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193B1 -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193B1
KR101632193B1 KR1020140160925A KR20140160925A KR101632193B1 KR 101632193 B1 KR101632193 B1 KR 101632193B1 KR 1020140160925 A KR1020140160925 A KR 1020140160925A KR 20140160925 A KR20140160925 A KR 20140160925A KR 101632193 B1 KR101632193 B1 KR 10163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nit
mold
air
ai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9262A (en
Inventor
허승훈
Original Assignee
(주)지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에스 filed Critical (주)지엠에스
Priority to KR102014016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193B1/en
Publication of KR2016005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2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7/02Single metal-working processes; Machine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running-out of drills or fracture of drills when getting th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성형을 위한 몰드에 공기 배출 등을 위한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에어핀을 설치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의 홀 형성 위치에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 내측면을 가공하여 에어핀 삽입공을 형성하는 홀 가공부; 상기 홀 가공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이 형성된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의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고, 상기 에어핀 삽입공에 에어핀을 장착하는 에어핀 장착부; 상기 홀 가공부와 상기 에어핀 장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홀 가공부에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상기 에어핀 장착부로 이송하는 몰드 이송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ming apparatus for tire forming, which can automatically and quickly carry out a step of machining a hole for air discharge or the like in a mold for tire molding and installing an air pin in the hole. A hole processing unit for forming a hole at a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molding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nd forming an air pin insertion hole by proc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formed; And an air pin which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processing part and removes particles and processing oil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formed with the air pin insertion hole, A mounting portion; And a mold transferring uni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hole processing unit and the air pin mounting unit and transfers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completed in the hole processing unit to the air pin mounting unit.

Description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apparatus for molding a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성형을 위한 몰드에 공기 배출 등을 위한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에어핀을 설치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apparatus for tire mo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 apparatus for tire molding, which can automatically and quickly and accurately carry out a step of machining a hole for discharging air into a mold for tire mo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apparatus for molding a tire.

타이어의 성형은 몰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원형의 타이어 성형을 위하여 다수개의 원호 형상의 조각으로 나뉜 타이어 성형용 몰드가 제조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몰드의 사용을 통한 타이어의 성형을 위해서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1)에 다수의 에어홀(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에어홀(2)을 통하여 타이어의 성형시 발생되는 다량의 고무 파티클 또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정확한 형상의 타이어 성형이 가능한 것이다. The molding of the tire is performed by using a mold, and a mold for tire mold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cuate pieces is manufactured and used for circular tire molding. In order to mold the tire through the use of the mold, as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air holes 2 must be formed in the mold 1. A large amount of rubber particles or air generated during the molding of the tire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hole 2,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tire with an accurate shape.

또한 최근에는 보다 정확한 타이어의 성형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홀(2)에 공기 및 파티클의 배출은 가능하면서도 타이어 성형을 위한 고무 소재를 주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에어핀(4)이 삽입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air pins 4, which are capable of discharging air and particles to the air holes 2 but are prevented from being injected with rubber material for tire molding, A technique for inserting the light source is adopted.

일반적으로 한 개의 타이어 성형용 몰드(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개의 에어홀(2)이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 개의 에어홀(2) 중 수십개 단위로 동일한 원주(3) 상에 위치된다. 이때 동일한 원주(3) 상에 위치되는 수십개의 에어홀(2)들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성 각도가 서로 상이하다. As shown in FIG. 1, several hundreds of air holes 2 are formed in one tire-forming mold 1, and as shown in FIG. 2, several hundreds of air holes 2 Are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ce (3). At this time, the dozens of air holes 2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ce 3 also have different forming angles as shown in Fig.

이렇게 타이어 성형용 몰드(1)가 측방향 및 종방향 곡면을 갖는 형태인 관계로 에어홀(2)을 형성함에 있어서, 기계 장치를 통한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하여 모두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Since the mold for tire molding 1 has a shape having lateral and longitudinal curved surfaces, it is difficult to automate through the mechanical device in forming the air holes 2, to be.

그런데 에어홀(2)을 형성함에 있어 수작업에 의존할 경우에는 드릴이 올바른 방향으로 전진하지 못하여 에어홀이 휘어져서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드릴이 부러져 몰드에 박히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몰드에 박힌 채로 부러진 드릴은 몰드로부터 뽑아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매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However, when the air hole 2 is manually operated depending on the manual operation, the drill can not advance in the proper direction, so that the air hole is often formed by bending, and the drill is frequently broken into the mold There is a problem. In this way, a drill broken into a mold is almost impossible to pull out of the mold, which is very seriou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용 몰드(1)에 에어홀(2)을 형성한 후에, 각 에어홀에 에어핀(4)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작업도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작업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Also,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of inserting and mounting the air pins 4 into the respective air holes after forming the air holes 2 in the tire molding mold 1 also depends on the manual work,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work is low.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 성형을 위한 몰드에 공기 배출 등을 위한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에어핀을 설치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 for molding a tire, which can automatically and rapidly carry out a process of forming a hole for discharging air into a mold for tire- .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의 홀 형성 위치에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 내측면을 가공하여 에어핀 삽입공을 형성하는 홀 가공부; 상기 홀 가공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이 형성된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의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고, 상기 에어핀 삽입공에 에어핀을 장착하는 에어핀 장착부; 상기 홀 가공부와 상기 에어핀 장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홀 가공부에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상기 에어핀 장착부로 이송하는 몰드 이송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ing apparatus for tire molding, comprising: a hole for forming a hole in a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 hole for forming an air- Processing section; And an air pin which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processing part and removes particles and processing oil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formed with the air pin insertion hole, A mounting portion; And a mold transferring uni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hole processing unit and the air pin mounting unit and transfers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completed in the hole processing unit to the air pin mounting unit.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홀 가공부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하측에서 회전 및 틸팅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몰드 장착부; 상기 제1 몰드 장착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승강 유닛; 상기 승강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홀 형성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부; 상기 승강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홀 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된 홀의 내측면을 가공하여 에어핀 삽입공을 만드는 홀 내측면 가공부; 상기 승강 유닛을 전후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1 XY 테이블; 상기 몰드 장착부 및 승강 유닛을 상기 홀 형성부 및 홀 내측면 가공부의 작업 위치 및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machin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ol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tire mold base material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tiltable; A first lift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ld mounting uni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hole forming part installed vertically in the elevating unit to form a hole at a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tire molding mold; An inner hole side processing unit installed in the elevating unit and processing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formed by the hole forming unit to form an air pin insertion hole; A first XY tabl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elevating uni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ld mounting unit and the elevating unit in a precise posit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and timing of the hole forming unit and the hole inner side processing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홀 형성부는 수퍼 드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forming portion is a super drill.

한편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는 고속 스핀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in-hole side machining portion is preferably a high-speed spindl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에는,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 측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홀 내측면 가공용 공구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공구 자동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hole side machi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ol automatic supply portion provided at a side of the in-hole side machin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hole side machining tool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핀 장착부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하측에서 회전 및 틸팅가능하게 장착하는 제2 몰드 장착부; 상기 제2 몰드 장착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승강 유닛; 상기 제2 승강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에어핀 삽입공에 에어핀을 삽입하는 에어핀 삽입부; 상기 제2 승강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제2 승강 유닛을 전후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 XY 테이블; 상기 제2 몰드 장착부 및 제2 승강 유닛을 상기 에어핀 삽입부 및 클리닝부의 작업 위치 및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pin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tire-forming mold base material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tiltable; A second lifting and lower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ld mounting par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 air pin inserting uni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econd elevating unit for inserting the air pin into the air pin inserting hole of the tire molding die; A clean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lift unit for removing particles and processing oil from the tire mold base material surface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A second XY tabl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econd lift uni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mold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elevating unit in an accurate posit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a working position and timing of the air pin insert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핀 삽입부는, 다수개의 에어핀이 일렬로 튜브 내에 공급되어 장착되며, 장착된 에어핀들을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에어핀 삽입공으로 삽입하는 에어핀 삽입 모듈; 상기 에어핀 삽입 모듈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에 삽입된 에어핀의 헤드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핀이 에어핀 삽입공 표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삽입하는 에어핀 헤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in inser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pins inserted in a tube in a row and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And an air pin head press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and which presses the head of the air pin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to insert the air pin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air pin insertion hole .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수작업에 의하던 타이어 성형용 몰드에 대한 에어홀 형성 작업은 물론이거니와, 에어홀에 에어핀을 삽입하는 작업까지 자동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 몰드에 에어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드릴이 몰드 내부에서 부러져서 박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소지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였으며,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hole forming work for the mold for tire molding conventionally performed by hand, as well as the work for inserting the air pin into the air hole, can be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performed quickly.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air hole in a mold in the related art, the drill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inside the mold,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e all the processes and maintain excellent quality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

도 1은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일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일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홀 가공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가공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가공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가공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몰드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몰드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핀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핀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핀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몰드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에 의하여 진행되는 공정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ld for tire molding.
2 is a 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mold for tire moldin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lding apparatus for tire m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ire hole process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ole process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ole mach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ole proces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mold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mold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pin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pin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pin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to 18 are views showing processes performed by a tire-molding mol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가공부(100), 에어핀 장착부(200), 몰드 이송부(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the tire mold form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hole processing unit 100, an air pin mounting unit 200, and a mold transferring unit 300 .

먼저 상기 홀 가공부(100)는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의 홀 형성 위치에 홀(2a)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 내측면을 가공하여 에어핀 삽입공(2b)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 가공부(100)를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몰드 장착부(110), 제1 승강 유닛(120), 홀 형성부(130), 홀 내측면 가공부(140), 제1 XY 테이블(150) 및 제1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14 and 15, the hole machining portion 100 is formed by forming a hole 2a at a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tire mold base material 1, machi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And is a component forming the hole 2b. 4, the hole process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mold mounting unit 110, a first elevating unit 120, a hole forming unit 130, A processing unit 140, a first XY table 150, and a first control unit (not show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는 가공 작업을 위한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장착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및 틸팅(tilting)시키면서 가공 작업이 진행되므로,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하측에서 그리핑(gripping)한 상태에서 회전 및 틸팅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is a component for mounting a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for a machining operation.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grips the tire mold-forming base material from the lower side because the work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and tilting the tire-forming mold base material in various directions,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nd tilting in one stat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에는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구동부(112)와 제1 틸팅 구동부(114)가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틸팅 구동부(114)가 하나의 축으로 제1 설치 프레임(160)에 연결되므로,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충분히 확보되며, 몰드 모재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the first rotation driving portion 112 and the first tilting driving portion 114.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ilting drive part 114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tallation frame 160 with one axis, the movement movement line of the operator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mold base material is easy .

다음으로 상기 제1 승강 유닛(120)은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2 승강 유닛(120)에는 상기 홀 형성부(130) 및 홀 내측면 가공부(1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승강 유닛(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제1 설치 지그(122) 및 상기 제1 설치 지그(122)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 구동부(1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설치 지그(124)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1 설치 지그(122)의 상하 구동에 의하여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4 and 6, the first elevating unit 120 is a component vertically elevated above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elevating unit 120 120 are provided with the hole forming portion 130 and the in-hole side processing portion 140.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elevat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mounting jig 122 for providing a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other components, and a second mounting jig 122 for vertically And a first elevation driving section 124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Therefore, the respectiv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first installation jig 124 ar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ogether by the upward and downward driving of the first installation jig 122.

다음으로 상기 홀 형성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승강 유닛(12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홀 형성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홀 형성부(1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 중 홀 형성 위치에 대하여 상기 몰드 모재(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홀(2a)을 형성한다. 4, the hole forming part 13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irst elevating unit 12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a hole is formed at a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tire forming mold Lt; / RTI > 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hole forming part 130 penetrates the mold base material 1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e forming position in the tire molding base material 1 to form the hole 2a .

이때 상기 홀 형성부(130)는 수퍼 드릴(super drill)로 이루어지는 것이, 홀 형성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면서도, 홀 가공 작업 중에 드릴이 모재에 부러진 상태로 박히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근본적으로 상기 수퍼 드릴은 방전 가공 방향으로 홀을 형성하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31)보다 약간 큰 직경의 홀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그 내측면은 약간 거친 상태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hole forming part 130 is preferably made of a super drill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ll from being broken in the base material during the hole machining operation, . Basically, since the super drill forms a hole in the discharge machin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14,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ole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wire 131 can be formed quickly, but its inner surface is slightly rough .

또한 상기 홀 형성부(130)의 작업 위치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홀 가공부(130)에 의하여 하나의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에 형성되는 모든 홀(2a)을 형성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자동화 공정에 의하여 진행된다.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hole forming part 130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part by a preset program. Therefore, the work of forming all the holes 2a formed in one molding base material 1 for tire molding by the hole processing part 130 is continuously carried out by the automation process.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와이어(131)를 교체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홀 형성부(130)의 측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공급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tool supply unit 18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le forming unit 130, so that it is preferable to replace the wire 131 so as to form holes of various sizes.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 가공부(130)에는 상기 제1 승강 유닛(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홀 가공부(13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상하 구동부(13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구동부(132)에 의하여 홀 내측면 가공부(140) 등과는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홀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e machin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drive unit 132 that can vertically drive the hole machining unit 130 relative to the first lift unit 120 desirable.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132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ole proces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dri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in-hole side processing unit 140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승강 유닛(120)에 상기 홀 가공부(13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홀 형성부(130)에 의하여 형성된 홀(2a)의 내측면을 가공하여 도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핀 삽입공(2b)을 만드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형성부(130)에 의하여 형성된 홀(2a)의 내측면 중 상기 에어핀(4)이 삽입될 깊이만큼 그 내측면의 직경을 확장하고, 표면이 매끄럽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4, the in-hole side surface processing unit 1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hole processing unit 130 in the first elevating unit 120, and the hole forming unit 130 Thereby forming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as shown in Figs. That is, as shown in FIG. 15, the in-hole side surface process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2a formed by the hole forming unit 130, The diameter of the inner side is expanded, and the surface is processed smoothl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40)는 고속 스핀들로 구성되는 것이, 신속한 가공 작업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속 스핀들의 드릴(141)에 필요한 크기의 리머(142)를 장착하여 홀(2a) 내측면을 가공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hole side machining portion 140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a high-speed spindle, because a rapid machining operation is possible. Therefore, as shown in FIG. 16, a reamer 142 of a required size is mounted on the drill 141 of the high-speed spindle to process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2a.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40) 측부에는 공구 자동 공급부(1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 스핀들에 의한 작업은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많은 수의 공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구 자동 공급부(18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하면서 다수개의 홀(2a) 내측면 가공용 공구를 상기 고속 스핀들에 공급하는 자동 공급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an automatic tool supply unit 18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hole side processing unit 140. Since the operation by the high-speed spindle can be performed variously, a large number of tools may be requir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tool feeder 180 is configured to be an automatic feeder for supplying a tool for side machining in the plurality of holes 2a to the high speed spindle while rotating the tool .

물론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40)의 작업도 상기 홀 가공부(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며, 하나의 타이어 성형용 몰드 부재(1)에 대한 홀(2a) 형성 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에, 각 홀(2a)에 대한 내측면 가공 작업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 홀의 위치로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40)를 이동시키면서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The operation of the in-hole side machining unit 140 is also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unit in the same manner as the hole machining unit 130, and the holes 2a for the one tire-molding mold member 1 are formed After the work is completed, the inner side machining work for each hole 2a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moving the in-hole side machining portion 140 to the position of each hole by a preset program.

다음으로 상기 제1 XY 테이블(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승강 유닛(120)과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승강 유닛(120)을 전후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1 XY 테이블(150)은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승강 유닛(120)을 포함한 전체 구조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X축 구동부(152)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Y축 구동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XY 테이블(150)도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승강 유닛(120)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4, the first XY table 150 i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elevating unit 120 and includes a component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econd elevating unit 120 in the longitudinal, to be. 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first XY table 150 includes a first X-axis driving unit 152 for moving the entire structure including the second elevating unit 12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first Y-axis driving unit 154 for moving the Y-axis driving unit 15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XY table 150 also moves the first lift unit 120 to a specified position by the first control unit.

다음으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 및 제1 승강 유닛(120)을 상기 홀 형성부(130) 및 홀 내측면 가공부(140)의 작업 위치 및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제어부에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의 형상 및 홀 형성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홀 형성부(130) 및 홀 내측면 가공부(140)를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의 회전 및 틸팅 구동도 제어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first mold mounting unit 110 and the first elevat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timing of the hole forming unit 130 and the i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unit stores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the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tire molding base material 1,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hole forming unit 130 and the in-hole side processing unit 140 And controls the rotation and tilting drive of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The first and second mold mounting portions 11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핀 장착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가공부(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2b)이 형성된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의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고, 상기 에어핀 삽입공(2b)에 에어핀(4)을 장착하는 구성요소이다. 3, the air-pin mounting portion 20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machining portion 100 and includes an air-pin insertion hole 2b, And the air pins 4 are attached to the air pin insertion holes 2b.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핀 장착부(200)를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몰드 장착부(210), 제2 승강 유닛(220), 에어핀 삽입부(230), 클리닝부(240), 제2 XY 테이블(250)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10 and 11, the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210,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the air pin inserting portion 230, A cleaning unit 240, a second XY table 250, and a second control un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몰드 장착부(210)는 클리닝 및 에어핀 삽입 작업을 위한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장착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및 틸팅(tilting)시키면서 클리닝 및 에어핀 삽입 작업이 진행되므로, 상기 제2 몰드 장착부(210)는 상기 제1 몰드 장착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하측에서 그리핑(gripping)한 상태에서 회전 및 틸팅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210 is a component for mounting a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for cleaning and air-peening operations. In this embodiment, cleaning and air-pin insertion work is performed while rotating and tilting the tire-forming mold base material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the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210, like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And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nd tilting in a state of gripping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from below.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몰드 장착부(210)에도 제1 몰드 장착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 회전 구동부(212)와 제2 틸팅 구동부(214)가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틸팅 구동부(214)가 하나의 축으로 제2 설치 프레임(250)에 연결되므로,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충분히 확보되며, 몰드 모재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rotation driving portion 212 and the second tilting driving portion 214 similarly to the first mold mounting portion 110.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tilting drive unit 2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stallation frame 250 with one axis, the movement movement line of the operator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mold base material is easy .

다음으로 상기 제2 승강 유닛(120)은 도 10,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기 몰드 장착부(210)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에는 상기 에어핀 장착부(230) 및 클리닝부(2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제2 설치 지그(222) 및 상기 제2 설치 지그(222)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 구동부(2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설치 지그(224)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2 설치 지그(222)의 상하 구동에 의하여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Next, 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second elevating unit 120 is a component that is vertically elevated above the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are provided with the air pin mounting portion 230 and the cleaning portion 240. 10,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includes a second mounting jig 222 for providing a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other components, and a second mounting jig 222 for supporting the second mounting jig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lifting / lowering drive unit 224 for lifting / lowering the lifting / lowering unit. Accordingly, the respectiv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jig 224 are vertically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second installation jig 222.

다음으로 상기 에어핀 삽입부(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핀 삽입공(2b)에 에어핀(4)을 삽입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핀 삽입부(2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140)에 의하여 홀(2a)의 직경과 내측면이 에어핀(4) 삽입 설치에 적합하게 가공된 에어핀 삽입홀(2b)에 에어핀을 자동으로 삽입한다. 10, the air pin insertion portion 23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econd lift unit 22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is provided with an air pin 4 ). 16, the diamet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2a are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portion 230 by the in-hole side surface processing portion 140, The air pin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machined for installation.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핀 삽입부(230)를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핀 삽입 모듈(232)과 에어핀 헤드 가압부(234)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에어핀 삽입 모듈(232)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에어핀(4)이 일렬로 튜브 내에 공급되어 장착되며, 장착된 에어핀(4)들이 순차적으로 배출되어 에어핀 삽입공(2b)으로 삽입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하나의 에어핀 삽입홀(2b)에 하나의 에어핀(4)이 공급되며, 상기 에어핀 삽입 모듈(232)에 의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핀의 하단부(4)가 상기 에어핀 삽입홀(2b)에 삽입된다.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pin insertion portion 230 can be configured by dividing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232 and the air pin head pressing portion 234 as shown in FIG. 17,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23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fins 4 in a row in a tube, and the installed air fins 4 are sequentially discharged, And inserted into the hole 2b. One air pin 4 is supplied to one air pin insertion hole 2b and the lower end portion 4 of the air pin is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by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232, And is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다음으로 상기 에어핀 헤드 가압부(23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핀 삽입 모듈(232)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2b)에 삽입된 에어핀의 헤드(4a)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핀(4)을 에어핀 삽입공(2b) 표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삽입하는 구성요소이다. 11, the air pin head pressing portion 234 is provided adjacent to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232, and the air pin head pressing portion 234 is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To insert the air pin 4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핀 삽입 모듈(232)에 의해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핀 헤드(4a)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들 모재(1)의 포면보다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핀 헤드 가압부(234)는 이렇게 돌출된 에어핀 헤드(4a)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핀(4)이 정확한 깊이까지 하강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232 keeps the air pin head 4a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tire molding molten metal base 1,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air pin head pressing portion 234 presses the protruding air pin head 4a downward to cause the air pin 4 to descend to the correct depth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에어핀 헤드(4a)는 탄성 부재(도면에 미도시)에 의하여 상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타이어 성형 과정에서는 고무가 헤드(4a)를 밀어서 가압하기 전까지는 공기 및 파티클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고무가 헤드(4a)를 밀어서 막히면 타이어 성형용 고무가 에어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air pin head 4a is kept press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protrude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18, In the tire forming process, the rubber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 particles are discharged until the rubber is pushed against the head 4a. When the rubber is clogged by pushing the head 4a, the rubber for tire molding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ir hole do.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핀 삽입부(230)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구동부(236)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1, the air pin insertion portion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preferably provided with a vertical drive portion 236 separately.

다음으로 상기 클리닝부(2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2b)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10, the cleaning unit 240 is installed in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and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1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It is a component that removes particles and process oil.

상기 홀 형성부(130)와 홀 내측면 가공부(140)의 작동 과정에서는 가공유가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에 분사되면서 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모재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 파티클이 모재 표면 및 홀 표면에 묻어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에어핀 삽입 작업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클리닝부(240)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 성형 몰드 모재(1)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2b)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는 것이다.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ole forming part 130 and the in-hole side machining part 140, the working oil is sprayed on the mold base material 1 for tire molding and the work progresses. And the metal particl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base material are buri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hole. Since the air pin insertion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in this state, the cleaning unit 240 is used to remove particles and processing oil from the surface of the tire forming mold base material 1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2b.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닝부(240)는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에 설치되어,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타이어 성형 몰드 부재를 모든 부분을 클리닝하며, 특히, 물 등의 세정액 및 고압의 기체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에어핀이 삽입될 에어핀 삽입공에 대해서는 매우 정밀한 클리닝 작업을 진행한다. Specifically, the cleaning unit 240 is installed in the second lifting unit 220 to clean all parts of the tire-shaping mold member while moving in the up-and-down, left-right, and front-back directions. Particularly, And a structure capable of spraying the gas, so that the air pi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ir pin is inserted is highly precisely cleaned.

다음으로 상기 제2 XY 테이블(2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승강 유닛(220)과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을 전후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2 XY 테이블(250)은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을 포함한 전체 구조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252)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2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XY 테이블(250)도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승강 유닛(220)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11, the second XY table 250 i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and the second elevating and lowering unit 220 includes a component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to be. 11 and 12, the second XY table 250 includes an X-axis driving unit 252 that moves the entire structure including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Y-axis driving unit 25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XY table 250 also moves the second lift unit 220 to a specified position by the second control unit.

다음으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몰드 장착부(210) 및 제2 승강 유닛(220)을 상기 에어핀 삽입부(230) 및 클리닝부(240)의 작업 위치 및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제어부에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의 형상 및 홀 형성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에어핀 삽입부(230) 및 클리닝부(240)를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몰드 장착부(210)의 회전 및 틸팅 구동도 제어한다.
Next, the second control unit adjusts the second mold mounting unit 210 and the second elevat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and timing of the air pin inserting unit 230 and the cleaning unit 24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movem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1 and information on the hole forming position are stored in the second control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air pin insertion unit 230 and the cleaning unit 240 are moved forward, And also controls the rotation and tilting drive of the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210. [0064]

물론 전술한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는 하나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may be constituted by one control unit.

다음으로 상기 몰드 이송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가공부(100)와 상기 에어핀 장착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홀 가공부(100)에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1)를 상기 에어핀 장착부(200)로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몰드 이송부(300)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픽업하여 2차원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축 로봇 구조 또는 리니어 가이드 모듈을 조합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3, the mold transferring unit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hole processing unit 100 and the air pin mounting unit 200, And transfers the mold base material 1 for molding to the air pin mounting portion 200. Accordingly, the mold transferring part 30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pick up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nd transport it two-dimensionally. For example, the mold transferring part 300 may have a structure combining a multi-axis robot structure or a linear guide module.

1 : 타이어 성형용 몰드 2 : 에어홀
3 : 원주선 4 : 에어핀
4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
100 : 홀 형성부
110 : 제1 몰드 장착부 120 : 제1 승강 유닛
130 : 홀 형성부 140 : 홀 내측면 가공부
150 : 제1 XY 테이블
200 : 에어핀 장착부
210 : 제1 몰드 장착부 220 : 제1 승강 유닛
230 : 에어핀 삽입부 240 : 클리닝부
250 : 제2 XY 테이블
300 : 몰드 이송부
1: mold for molding tire 2: air hole
3: Circular line 4: Air pin
400: A tire mold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10: first mold mounting part 120: first elevating unit
130: Hole forming part 140: Inside hole processing part
150: 1st XY table
200: Air pin mounting portion
210: first mold mounting part 220: first elevating unit
230: air pin insertion part 240: cleaning part
250: second XY table
300: mold transfer part

Claims (7)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의 홀 형성 위치에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 내측면을 가공하여 에어핀 삽입공을 형성하는 홀 가공부;
상기 홀 가공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이 형성된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의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고, 상기 에어핀 삽입공에 에어핀을 장착하는 에어핀 장착부;
상기 홀 가공부와 상기 에어핀 장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홀 가공부에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상기 에어핀 장착부로 이송하는 몰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 가공부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하측에서 회전 및 틸팅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몰드 장착부;
상기 제1 몰드 장착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승강 유닛;
상기 승강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홀 형성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부;
상기 승강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홀 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된 홀의 내측면을 가공하여 에어핀 삽입공을 만드는 홀 내측면 가공부;
상기 승강 유닛을 전후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1 XY 테이블;
상기 몰드 장착부 및 승강 유닛을 상기 홀 형성부 및 홀 내측면 가공부의 작업 위치 및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핀 장착부는,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를 하측에서 회전 및 틸팅가능하게 장착하는 제2 몰드 장착부;
상기 제2 몰드 장착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승강 유닛;
상기 제2 승강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의 에어핀 삽입공에 에어핀을 삽입하는 에어핀 삽입부;
상기 제2 승강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 성형용 몰드 모재 표면 및 에어핀 삽입공에 묻어 있는 파티클과 가공유를 제거하는 클리닝부;
상기 제2 승강 유닛을 전후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 XY 테이블;
상기 제2 몰드 장착부 및 제2 승강 유닛을 상기 에어핀 삽입부 및 클리닝부의 작업 위치 및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
A hole machining portion for forming a hole at a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nd forming an air pin insert hole by proc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formed;
And an air pin which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processing part and removes particles and processing oil from the surface of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formed with the air pin insertion hole, A mounting portion;
And a mold transferring par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hole machining part and the air pin mounting part and transfers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which has been machined in the hole machining part, to the air pin mounting part,
Wherein the hole-
A first mold mounting part for mounting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tiltable;
A first lift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ld mounting uni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hole forming part installed vertically in the elevating unit to form a hole at a hole forming position of the tire molding mold;
An inner hole side processing unit installed in the elevating unit and processing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formed by the hole forming unit to form an air pin insertion hole;
A first XY tabl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elevating uni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ld mounting unit and the elevating unit in an accurate position an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position and timing of the hole forming unit and the hole inner side processing unit,
Wherein the air-
A second mol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old base material for tire molding so as to be rotatable and tiltable from below;
A second lifting and lower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ld mounting par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 air pin inserting uni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econd elevating unit for inserting the air pin into the air pin inserting hole of the tire molding die;
A clean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lift unit for removing particles and processing oil from the tire mold base material surface and the air pin insertion hole;
A second XY tabl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second lift uni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mold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elevating unit in an accurate posit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a working position and timing of the air pin insert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형성부는,
수퍼 드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le-
Wherein the tire is a super dri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는,
고속 스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
2. The in-hole side machining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gh-speed spindle is a high-speed spi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에는,
상기 홀 내측면 가공부 측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홀 내측면 가공용 공구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공구 자동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utomatic tool feeder provided at a side of the in-hole side machining unit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hole side machining tool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핀 삽입부는,
다수개의 에어핀이 일렬로 튜브 내에 공급되어 장착되며, 장착된 에어핀들을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에어핀 삽입공으로 삽입하는 에어핀 삽입 모듈;
상기 에어핀 삽입 모듈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에어핀 삽입공에 삽입된 에어핀의 헤드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핀이 에어핀 삽입공 표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삽입하는 에어핀 헤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몰드 가공장치.
2.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An air pin insertion module for supplying a plurality of air pins in a row in the tube and mounting the air pins sequentially, and inserting the air pins sequentially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s;
And an air pin head press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ir pin insertion module and which presses the head of the air pin inserted into the air pin insertion hole to insert the air pin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air pin insertion hole Wherein said mold is a mold for forming a tire.
KR1020140160925A 2014-11-18 2014-11-18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KR101632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25A KR101632193B1 (en) 2014-11-18 2014-11-18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25A KR101632193B1 (en) 2014-11-18 2014-11-18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62A KR20160059262A (en) 2016-05-26
KR101632193B1 true KR101632193B1 (en) 2016-06-21

Family

ID=5610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25A KR101632193B1 (en) 2014-11-18 2014-11-18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1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2323A (en) * 2017-04-13 2017-08-15 合肥大道模具有限责任公司 The gas hole processing device of tire-mo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0867A (en) * 2013-03-21 2014-09-29 Sumitomo Rubber Ind Ltd Bent piece placing apparatus and bent piece attachment un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128B1 (en) * 1992-01-27 1994-04-15 이인섭 Drilling device
KR100431557B1 (en) * 2001-03-21 2004-05-17 주식회사 엠케이테크놀로지 A gun drill type boring hole apparatus for tire-mould
KR20040039238A (en) * 2004-04-13 2004-05-10 이기호 Thr drilling apparatus for tire m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0867A (en) * 2013-03-21 2014-09-29 Sumitomo Rubber Ind Ltd Bent piece placing apparatus and bent piece attachment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2323A (en) * 2017-04-13 2017-08-15 合肥大道模具有限责任公司 The gas hole processing device of tire-mold
CN107042323B (en) * 2017-04-13 2020-07-03 合肥大道模具有限责任公司 Air hole processing device of tire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62A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32224B (en) Full-automatic cutting device for outdoor furniture pipe
CN108555125B (en) Wheel rim valve hole punching device and wheel rim valve hole punching method
CN111890103B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ith material guide channel
JP6367859B2 (en) Screw tightening robot system
KR101632193B1 (e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CN110340721B (en) Machine tool
KR101632192B1 (e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ld
KR102069370B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eject pin automatically
CN108247511B (en) Double-profiling hammer handle processing and polishing equipment
KR102025247B1 (en) Machining control method for CNC machine
KR101843254B1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KR101942472B1 (en)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yebolt
KR101184106B1 (en) Apparatus for expanding pipe
KR102104347B1 (en) Deburring apparatus for auto transmisson shift pipe
CN108788751B (en) Full-automatic cun five mainboards scrape burr machine
KR20170109789A (en) Welding Torch Cleaning Apparatus for a Welding Robot
CN206242357U (en) A kind of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of injection mold
CN109093216B (en) tire mold puncher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209503252U (en) A kind of lathe for laser cutting
CN206997503U (en) Press Tools for Automobiles positioner
KR101170138B1 (en) Micro hole automatic machine
KR20090000080U (en) Multi-Drilling Machine
JP5188246B2 (en) Broaching machine
KR20190079863A (en) Drilling machine
JP20052192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cap of extr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