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41B1 - 마우스 - Google Patents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41B1
KR101632841B1 KR1020150107079A KR20150107079A KR101632841B1 KR 101632841 B1 KR101632841 B1 KR 101632841B1 KR 1020150107079 A KR1020150107079 A KR 1020150107079A KR 20150107079 A KR20150107079 A KR 20150107079A KR 101632841 B1 KR101632841 B1 KR 10163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tton
user
mouse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유
이정완
노승우
김영선
김진섭
성대현
김지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는, 기판이 수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 개의 마우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우스{MOUSE}
본 발명은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이 쉽게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키보드와 더불어 컴퓨터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입력장치이다.
특히 최근 들어 윈도우 운영체제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 사용자 수 및 사용시간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마우스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치가 되었다.
마우스는 크게 전통적인 타입인 데스크탑 마우스와 펜 마우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데스크탑 마우스의 경우에는 바닥면이 넓어서 안정감은 있지만 사용시에 사용자의 손목이 꺾어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는 현대인에게는 손목에 많은 무리가 따르고 있다. 상기 펜형 마우스는 소형이고 쥐기 편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바닥면이 작아서 안정감과 정확성이 떨어지고, 소형이라는 점이 점점 더 부각됨에 따라 부품들의 소형화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에 대한 다양한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05년 6월 1일에 출원된 KR 2005-0046651에는 '리모콘 겸용 광마우스'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2015년 6월 4일에 출원된 KR2015-0078999에는 '크기조절 마우스'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마련되어, 휴대 가능하고,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 마우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하여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름으로써 좌우 클릭 기능 및 기능 단수 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능 단수 조절 후 케이스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단축키들을 구현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여 모든 스마트 기기에서 입력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주관절 이단 이하의 부분이 절단된 장애인뿐만 아니라, 손목의 터널증후군의 환자와 같이 관절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까지 사용대상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사업장 내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마우스 부품들을 활용할 수 있고, 구매가 용이하여 저렴한 부품들로 구성하여 제조 단가가 낮고 소형화가 가능한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는, 기판이 수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 개의 마우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케이스의 3차원적인 이동에 의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을 누름으로써 좌우 클릭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름으로써 기능 단수 조절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른 후에, 상기 케이스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단축키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는 광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바닥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커서의 이동 기능이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마우스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고정부가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시소 운동 가능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스 상에서 이동 후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과 접하는 중앙 돌출요소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앙 돌출요소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연결 요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요소의 일단은 상기 중앙 돌출요소에 구비된 제1 장착 요소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요소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제2 장착 요소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 의하면,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마련되어, 휴대 가능하고,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 마우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 의하면,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하여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름으로써 좌우 클릭 기능 및 기능 단수 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능 단수 조절 후 케이스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단축키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 의하면,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여 모든 스마트 기기에서 입력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 의하면, 주관절 이단 이하의 부분이 절단된 장애인뿐만 아니라, 손목의 터널증후군의 환자와 같이 관절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까지 사용대상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사업장 내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 의하면, 기존의 마우스 부품들을 활용할 수 있고, 구매가 용이하여 저렴한 부품들로 구성하여 제조 단가가 낮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케이스와 고정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좌우 클릭 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기능 단수 조절 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복수 개의 단축키가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케이스와 고정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4(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좌우 클릭 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5(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기능 단수 조절 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6(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에서 복수 개의 단축키가 구현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a) 및 (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는 케이스(100) 및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예를 들어 광마우스의 본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200)는 케이스(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고정부(200)에 손목을 착용한 상태에서 팔을 움직임으로써, 케이스(100) 또는 고정부(200)가 이동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마우스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 내에는 기존의 광마우스 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판에는 광원이 구비될 수 있고, 광원으로부터의 빔이 일정한 표면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기판에는 광센서(110)가 구비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빔이 일정한 표면에 반사되어 수광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하단에 구비된 홀(102)을 통하여 광센서(11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센서(110)로부터 수광된 신호는 마우스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닥면에서 케이스(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광센서(110)로부터 케이스(100)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어, 그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커서의 이동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검출 방식에 따라서는 관성식, 자이로식, 실리콘반도체식이 있으며, 진도계나 경사계 등도 가속도 센서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에서는 가속도 센서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케이스(100)의 움직임, 예를 들어 3차원적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움직임, 예를 들어 XYZ 좌표 상의 3차원적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마우스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100)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아두이노 마이크로(Arduino Micro)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아두이노 마이크로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장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도 3(a) 및 (b)를 참조하여,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이 마우스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가속도 센서에서 XYZ축 값을 측정하게 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계산하여 화면이 위, 아래로 스크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화면은 위로 스크롤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화면은 아래로 스크롤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으로부터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스크롤 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케이스(100) 및 고정부(200)의 3차원적인 이동을 감지하여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 및 (b)를 다시 참조하여,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 및 중앙 돌출요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이 각각 두 개의 버튼으로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및 적어도 제2 버튼(130)의 중앙에 중앙 돌출요소(140)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은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은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을 누르기 위해서 고정부(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10)는 고정부(200)의 하단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이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10) 또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4(a)를 참조하여,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고정부(2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케이스(100)에 대하여 팔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10) 중 좌측에 배치된 돌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중 좌측에 배치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여,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고정부(2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케이스(100)에 대하여 팔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10) 중 우측에 배치된 돌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중 우측에 배치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200)를 케이스(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마우스의 좌우 클릭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의 좌우 클릭 기능은 마우스의 좌측 버튼 및 우측 버튼을 클릭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마우스의 좌측 버튼 및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서로 다른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은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은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방(예를 들어 손을 향하여) 및 후방(예를 들어 팔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르기 위해서 고정부(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이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220) 또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5(a)를 참조하여,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고정부(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케이스(100)에 대하여 팔을 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220) 중 전방에 배치된 돌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 중 전방에 배치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여,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고정부(2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케이스(100)에 대하여 팔을 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220) 중 후방에 배치된 돌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 중 후방에 배치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200)를 케이스(1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마우스의 기능 단수 조절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능 단수는 1단, 2단, 3단, 4단 및 5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단이 기본이 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 중 전방에 배치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1단 및 2단이 선택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 중 후방에 배치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4단 및 5단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기능 단수 조절 방법에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사용자가 설정하는 바에 따라서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기능 단수가 설정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움직임에 의해, 예를 들어 케이스(100) 및 고정부(200)를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복수 개의 단축키들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 단수 설정에 따른 복수 개의 단축키 구현은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기능 단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1단 스크롤 ↑ 스크롤↓ ESC 작업관리자 창
2단 Ctrl + z
(되돌리기)
Ctrl + Shift + z
(다시 실행)
3단 스크롤 ← 스크롤 →
4단 Alt + ←
(뒤로 가기)
Alt + →
(앞으로 가기)
5단 Ctrl + c Ctrl + v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1단, 2단, 3단, 4단 또는 5단이 설정된 후에, 도 3(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0) 및 고정부(2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기능 단수가 설정된 후에 도 6(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 다양한 단축키가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1단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ESC 키가 실행되고,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작업관리자 창이 실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2단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Ctrl + z 단축키가 실행되고,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Ctrl + Shift + z 단축키가 실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3단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좌측으로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고,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우측으로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4단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Alt + ← 단축키가 실행되고,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Alt + ← 단축키가 실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5단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Ctrl + c 단축키가 실행되고,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Ctrl + v 단축키가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에 의한 기능 단수 조절 기능과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케이스(100) 및 고정부(200)의 3차원적인 이동을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단축키 또는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단축키의 구현 방식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에 의한 기능 단수 조절 기능과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에 의한 좌우 클릭 기능이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단축키가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에 의한 기능 단수 조절 기능과 광센서(110)에 의한 커서의 이동 기능이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단축키가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을 누름으로써 구현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전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된 다양한 단축키의 구현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를 PC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그 외의 기능 구현은 스마트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다양한 단축키를 누르기 위해서는 손가락이 두 개 이상 있어야만 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는 손가락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팔을 움직임으로써 용이하게 단축키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30)의 사이 공간에는 중앙 돌출요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돌출요소(140)는 예를 들어 케이스(100)에서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상단으로부터 고정부(20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중앙 돌출요소(140)의 상단은 고정부(200)의 하단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돌출요소(140)에 의해서 고정부(200)는 케이스(100)에 대하여 시소 운동할 수 있다.
도 4(a) 및 (b)를 다시 참조하여, 고정부(200)는 케이스(100)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후에 원상 복귀될 수 있다. 또는, 도 5(a) 및 (b)를 다시 참조하여, 고정부(200)는 케이스(100)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후에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0) 및 고정부(200)는 연결 요소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의 일단은 케이스(100)의 중앙 돌출요소(140)의 모서리 측에 구비된 제1 장착 요소(150)에 연결되고, 연결 요소의 타단은 고정부(200)에서 제1 장착 요소(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장착 요소(2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착 요소(150) 및 제2 장착 요소(230)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 요소가 장착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 것 가능하다.
또한,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고무줄 또는 스트링(string)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부(200)는 케이스(100)에 대하여 용이하게 원상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여, 고정부(200)는 플레이트(202) 및 밴드 요소(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2)에는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202)는 케이스(100)의 상단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2)에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된 밴드 요소(20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 예를 들어 밴드 요소(204)에는 예를 들어 벨크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목 두께에 따라서 길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에서는 고정부(200)에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고정부(200)에 손목과 인접한 팔 또는 손이 착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밴드 요소(204)에는 디스플레이 요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는 예를 들어 LCD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마우스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팔 움직임에 의한 마우스의 구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모든 스마트 기기에서 입력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마련되어, 휴대 가능하고,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 마우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주관절 이단 이하의 부분이 절단된 장애인뿐만 아니라, 손목의 터널증후군의 환자와 같이 관절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까지 사용대상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사업장 내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마우스 부품들을 활용할 수 있고, 구매가 용이하여 저렴한 부품들로 구성하여 제조 단가가 낮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마우스
100: 케이스
102: 홀
110: 광센서
120: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
130: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
140: 중앙 돌출요소
150: 제1 장착 요소
200: 고정부
202: 플레이트
204: 밴드 요소
210: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
220: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
230: 제2 장착 요소

Claims (10)

  1. 기판이 수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복수 개의 마우스 기능이 구현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과 접하는 중앙 돌출요소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연결 요소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앙 돌출요소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름으로써 기능 단수 조절이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른 후에, 상기 케이스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단축키가 구현되는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케이스의 3차원적인 이동에 의해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마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을 누름으로써 좌우 클릭 기능이 구현되는 마우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는 광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바닥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커서의 이동 기능이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마우스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비되는 마우스.
  7.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착용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고정부가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시소 운동 가능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스 상에서 이동 후 원상 복귀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과 접하는 중앙 돌출요소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연결 요소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앙 돌출요소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름으로써 기능 단수 조절이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누른 후에, 상기 케이스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단축키가 구현되는 마우스.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의 일단은 상기 중앙 돌출요소에 구비된 제1 장착 요소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요소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제2 장착 요소에 장착되는 마우스.
  10. 삭제
KR1020150107079A 2015-07-29 2015-07-29 마우스 KR101632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79A KR101632841B1 (ko) 2015-07-29 2015-07-29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79A KR101632841B1 (ko) 2015-07-29 2015-07-29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41B1 true KR101632841B1 (ko) 2016-06-22

Family

ID=5636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079A KR101632841B1 (ko) 2015-07-29 2015-07-29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65A (ko) * 2017-06-27 2019-01-04 제일정보통신(주) 3d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장애인용 마우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2808A1 (en) * 2005-11-22 2009-06-25 Planmeca Oy Apparatus in Dental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Belonging to the Same
KR20100074461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감지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3차원 마우스 장치 및 방법
KR101221820B1 (ko) * 2012-05-30 2013-01-24 고한덕 사용이 편리한 발마우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2808A1 (en) * 2005-11-22 2009-06-25 Planmeca Oy Apparatus in Dental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Belonging to the Same
KR20100074461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감지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3차원 마우스 장치 및 방법
KR101221820B1 (ko) * 2012-05-30 2013-01-24 고한덕 사용이 편리한 발마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65A (ko) * 2017-06-27 2019-01-04 제일정보통신(주) 3d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장애인용 마우스
KR101956076B1 (ko) * 2017-06-27 2019-03-12 제일정보통신(주) 3d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장애인용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7927B1 (en) X-Y navigation input device
US10452174B2 (en)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US8711093B2 (en) Input device with photodetector pairs
JP4944030B2 (ja) 回転検出を備えたパックベースの入力デバイス
US7616195B2 (en) One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extensions of the slide pad
US7081883B2 (en) Low-profile multi-channel input device
US20050219355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KR20050025837A (ko) 포인팅 장치 및 그 방법
WO2015043518A1 (zh) 一种三维控制鼠标及其使用方法
JP2008203911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20050264522A1 (en) Data input device
US9141230B2 (en) Optical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input apparatus and methods
KR101632841B1 (ko) 마우스
JP2005327252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JPH02222019A (ja) 入力装置
TW201235894A (en) Undirectional mouse
TWI603231B (zh) 游標控制裝置與方法
KR20230027136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KR101606118B1 (ko) 웨어러블 포인팅 장치
KR10201531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0989A (ko) 아이 볼 마우스
KR20040020262A (ko)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TWI763191B (zh) 具有觸控功能之滑鼠裝置
WO2021075194A1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