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301B1 -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301B1
KR101632301B1 KR1020150121781A KR20150121781A KR101632301B1 KR 101632301 B1 KR101632301 B1 KR 101632301B1 KR 1020150121781 A KR1020150121781 A KR 1020150121781A KR 20150121781 A KR20150121781 A KR 20150121781A KR 101632301 B1 KR101632301 B1 KR 101632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pairing
switch
lighting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구
이형우
Original Assignee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05B37/020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7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설치 및 유지보수 시에 천장을 뜯지 않고도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페어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치 및 복수의 조명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복수의 조명장치들이 사전에 지정된 동일한 동기화 코드를 사용하여 자기의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단계;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주변의 조명장치들의 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수신된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와 자기 자신의 정보를 비교하여 임시 일련번호를 각자 생성하는 단계; 각 조명장치는 생성된 자신의 임시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조명장치의 컨트롤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단계;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 표출된 조명장치의 임시 일련번호를 내장된 스위치 입력 수단 또는 외부의 스위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단계; 임시 일련번호입력이 완료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확인신호를 조명장치에 무선 발신하는 단계 및 조명장치는 확인신호를 수신하여 페어링 완료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Pairing method of wireless apparatus for light control}
본 발명은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등제어 또는 디밍제어를 위하여 복수의 조명장치의 무선 통신부와, 이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무선 송수신부 사이에 페어링을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이 이용하는 건물의 내외부에는 천정에 복수의 전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물에 설치되는 전등은 복수의 전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와 복수의 실에 개별로 설치되는 전등을 각각 제어하는 경우로 나뉜다.
상기 건물의 각 실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등을 제어할 때 또는 복수의 전등을 제어할 때에는 중앙제어센터에서 전체 전등을 제어하게 되어, 유지 보수를 위하여 전체의 전원을 차단하여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등과 스위치를 연결하는 배선 상에 문제가 생기면 배선을 모두 교체해야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보수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수의 전등이 사용되는 일예로 큐비클 화장실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큐비클 화장실은 복수의 칸으로 구분되는 큐비클이 구비되고, 각 큐비클의 상부에는 개별조명이 설치된다.
큐비클 조명은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만,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에너지 낭비가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전력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기존에 설치된 큐비클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선 작업은 천장을 뜯고 유선으로 페어링(pairing) 결선을 해야 하고, 다중이 이용하기 때문에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빈번한 고장으로 교체 작업 시에도 페어링 작업을 위해서 천장을 뜯어야 하는 작업의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무선 통신 장치들 간의 페어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EEE 802.15.4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통신 장치들의 비콘을 수신하여 수신된 비콘들 중 LQI가 가장 큰 비콘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적용하여 천장에 설치된 큐비클 조명장치와 큐비클 도어에 설치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 간에 구비되는 다수의 송신기/수신기가 밀집된 환경에서는 상기 기술에 의한 식별이 매우 곤란하여 실제로 적용이 어려우며, 페어링하기에는 무선장치들의 비용이 증가하고 복잡성이 증가하므로, 송신기/수신기의 밀집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간단한 페어링 방법이 필요하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53759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설치 및 유지보수 시에 천장을 뜯지 않고도 복수의 조명장치와 복수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페어링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조명장치 및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은,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복수의 조명장치들이 사전에 지정된 동일한 동기화 코드를 사용하여 자기의 정보를 주변 조명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주변의 조명장치들의 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수신된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치들의 정보치들의 정보와 자기 자신의 정보를 비교하여 임시 일련번호를 각자 생성하는 단계; 각 조명장치는 생성된 자신의 임시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조명장치의 컨트롤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단계; 각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각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 시각적으로 표출된 조명장치의 임시 일련번호를 내장된 스위치 입력 수단 또는 외부의 스위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단계; 임시 일련번호 입력이 완료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확인신호를 페어링되는 조명장치에 무선 발신하는 단계 및 페어링되는 조명장치는 확인신호를 수신하여 페어링 완료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변 조명장치의 정보는 각 조명장치의 시리얼번호(serial number) 또는 맥어드레스(MAC addre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적 표출은 수신기 자체내장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의 on/off 점등으로 표출하거나 디밍제어 방법 등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입력수단은 내장된 DIP 스위치 또는 단속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어링 완료 후에 기본 동작 모드로 진입하여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서 페어링된 조명장치로 무선 송신하면, 페어링된 조명장치의 컨트롤부는 해제 상태일 경우 소등 또는 설정된 조도로 전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 및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중앙제어서버에 현재의 동작상태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시 보고하고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중앙제어서버에서 동작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어링(paring)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조명장치와 스위치감지장치가 밀집된 장소에서 설치 또는 보수 시에 천정을 뜯어 페어링 결선 공사를 하지 않고, 간단한 수작업으로 조명장치와 스위치감지제어장치 간에 페어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큐비클 화장실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칸 도어를 잠그면 해당 칸의 큐비클 전등이 점등되어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큐비클 화장실 칸의 전등을 소등하거나 디밍제어를 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와 조명이 일대일로 연결되는 건물 내부의 각 실의 조명에 적용하면 스위치와 조명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스위치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의 페어링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스위치감지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장치는, 건물 내 천장에 설치된 전등, 주변의 조명장치 및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등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건물의 벽면, 바닥 또는 책상 등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본체, 조명장치의 작동 및 페어링을 위한 스위치 입력수단, 스위치 입력수단의 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조명장치의 무선 통신부에 송신 및 조명장치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부는 100MHz ~ 6GHz대의 비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 BT(bluetooth), IEEE 802.15.4, ZigBee, W-Fi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동기신호와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FSK, ASK, GFSK 등의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전원부(15)의 전원으로 동작을 하게 되며, 전원부는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제어부 및 무선 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코인셀 등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독립전원을 사용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는 복수로 구성되어 페어링을 통해 일대일로 통신으로 작동된다.
종래의 페어링 방법은 두 장치를 모두 활성화 하여 PIN code를 직접 입력하거나 자동 스캔하여 검출된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PIN code를 입력하는 방식은 두 장치에 사용자 정보입력장치가 있어야 하고, 자동 스캔 등록방식은 항상 활성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소모가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페어링을 위한 다수의 장치들을 설치하는 밀집된 환경에서 별도의 정보표출수단이나 사용자 정보입력장치가 없어도 두 장치 중 하나의 장치에서의 조작으로 페어링이 가능하고 배터리 소모가적은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페어링 방법 및 기본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의 설치 시 또는 유지 보수 시에 스위치감지제어장치(10)와 조명장치(20)의 페어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A. 페어링 모드 단계
페어링 모드는 설치 공사를 위하여 주 전원이 분리된 후 해당 전원라인이 연결되면,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페어링을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고 페어링 시도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본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1.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각 조명장치들은 사전에 지정된 동일한 공통의 동기화 코드를 사용하여 자기의 정보를 송신한다. 서로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랜덤 시간 지연 등의 방법으로 자기 정보를 송신하며, 정확한 송신을 위하여 복수 회 송신한다. 공통의 동기화 코드는 그룹 ID가 될 수 있으며, 패킷의 헤더 필드에 위치한다.
2. 각 조명장치들은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주변의 조명장치들의 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수집한다.
3. 각 조명장치들은 수신된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를 파악하여 임시 일련번호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시 일련번호를 각자 생성한다.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는 조명장치의 시리얼번호(serial number)나 맥어드레스(MAC address) 등일 수 있으며, 임시 일련번호 생성 알고리즘은 자신의 시리얼번호나 맥어드레스를 타 조명장치의 시리얼번호나 맥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순서를 정해 자기의 임시 일련번호를 생성한다. 임시 일련번호는 페어링 모드에서만 사용되는 임시 번호이다.
4. 조명장치들은 자신의 임시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조명장치의 컨트롤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시각적 표출은 on/off로 표현하거나 디밍제어 방법으로 자신이 몇 번인지 알려줄 수 있고,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시각적 표출은 페어링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한다. 자신의 임시 일련번호는 조명장치의 컨트롤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각 조명장치에 내장 또는 외부 스위치 입력수단을 부가하여 주변 조명장치들과 연동하지 않고 직접 또는 단독으로 직접 페어링을 할 수도 있다.
페어링 모드에서는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는 공통의 동기화 코드를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내장 또는 외부의 스위치 입력수단 등의 조작으로 직접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5. 각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 상기 표출된 페어링되는 조명장치의 임시 일련번호를 내장된 또는 외부의 스위치 입력 수단 등을 이용하여 입력한다. 스위치 입력수단은 내장된 DIP 스위치일 수 있다. 또는 외부의 단속 조작스위치에 의하여 단속적인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6. 임시 일련번호 입력이 완료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확인신호를 페어링되는 조명장치에 발신한다.
7.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한 페어링되는 조명장치는 확인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면 페어링이 완료된다.
B. 기본 동작 모드 단계
페어링이 완료된 조명장치들은 사전에 정해진 기본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페어링 완료 발신된 신호에 페어링하고자 하는 조명장치들에 기본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하여 기본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1.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잠금/해제와 같이 상태 변화 시에만 송신을 실시할 수 있다.
2.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잠금 상태일 경우 점등(on) 제어신호를 조명장치에 송신한다.
3.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해제 상태일 경우 소등(off) 또는 사전에 설정된 조도로 디밍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4. 설치 또는 유지 보수 시에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서 사전에 설정된 강제 on 신호 등을 이용하여 전체 조명장치를 강제 점등할 수 있고, 복귀 신호를 송신하여 기본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의 페어링 방법으로 페어링이 완료되어 기본 동작 모드로 진입한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는 고유코드를 통해 상호 인식을 하게 된다. 고유코드는 시리얼넘버와 같이 고유 ID에 해당하는 것으로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기록되어 송신한다.
페어링 모드에서는 헤더 필드에 공통의 동기화 코드로 모든 장치간 통신이 가능하지만, 기본 동작 모드에서는 데이터 필드의 고유코드가 일치해야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기 때문에 페어링되지 않은 타장치와는 통신이 되지 않으므로 혼신되지 않는다.
또한, 사전에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어 신규 페어링이 불필요한 조명장치의 경우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서 페어링모드 진입방지신호를 전달하여 신규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페어링모드의 진입을 위한 작업에서 제외함으로써 작업시간 감소 및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페어링이 완료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정상적인 신호의 수신이 사전 정의된 일정 조건 기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대 기기의 이상상태 정보를 중앙제어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한다. 중앙제어서버가 먼 거리에 있는 경우 각 구역마다 게이트웨이나 중계기를 설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비클 화장실의 조명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화장실 내에서 복수의 칸으로 구획되는 큐비클, 각 큐비클 도어에 설치되는 스위치감지제어장치(10) 및 각 큐비클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20)로 구성된다.
큐비클은 발전소, 변전소 또는 사무소 등에 설치되는 배전함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중이 이용하는 화장실 내에 천장에 닿지 않은 칸막이로 구획한 개별 화장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어링(pairing)은 무선 장치들 사이에 등록된 장치만이 무선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10)의 세부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10)는 큐비클 도어(1)에 설치되어 큐비클 도어(1)를 잠그고 해제하는 잠금체(11), 잠금체(11)의 잠금 및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 감지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조명장치(20)의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 전원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체(11)는 큐비클 도어(1)쪽에는 잠금쇠(16) 부분이 부착되고 고정패널(2)쪽에는 고정쇠(17)가 부착되어, 슬라이드식 잠금체는 잠금쇠(16)를 밀거나 레버식 잠금체는 잠금쇠가 회전하여 고정쇠(17)에 걸리게 접촉하여 큐비클 도어를 잠근다. 상기 잠금체는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모터의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잠금쇠(16)와 고정쇠(17)의 부착위치는 서로 바꿀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2)는 잠금쇠(16)와 고정쇠(17)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로 접촉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별도의 조도센서를 내장하여 잠금장치에서 발신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조명장치의 컨트롤부가 전등을 제어할 때 전등의 on/off 여부와 설정된 조도로 제어되는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한 신호가 설정 제어된 것과 다를 경우 제어부는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중앙제어서버로 오류신호를 전달하고, 중앙관리서버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오류신호를 전송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가 잠기지 않았는데도 전등이 점등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확인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와 잠금체의 잠금 여부를 비교하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중앙제어서버로 이상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중앙관리서버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이상감지신호를 전송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확인센서는 근접센서나 광센서를 사용하여 고정패널과 도어에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100MHz ~ 6GHz대의 비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 BT(bluetooth), IEEE 802.15.4, ZigBee, W-Fi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동기신호와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FSK, ASK, GFSK 등의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조명장치의 무선 통신부(23)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부(15)는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감지센서, 제어부 및 무선 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코인셀 등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독립전원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는 페어링을 위한 스위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감지센서 및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 입력수단은 DIP 스위치나 단속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페어링되는 조명장치의 임시 일련번호를 입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의 잠금장치(10)와 조명장치(2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위치감지제어장치(10)의 감지센서(12)는 잠금체의 잠금 및 해제를 감지하여 제어부(13)로 전송한다.
스위치감지제어장치(10)의 제어부(13)는 감지센서(12)의 on/off 신호를 수신받아 고유 동기화 코드와 on/off 제어 신호를 코딩하여 무선 송수신부(14)를 통해 조명장치(20)의 무선 통신부(23)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큐비클 내로 진입하여 잠금체(11)를 잠그면 전등(22)이 점등되도록 하고, 잠금체(11)가 잠금 해제되면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조명장치(20)의 무선 통신부(23)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등(22)이 소등 또는 설정된 조도로 디밍 제어되도록 한다.
완전히 소등하지 않고 디밍제어를 하는 이유는 큐비클 내가 어두울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금방 인식할 수 없으므로 어둡지 않도록 조명을 한다.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 LED 조명을 설치할 수 있다.
화장실 큐비클에 사용자가 없을 경우 전등(22)이 소등되거나 조도가 낮아지므로 사용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조명장치(20)의 무선 통신부(23)로 전송된 제어신호는 컨트롤부(21)에 의하여 디코딩되어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고유 동기화 코드와 on/off 신호를 인식하여 페어링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일치할 경우 전등(22)을 on/off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점등하거나 소등을 하게 된다.
상기 조명장치(20)는 외부에 구비되는 중앙제어서버에 현재 상태를 전송하고, 중앙제어서버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전등(22)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서버에 전송되는 조명장치 및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현재상태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원격으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와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건물 내부의 각 실에 설치되는 전등의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건물 내부에는 복수의 실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각 실에는 스탠드와 같은 개별 조명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건물의 벽면 또는 책상 등의 임의의 공간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 내부에 내장되는 제어부, 제어부와 연결되는 스위치 입력 수단 및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외부의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on/off 입력을 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에서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조명장치의 무선 통신부로 전송되어 컨트롤부를 제어신호로 제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전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조명장치와 전선을 통해 직접 연결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므로,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본체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휴대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는 조도센서를 내장하어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서 발신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조명장치의 컨트롤부가 전등을 제어할 때 전등의 on/off 여부와 설정된 조도로 제어되는지 여부 및 전등이 이상동작을 하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전등, 전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부, 주변의 조명장치와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장치(20)의 무선 통신부(23)로 전송된 감지체의 감지센서의 on/off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는 컨트롤부(21)에 의하여 디코딩되어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고유 동기화 코드와 on/off 신호를 인식하여 페어링되어 등록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일치할 경우 전등(22)을 on/off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점등하거나 소등을 하게 된다.
상기 조명장치(20)는 외부에 구비되는 중앙제어서버에 현재 상태를 전송하고, 중앙제어서버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전등(22)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서버에 전송되는 조명장치 및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현재상태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원격으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감지제어장치와 조명장치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인해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시 스위치감지제어장치 또는 조명장치를 각각 따로 교체하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상기와 같은 조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페어링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도어 2 : 고정패널
10 : 스위치감지제어장치 11 : 잠금체
12 : 감지센서 13 : 제어부
14 : 무선 송수신부 15 : 전원부
16 : 잠금쇠 17 : 고정쇠
20 : 조명장치 21 : 컨트롤부
22 : 전등 23 : 무선 통신부

Claims (6)

  1. 복수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치 및 복수의 조명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치감지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복수의 조명장치들이 사전에 지정된 동일한 동기화 코드를 사용하여 자기의 정보를 주변 조명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
    각 조명장치는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각 조명장치는 수신된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와 자기 자신의 정보를 비교하여 임시 일련번호를 각자 생성하는 단계;
    각 조명장치는 생성된 자신의 임시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조명장치의 컨트롤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단계;
    각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각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 내장된 스위치 입력 수단 또는 외부의 스위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표출된 페어링되는 조명장치의 임시 일련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임시 일련번호 입력이 완료된 스위치감지제어장치가 확인신호를 페어링되는 조명장치에 무선 발신하는 단계 및
    페어링되는 조명장치는 확인신호를 수신하여 페어링 완료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조명장치들의 정보는 각 조명장치의 시리얼번호(serial number) 또는 맥어드레스(MAC addr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시각적 표출은 조명장치 자체내장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의 on/off 점등으로 표출하거나 디밍제어 방법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입력수단은 내장된 DIP 스위치 또는 단속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페어링 완료 후에 기본 동작 모드로 진입하여 스위치감지제어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스위치감지제어장치에서 페어링된 조명장치로 무선 송신하면, 페어링된 조명장치의 컨트롤부는 해제 상태일 경우 소등 또는 설정된 조도로 전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 및 스위치감지제어장치는 중앙제어서버에 현재의 동작상태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시 보고하고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중앙제어서버에서 동작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KR1020150121781A 2015-08-28 2015-08-28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KR101632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81A KR101632301B1 (ko) 2015-08-28 2015-08-28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81A KR101632301B1 (ko) 2015-08-28 2015-08-28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301B1 true KR101632301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781A KR101632301B1 (ko) 2015-08-28 2015-08-28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980A1 (en) * 2005-05-03 2006-11-09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istributed pairing of wireless nod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50057A (ko) * 2004-09-08 2007-05-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보안 페어링
KR20100053759A (ko) 2008-11-13 2010-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들간의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4099369A (ja) * 2012-11-15 2014-05-29 Nec Lighting Ltd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057A (ko) * 2004-09-08 2007-05-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보안 페어링
US20060250980A1 (en) * 2005-05-03 2006-11-09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istributed pairing of wireless nod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KR20100053759A (ko) 2008-11-13 2010-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들간의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4099369A (ja) * 2012-11-15 2014-05-29 Nec Lighting Ltd 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0467A1 (en) Wireless lighting controller with abnormal event detection
US8542093B2 (en) Networked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EP1486099B1 (en) Initialization of wireless-controlled lighting systems
US9967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remote network devices with a control device
US9888548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ommissioning lighting devices
EP1579738B1 (en) Method of configuration a wireless-controlled lighting system
CN1679376B (zh) 基于主从的双向射频无线照明控制系统
KR101416175B1 (ko)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방법
CN107926103A (zh) 调试和控制负载控制设备
KR200394174Y1 (ko) 지그비 표준을 이용한 무선 제어시스템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90888A1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20110085437A (ko) Led 스마터 컨트롤 모듈을 갖는 led 조명등용 객체 관제 장치
US10725140B2 (en) Operating of a transmission device of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illumination device
KR101641563B1 (ko)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632301B1 (ko) 조명제어를 위한 무선 송수신장치 간의 페어링 방법
GB2583833A (en) Light diagnostics and monitoring using wearables
KR20100077835A (ko) 공조기기 실내기를 활용한 usn 구축 방법 및 장치
KR20120000146A (ko)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CN104898442B (zh) 室内电气控制系统及其方法
KR20150096057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CA3129104A1 (en) Power interruption bluetooth low energy mesh pairing
KR20050018206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976563B1 (ko)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KR100655168B1 (ko) 객실관리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