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546B1 - 브러시 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브러시 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546B1
KR101633546B1 KR1020140073706A KR20140073706A KR101633546B1 KR 101633546 B1 KR101633546 B1 KR 101633546B1 KR 1020140073706 A KR1020140073706 A KR 1020140073706A KR 20140073706 A KR20140073706 A KR 20140073706A KR 101633546 B1 KR101633546 B1 KR 10163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upport strip
rotor
supporting
se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627A (ko
Inventor
파루크 아싯 마흐믓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546B1/ko
Priority to CN201510296310.7A priority patent/CN105317470B/zh
Priority to JP2015121258A priority patent/JP6023272B2/ja
Priority to EP15172503.3A priority patent/EP2957796B1/en
Priority to US14/742,448 priority patent/US10190432B2/en
Publication of KR2015014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01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for sealing space between stator blade and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8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for sealing space between rotor blade tips and st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8Arrangement of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5Seals
    • F05D2240/56Brush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 F16J15/3288Filamentary structures, e.g. brush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된 제1 지지 스트립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스트립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제2 지지 스트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브러시 실 어셈블리{Brush seal assembly}
본 발명은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터빈(turbine)은 가스나 스팀(steam) 등 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에너지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동력발생 장치로, 유체에 의해 축회전하도록 복수 개의 회전익(bucket)이 구비되는 로터(rotor)와, 로터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고정익(diaphram)이 구비되는 케이싱(casing)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가스터빈은 압축기와 연소기 및 터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 압축된 후 연소기로 보내지고, 연소기에서 압축공기와 연료의 혼합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진다. 연소기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가스는 터빈을 통과하면서 터빈의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스팀터빈의 경우, 고압터빈과 중압터빈 및 저압터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데, 직렬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압터빈과 중압터빈 및 저압터빈이 하나의 로터를 공유한다.
스팀터빈에서 각각의 터빈들은 케이싱 내부의 로터를 중심으로 고정익과 회전익을 구비하고 있으며, 스팀이 고정익과 회전익을 통과하면서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은 고정체(예컨대, 고정익)에 대해 회전체(예컨대, 로터)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 간극으로 고온·고압의 유체 누설이 발생하며, 이러한 유체의 누설은 동력 손실에 따른 에너지 효율 저하의 한 원인이 된다.
이에, 회전체와 고정체 사이 간극에서 발생되는 유체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체 누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해야 하나, 간극을 좁히는데에도 갖가지 제약에 의한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간극이 지나치게 좁은 경우에는, 회전체의 축회전시 회전체와 고정체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러빙(rubbing)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기기에 중대한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스팀터빈은 보일러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스팀이 회전체와 고정체에 열을 가하기 때문에, 운전 및 기동 정지시 위치에 따라 수 mm 내지 수십 mm까지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와 고정체는 소재의 특성이 달라 차등 팽창할 뿐만 아니라, 터빈의 구조에 따라 팽창하는 방향도 상이하여 회전체와 고정체가 운전 중 간섭을 일으켜 러빙이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라비린스 실(labyrinth seal)을 적용하여 실링(sealing)하였고, 최근에는 라비린스 실에 브러시(brush)를 결합한 브러시 실(brush seal)을 적용하여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 간극을 없애고 유연하게 서로 접촉하는 형태로 실링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스팀터빈의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 간극에 라비린스 실(1)과 브러시 실(2)이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체는 케이싱(3)과 고정익(4)을 포함하고, 회전체는 로터(5)와 회전익(6)을 포함한다.
고정익(4)은 케이싱(3)에 고정 결합되고 회전익(6)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회전익(6)은 고정익(4)에 인접한 상태로 로터(5)와 일체로 축회전한다.
이때, 고정익(4)과 회전익(6) 사이의 간극 및 고정익(4)과 로터(5) 사이의 간극에는 기밀을 위한 실링이 필요하다.
도 2는 미국등록특허 US 6,790,001(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브러시 실로서, 실 링(seal ring)(40)의 저면에 라비린스 실(50)과 브러시 실(42)이 구비되고, 브러시(44)의 끝단부(52)가 로터(14) 외주면에 접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브러시 실(42)은 브러시(44)와, 브러시(44)의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브러시(44)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46,48)를 포함하는데, 플레이트(46,48)와 로터(14) 접촉시 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46,48)의 끝단부는 로터(14)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46,48)의 끝단부와 로터(14) 사이 간격이 멀면 그 사이로 유체 누설량이 증가하게 되고, 간격이 좁으면 플레이트(46,48)와 로터(14)의 러빙(rubbing)으로 인해 열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US6790001B2 (2004. 9. 14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터와의 러빙으로 인한 열 발생과 마모를 줄일 수 있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링 효과 향상으로 인해 터빈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가격 경쟁력을 가진 브러시 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있어서,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된 제1 지지 스트립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스트립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제2 지지 스트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의 타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브러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의 일단과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단이 상기 브러시 삽입홈의 중간부에 용접 고정되며, 상기 브러시와 상기 지지 스트립의 양측이 상기 백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 스트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굴곡부와 상기 브러시 사이에 압력 포켓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스트립은, 상기 브러시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브러시의 일단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절곡부의 일단에서 상기 브러시의 타측면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굴곡부와 상기 브러시 사이에는 압력 포켓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브러시의 타측에, 상기 연장부를 상기 브러시에 대하여 가압 지지하는 앵커링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는 브러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삽입홈의 일측에 상기 앵커링 부재가 삽입되는 앵커링 부재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앵커링 부재 삽입홈은 상기 브러시 삽입홈의 일측에서 상기 로터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 스트립의 상기 로터 대향단은, 상기 브러시의 타단 보다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기 로터 대향단은, 상기 지지 스트립의 상기 로터 대향단 보다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브러시 실 어셈블리는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제2 지지 스트립에는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브러시 실 어셈블리는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되고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나머지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압력 포켓은 지지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스트립과 대향되는 대향면이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된 압력포켓의 돌출면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링 부재는 ㅁ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의하면, 브러시의 일면을 얇은 두께의 지지 스트립이 지지하므로, 로터와의 러빙에 의한 열과 마모 발생이 종래에 비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를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과 로터 사이 간격을 줄여 유체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링 효과 및 터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한 브러시 실 어셈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된 제1 지지 스트립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스트립에서 상단까지 연장된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 스트립은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백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제2 지지 스트립에는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되고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나머지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압력 포켓이 형성된 지지스트립과 대향되는 백 플레이트는 상기 압력 포켓의 라운드진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 포켓은 지지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앵커링 부재는 ㅁ자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 스트립에서 연장된 연장부의 외주면에 일면이 밀착되고 다른면은 앵커링 부재 삽입홈에 완전 밀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된다.
도 1은 스팀터빈의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 간극에 라비린스 실과 브러시 실이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또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스트립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트립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앵커링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터(5)와 대향하는 고정익(4)의 일 면에 실 장착홈(7)이 형성되고, 실링 몸체(8)가 실 장착홈(7)에 결합한다.
실링 몸체(8)는 전체적으로 로터(5)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ring) 형태로서, 실 장착홈(7)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9)와, 결합부(9)의 일측에서 로터(5)의 외주면 방향으로 폭이 확장 형성되는 몸체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실링 몸체(8)의 결합부(9)는, 실 장착홈(7)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0)와, 삽입부(10)의 일측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고 실 장착홈(7)의 단턱(7a)에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부(11)를 포함한다.
실링 몸체(8)의 몸체부(12)는 걸림부(11)와 대향하도록 삽입부(10)의 반대쪽에 폭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저면에 복수 개의 라비린스 실(1)이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
몸체부(12)의 저면 중앙에 장착홈(13)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장착홈(13)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10)와, 브러시(1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120), 지지 스트립(120)의 일측 및 브러시(110)의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백플레이트(130,140)를 포함한다.
브러시(110)는 복수 개의 강모(bristl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브러시(110)를 이루는 강모의 두께 등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브러시(110)의 일단은 장착홈(13)으로 삽입되어 용접부(150)에 의해 용접 고정되며, 타단은 로터(5)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로터(5)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브러시(110)를 기준으로 로터(5)의 축 방향 양측이 브러시(110)에 의해 실링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면상 브러시(110) 우측의 압력(PH)이 좌측의 압력(PL)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이며, 브러시(110)는 고압 영역에서 저압 영역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실링한다.
이때, 브러시(110)의 일면(111) 즉, 저압 영역 쪽 일면(111)에 지지 스트립(120)이 밀착하도록 구비된다. 지지 스트립(120)은 브러시(110)와 함께 그 일단이 장착홈(13)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지지 스트립(120)은 브러시(110) 양측의 압력차에 의한 브러시(110)의 변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스트립(120)은 얇은 플레이트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에 비교적 강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 스트립(120)은 브러시(110)와 함께 용접부(150)에 의해 장착홈(13)의 중간부에 용접 고정된다.
지지 스트립(120)의 로터(5) 방향으로 연장된 타단은 브러시(110)의 타단 내측에 위치한다. 이는 지지 스트립(120)과 로터(5)의 러빙 방지를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10)의 끝단부에 비해 지지 스트립(120)의 끝단부가 로터(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
다만, 지지 스트립(120)은 탄성을 가진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므로, 로터(5)와의 접촉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종래 브러시(110) 양측을 지지하는 플레이트(46,48, 도 2 참조)에 비해 러빙에 따른 열 발생과 마모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플레이트에 비해 로터(5)와의 간격을 줄여 실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브러시(110)와 지지 스트립(120)의 양측으로 각각 하나씩 한 쌍의 백플레이트(130,140)가 장착홈(13)에 개재된다. 장착홈(13)의 일측으로 압입된 제1 백플레이트(130)는 지지 스트립(120)의 일측을 지지한다. 또한, 장착홈(13)의 타측으로 압입된 제2 백플레이트(140)는 브러시(110)의 타측 즉, 고압 영역 쪽 일면(112)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1 백플레이트(130)와 제2 백플레이트(140)는 유체의 유동에 대하여 브러시(110) 및 지지 스트립(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압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백플레이트(130)는 지지 스트립 대향면(131)이 지지 스트립(120)의 일면에 밀착된다. 고압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백플레이트(140)는 브러시 대향면(141)의 하단부에 단차부(142)가 형성되어, 브러시(110)와 제2 백플레이트(140) 사이에 소정의 틈새(143)가 형성된다.
이때, 백플레이트(130,140)의 로터(5) 대향단(도면상 하단)은 지지 스트립(120)의 로터(5) 대향단(도면상 하단)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는 백플레이트(130,140)와 로터(5)의 러빙 방지를 위한 것으로, 지지 스트립(120)의 끝단부에 비해 백플레이트(130,140)의 끝단부가 로터(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백플레이트(130,140)와 지지 스트립(120)에 의해 브러시(110)가 견고히 지지되는 한편, 지지 스트립(120)과 로터(5)의 러빙 발생시 지지 스트립(120)이 탄성 변형되므로 종래에 비해 열 발생과 마모가 저감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몸체(8)의 저면 중앙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한편, 실링 몸체(8)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실 스트립(50')이 서로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실 스트립(50')은 일단이 실 스트립 장착홈(13')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이 로터(5, 도 1 참조)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 스트립(50')은 전체적으로 'J'자 형태를 이루며, 실 스트립 장착홈(13')으로 삽입되어 실 스트립 장착홈(13')의 벽면을 따라 절곡되는 절곡부(51')와, 절곡부(51')의 일단에서 로터(5)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종래의 라비린스 실(1, 도 1 참조)을 형성하는 예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 실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와 종래의 라비린스 실(1)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와 종래의 라비린스 실(1)이 함께 적용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의 블러시 실 어셈블리 역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몸체(8)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는 실 스트립(50')과 함께 사용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라비린스 실(1)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a)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100)와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지지 스트립(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121)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기능의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스트립(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121)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 스트립(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백플레이트(130)의 지지 스트립 대향면(131)에는 굴곡부(121)를 수용하기 위한 단차부(132)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굴곡부(121)가 원호형 단면 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또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굴곡부(121)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웨이브 형태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굴곡부(121)의 개수와 돌출 높이, 서로 간의 간격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굴곡부(121)와 브러시(110) 사이에는 고압 영역의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인 압력 포켓(122)이 형성된다.
이 압력 포켓(122)은, 압력 포켓(122)으로 유입된 고압 유체의 압력에 의해 브러시(110)의 저압 영역 쪽 일면(1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고압 영역의 유체는 브러시(110)를 이루는 강모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압력 포켓(122)으로 유입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121)에 의해, 지지 스트립(120)의 강성(stiffness)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210)와, 브러시(2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220)과, 지지 스트립(220)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230), 및 브러시(210)의 타측을 지지하는 앵커링 부재(240)를 포함한다.
브러시(210)는 복수 개의 강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브러시(210)를 이루는 강모의 개수와 두께 등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브러시(210)의 일단은 브러시 삽입홈(13a)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로터(5, 도 1 참조)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로터(5)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브러시(210)를 기준으로 로터(5)의 축 방향 양측이 브러시(210)에 의해 실링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면상 브러시(210) 우측의 압력(PH)이 좌측의 압력(PL)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이며, 브러시(210)는 고압 영역에서 저압 영역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실링한다.
이때, 브러시(210)의 일면 즉, 저압 영역 쪽 일면(211)에 지지 스트립(220)이 밀착하도록 구비되며, 이 지지 스트립(220)은 브러시(210) 양측의 압력차에 의한 브러시(210)의 변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스트립(220)은 "J"자형 단면을 가진 얇은 플레이트의 링 형상이며, 금속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와 같은 열에 비교적 강하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지지 스트립(22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 스트립(50', 도 4 참조)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트립(220)은, 브러시(210)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1)와, 지지부(221)의 일단에서 브러시(210)의 일단을 감싸도록 원호 형태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 스트립(220)의 이탈 방지를 위해, 절곡부(222)의 일단에서 연장부(223)가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 스트립(220)의 일단이 브러시(210)의 일단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어, 지지 스트립(220)의 연장부(223)가 브러시(210)의 타측면 일부를 덮게 된다.
이때, 지지 스트립(220)의 타단은 브러시(210)의 타단 내측에 위치한다. 이는, 지지 스트립(220)과 로터(5)의 러빙 방지를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210)의 끝단부에 비해 지지 스트립(220)의 끝단부가 로터(5)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이격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다만, 지지 스트립(220)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탄성을 가지므로, 로터(5)와의 러빙에 따른 열 발생과 마모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플레이트(46,48, 도 2 참조)에 비해 로터(5)와의 간격을 줄여 실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은 브러시(210)의 일단이 지지 스트립(220)의 절곡부(222)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실링 몸체(8, 도 1 참조)의 몸체부(12, 도 1 참조) 저면 중앙에 형성된 브러시 삽입홈(13a)에 삽입된다.
또한, 지지 스트립(22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백플레이트(230)가 브러시 삽입홈(13a)에 삽입된다. 이때, 백플레이트(230)와 로터(5)의 러빙 방지를 위해, 백플레이트(230)의 로터(5) 대향단은 지지 스트립(220)의 로터(5) 대향단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 스트립(220)의 끝단부에 비해 백플레이트(230)의 끝단부가 로터(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 및 백플레이트(230)의 이탈 방지를 위해 앵커링 부재(240)가 브러시 삽입홈(13a) 일측의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에 압입된다.
이 앵커링 부재(240)는 지지 스트립(220)의 연장부(223)를 브러시(210)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에 따라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이 백플레이트(230) 방향으로 가압되어,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 및 백플레이트(230)가 브러시 삽입홈(13a)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일 예로서, 앵커링 부재(240)는 링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가닥이 꼬인 와이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앵커링 부재(240)가 지지 스트립(220)의 연장부(223)를 가압할 수 있도록,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은 브러시 삽입홈(13a)의 일측에서 로터(5)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의 바닥면이 브러시 삽입홈(13a)의 바닥면 일측에서 로터(5)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의 바닥면이 지지 스트립(220)의 절곡부(222)와 연장부(223) 경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에 압입된 앵커링 부재(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스트립(220)의 연장부(223)를 집중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 및 백플레이트(230)를 브러시 삽입홈(13a) 내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브러시(210)의 저압 영역 쪽 일면(211)을 지지 스트립(220)의 지지부(221)가 지지하는 한편, 지지 스트립(220)의 지지부(221)는 백플레이트(230)에 의해 지지되므로, 브러시(210) 양측의 압력차에 의한 브러시(210)의 변형과 이에 따른 유체 누설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200)는, 실링 몸체(8)의 브러시 삽입홈(13a)에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 및 백플레이트(230)를 삽입하고,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에 앵커링 부재(240)를 압입하여, 앵커링 부재(240)에 의해 브러시(210)와 지지 스트립(220) 및 백플레이트(230)가 가압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 및 조립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200a)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200)와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지지 스트립(2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224)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기능의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스트립(220)의 지지부(2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224)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 스트립(220)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230)의 지지 스트립 대향면(231)에는 굴곡부(224)를 수용하기 위한 단차부(232)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굴곡부(224)가 원호형 단면 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또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굴곡부(224)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웨이브 형태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굴곡부(224)의 개수와 돌출 높이, 서로 간의 간격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21)에 형성되는 굴곡부(224)에 의해, 지지 스트립(220)의 강성(stiffness)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각각의 굴곡부(224)와 브러시(210) 사이에는 고압 영역의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 포켓(225)이 형성된다.
이 압력 포켓(225)은 브러시(210)를 이루는 강모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 영역의 유체에 의해 고압을 형성하여, 브러시(210)의 저압 영역 쪽 일면(2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실 어셈블리(200a)에 의하면, 브러시(210)의 저압 영역 쪽 일면(211)을 지지하는 압력 포켓(225)에 의해, 브러시(210)의 변형과 이에 따른 유체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지 스트립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스트립(120)은 로터(5)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탄성 변형을 위해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된 제1 지지 스트립(121)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스트립(121)에서 상단까지 연장된 제2 지지 스트립(122)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121)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1 지지 스트립(121)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확대도에 도시된 길이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제2 지지 스트립(122)은 제1 지지 스트립(121)과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 스틸 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지지 스트립(122)의 탄성 복원력과는 상이한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으므로 브러시(110)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터(5)와 접촉되는 하단부위에 대한 탄성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러빙에 따른 열 발생과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 스트립(120)은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121)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백 플레이트(130)와 대향되는 제2 지지 스트립(122)에는 상기 제1 지지 스트립(121)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1,2 지지 스트립(121,122)이세로 방향으로 각각 분할되는데, 제1 지지 스트립(121)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스트립(122)에 비해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로터(5)와 지지 스트립(120)이 접촉되어 세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브러시(110)의 길이 방향에서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유체가 PH에서 PL로 이동될 경우 브러시(110)에 밀착된 제1 지지 스트립(121)이 길이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브러시(110)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스트립(120)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되고 브러시(110)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121)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나머지 제2 지지 스트립(122)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121)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 경우 브러시(110)와 밀착된 지지 스트립(120)이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횡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탄성 변형되는 경우 브러시(110)에 대한 지지력 향상과 변형 발생을 최소화 시켜 장기간 사용시에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스트립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스트립(120)은 브러시(110)의 대향면에 형성된 압력 포켓(122)이 상기 지지스트립(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에 형성된 압력 포켓과 중앙 및 상측에 형성된 압력 포켓은 반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단에 형성된 압력 포켓의 반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경우 증가된 반경에 유입되는 유체량이 증가되어 브러시(110)의 하단을 향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압력 변동으로 인한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130)는 지지스트립(120)과 대향되는 대향면이 압력 포켓(122)의 라운드진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백 플레이트(130)가 지지스트립(120)에 밀착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고압의 유체가 브러시(110)를 경유하여 백 플레이트(130)로 이동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압력 변동으로 인한 진동 발생을 상대적으로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앵커링 부재(240)는 ㅁ자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 스트립(220)에서 연장된 연장부(223)의 외주면에 일면이 밀착되고 다른면은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에 완전 밀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된다.
앵커링 부재(240)는 앵커링 부재 삽입홈(13b)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삽입된 이후에도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고 지지 스트립(220)에 대한 고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브러시(210)에 대한 고정 상태를 전 구간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로 인해 러빙 형상으로 인한 브러시(110)의 오작동을 예방하여 안정적으로 실링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100,100a,200,200a : 브러시 실 어셈블리
110,210 : 브러시
120,220 : 지지 스트립
130,140,230 : 백플레이트
240 : 앵커링 부재
121,224 : 굴곡부
122,225 : 압력 포켓

Claims (20)

  1.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된 제1 지지 스트립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스트립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제2 지지 스트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 브러시 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의 타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브러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의 일단과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단이 상기 브러시 삽입홈의 중간부에 용접 고정되며, 상기 브러시와 상기 지지 스트립의 양측이 상기 백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트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와 상기 브러시 사이에 압력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트립은,
    상기 브러시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브러시의 일단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절곡부의 일단에서 상기 브러시의 타측면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와 상기 브러시 사이에 압력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의 타측에, 상기 연장부를 상기 브러시에 대하여 가압 지지하는 앵커링 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는 브러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삽입홈의 일측에 상기 앵커링 부재가 삽입되는 앵커링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부재 삽입홈은 상기 브러시 삽입홈의 일측에서 상기 로터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트립의 상기 로터 대향단은, 상기 브러시의 타단 보다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기 로터 대향단은, 상기 지지 스트립의 상기 로터 대향단 보다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15. 삭제
  16.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제2 지지 스트립에는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 브러시 실 어셈블리.
  17. 터빈의 고정익과 로터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로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스트립; 및
    상기 지지 스트립의 일측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스트립은 하단에서부터 상부 일정 구간까지 연장되고 브러시와 대향되는 제1 지지 스트립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분할 형성되고. 나머지 제2 지지 스트립은 상기 제1 지지 스트립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 브러시 실 어셈블리.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력 포켓은,
    지지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된 브러시 실 어셈블리.
  19.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18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스트립과 대향되는 대향면이 상기 백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된 압력포켓의 돌출면과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20.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부재는,
    ㅁ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실 어셈블리.
KR1020140073706A 2014-06-17 2014-06-17 브러시 실 어셈블리 KR10163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706A KR101633546B1 (ko) 2014-06-17 2014-06-17 브러시 실 어셈블리
CN201510296310.7A CN105317470B (zh) 2014-06-17 2015-06-02 刷式密封组件
JP2015121258A JP6023272B2 (ja) 2014-06-17 2015-06-16 ブラシシールアセンブリ
EP15172503.3A EP2957796B1 (en) 2014-06-17 2015-06-17 Brush seal assembly
US14/742,448 US10190432B2 (en) 2014-06-17 2015-06-17 Brush sea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706A KR101633546B1 (ko) 2014-06-17 2014-06-17 브러시 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627A KR20150144627A (ko) 2015-12-28
KR101633546B1 true KR101633546B1 (ko) 2016-06-24

Family

ID=5508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706A KR101633546B1 (ko) 2014-06-17 2014-06-17 브러시 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389B1 (ko) * 2017-06-20 2018-09-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브러시 실 어셈블리
KR101930632B1 (ko) * 2017-05-17 2018-12-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브러시 실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1027A1 (en) 2000-09-08 2002-03-14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resistance magnetic silicone rubber body for brush seals in turbomachinery and methods of application
US20040018085A1 (en) * 2002-07-23 2004-01-29 General Electric Company Brush seal for a rotary machine and method of retrofitting
JP2007092997A (ja) * 2005-09-22 2007-04-12 General Electric Co <Ge> タービン及びターボ機械用の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710894D1 (de) * 1997-09-25 2003-11-27 Alstom Switzerland Ltd Bürstendichtung
US6790001B2 (en) 2002-11-22 2004-09-14 General Electric Company Brush seal arrangement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1027A1 (en) 2000-09-08 2002-03-14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resistance magnetic silicone rubber body for brush seals in turbomachinery and methods of application
US20040018085A1 (en) * 2002-07-23 2004-01-29 General Electric Company Brush seal for a rotary machine and method of retrofitting
JP2007092997A (ja) * 2005-09-22 2007-04-12 General Electric Co <Ge> タービン及びターボ機械用のシ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632B1 (ko) * 2017-05-17 2018-12-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브러시 실 어셈블리
KR101898389B1 (ko) * 2017-06-20 2018-09-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브러시 실 어셈블리
US10663064B2 (en) 2017-06-20 2020-05-2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Brush se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627A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3272B2 (ja) ブラシシールアセンブリ
US8025296B2 (en) Shaft sealing mechanism
KR101271363B1 (ko) 터빈 날개 및 가스 터빈
US8282285B2 (en) Bearing support
US20120119447A1 (en) Transition Piece Sealing Assembly
EP2957726B1 (en) Brush seal assembly
KR101832641B1 (ko) 축 시일 장치 및 회전 기계
EP2955421A1 (en) Brusch seal assembly
RU260719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узел и ротационная машина
KR101633546B1 (ko) 브러시 실 어셈블리
KR101329622B1 (ko) 터빈용 하이브리드 실링장치
KR101620166B1 (ko) 브러시 실 어셈블리
JP6358976B2 (ja) タービン用シール装置及びタービン、並びにシール装置用の薄板
KR101616620B1 (ko) 브러시 실 어셈블리
KR101643900B1 (ko) 터빈 실링을 위한 탄성 실
CN216382245U (zh) 气体轴承组件及燃气轮机
JP2005002995A (ja) 軸シール機構、軸シール機構の組み付け構造、及び大型流体機械
KR101616619B1 (ko) 브러시 실 어셈블리
CN210289849U (zh) 一种弹性汽封
EP3184753B1 (en) Sealing structure for turbine
JP3917997B2 (ja) 軸シール機構
US20140138918A1 (en) Seal assembly including partially filled gaps
KR101548871B1 (ko) 브러시실 조립체
CN210289848U (zh) 一种活动汽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