600)를 통해 제조된 금속 외장재가 나타나 있고, (b)에는 압출/압연 등에 의해 제조된 후 애노다이징을 통해 제조된 금속 외장재가 나타나 있으며, (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단계(S600)가 아닌 일반적인 반투명 도장을 실시한 금속 외장재가 나타나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를 통해 제조된 금속 외장재는 다이캐스팅을 이용해 제조된 금속모재(10)에 애노다이징을 실시하지 않으면서도 실제 애노다이징을 실시하였을 때와 매우 유사한 질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에 관해 설명하며, 상기의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갈음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는, 금속모재(10), 가공영역(20), 표면장식부(30) 및 반투명 층(40)을 포함한다.
금속모재(10)는 Mg, Al, Zn, 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제조된 후 40℃~300℃의 온도로 열처리까지 완료된 상태이다.
이렇게 제조된 금속모재(10)는 다이캐스팅 공법을 적용하여 성형하였기 때문에 경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제조하고자 하는 금속 외장재의 형상으로 주조하였기 때문에 절삭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가공영역(20)은 표면연마(Polishing)을 통해 금속모재(10)의 표면에 형성된 영역으로, 후술하는 반투명 층(40)이 도장에 의해 형성될 때 금속모재(10)와 반투명 층(4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역이며, 다이캐스팅 후 남아있던 표면결함들이 최대한 제거된 상태이다.
표면장식부(30)는 가공영역(20)의 표면에 형성되어 금속질감을 나타내는 곳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핑(Buffing) 가공, 샌더(Sander) 가공, 헤어라인(Hairline) 가공, 패터닝(Pattering), 다이아컷(Dia Cut) 가공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형성된다.
버핑(Buffing) 가공은, 가죽이나 천, 나무, 소둔철(모재보다 무른 쇠)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문질러 거울처럼 광이 나도록 하는 가공법으로서, 표면조도를 최대한 높여 준다.
샌더(Sander)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표면에 모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는 가공법으로서, 단순히 광택만 가지던 기존의 금속 외장재를 탈피하여 불투명한 느낌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고, 보다 세련된 느낌의 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헤어라라인(Hairline)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표면에 수많은 미세한 선을 섬세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미려한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가리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헤어라인 가공은, 브러쉬, 사포, 수세미 등을 이용해 실시할 수 있다.
패터닝(Patterning)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표면에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 형상, 그림, 글자 등을 새기는 것으로, 제품이 나타내고자 하는 특징에 따라 다양한 패터닝이 가능하다.
다이아컷(Dia Cut) 가공은, 금속모재(10)의 특성을 살려 외관상 도금 효과를 내는 데코레이션(Decoration) 가공법으로, 다이아몬드 툴과 고속회전 가공장치로 가공 피치(Pitch)를 최소한으로 줄여 가공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표면장식부(30)는 금속모재(10)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모재(10)의 표면은 고급스러운 느낌의 표면장식부(30)와 함께 광택이 난다.
반투명 층(40)은 표면장식부(30)를 덮으며 금속모재(10)의 표면에 도장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표면장식부(30)가 가지는 고급스러운 금속질감이 반감되지 않고 외부로 나타나도록 한다.
이러한 반투명 층(40)은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층(41)과,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2층(42)과,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3층(43)을 포함하며, 3개의 층을 합쳐 3~80㎛의 두께를 가진다.
제1층(41)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제2층(42)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며, 제3층(43)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한다.
제1층(41)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는 금속모재(10)와 제2층(42) 사이의 층간 부착력 및 금속모재(10)와 제1층(41)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반투명 층(40)과 금속모재(10) 사이를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층(42)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제1층(41)과 제3층(43) 사이의 층간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변성 아크릴은 제2층(42)의 휘도 및 입자감을 향상시키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한다. 은분은 제2층(42)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구현하며, 케톤계 용제는 제2층(42)의 점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제2층(42)은 반투명 층(40)에 색감을 부여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며, 사용되는 안료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층(43)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마감을 위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하이드로 카본계 및 에스테르계 용제는 제3층(43)의 점도를 조절하며, 제3층(43)은 제2층(4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애노다이징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요부구성인 반투명 층(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층이 아닌 하나의 층 또는 두 개의 층만으로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1~25㎛ 두께의 단층(44)으로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는 1~20㎛ 두께의 제1복층(45)과,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1~40㎛ 두께의 제2복층(46)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단층(44)에 포함된 변성 아크릴은 휘도 및 입자감을 향상시키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금속모재(10)와 단층(44)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기능을 한다. 은분은 단층(44)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구현하며,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는 단층의 점도를 조절한다.
제1복층(45)에 포함된 변성 아크릴은 휘도 및 입자감을 향상시키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는 금속모재(10)와 제1복층(45)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제2복층(46)에 포함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제1복층(45)과 제2복층(46)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마감을 위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한다. 은분은 제2복층(46)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애노다이징의 질감을 구현하며,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는 제2복층(46)의 점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제1층(41), 제2층(42), 제3층(43), 단층(44), 제1복층(45) 및 제2복층(46)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소재를 각각 포함하기 때문에 도장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층에 대한 두께가 상기 값보다 적을 경우에는 도장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더 많을 경우에는 표면장식부(30)가 나타내는 고품질의 금속질감이 반투명 층(40)에 의해 덮여져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S100 : 재료준비단계 S200 : 인서트사출단계
S300 : 표면처리단계 S400 : 열처리단계
S500 : 표면장식단계 S600 : 도장단계
10 : 금속모재 20 : 가공영역
30 : 표면장식부 40 : 반투명 층
44 : 단층 45 : 제1복층
46 : 제2복층

Claims (13)

  1.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해 Mg, Al, Zn, Sn, Cu, F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를 가열하여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면장식부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단계는,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층을 형성하는 하도단계와,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2층을 형성하는 중도단계와,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3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상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2.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해 Mg, Al, Zn, Sn, Cu, F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를 가열하여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면장식부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단계는,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25㎛의 두께를 가지는 단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3.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해 Mg, Al, Zn, Sn, Cu, F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를 가열하여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면장식부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단계는,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복층과,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2복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4.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해 Mg, Al, Zn, Sn, Cu, F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모재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를 가열하여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면장식부를 형성하는 표면장식단계; 및
    상기 표면장식단계가 완료된 금속모재의 표면에 반투명 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준비단계 이후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모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인서트사출단계를 포함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40~30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장식단계는, 버핑(Buffing) 가공, 샌더(Sander) 가공, 헤어라인(Hairline) 가공, 패터닝(Pattering) 가공, 다이아컷(Dia Cut) 가공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단계, 중도단계 및 상도단계는,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형성시 40℃~300℃ 온도범위에서 10분~8시간 이내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8. 삭제
  9. Mg, Al, Zn, Sn, Cu, F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제조되어 40~300℃의 온도로 열처리된 금속모재;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표면연마를 통해 형성된 가공영역;
    상기 가공영역의 표면에 형성되어 금속질감을 나타내는 표면장식부; 및
    상기 표면장식부를 덮으며 상기 금속모재의 표면에 도장을 통해 형성된 반투명 층을 포함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층은,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층과,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2층과,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변성 아크릴, 안료, 은분(Metalic) 및 케톤계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층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층은,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25㎛의 두께를 가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층은,
    변성 아크릴, 아크릴 폴리올 수지,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를 포함하고 1~20㎛의 두께를 가지는 제1복층과,
    아크릴 폴리올 수지, 안료, 은분(Metalic), 케톤계 용제 및 에스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1~40㎛의 두께를 가지는 제2복층을 포함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장식부는, 버핑(Buffing) 가공, 샌더(Sander) 가공, 헤어라인(Hairline) 가공, 패터닝(Pattering) 가공, 다이아컷(Dia Cut) 가공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KR1020150094568A 2015-07-02 2015-07-02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4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68A KR101634110B1 (ko) 2015-07-02 2015-07-02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68A KR101634110B1 (ko) 2015-07-02 2015-07-02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110B1 true KR101634110B1 (ko) 2016-06-29

Family

ID=5636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568A KR101634110B1 (ko) 2015-07-02 2015-07-02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11B1 (ko) * 2019-01-31 2020-07-08 전희경 스크레치 방지 가능한 버클
CN113070458A (zh) * 2020-01-06 2021-07-0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压铸用模具的制备方法、模具、盖板的制备方法及滤波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015A (ko) * 2006-09-05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제조 방법
KR20090015696A (ko) * 2007-08-09 2009-02-12 (주) 태양기전 다이캐스팅 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성형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69191A (ko) * 2008-12-16 2010-06-24 주식회사 메코하이텍 금속의 멀티칼라 코팅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소재
KR101056041B1 (ko) 2005-02-14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제조방법
KR20110105012A (ko) * 2009-01-09 2011-09-26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네슘 합금 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41B1 (ko) 2005-02-14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제조방법
KR20080022015A (ko) * 2006-09-05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제조 방법
KR20090015696A (ko) * 2007-08-09 2009-02-12 (주) 태양기전 다이캐스팅 소재의 표면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성형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69191A (ko) * 2008-12-16 2010-06-24 주식회사 메코하이텍 금속의 멀티칼라 코팅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소재
KR20110105012A (ko) * 2009-01-09 2011-09-26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네슘 합금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11B1 (ko) * 2019-01-31 2020-07-08 전희경 스크레치 방지 가능한 버클
CN113070458A (zh) * 2020-01-06 2021-07-0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压铸用模具的制备方法、模具、盖板的制备方法及滤波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723B1 (ko) 양극 산화 및 도금 표면 처리
JP5919246B2 (ja) 陽極酸化及び研磨表面処理
WO2012128046A1 (ja) 金属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265287A (zh) 一种陶瓷手表表盘及其制作方法
KR101634110B1 (ko) 애노다이징 질감을 갖는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386670B1 (en) Magnesium alloy member
US8894777B2 (en) Surface treatment method of magnesium alloy article and structure thereof
KR20180047356A (ko) 하이브리드 소재의 메탈카드 제조방법
US20090202796A1 (en) Outcas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040563B (zh) 一种外观件的制造方法、外观件及电子装置
KR101268749B1 (ko) 유광 또는 무광 무늬를 갖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1054612A (zh) 框架及框架的表面处理方法
KR101281833B1 (ko) 무광 타입의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TW200824832A (en) Metal-metal composite formation process and application
KR101131889B1 (ko) 유브이에 의한 장식패턴을 갖는 데코 글라스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데코 글라스
KR20080001718A (ko) 표면장식된 금속패널의 프레스 가공방법
KR101642287B1 (ko) 경금속 외장재 제조방법
CN105013682B (zh) 复合件的喷漆方法、喷漆设备及喷漆制品
KR101584293B1 (ko) 색상이 구현된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940010A (zh) 壳体的制备方法、壳体及电子设备
TW201103775A (en) Method for making housing and housing made therefrom
KR101020635B1 (ko) 다이캐스팅 성형품의 표면 처리 방법
KR20170112681A (ko) 이종 금속을 이용한 로고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5670A (ko) 휴대 단말기용 고내구성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993797B1 (ja) 金属製品の装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