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600B1 - 포장재용 아일렛 - Google Patents

포장재용 아일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600B1
KR101633600B1 KR1020140092337A KR20140092337A KR101633600B1 KR 101633600 B1 KR101633600 B1 KR 101633600B1 KR 1020140092337 A KR1020140092337 A KR 1020140092337A KR 20140092337 A KR20140092337 A KR 20140092337A KR 101633600 B1 KR101633600 B1 KR 101633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portion
packaging material
main body
protrus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372A (ko
Inventor
안용기
Original Assignee
(주)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성 filed Critical (주)광성
Priority to KR102014009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4Windows or other apertures, e.g. for view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4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level indicators, detachable tabs or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5Anti-slip or anti-skid bags, e.g. bags provided with anti-slip coating, ribs,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반물을 적재하는 포장재에 형성되는 아일렛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이 개방된 링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의 개방된 부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가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되어 포장재의 측부에 형성된 인입공에 돌출부가 인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형성되는 포장재의 반대측에 밀착되어 본체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통과시키는 와셔 형태인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되는 고정체;가 포함되어 본체의 돌출부를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돌출부가 고정체의 표면으로 압착되어 고정체 및 포장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를 제공한다.
따라서 포장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틸렌으로 포장재용 아일렛을 제작하여 포장재와 같이 별도의 분리작업이 없어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폐기물로 소각하던 포장재와 아일렛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아 환경적인 문제점이 사라지며 양질의 재활용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포장재용 아일렛{The eyelet for Packaging}
본 발명은 각종 산업 및 농업 현장에서 자재 및 원료를 보관 또는 적재하는 포장재 및 차량의 운반물을 적재하는 포장재에 각각 형성되는 아일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의 돌출부가 인입되어 접하는 고정체 부위에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및 고정체가 포장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용 아일렛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및 농업 현장에서 자재 및 원료를 보관 또는 적재하거나 차량에 적재된 운반물이 주행 중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운반물을 감싸는 포장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재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해 포장재의 측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고정되는 도넛 형태의 아일렛와셔와 상기 아일렛와셔에 인입되는 아일렛베이스로 구성되는 포장재용 아일렛은 아일렛베이스가 인입된 상태에서 아일렛와셔와 아일렛베이스를 포개어 압착하거나 아일렛와셔와 아일렛베이스를 열가공하여 융착함으로서 포장재에 장착되며, 장착된 포장재용 아일렛은 와이어에 의해 통과되어 차량에 고정되어 운반물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일렛 와셔와 아일렛 베이스는 압착 또는 융착에 의해 형태를 변형시켜 대상물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알루미늄, 철, 구리와 같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포장재의 계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포장재가 수명을 다하게 되면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는 포장재와 금속 재질의 아일렛은 각각 재활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포장재에 장착된 아일렛은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압착 또는 열융착된 아일렛을 각각 분리하기에는 작업시간이 매우 장시간 소요될 뿐 아니라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여 인건비 및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으며, 이에 따라 수명이 다된 포장재와 아일렛을 그냥 폐기처분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왔다.
재활용될 수 있는 자원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엄청난 손실을 야기시키는 것으므로, 포장재와 아일렛을 효과적으로 재활용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4058호 (2006.03.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포장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틸렌으로 포장재용 아일렛을 제작하여 포장재와 같이 별도의 분리작업이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이 절약되면서도 상기 포장재용 아일렛을 이루는 본체의 돌출부가 인입되어 접하는 고정체 부위에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압착될 때 수용부 상에 압착됨으로서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도 포장재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재용 아일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이 개방된 링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의 개방된 부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가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되어 포장재의 측부에 형성된 인입공에 돌출부가 인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형성되는 포장재의 반대측에 밀착되어 본체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통과시키는 와셔 형태인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되는 고정체;가 포함되어 본체의 돌출부를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돌출부가 고정체의 표면으로 압착되어 고정체 및 포장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체는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돌출부가 고정체의 표면으로 압착될 때 압착된 부위가 안착하어 고정되도록 돌출부가 수용되어 접하는 원호상의 부위로 수용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틸렌으로 포장재용 아일렛을 제작하여 포장재와 같이 별도의 분리작업이 없어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폐기물로 소각하던 포장재와 아일렛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아 환경적인 문제점이 사라지며 양질의 재활용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격수단에 의해 돌출부가 압착되는 부위가 수용부 상에 온전히 압착됨으로서 본체와 고정체와의 압력이 작용하여 포장재와의 밀착력이 향상됨으로서 포장재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장착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아일렛이 장착되는 포장재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아일렛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포장재용 아일렛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2돌출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절개부을 통해 포장재용 아일렛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8은 본 발명의 바인더층 및 야광체가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돌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아일렛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의 포장재용 아일렛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아일렛은 차량의 적재된 운반물이 주행 중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운반물을 감싸는 포장재(1)의 하부 측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통해 차량에서 운반물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용 아일렛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1)의 양측을 본체(10)와 고정체(20)가 상호 압착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포장재(1)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형태는 중앙이 개방된 링 형상의 지지부(11) 및 상기 지지부(1)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11)의 개방된 부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10)는 포장재(1)의 측부에 형성된 인입공(2)에 돌출부(13)가 인입되면서 지지부(11)는 포장재(1)에 밀착되어 후술되는 고정체(20)가 본체(10)가 밀착되는 포장재(1)의 반대측에서 돌출부(1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20) 또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포장재(1)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10)가 형성되는 포장재(1)의 반대측에 밀착되어 본체(10)의 돌출부(13)를 수용하여 통과시키는 와셔 형태로 구성되어 포장재(1)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가 고정체(10)를 통과하여 운반물을 덮은 상태에서 포장재(1)를 차량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체(20)에 돌출부(13)가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10)의 돌출부(13)를 프레스와 같은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돌출부(13)가 고정체(20)의 표면으로 압착되어 압착된 돌출부(13)로 하여금 본체(10) 및 고정체(20)가 포장재(1)를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포장재(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틸렌으로 포장재용 아일렛을 이루는 본체(10)와 고정체(20)를 성형 제작하여 용도폐기된 포장재(1)와 같이 별도의 분리작업이 없어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폐기물로 소각하던 포장재(1)와 아일렛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아 환경적인 문제점이 사라지며 양질의 재활용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체(20)는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돌출부(13)가 고정체(20)의 표면으로 압착될 때 압착된 부위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체(20)의 표면에 돌출부(13)가 수용되어 접하는 원호상으로 단차 형태의 수용부(23)가 구성된다.
즉, 상기 단차 형태의 수용부(23)로 인해 타격수단에 의해 돌출부(13)가 압착되는 부위가 수용부(23) 상에 온전히 압착됨으로서 본체(10)와 고정체(20)와의 압력이 작용하여 포장재(1)와의 밀착력이 향상됨으로서 포장재(1)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장착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아일렛이 장착되는 포장재(1)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포장재(1)와 밀착되는 지지부(11)의 표면으로 포장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돌기부(15)가 구성되며, 또한 상기 고정체(20)는 본체(10)와 대응되는 측의 표면으로 포장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돌기부(25)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와 고정체(20)의 장착과정에서 발생되는 밀착력뿐만 아니라 제1, 2돌기부(15, 25)로 하여금 포장재(1)를 가압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이 발휘되어 본체(10)와 고정체(20)가 포장재(1)에서 헛돌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3)는 연장되는 방향이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1)에 형성되는 포장재(1)의 측부에 형성된 인입공(2)은 돌출부(13)의 선단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인입공(2)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3)가 형성된다.
즉, 테이퍼지는 돌출부(13)의 선단과 동일한 직경의 인입공(2)으로 돌출부(13)를 통과시키면 돌출부(13)의 테이퍼진 형태와 절개부(3)의 구성으로 인해 인입공(2) 옆의 절개부(3)가 절개된 길이만큼 돌출부(13) 옆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위가 본체(10) 및 고정체(2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됨으로서 포장재(1)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3)의 선단으로는 바인더층(30)과 아광체(40)를 적층한 후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야광체(40)가 돌출부(13)와 같이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날씨가 궂은 날이나 어두어진 시간에도 야광체(40)로 하여금 돌출부(13)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날씨 또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와이어를 통한 포장재(1)의 고정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고정체(20)와 압착되는 반대측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방지돌기(17)가 다수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를 돌출부(13)에 통과시킬 때 미끄럼방지돌기(17)에 작업자의 손이 마찰됨으로서 마찰력을 극대화되어 본체(10) 및 고정체(20)가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1 : 포장재 2 : 인입공
3 : 절개부
10 : 본체 11 : 지지부
13 : 돌출부 15 : 제1돌기부
17 : 미끄럼방지돌기 20 : 고정체
23 : 수용부 25 : 제2돌기부
30 : 바인더층 40 : 야광체

Claims (7)

  1. 중앙이 개방된 링 형상의 지지부(11) 및 상기 지지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11)의 개방된 부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13)가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되어 포장재(1)의 측부에 형성된 인입공(2)에 돌출부(13)가 인입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가 형성되는 포장재의 반대측에 밀착되어 본체(10)의 돌출부(13)를 수용하여 통과시키는 와셔 형태인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되는 고정체(20);
    가 포함되어 본체(10)의 돌출부(13)를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돌출부(13)가 고정체(20)의 표면으로 압착되어 본체(10) 및 고정체(20)가 포장재(1)를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고정체(20)와 압착되는 반대측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방지돌기(17)가 다수 배열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돌출부(13)가 수용되어 접하는 원호상의 부위로 수용부(23)가 형성되어 타격수단으로 돌출부(13)를 타격할 때 압착되는 돌출부(13)가 수용부(23)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지지부(11)의 표면으로 포장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돌기부(15)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20)는 본체(10)와 대응되는 측의 표면으로 포장재(1)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2돌기부(25)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는 연장되는 방향이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1)에 형성되는 포장재(1)의 측부에 형성된 인입공(2)은 돌출부(13)의 선단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입공(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의 선단으로는 바인더층(30)과 아광체(40)를 적층한 후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야광체(40)가 돌출부(13)와 같이 압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아일렛.
  6. 삭제
  7. 삭제
KR1020140092337A 2014-07-22 2014-07-22 포장재용 아일렛 KR10163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337A KR101633600B1 (ko) 2014-07-22 2014-07-22 포장재용 아일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337A KR101633600B1 (ko) 2014-07-22 2014-07-22 포장재용 아일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372A KR20160011372A (ko) 2016-02-01
KR101633600B1 true KR101633600B1 (ko) 2016-06-27

Family

ID=5535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337A KR101633600B1 (ko) 2014-07-22 2014-07-22 포장재용 아일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361B1 (ko) * 2016-11-08 2017-02-08 대흥전력기술 주식회사 가변형 브라켓으로 내진성능이 보강된 지상기기의 보강공법 및 보강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408Y1 (ko) * 2004-02-26 2004-05-12 문인정 아이렛
KR101180898B1 (ko) * 2011-12-28 2012-09-07 문양주 스냅단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058A (ko) 2004-09-13 2006-03-16 장용실 금속제 스냅패스너용 아일렛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408Y1 (ko) * 2004-02-26 2004-05-12 문인정 아이렛
KR101180898B1 (ko) * 2011-12-28 2012-09-07 문양주 스냅단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361B1 (ko) * 2016-11-08 2017-02-08 대흥전력기술 주식회사 가변형 브라켓으로 내진성능이 보강된 지상기기의 보강공법 및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372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9660B2 (ja) 容器、閉鎖リング、および容器の組立方法
US7775361B2 (en) Package for abrasive grinding wheels
KR101633600B1 (ko) 포장재용 아일렛
US10357084B2 (en) Eyelets for tarpaulin
US11160333B2 (en) Eyelets
US8485358B2 (en) System for securing wire with a floating tie-down assembly
US3797077A (en) Metal clamp band
KR200454923Y1 (ko)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US20140209602A1 (en) Flexible plastic packaging box
KR20180127898A (ko) 적재물 포장 커버
KR200488992Y1 (ko) 이어 클램프 밴드
KR101452755B1 (ko) 스트랩 고정구
US1197924A (en) Barrel or keg.
JP5235917B2 (ja) ペールオープン缶
KR200485886Y1 (ko) 서류봉투 묶음 도구
KR101463687B1 (ko) 캔용기 스트랩
EP2855292A1 (en) Application of packaging components for manufacturing products and method
KR101731944B1 (ko) 타포린용 아일렛
US20030177612A1 (en) Shielded strap system
US6796333B2 (en) Protective packing structure for a cylindrical object and fitted with a fastener
AU2019904326A0 (en) The curr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combination that is suitability for a myriad of product types, sizes and applications utilising recycled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not being utilised, while maintaining a premium pack strength and appearance.
KR20170001279U (ko) 양측으로 압축되어 고정되는 파이프 크랩링
CN213904380U (zh) 一种固定装置和一种射频识别装置
KR102000723B1 (ko) 포장용기
CN207078504U (zh) 固定束线带用的束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