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648B1 -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의 방향 변경 - Google Patents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의 방향 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648B1
KR101632648B1 KR1020147013090A KR20147013090A KR101632648B1 KR 101632648 B1 KR101632648 B1 KR 101632648B1 KR 1020147013090 A KR1020147013090 A KR 1020147013090A KR 20147013090 A KR20147013090 A KR 20147013090A KR 101632648 B1 KR101632648 B1 KR 10163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handset
transmission power
updated
user
transm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951A (ko
Inventor
알빈드 비자이 키르띠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9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부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현예 및 기법이 일반적으로 논의된다. 사용자의 방향에서의 변경은 사용자에 의하여 흡수된 방사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의 방향 변경{CHANGING THE ORIENTATION OF A USER BASED AT LEAST IN PART ON TRANSMIT POWER}
여기에서 달리 지적되지 않는다면, 본 섹션에서 설명되는 접근법은 본 출원에서 청구범위에 대한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포함함으로써 선행 기술로 인정되지 않는다.
휴대 전화 사용자의 머리 및 목 부위는 휴대 전화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의 50퍼센트까지를 흡수한다. 이러한 흡수 및 그에 따른 신호 파워에서의 손실은 감소된 통화 품질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가 보통, 전송된 파워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응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휴대 전화 사용자에 의해 흡수되는 방사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 및 목에 의해 흡수된 그러한 방사선은 종양 및 기타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관련된다.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관련된 일부 예시적인 장치 및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핸드셋(handset)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모바일 핸드셋은 하우징, 프로세서, RF 트랜시버, 안테나, 가속도계 및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RF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는 RF 트랜시버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속도계는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는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 중 하나를 진동시켜 모바일 핸드셋의 사용자에 의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pivot)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모바일 핸드셋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모바일 핸드셋과 연관된 제1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과 연관된 갱신된 전송 파워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핸드셋과 통신 중일 수 있는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로의 시그널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제품은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는 모바일 핸드셋과 연관된 제1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과 연관된 갱신된 전송 파워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핸드셋과 통신 중인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로의 시그널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요약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상술된 예시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그리고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그리고 특징들 또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내용은 본 명세서의 결론부에서 특히 언급되고 명백히 청구된다. 본 개시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충분히 명백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개시에 따른 단지 몇 개의 실시예를 묘사할 뿐이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될 것임을 이해하면서,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스캐터링(scattering)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스캐터링의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는 방사선에의 사용자의 증가된 노출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는 방사선에의 사용자의 감소된 노출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전송 파워 대 방향의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청구된 대상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과 함께 다양한 예시를 제시한다. 그러나, 청구된 대상이 여기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세부사항의 일부 또는 그 이상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부 상황에서, 잘 알려진 방법, 절차, 시스템, 컴포넌트 및/또는 회로는 청구된 대상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문맥에서 달리 지시하고 있지 않은 한, 통상적으로,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그리고 청구범위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제시되는 대상의 범위 또는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른 실시예가 이용되거나,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되는 본 개시의 양태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음과 이 모두가 여기에서 명백히 고려되고 본 개시의 일부가 됨이 기꺼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그 중에서도,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관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련된다.
머리 및 목에 의해 흡수되는 모바일 핸드셋 방사선이 종양 및 기타 질병을 야기한다고 믿을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또한 질병 발생률을 감소시키거나 그러한 질병의 발생을 적어도 늦출 수 있다.
휴대 전화 사용자의 머리 및 목 영역은 모바일 핸드셋에 의하여 방출되는 방사선을 50퍼센트까지 흡수한다. 이러한 흡수는 모바일 핸드셋에 대한 신호 파워에서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신호 파워에서의 손실에 응답하여, 모바일 핸드셋은 보통 전송된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흡수되는 방사선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를 바르게 지향시킴으로써, 사용자를 통한 신호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적절한 방향에 의하여, 모바일 핸드셋이 보다 많은 에너지를 그 기지국에 수송할 수 있는 경우, 파워 제어 알고리즘은 모바일 핸드셋에 의해 전송되는 파워를 낮출 수 있다. 그러한 낮춰진 전송 파워의 이익은 사용자로의 대응하는 보다 낮은 수준의 방사선 노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모바일 핸드셋은 방향의 함수로서 전송된 파워를 측정할 수 있고 머리에서의 방사선 흡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방향을 변경(예컨대, 돌아서기 및/또는 귀 바꾸기)하도록 권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핸드셋은 기지국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수송할 수 있고 파워 제어 알고리즘은 모바일 핸드셋에 의해 전송되는 파워를 낮출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은 (예컨대, 스크린 상의 디스플레이된 화살표, 오디오 톤 및/또는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방향에서의 요청된 변경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형의 오디오 톤은 모바일 핸드셋의 사용자에 의한 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낼 수 있는 한편 제2 유형의 오디오 톤은 모바일 핸드셋 사용자에 의한 반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프로세서(102), RF 트랜시버(104), 안테나(106), 가속도계(108) 및/또는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핸드셋(100)은 명확성을 위해서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피커, 디스플레이, 메모리, 라우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 등과 같은 추가적인 사항들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핸드셋(100)의 하우징 (예컨대, 도 2 참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 (CPU)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02)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기타 집적된 포맷일 수 있다.
RF 트랜시버(104)는 프로세서(10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RF 트랜시버(104)는, 일부 구현예에서, 무선 주파수형 (RF) 트랜시버일 수 있다. 또한, RF 트랜시버(104)가 트랜시버의 일 예시인 한편, 청구된 대상은 이러한 점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바일 핸드셋(100)은 예컨대, 별개의 RF 리시버 및 RF 트랜스미터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106)는 RF 트랜시버(10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테나(106)는 루프, 디쉬(dish), 파라볼릭(parabolic), 패널(panel), 섹터(sector), 지향성(directional), 무지향성(omnidirectional)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속도계(108)는 프로세서(10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속도계(108)는 모바일 핸드셋(100)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속도계(108)는 모바일 핸드셋(100)이 눌려지는 얼굴의 측면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가속도계(108)는 사용자의 회전 방향 및/또는 기지국으로의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110)는 프로세서(10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110) 중 하나를 진동시켜 모바일 핸드셋(100)의 사용자에 의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모바일 핸드셋(100)은 도 8에 관하여 이하에서 논의된 다양한 기능 모두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핸드셋(100)은 또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도 8의 동작 중 임의의 것을 착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방향 조정 로직(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조정 로직(112)은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청구된 대상은 특정 유형의 프로세싱 로직 또는 프로세싱 로직의 나타남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의 상면도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하우징(202)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110)는 하우징(202) 외부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패드(110) 중 하나는 가늘고 긴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모바일 핸드셋(100)의 왼쪽 부분(20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진동 패드(110) 중 하나는 가늘고 긴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모바일 핸드셋(100)의 오른쪽 부분(206)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이중의 진동 패드(110)는 사용자에게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라고 경고할 수 있다. 그러한 이중의 진동 패드(110)의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사려있는 방법일 수 있다.
동작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진동 패드(110) 중 하나를 진동시킴으로써 방향에서의 요청된 변경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이 서쪽을 마주하면서 북쪽을 마주하는 사용자는 (즉, 전화기가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있음) 진동 패드(110) 중 뒤에 있는 것을 진동시킴으로써 동쪽으로 돌아서 마주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보다 많은 양의 진동(예컨대, 보다 높은 진동 및/또는 보다 많은 수의 반복된 진동 펄스)은 보다 큰 각도만큼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시그널링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양의 진동(예컨대, 보다 낮은 진동 및/또는 보다 적은 수의 반복되는 진동 펄스)은 보다 작은 각도만큼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핸드셋(100)은 스크린(208)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예컨대, 지향성 화살표)에 의해 방향 변경(orientation-change)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시각적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스피커폰 또는 무선 헤드폰을 사용 중이고 여전히 방사선 노출을 감소시키도록 방향을 최적화하기 원하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핸드셋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무선 경로가 모바일 핸드셋 및 기지국 간에 직선일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는 스캐터링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모바일 핸드셋(100)은 가장 강한 무선 경로를 나타내는 방향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몸 또는 머리 방향을 조정하도록 권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통신 네트워크(300)의 기지국(302) 부분은 하나의 반사 산란체(scatterer)(306)를 경험하는 무선 경로(304)를 통하여 모바일 핸드셋(100)으로부터 및 모바일 핸드셋(100)으로의 통신을 라우팅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복수의 모바일 핸드셋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300)는, 특정 응용에 따르면,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모바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을 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network),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300)는 인터넷 액세스를 복수의 모바일 핸드셋에 제공하는 임의의 수의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여기에서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시된 것이고 통신 네트워크(300)가 명료함을 위하여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300)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302), 기지국 컨트롤러, 모바일 스위칭 센터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여기에서 예시되지 않은 임의의 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 중에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300)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100)은 통신 네트워크(300)의 기지국(302) 부분과 통신하여 배열(예컨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바일 핸드셋"이라는 용어는 예컨대, 휴대 전화, PDA(personal data assistant),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모바일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야외 스캐터링은 모바일 핸드셋(100)이 신호(304)를 (빌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캐터링 대상(306)에 산란시켜 기지국(302)으로 가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302)으로의 직접적인 경로로 가는 신호(308)는 스캐터링 대상(31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 4는 모바일 핸드셋(100) 및 기지국(302)(예컨대, 도 3 참조) 사이의 거리를 횡단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직면될 수 있는 스캐터링의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실내 스캐터링은 모바일 핸드셋(100)이 신호(404)를 (벽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캐터링 대상(406)에 산란시켜 (예컨대, 창문과 같은) 비-스캐터링 대상(410)으로 가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 모바일 핸드셋(100)에 의해 생성된 방사선 거의 모두는, 유일한 출구인 창문 등을 통하도록, 벽에서 반사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모바일 핸드셋(100)은 사용자에게 모바일 핸드셋(100)을 비-스캐터링 대상(410)을 향하여 지향하도록 권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는 방사선에의 사용자의 증가된 노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500)의 방향은 모바일 핸드셋(100)에 의해 생성된 방사선의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신호(504)가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통신 네트워크(300)의 기지국(302) 부분으로 지날 수 없도록, 지향되어 모바일 핸드셋(100)을 배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500)는, 사용자(500)에 의해 흡수된 방사선(506)의 부분 및/또는 공간에서 손실된 방사선(508)의 부분이 모바일 핸드셋(100)이 보다 유리하게 배치되었던 경우인 때보다 크도록, 지향되어 모바일 핸드셋(100)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500)에 의하여 흡수된 방사선(506)의 부분 및/또는 공간에서 손실된 방사선(508)의 부분이 증가되는 경우에, 모바일 핸드셋(100)은 또한 전송 파워를 증가 (그리고 전체적인 방사선 출력에서 대응하여 증가)시켜 신호(504)에 대한 동일한 신호 세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는 방사선에의 사용자의 감소된 노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500)의 방향은 모바일 핸드셋(100)에 의해 생성된 방사선의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500)는, 신호(504)가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통신 네트워크(300)의 기지국(302) 부분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지향되어 모바일 핸드셋(100)을 배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500)는, 사용자(500)에 의해 흡수된 방사선의 부분 및/또는 공간에서 손실된 방사선(508)의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지향되어 모바일 핸드셋(100)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500)에 의해 흡수된 방사선의 부분 및/또는 공간에서 손실된 방사선(508)의 부분이 최소화되는 경우에, 모바일 핸드셋(100)은 또한 전송 파워를 감소 (그리고 전체적인 방사선 출력에서 대응하여 감소)시켜 신호(504)의 동일한 신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둘 이상의 진동 패드(100) 중 하나를 진동시켜 (예컨대, 도 2 참조) 모바일 핸드셋(100)의 사용자(500)에 의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핸드셋(100)은 모바일 핸드셋(100)과 연관된 제1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100)의 제1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100)과 연관된 갱신된 전송 파워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100)의 갱신된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기지국(302)에 대한 사용자(500)의 방향을 더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500)로의 (예컨대, 도 2 참조하면, 진통 패드(110)를 통하는 바와 같은) 시그널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전송 파워 대 방향의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맵(7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핸드셋(100)은 주어진 지리적 위치에서 두 개 이상의 방향에 대한 전송 파워를 매핑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전송 파워는 모든 (또는 수개의) 사전에 트래버스 측량된(traversed) 지리적 위치(예컨대, 주어진 위도 및 경도)에 대한 방향에 대향하여 매핑될 수 있다. 맵(700)은 스크린(208)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디스플레이 [예컨대, 지향성 화살표(702) 등]에 의해 방향-변경의 방향 (예컨대, 감소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추천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에서, 모바일 핸드셋(100)은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는 개개의 위치에 대하여 전송 파워 대 방향의 기록을 계속할 수 있다. 위치는 내장된 GPS 및/또는 기타 센서에 의하여 결정 [또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핸드셋(100)에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기타 센서는 고도계형 센서, 가속도계형 센서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은 내장 가속도계(108)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예컨대, 도 1 참조). 수개의 전화 통화 및 수반되는 측정 이후에, 모바일 핸드셋(100)은 (적어도, 사전에 사용된 위치에 대하여) 추천된 방향 [예컨대, 지향성 화살표(702) 등]을 따라 전송 파워 대 방향의 맵(700)을 생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맵(700)으로, 사용자는, 전화를 받거나 전화 통화를 시작하는 경우, 모바일 핸드셋(100)을 지면에 평행하게 들어 사용자가 마주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프로세스(800) 및 여기에서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 단계, 기능적인 동작, 이벤트 및/또는 작용 등으로 설명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적인 블록 또는 작용을 제시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비추어 도 8에 도시된 기능적인 블록에 다양한 대안이 다양한 구현예에서 실시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800)가 하나의 특정 순서의 블록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블록 또는 작용이 나타난 순서가 청구된 대상을 임의의 특정 순서로 제한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 8에 도시되지 개재 작용 및/또는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작용이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도 8에서 도시된 작용 중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프로세스(800)는 예시적인 동작(802, 804, 806 및/또는 808)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기능적인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프로세스(800)가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은 “제1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동작(802)에서 시작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전송 파워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핸드셋과 연관된 그러한 제1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제1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모바일 핸드셋은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을 가속도계를 통하여 결정할 수 있고 제1 방향을 결정된 제1 전송 파워와 연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이란 용어는 사용자로의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 및/또는 기지국으로의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은 사용자 및/또는 기지국에 관할 수 있다(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는 모바일 핸드셋-기지국 시선을 방해함). 일부 예시에서, 방향에서의 변경은 사용자의 신체를 돌아섬으로써 및/또는 전화 통화에 사용되는 귀를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동작(802)으로부터 “갱신된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동작(804)으로 계속될 수 있고, 여기서 갱신된 전송 파워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핸드셋과 연관된 그러한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과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모바일 핸드셋은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을 가속도계를 통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갱신된 방향을 결정된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은 갱신된 전송 파워의 결정에 앞서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에서,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은 모바일 핸드셋의 사용자에 의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도록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를 진동시키는 것(또는 기타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가 방향을 변경하는 요청을 무시하는 경우, 모바일 핸드셋은 사용자가 방향을 최적화하는 것에 참여하기에 통화에 너무 몰두한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방향 변경 요청을 발행하는 것을 완전히 중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스(800)는 기간 동안 및/또는 주어진 통화 동안 방향-변경 요청을 발행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핸드셋이 빠른 페이딩(fading)에 응답하는 상황에서 전송 파워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페이딩의 기간은 보통 150 밀리초보다 빠를 수 있다. 예컨대, 전송 파워가 1.5초 동안 평균되는 경우 (예컨대, 10회 이상의 페이딩 사이클), 전송 파워의 비교적 정확한 지식이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빠른 페이딩에 의해 영향 받을 경우 보다 느리게 (예컨대, 매 1.5초마다 한번 보다 느리게) 방향 변경 명령이 발행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동작(804)로부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제1 전송 파워와 비교”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갱신된 전송 파워는 제1 전송 파워에 비교될 수 있다. 예컨대,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제1 전송 파워에 비교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동작(806)으로부터 “사용자의 방향을 추가로 변경하도록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는 동작(808)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도록 시그널링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도록 시그널링 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그러한 시그널링은 갱신된 전송 파워와 제1 전송 파워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가 제1 전송 파워보다 낮아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 변경을 계속하도록 시그널링 받을 수 있다. 갱신된 전송 파워가 제1 전송 파워 보다 높은 경우에, 사용자는 방향 변경의 방향을 반전하도록 시그널링 받을 수 있다. 프로세스(800)는 전반적인 최소 전송 파워 또는 국지적인 최소 전송 파워가 결정될 때까지 및/또는 미리 설정된 수의 신호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때까지 동작(804 내지 808)을 반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핸드셋은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핸드셋은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를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직 위치와 연관되는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할 수 있다. 그러한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된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는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된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는 감소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추천된 방향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에서, 프로세스(800)는 모바일 핸드셋으로부터 추출하기에 비교적 간단한 양인, 전송 파워에 흡수된 방사선을 관련시킨다. 프로세스(800)는 모바일 핸드셋에 요청하여 방향의 함수로서 전송 파워를 측정하고 머리에서의 흡수를 감소시키도록 방향을 변경 (예컨대, 사용자가 마주하는 방향 및/또는 귀를 바꿈)하도록 사용자에게 권장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방사선은 (예컨대, 스피커폰/헤드폰 또는 데이터 모드인 경우와 같이) 모바일 핸드셋이 머리 옆에 두어지지 않는 경우라도 방향 변경을 통하여 감소될 수 있다. 그러한 예시에서, 사용자는 몸통을 통한 보다 적은 방사선을 경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이미 스피커폰 사용 중인 경우라도, 방향 변경으로부터 여전히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는 간혹 대량의 파워를 전송할 수 밖에 없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한 예시에서, 주어진 사용자의 상황적인 제약에서라도, 프로세스(800)는 전송 파워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어떻게 회전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을 도시한다. 프로그램 제품(900)은 신호 베어링 매체(90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9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가 도 2에 관하여 상술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90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 1의 시스템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모바일 핸드셋은 매체(902)에 의하여 포함된 명령어(904)에 응답하여 도 8에서 도시된 작용 중 하나 이상을 착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90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등과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90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902)는 메모리, 읽기/쓰기(R/W) CD, R/W DVD 등과 같은 기록 가능 매체(90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902)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waveguide),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통신 매체(7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당업자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0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 예시적인 구성(1001)에서, 컴퓨팅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 및 시스템 메모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버스(1030)가 프로세서(1010)와 시스템 메모리(1020)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P), 마이크로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10)는 레벨 1 캐시(1011) 및 레벨 2 캐시(10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의 캐싱, 프로세서 코어(813) 및 레지스터(10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코어(1013)는 ALU(arithmetic logic unit), FPU(floating point unit), DSP 코어(digital signal processing core),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015)는 또한 프로세서(1010)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 컨트롤러(1015)는 프로세서(1010)의 내부 부품일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10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020)는 운영 체제(1021),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022), 및 프로그램 데이터(1024)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022)은, 도 8의 프로세스(800)에 관하여 설명된 기능적인 블록 및/또는 작용을 포함하는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는 방향 알고리즘(102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1024)는, 방향 알고리즘(1023)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송 파워 데이터(10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022)은,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는 구현예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1021)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1024)와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바일 핸드셋(100)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300)는, 사용자의 방향을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경하는 구현예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102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된 기본 구성은 파선(1001) 내의 컴포넌트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1000)는 추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 및 기본 구성(1001)과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와 인터페이스 간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40)는 저장 인터페이스 버스(1041)를 통한 기본 구성(1001)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1050)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1050)는 분리형 저장 장치(1051), 비분리형 저장 장치(1052),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리형 저장 장치 및 비분리형 저장 장치의 예로는, 몇 가지 말하자면,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장치,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가 포함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020), 분리형 저장 장치(1051) 및 비분리형 저장 장치(1052)는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임의의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장치(10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0)는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40)를 통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면, 출력 인터페이스, 주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기본 구성(1001)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1042)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출력 장치(1060)는 그래픽 처리 유닛(1061) 및 오디오 처리 유닛(1062)을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A/V 포트(1063)를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1070)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71)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1072)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I/O 포트(1073)를 통해 입력 장치(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 또는 다른 주변 장치(예를 들면, 프린터, 스캐너 등)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장치(108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1081)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1082)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상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1090)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링크는 통신 매체의 일 예시일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내의 다른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제한적인지 않은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파, 무선 주파수(RF),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IR)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0)는, 휴대 전화, PDA(personal data assistant),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무선 웹-워치(web-watch) 장치, 개인용 헤드셋 장치, 특수 용도 장치, 또는 위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장치 같은 소형 폼 팩터(small-form factor)의 휴대용(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0)는 또한 랩톱 컴퓨터 및 랩톱이 아닌 컴퓨터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0)는 무선 기지국 또는 기타 무선 시스템이나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의 일부분은 컴퓨터 메모리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 또는 이진 디지털 신호 상에서의 동작의 알고리즘 또는 기호적 표현의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적인 설명 또는 표현은 데이터 프로세싱 분야의 당업자가 그들 연구의 실체를 다른 당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의 예시이다. 여기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은 요구되는 결과로 이끄는 일관된 일련의 동작이나 유사한 프로세싱이 되도록 고려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작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량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보통,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양은 저장, 전송, 조합, 비교나 아니면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주로 일반 관습의 이유로, 비트, 데이터, 값, 요소, 심볼, 문자, 용어, 숫자 또는 번호 등으로 그러한 신호를 지칭하는 것이 때때로 편리함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들 및 유사한 용어 모두는 적절한 물리량과 연관될 것이고, 단지 편리한 라벨(label)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하의 논의로부터 분명하게 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논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기타 정보 저장 장치, 전송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물리적 전자적 또는 자기적 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변환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이나 프로세스와 관련 있음이 인정된다.
청구된 대상은 범위에 있어서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는 예컨대,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에서 동작하도록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드웨어에서 일 수 있는 반면 다른 구현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서 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은 이러한 점에 제한되지 않지만, 일부 구현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 및/또는 저장 매체(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이러한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예컨대, 앞서 설명된 구현예 중 하나와 같이 청구된 대상에 따른 프로세서의 실행이 될 수 있는 저장된 명령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양상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현 사이에는 구별이 거의 없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어떤 맥락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이의 선택이 중요하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design choice)이다. 여기에서 기술된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들이 영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vehicles)(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도가 중요하다고 결정하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firmware) 수단을 선택할 수 있고, 만약 유연성이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또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중 일부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예시의 사용을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예시가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는 한, 당업자라면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또는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실질적으로 그들 임의의 조합의 넓은 범위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에서 기술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의 일부 양상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실질적으로 그들의 조합으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 구현될 수 있다는 알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여기에서 기술된 대상의 수단(mechanism)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포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 기술된 대상의 실시예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signal bearing medium)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신호 베어링 매체의 예시는,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k), 디지털 테이프, 컴퓨터 메모리 등과 같은 판독가능 유형의 매체 및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를 들어, 섬유 광학 케이블, 웨이브가이드,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전송 유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여기서 설명된 형식으로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를 기술하고, 이후, 공학 실무를 사용하여 그러한 기술된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한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는 일반적이란 것을 인식할 것이다. 즉, 여기서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합당한 실험 량을 통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유닛 하우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같은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드라이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엔티티(computational entities), 터치 패드 또는 스크린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 장치, 및/또는 피드백 루프 및 제어 모터(예를 들면, 위치 및/또는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컴포넌트 및/또는 양(quantities)을 이동하고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컴퓨팅/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통신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술된 대상은 때때로 상이한 다른 컴포넌트 내에 포함되거나 접속된 상이한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시된 그러한 아키텍처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고,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다른 많은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컴포넌트의 임의의 배치는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유효하게 "연관"된다.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서 결합된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아키텍처 또는 중간 컴포넌트와는 무관하게,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연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관된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작적으로 연결가능하다는 것의 특정예는 물리적으로 양립가능(mateable)하고 및/또는 물리적으로 인터액팅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무선으로 인터액팅이 가능하고 및/또는 무선으로 인터액팅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논리적으로 인터액팅하고 및/또는 논리적으로 인터액팅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의 용어의 사용에 대하여, 당업자는 맥락 및/또는 응용에 적절하도록, 복수를 단수로 및/또는 단수를 복수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의 치환은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되며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개방적(open)"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용어 "갖는"는 "적어도 갖는"으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함)로 의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입된 청구항의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 청구범위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절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발명들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인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과 같은 부정관사(예를 들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형적으로 해석되어야 함)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정관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전형적으로 적어도 기재된 수(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는 "두개의 기재사항"을 단순히 기재한 것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기재사항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재사항을 의미함)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 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A, B 또는 C 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또한 당업자라면, 실질적으로 임의의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나타내는 구절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두 개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구절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현예", "일 구현예", "일부 구현예", 또는 "다른 구현예"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와 관련되어 기술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모든 구현예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일부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 "구현예", 일 구현예" 또는 "일부 구현예"의 다양한 모습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구현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예시적인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여기에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청구되는 대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균등물로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에 대해 적합하게 하도록 만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이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의 범위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20)

  1. 모바일 핸드셋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전송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전송 파워는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orientation)과 연관됨 -;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핸드셋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전송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 -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는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과 연관됨 -;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상기 제1 전송 파워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pivot)을 나타내도록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 중 하나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상기 제1 전송 파워의 비교 및 방향의 변경의 양을 시그널링하는 진동의 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signal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모바일 핸드셋과 통신 중이며, 그리고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 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가 상기 제1 전송 파워보다 낮은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의 방향 변경을 계속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갱신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갱신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지리적 위치에 연관되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갱신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지리적 위치와 연관되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핸드셋을 통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된 상기 매핑된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된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는 감소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추천된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은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방향은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사용자로의 방향 및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동작적으로,
    모바일 핸드셋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전송 파워를 측정하고 - 상기 제1 전송 파워는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과 연관됨 -;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고;
    상기 모바일 핸드셋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전송 파워를 측정하고 -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는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과 연관됨 -;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상기 제1 전송 파워와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나타내도록 두 개 이상의 진동 패드 중 하나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상기 제1 전송 파워의 상기 비교 및 방향의 변경의 양을 시그널링하는 진동의 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모바일 핸드셋과 통신 중이며, 그리고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을 더 변경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 하는 것은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가 상기 제1 전송 파워보다 낮은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의 방향 변경을 계속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는 또한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동작적으로,
    제1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을 결정하고;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지리적 위치와 연관되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명령어는 또한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동작적으로,
    제1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방향을 결정하고;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갱신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제1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상기 갱신된 전송 파워를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제1 지리적 위치와 연관되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된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갱신된 방향에 대해 매핑된 상기 제1 전송 파워 및 갱신된 전송 파워는 감소된 전송 파워와 연관된 갱신된 방향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방향은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사용자로의 방향 및 상기 모바일 핸드셋의 상기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47013090A 2011-10-19 2011-12-05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의 방향 변경 KR101632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584CH2011 2011-10-19
IN3584/CHE/2011 2011-10-19
PCT/IB2011/055443 WO2013057546A1 (en) 2011-10-19 2011-12-05 Changing the orientation of a user based at least in part on transmit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951A KR20140093951A (ko) 2014-07-29
KR101632648B1 true KR101632648B1 (ko) 2016-06-22

Family

ID=4814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090A KR101632648B1 (ko) 2011-10-19 2011-12-05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의 방향 변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69587A4 (ko)
JP (1) JP5847951B2 (ko)
KR (1) KR101632648B1 (ko)
CN (1) CN103907380B (ko)
WO (1) WO201305754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245A (en) 1995-09-15 1997-10-07 Sharp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Power detector using a constant quiescent voltage divider
US20070287399A1 (en) 2006-06-08 2007-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in wireless terminal
US20100317302A1 (en) 2009-06-12 2010-12-16 Novatel Wirele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f explosure levels
US20110250928A1 (en) * 2010-04-13 2011-10-13 Schlub Robert W Adjustable wireless circuitry with antenna-based proximity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2316B1 (en) * 1995-11-17 2001-08-07 Globalstar L.P. Mobile satellite user information request system and methods
AU722052B2 (en) * 1996-03-12 2000-07-20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realignment in a mobile radiotelephone using an injected audio signal
TW412896B (en) * 1998-07-28 2000-1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apparatus, mobile radio equipment, base sta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JP4025103B2 (ja) * 2002-03-22 2007-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装置
JP2004214923A (ja) * 2002-12-27 2004-07-29 Hitachi Ltd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システム
JP4810601B2 (ja) * 2009-11-30 2011-11-09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245A (en) 1995-09-15 1997-10-07 Sharp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Power detector using a constant quiescent voltage divider
US20070287399A1 (en) 2006-06-08 2007-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in wireless terminal
US20100317302A1 (en) 2009-06-12 2010-12-16 Novatel Wirele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f explosure levels
US20110250928A1 (en) * 2010-04-13 2011-10-13 Schlub Robert W Adjustable wireless circuitry with antenna-based proximity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9587A4 (en) 2015-05-06
EP2769587A1 (en) 2014-08-27
KR20140093951A (ko) 2014-07-29
JP5847951B2 (ja) 2016-01-27
JP2014534715A (ja) 2014-12-18
WO2013057546A1 (en) 2013-04-25
CN103907380B (zh) 2017-07-28
CN103907380A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8659A1 (zh) 波束跟踪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和终端设备
WO2021017975A1 (zh) 电子围栏检测方法及电子设备
EP3356841B1 (en) Cloud-coordinated location system using ultrasonic pulses and radio signals
US10247550B2 (en) Mobile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information thereof
US9037164B2 (en) Changing the orientation of a user based at least in part on transmit power
WO2018161358A1 (zh) 一种导航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US20160173185A1 (en) Use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14099004A1 (en) Apparatus, method and techniques for wearable navigation device
US101818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
KR2018000090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TW201019631A (en) Method and system for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forming with GPS guidance
KR20140090423A (ko) 전자장치에서 다중안테나 전송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86708A (ko)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EP2540065B1 (en) Communication performance guidance in a user terminal
KR20150122190A (ko) 오버로드된 제스처 처리
KR101533672B1 (ko) 빔 형상 커버리지 구성을 통한 사이클링에 의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KR101632648B1 (ko) 전송 파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사용자의 방향 변경
US20170139661A1 (en) Contextual Display State Management for Multi-Display Systems
US20240155303A1 (en) Acoustic configuration based on radio frequency sensing
KR102400089B1 (ko)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US20140152534A1 (en) Selectively Steer Light from Display
KR102244040B1 (ko)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25449B2 (en) Reduction of electromagnetic (EM) radiation from a client device
CN111434154A (zh) 一种终端内外围器件的管理方法及终端
KR102301843B1 (ko) 환경 설정을 변경하여 무선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