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409B1 -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 Google Patents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409B1
KR101632409B1 KR1020160044570A KR20160044570A KR101632409B1 KR 101632409 B1 KR101632409 B1 KR 101632409B1 KR 1020160044570 A KR1020160044570 A KR 1020160044570A KR 20160044570 A KR20160044570 A KR 20160044570A KR 101632409 B1 KR101632409 B1 KR 10163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3pac
lining panel
lay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군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6004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0004
    • B29C47/0019
    • B29C47/0045
    • B29C47/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PAC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저수조에 있어서, 콘크리트층;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분할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공기층을 형성하며,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부와 삽입부가 형성되고, 후방부에 콘크리트층에서 흐르는 결로수가 유입되는 유공홀이 공기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공홀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상기 콘크리트층의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3PAC 라이닝 패널;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결로수가 수집 및 저장되는 집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3PAC Lining panel molding method and using the same water tank}
본 발명은 3PAC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PP(Polypropylene)와 PE(Polyethylene)층으로 이루어지며, 결로수가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PDS 보다 압축강도 및 강성이 높고, 내구성이 강한 3PAC(3Layer Polypropylene/Polyethylene Aqua Construction) 라이닝 패널을 성형하고, 이 3PAC 라이닝 패널을 콘크리트층에 결합함으로써, 결로수가 음용수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결로수에 의해 콘크리트층과 3PAC 라이닝 패널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물, 아파트 및 공공건물 등 대부분의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에는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수조가 옥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고, 공장 등에서는 산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저수조가 설치되고 있으며 그 재질에 따라 스테인리스(Stainless)수조, SMC(Sheet Molding Compound)수조, FRP(Fiber Reinforced Plastic)수조 및 콘크리트(Concrete)수조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수조의 경우,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대형 수조의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부에는 위생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의 내부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편적으로 콘크리트 수조 내부의 위생성과 방수처리를 위하여 에폭시(Epoxy)수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에폭시 수지에서 유해물질이 용출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의 균열과 박리로 인하여 물이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215호에는, PDS(Polyethylene Double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단위 패널이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적인 체결을 통해 저수조의 벽체를 이루며, 수압이 집중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된 저수조 패널층; 음용수를 배출할 때 발생하는 진공현상에 의해 단위 패널이 우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패널에 체결되는 다수의 보강패널; 상기 저수조 패널층의 외측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며, 내부에 보강부재가 함께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층; 및 음용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내측면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제작된 내측패널과, 이 내측패널의 외측면에 구성되어 단위 패널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또는 철 재질로 제작되는 외측패널 및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에 구성되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저수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콘크리트층에 결로가 발생하면서, 이 콘크리트층과 PDS 사이로 결로수가 흐르면서 콘크리트층과 PDS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결로수와 저수조의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가 혼합되면서 음용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로수에 의해 PDS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동반되면서 저수조 시공업자들로부터 PDS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저수조 패널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215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PP와 PE층으로 이루어지며, 결로수가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PDS 보다 압축강도 및 강성이 높고, 내구성이 강한 3PAC 라이닝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저수조의 내부 강성 및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PP와 PE층으로 이루어지는 3PAC 라이닝 패널과 콘크리트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저수조의 내벽면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PAC 라이닝 패널과 콘크리트층 사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누수되어 음용수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결로수에 의해 콘크리트층과 3PAC 라이닝 패널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PE와 PP 수지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수지를 압출 금형부측으로 공급하는 수지 공급단계; (b) 상기 혼합수지가 압출 금형부측으로 공급되면, 3중 압출 성형에 의해 3PAC 라이닝 패널을 성형하는 패널 성형단계; (c)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PP 수지를 일정 두께만큼 코팅하는 PP 수지 코팅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PP 수지가 코팅된 3PAC 라이닝 패널을 냉각하는 패널 냉각단계; 및 (e)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의 일면에 콘크리트층에서 발생하는 결로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공홀과, 상기 유공홀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저수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을 가공하는 패널 후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공급단계는 PE 수지 뿐만 아니라, PP 수지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급호퍼를 통해 상기 수지들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공급단계에는 상기 PE 수지와 PP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와 연결된 혼합수지 공급호퍼를 통해 상기 혼합수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수지는 상기 PE 수지와 PP 수지가 중량비로 9: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P 수지 코팅단계는 상기 PP 수지가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0.5~1.0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홀은 상기 패널 성형단계에서 3PAC 라이닝 패널 성형시 함께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저수조에 있어서, 콘크리트층;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면에 앙카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에 분할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공기층을 형성하며,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부와 삽입부가 형성되고, 후방부에 콘크리트층에서 흐르는 결로수가 유입되는 유공홀이 공기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공홀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상기 콘크리트층의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3PAC 라이닝 패널;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결로수가 수집 및 저장되는 집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은 PE와 PP가 중량비로 9:1의 비율로 혼합되며, 3PAC 라이닝 패널의 외형을 형성하는 혼합수지층과, 상기 혼합수지층의 외면에 도포, 또는 코팅에 의하여 0.5~1mm의 두께로 적층 구성되는 PP 수지층 및 상기 PP 수지층의 외면에 열융착되어 3PAC 라이닝 패널의 연결 부위의 틈을 융착하는 융착부를 밀폐시키며, 저수조의 내면을 이루는 PE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홀에는 상기 유공홀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상기 집수정측으로 방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정에는 상기 방출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층을 관통하여 결로수가 집수정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PDS 보다 압축강도 및 강성이 높고, 내구성이 강한 3PAC 라이닝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저수조의 내부 강성 및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저수조의 내부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PP와 PE층으로 이루어지는 3PAC 라이닝 패널과 콘크리트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저수조의 내벽면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PAC 라이닝 패널과 콘크리트층 사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로수에 의해 콘크리트층과 3PAC 라이닝 패널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의 성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이 구성된 저수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이 구성된 저수조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PAC 라이닝 패널이 구성된 저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3PAC 라이닝 패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공급단계(S110), 패널 성형단계(S120), PP수지 코팅단계(S130), 패널 냉각단계(S140) 및 패널 후가공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지 공급단계(S110)는 3PAC 라이닝 패널을 압출 성형하기 위하여 수지 공급부(10)를 통해 패널의 형상을 성형하는 압출 금형부(20)측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지 공급단계(S110)는 3PAC 라이닝 패널을 성형하기 위해 PE 수지를 압출 금형부(20)측으로 공급하며, 이때 수지 이송 스크류를 통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지 공급단계(S110)는 PE 수지 뿐만 아니라, PP 수지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급호퍼가 구성될 수 있으며, PP 수지와 PE 수지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PP 수지와 PE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부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혼합된 혼합수지를 공급하는 별도의 혼합수지 공급호퍼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PE 수지와 PP 수지의 혼합시 중량비로 PE 수지와 PP 수지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PP 수지의 중량비가 1 중량비를 초과하면, 콘크리트층(208)과의 접착이 용이하지 못하여 결합력을 저하시키게 되고, 1중량비 미만으로 PE 수지와 혼합되면, 3PAC 라이닝 패널의 압축강도가 약해져 저수조의 내구성에 대한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게는 PE 수지와 PP 수지가 중량비 9:1 의 비율로 혼합되어 압출 금형부(20)측으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패널 성형단계(S120)는 수지 공급부(10)를 통해 PE 수지, 또는 혼합수지가 공급되면, 압출 금형부(20)측으로 공급하여 3PAC 라이닝 패널을 압출 성형 방식에 의해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압출 금형부(20)는 3PAC 라이닝 패널의 압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3중 압출 금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PP수지 코팅단계(S130)는 패널 성형단계(S12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3PAC 라이닝 패널의 표면에 PP 수지를 코팅하여 3PAC 라이닝 패널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PP 수지 코팅단계(S130)는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압출 금형부(20)를 통해 압출 성형이 완료된 3PAC 라이닝 패널이 PP 코팅부(30)측으로 이송되고, PP 코팅부(30)에서는 이송된 3PAC 라이닝 패널의 표면에 PP 수지를 일정 두께만큼 코팅하여 3PAC 라이닝 패널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PP 수지는 3PAC 라이닝 패널의 표면에 0.5~1.0mm의 두께로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PP 수지 코팅단계(S130)는 PP 수지의 코팅이 완료되면, 3PAC 라이닝 패널을 냉각부(40)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패널 냉각단계(S140)는 PP 수지가 코팅된 3PAC 라이닝 패널이 냉각부(40)로 이송되면, 소정의 냉기를 통해 3PAC 라이닝 패널을 냉각하는 단계이다.
패널 후가공 단계(S150)는 3PAC 라이닝 패널의 냉각이 완료되면, 후처리 가공부(50)측으로 이송되어 콘크리트층(208)으로부터 발생하는 결로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공홀(220)과, 유공홀(220)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저수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2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패널 후가공 단계(S150)는 콘크리트층(208)과 접합이 이루어지는 3PAC 라이닝 패널의 후방면에만 유공홀(220)을 형성하도록 하고, 배출홀(230)은 별도의 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패널 성형단계(S130)를 통해 성형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3PAC 라이닝 패널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3PAC 라이닝 패널은 앙카볼트 등을 통해 콘크리트층(208)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PE 수지 및 PP 수지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수지층(202)과, 이 혼합수지층(202)의 외면에 도포, 또는 코팅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적층 구성되는 PP 수지층(204)으로 이루어지며, 저수조에 시공이 이루어질 때, PP 수지층(204)의 외면에 융착되는 PE 수지층(206)으로 이루어진다.
혼합수지층(202)은 PE 수지와 PP 수지가 중량비로 9:1의 비율로 혼합되는 혼합수지가 3충 압출 금형에 주입되어 공기층(210), 분할패널(212), 연결부(240), 삽입부(2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3PAC 라이닝 패널의 외형을 형성한다.
PP 수지층(204)은 혼합수지층(202)의 외면에 도포, 또는 코팅에 의하여 0.5~1mm의 두께로 적층 구성되는 것으로, 3PAC 라이닝 패널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PP 수지층(204)은 혼합수지층(202)의 상부 및 하부면의 표면에만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3PAC 라이닝 패널의 양측 단부에 구성되는 연결부(240) 및 삽입부(250)는 혼합수지층(202)으로만 구성되고, 콘크리트층(208)에 접합되는 면과 저수조의 내면을 이루는 면에만 PP 수지층(204)이 구성되는 것이다.
PE 수지층(206)은 저수조의 내면을 이루며, 3PAC 라이닝 패널의 연결 부위의 틈을 융착하는 융착부(260)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PP 수지층(204)의 외면에 일정 두께만큼 열융착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융착되며, 저수조에 저장된 음용수가 콘크리트층(208)으로부터 유입되는 유해물질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3PAC 라이닝 패널은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210)을 형성하며, 3PAC 라이닝 패널들 끼리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연결부(240)와 삽입부(250)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층(210)은 서로 분할 구성되도록 하여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PAC 라이닝 패널의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할격벽(2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3PAC 라이닝 패널은 일면에 유공홀(220)이 다수개 구성되어 콘크리트층(208)과 3PAC 라이닝 패널 사이에서 흐르는 결로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공홀(220)은 3PAC 라이닝 패널의 후방면에 등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구성되고, 상기 공기층(210)와 연통되게 구성되어 결로수가 유입되면서 공기층(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결로수가 저수조의 내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3PAC 라이닝 패널은 하부면이 밀폐되게 구성되도록 바닥면을 형성하고, 이 바닥면에는 유공홀(220)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저수조 외부로 방출하여 음용수와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홀(230)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홀(2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210)으로 유입된 결로수를 콘크리트층(208)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방출관(232)과 연결 구성되며, 이 방출관(232)은 집수정(270)과 연결되어 결로수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집수정(270)은 콘크리트층(208)을 관통하여 방출관(232)과 연결되는 연결관(272)을 구성하여 결로수의 방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출관(232)은 콘크리트층(208)의 하단부 일면을 관통하게 구성되어 결로수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PDS 보다 압축강도 및 강성이 높고, 내구성이 강한 3PAC 라이닝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저수조의 내부 강성 및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저수조의 내부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3PAC 라이닝 패널과 콘크리트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저수조의 내벽면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3PAC 라이닝 패널과 콘크리트층 사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2: 혼합수지층 204: PP 수지층
206: PE 수지층 208: 콘크리트층
210: 공기층 212: 분할패널
220: 유공홀 230: 배출홀
240: 연결부 250: 삽입부
260: 융착부 270: 집수정

Claims (10)

  1. (a) PE 수지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수지를 압출 금형부측으로 공급하며, PE 수지 뿐만 아니라, PP 수지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급호퍼를 통해 공급하는 수지 공급단계;
    (b) 상기 혼합수지가 압출 금형부측으로 공급되면, 3중 압출 성형에 의해 3PAC 라이닝 패널을 성형하는 패널 성형단계;
    (c) 상기 (b) 단계가 완료되면,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압출 금형부를 통해 압출 성형이 완료된 3PAC 라이닝 패널을 PP 코팅부측으로 이송하고, PP 코팅부에서는 이송된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PP 수지를 0.5~1.0mm의 두께만큼 코팅하는 PP 수지 코팅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PP 수지가 코팅된 3PAC 라이닝 패널을 냉각부로 이송하고, 이송이 완료되면, 냉기를 이용하여 3PAC 라이닝 패널을 냉각하는 패널 냉각단계; 및
    (e)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의 일면에 콘크리트층에서 발생하는 결로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공홀과, 상기 유공홀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저수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을 가공하는 패널 후가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PAC 라이닝 패널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공급단계에는 상기 PE 수지와 PP 수지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와 연결된 혼합수지 공급호퍼를 통해 상기 혼합수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PAC 라이닝 패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는 상기 PE 수지와 PP 수지가 중량비로 9: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PAC 라이닝 패널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패널 성형단계에서 3PAC 라이닝 패널 성형시 함께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PAC 라이닝 패널 제조방법.
  7.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저수조에 있어서,
    콘크리트층;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분할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공기층을 형성하며,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부와 삽입부가 형성되고, 후방부에 콘크리트층에서 흐르는 결로수가 유입되는 유공홀이 공기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공홀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상기 콘크리트층의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3PAC 라이닝 패널;
    상기 배출홀에 연결되어 공기층으로부터 유입된 결로수를 콘크리트층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관; 및
    상기 방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결로수가 수집 및 저장되고, 상기 방출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층을 관통하여 결로수가 집수정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이 구성된 집수정을 포함하고,
    상기 3PAC 라이닝 패널은
    PE 수지와 PP 수지가 중량비로 9:1의 비율로 혼합되며, 3PAC 라이닝 패널의 외형을 형성하는 혼합수지층과,
    상기 혼합수지층의 외면에 도포, 또는 코팅에 의하여 0.5~1mm의 두께로 적층 구성되는 PP 수지층 및
    상기 PP 수지층의 외면에 열융착되어 3PAC 라이닝 패널의 연결 부위의 틈을 융착하는 융착부를 밀폐시키며, 저수조의 내면을 이루는 PE 수지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저수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44570A 2016-04-12 2016-04-12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KR10163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70A KR101632409B1 (ko) 2016-04-12 2016-04-12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70A KR101632409B1 (ko) 2016-04-12 2016-04-12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409B1 true KR101632409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70A KR101632409B1 (ko) 2016-04-12 2016-04-12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962B1 (ko) * 2016-07-01 2017-03-09 (주)아쿠아 누수 확인이 용이한 3pac 라이닝 패널 물탱크
KR20190071894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피앤떠블유 저수 장치
KR102068278B1 (ko) 2019-05-23 2020-01-20 (주)아쿠아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저수조의 라이닝 시공방법
CN112159180A (zh) * 2020-10-15 2021-01-01 河南理工大学 一种聚合氯化铝废渣再生混凝土路缘石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702A (ja) * 1994-10-27 1996-05-14 Asahi Eng Co Ltd 地下室外壁の排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564697B1 (ko) * 2004-09-23 2006-03-30 주식회사 삼양테크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0812523B1 (ko) * 2007-03-15 2008-03-12 이순군 복합형 합성수지 패널과 그 제조장치
KR101164215B1 (ko) 2011-11-17 2012-07-10 영광기제주식회사 콘크리트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702A (ja) * 1994-10-27 1996-05-14 Asahi Eng Co Ltd 地下室外壁の排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564697B1 (ko) * 2004-09-23 2006-03-30 주식회사 삼양테크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0812523B1 (ko) * 2007-03-15 2008-03-12 이순군 복합형 합성수지 패널과 그 제조장치
KR101164215B1 (ko) 2011-11-17 2012-07-10 영광기제주식회사 콘크리트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962B1 (ko) * 2016-07-01 2017-03-09 (주)아쿠아 누수 확인이 용이한 3pac 라이닝 패널 물탱크
KR20190071894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피앤떠블유 저수 장치
KR102068278B1 (ko) 2019-05-23 2020-01-20 (주)아쿠아 3pac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저수조의 라이닝 시공방법
CN112159180A (zh) * 2020-10-15 2021-01-01 河南理工大学 一种聚合氯化铝废渣再生混凝土路缘石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409B1 (ko) 3pac 라이닝 패널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KR100934004B1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US20110162299A1 (en) Modular unit for creating load-bearing structures, for use as a construction and/or support for a solar carpet
KR101199833B1 (ko) 당골막이
CN216405887U (zh) 一种吊顶防水结构
KR101713962B1 (ko) 누수 확인이 용이한 3pac 라이닝 패널 물탱크
EP3971356A1 (en) Sandwich panel and building module
CN106584928A (zh) 一种塑料复合板材及成型模具
KR20100096701A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281737B1 (ko) 방수방식 공법 및 그 구조물
KR100822358B1 (ko) 이중압출 지수판 및 이중압출 지수판 제작방법
CN110528728B (zh) 一种免支模的建筑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CN207988334U (zh) 一种装配式围护结构保温复合板
WO2013057374A1 (en)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s
KR100878587B1 (ko) 수조(水曹)용 패널
KR101446505B1 (ko) 복합단열패널
KR101804841B1 (ko) 피디에프 물탱크용 단열 패널 조립체
CN211037595U (zh) 一种易搭接的防排水板
CN217610719U (zh) 轻型浴室底盘及浴室地面系统
CN212153775U (zh) 一种低能耗建筑外墙防火保温复合板
KR100603812B1 (ko) 파이프
CN219365261U (zh) 一种一体化内墙板
KR101398324B1 (ko) 차수벽 다중관 제조방법 및 그 차수벽 다중관
CN218374463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预制墙板
CN213064946U (zh) 中空壁聚丙烯增强智能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