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39B1 -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39B1
KR101632039B1 KR1020160020316A KR20160020316A KR101632039B1 KR 101632039 B1 KR101632039 B1 KR 101632039B1 KR 1020160020316 A KR1020160020316 A KR 1020160020316A KR 20160020316 A KR20160020316 A KR 20160020316A KR 101632039 B1 KR101632039 B1 KR 10163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domain master
information
signal
crosst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준현
서인식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자람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람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자람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6002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33Correction by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를 위한 G.hn 기술을 전화선 가입자망에 적용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 통신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 댁내 배선환경에 따른 전화선 번들에서 발생되는 근단누화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비의 사용 효율과 수율을 높이고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와 최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각각 개별적인 금속 차폐 바디로 차폐되며, 디지털 전원을 통해 사용할 아날로그 신호용 전원을 생성하는 스틱형 모듈 형태의 도메인 마스터를 구성하고, 이를 집선장비의 메인보드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탈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가입자 수에 적합하도록 스틱형 모듈을 추가하여 효율적 장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조 수율과 관리 비용을 낮추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 시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 동기를 위한 구성의 제약과 물리적 제약을 낮추고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누화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Stick type moduel applied central office for G.hn access network and cross talk reduc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네트워크를 위한 G.hn 기술을 전화선 가입자망에 적용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 통신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 댁내 배선환경에 따른 전화선 번들에서 발생되는 근단누화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비의 사용 효율과 수율을 높이고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 기술과 단말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 역시 고품질, 고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환경 역시 수백 Mbps를 넘어 1Gbps급 서비스 환경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현재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는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의 댁내 배선환경이 광케이블, UTP 선로로 구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추친되고 있으며, 배선 환경이 전화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같은 구리 배선인 경우를 위해서 기존 구리선 기반 통신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G.hn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G.996x를 비롯한 관련 기관에서 추친된 홈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명으로, 전화선, 전력선, 동축 케이블 등의 기존 구리선 물리 매체를 이용하여 1G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예를 들어 전화선을 이용한 통신 기술의 경우 25kHz~1.1MHz 대역을 이용하여 512k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ADSL 기술에서 25kHz~30MHz 대역을 이용하여 2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VDSL2 기술까지 발전하였으나 그 이상의 속도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에 반해서 전화선을 이용하는 ITU-T G.996x표준 권고안 고속 가입자 네트워크 기술인 G.hn에서는 2~100MHz의 넓은 대역을 이용하여 1G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200MHz까지 사용 대역을 넓혀 전송 속도를 두 배로 증가시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G.hn 기술은 기본적으로 매체에 따라 적절한 대역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하는 OFDM 방식 변조와 시분할의 반이중 송수신 방식(half duplex)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전화선의 경우 48.828125kHz 대역의 서브캐리어 2048개를 이용하여 100MHz 대역으로 1Gbps 전송 속도를 구현하고 있으며 사용 대역을 200MHz로 확장하여 서브캐리어 4096개를 사용하는 방식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G.hn 기술을 가입자망에 적용할 경우 건물의 구내까지는 광선로를 통해 연결하고, 건물 내부에서는 이미 배선된 전화선에 G.hn 기술을 적용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전송 속도를 댁내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가와이어(Gigawire)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전화선 배선 방식의 특성 상 수십~수백 가닥의 전화선 페어들이 번들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인접한 전화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유입되어 혼선이 발생되는 누화(crosstalk)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G.hn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집선장비의 각 포트 인접 영역에서 발생되는 근단누화(NEXT:Near End Cross Talk)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므로 고품질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를 해결해야만 한다.
따라서, 집선 장비(CO:Central Office)의 외부에서 수십 KHz 정도의 레퍼런스 클럭을 별도로 발생시키고, 집선 장비에서 개별 댁내 전화선을 관리하는 각 포트가 이를 기반으로 통신 시점을 동기화하는 방식인 Coordinate G.hn 네트워크 구조가 개발되었고, 이 방식은 복수의 G.hn DM(Domain Master)에서 발생하는 NEXT를 줄이기위해 전송 패킷의 데이터 프레임 시작 시간을 동기화하여 인접 수신 상태의 전화선 포트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집선 장비를 위한 레퍼런스 클럭 생성부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고, 동일한 번들 케이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집선 장비 간 클럭 동기화를 위해 레퍼런스 클럭 생성부가 복수의 집선 장비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레퍼런스 클럭은 집선장비에만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집선장비와 연결되는 댁내의 통신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에도 이러한 레퍼런스 클럭을 전달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집선장비가 댁내 통신 단말에 이러한 동기 클럭을 전송 신호에 포함시켜 전달해야 하고 댁내 통신 단말은 이러한 전송 신호로부터 복원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등록특허 제10-1403590호 "G.hn 기술을 억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ITU-G G.9961에서 정의된 “외부 클럭소스를 이용한 MAC 싸이클 동기화 방법”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레퍼런스 클럭을 집선 장비(CO)가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동기 클럭 신호를 통신 패킷에 삽입하여 댁내 통신 단말(CPE)에 전송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집선장비에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 신호에 삽입하는 구성이 필요하며, 해당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댁내 통신 단말(CPE)에는 이를 복원하는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방식은 마스터 집선장비에 종속적이므로 오류에 대한 규모가 크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화선 번들에 대한 집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집선장비가 적용될 경우(예를 들어 60가구에 대응하기 위해 60페어 전화선 번들이 구성되는 경우 24포트 집선장비 3대가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 하나의 집선장비가 마스터가 되어 복수의 슬레이브 집선장비에 동기 클럭을 물리적으로 전달해 주어야 하므로 동기신호 중계를 위한 연결 포트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물리적 선로 배치에 한계가 있으며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전화선 번들에 대한 집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복수의 집선장비가 적용되는 경우 각 집선장비 간에는 동기 클럭이 물리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동기 클럭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호환성이 유지되어야 하고 해당 동기 클럭을 이용하기 위한 내부 규약이 동일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동일 제조사의 장비를 이용해야 하며 물리적 인터페이스나 동기 클럭 생성 방식이 상이한 장비를 혼용하기 어렵다. 무엇보다도, 복수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혼재하는 시장 상황에서, 동일한 전화선 번들을 복수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집선 장비들이 공통으로 이용할 경우 각 집선 장비들 간의 송수신 타이밍이 모두 다르고, 송수신 비율도 상이하여 전단누화에 의한 영향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 외에도, 집선장비와 단말 간의 거리가 다양하고, 매체의 특성 역시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편차에 따라 동일 집선장비의 포트 간에도 수신되는 신호의 도달 시점이 일치하지 않아 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집선장비는 12, 16 또는 24포트의 구성을 가지게 되는데, 추후 확장을 고려하여 실제 필요한 수요보다 더 많은 포트를 가지는 집선장비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집선장비는 통상 표준화된 렉(rack)에 결합되는 장비의 형상에 맞추어 단일 기판에 패킷 교환장치와 복수의 G.hn 포트들을 배치하게 되는데, 디지털 신호 처리 부분과 아날로그 신호 처리 부분이 혼재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 처리 부분의 성능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여러개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 부분이 병렬적으로 인접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 부분들은 상호 영향을 미쳐 하나의 포트에서 불량이 발생할 경우 인접 포트에 그 영향이 전달된다. 따라서, Gbps 속도를 제공해야 하는 G.hn 포트의 경우 수율이 낮고 불량에 대한 조정과정이 어려우며, 사용 중 불량 발생 시 대응이 어려워 생산 및 관리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3590호 [발명의 명칭: G.hn 기술을 억세스 네트워크에적용하기 위한 방법]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선장비(CO:Central Office)에 개별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송수신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송수신 타이밍 오차에 따른 내부 포트 간 누화를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병렬 구성되는 도메인 마스터를 개별적으로 금속 차폐되며 아날로그 독립 전원을 가지는 스틱형 모듈로 구성한 후 이를 착탈식으로 선택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 동기를 위한 구성의 제약과 물리적 제약을 낮추고 도메인 마스터 별 차폐 구조로 인접 도메인 마스터 간의 영향을 줄이며, 적절한 가입자 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조 수율을 높이고 사후 관리 용이성을 개선하여 장비의 생산 및 관리 비용을 줄이며 장비 운용 효율도 높일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틱형 모듈로 구성한 개별 도메인 마스터마다 동기화 클럭을 조정하기 위한 클럭 레지스터를 구성하고, 해당 클럭 레지스터의 정보에 따라 단말에 대한 신호 송신 시점을 조절하거나 수신을 위한 단말 상향 정보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발생되는 누화 감소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수신한 도메인 마스터가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것으로 단말의 송신 신호 크기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수신 시점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근단 누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상태 분석을 통한 누화 정도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하거나 각 도메인 마스터별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동기 방식이 다르거나, 기준 클럭이 다르거나, 단말과 거리가 다르거나 혹은 송수신 비율이 다른 인접 장비(혹은 도메인 마스터)와 혼용되더라도 누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는 다수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과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메인 마스터를 구비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CO:Central Office)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타임 서버와 접속하여 정확한 시각을 확인하여 설정된 주기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와;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도메인 마스터별 동기화 시점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집선장비를 구성하는 메인보드와 각각 착탈 결합되는 금속 차폐 바디를 가진 스틱형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집선장비의 메인보드와 디지털 신호처리 및 전원 연결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와, G.hn 베이스밴드 처리부 및 물리계층 처리부와,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얻은 전원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용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와, 댁내 선로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동기 조절부를 통해 제공되는 동기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레지스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럭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동기 신호의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시점 편차에 따른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정보를 동기 신호의 일부로 생성하고,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는 전파 지연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상기 전파 지연 정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여 단말의 신호 송신 시점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에 제공하며,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통해 제공되는 동기 신호의 시점을 상기 클럭 레지스터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장비 단위의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고,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는 장비 단위의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조절된 동기 신호를 도메인 마스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 조절부는 장비 단위 위상 조절이 이루어진 이후,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개별 도메인 마스터별로 누화 감소를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여 각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동기 신호에 부가하여 생성하고, 도메인 마스터는 동기 조절부로부터 동기 신호에 부가된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것으로 단말의 송신 신호 크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집선장비(CO:Central Office)의 메인 보드에 필요한 가입자 수 만큼 금속 차폐 바디를 가진 스틱형 모듈 형태의 도메인 마스터를 체결하여 구성하는 단계와; 각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을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하는 단계와; 집선장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임 서버를 통해 현재 시각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집선장비가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도메인 마스터별 동기화 시점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상기 산출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체결된 메인 보드로부터 디지털 전원을 공급 받아 아날로그 신호 처리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산출된 동기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레지스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상기 클럭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동기 신호의 시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선장비가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시점 편차에 따른 전파 지연 정보를 동기 신호의 일부로 생성하여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클럭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상기 전파 지연 정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여 단말의 신호 송신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선장비가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동기 신호에 부가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동기 신호에 부가된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은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와 최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각각 개별적인 금속 차폐 바디로 차폐되며, 디지털 전원을 통해 사용할 아날로그 신호용 전원을 생성하는 스틱형 모듈 형태의 도메인 마스터를 구성하고, 이를 집선장비의 메인보드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탈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가입자 수에 적합하도록 스틱형 모듈을 추가하여 효율적 장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조 수율과 관리 비용을 낮추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은 집선장비(CO:Central Office)에 개별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송수신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송수신 타이밍 오차에 따른 내부 포트 간 누화를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 시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 동기를 위한 구성의 제약과 물리적 제약을 낮추고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누화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은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수신한 도메인 마스터가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것으로 단말의 송신 신호 크기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수신 시점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한 근단 누화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은 스틱형 모듈로 구성한 개별 도메인 마스터마다 동기화 클럭을 조정하기 위한 클럭 레지스터를 구성하고, 해당 클럭 레지스터의 정보에 따라 단말에 대한 신호 송신 시점을 조절하거나 수신을 위한 단말 상향 정보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발생되는 누화를 도메인 마스터 단위에서 능동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의 전단누화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동기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 감소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G.hn 기술의 신호 타이밍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화감소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인접 장비 간 신호 동기화 개념도.
도 8은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간의 거리 편차에 의한 누화 발생 및 그 감소를 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집선장비(CO:Central Office), 포트(port),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은 G.hn 기술 적용 시 대응되는 구성의 다른 용어 GAM(G.hn Access Multiplexer), 도메인 마스터(DM:Domain Master), GNT(G.hn Network Terminal)/EP(End Pointer)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더불어, G.hn 기술을 기반으로 좀 더 고속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G.fast(ITU-T G.9700, G.9701) 기술 역시 포함된 G.hn 기술 구성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구성 원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G.hn 기술을 토대로 설명하는 내용은 해당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G.fas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가입자망 시스템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G.hn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G.fast 기반 가입자망 시스템 역시 발명의 범위로 포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예시적으로 xDSL 가입자망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22)를 외부 네트워크(매트로 망, 백본망, 인터넷망 등)(10)와 연결하는 교환장치(패킷 교환장치)(21)를 구비한 집선장비(CO:Central Office)(20), 집선장비(20)의 각 포트(22)와 연결되는 댁내(40)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41), 그리고 이러한 집선장비(20)와 단말(41)을 연결하는 전화선로(31 내지 33)로 이루어진다.
댁내(40)에서는 단말(41)과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통신 단말(PC, 셋톱박스, IPTV 등)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허브(42)를 포함하며, 일반 전화기는 단말(41)과 연결되어 기존 전화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의 경우 집선장비(20)는 대부분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자측에 위치하며, 단말(41)은 댁내에 위치한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은 댁내 배선으로 이미 구성된 전화선을 이용하게 되는데, 집선장비(20)와 연결되는 전화선은 수십쌍 내지 수백쌍의 전화선 번들 형태를 가지게 된다. 특히, 집합건물(아파트나 빌딩 등)(50)에 구성된 각 세대에 전화선을 분배하는 배선망의 경우 수십쌍의 전화선 페어를 수직 배치하고 각 세대별로 수평 분기하여 분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 xDSL 기반 가입자망은 최대 200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있으나, 최근의 고품질 고선명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기에는 모자란 실정이다.
도 2는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최근 G.hn에 대한 국제표준(G.996x)을 수용하여 국내 표준으로 승인된 기가와이어(Giga Wire)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즉, 기존 구리선 기반(전화망, 케이블망) 가입자망의 집선장비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측에 구성되는 것과 달리 전송 매체의 한계를 고려하여 집선장비(100)를 집합건물(50)의 구내에 배치하고, 해당 집선장비(100)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사이는 광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집합건물 내부의 짧은 거리에서 기존 구리선 매체를 초고속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FTTB(Fiber To The Building) 가입자망의 종단부 구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G.hn 기술에서는 집선장비(100)의 각 포트를 도메인 마스터(DM:Domain Master)(130)라고 하고, 단말을 엔드 포인트(EP:End Pointer)(46)라 하며, 개별 연결 선로를 G.hn 도메인이라 한다. 이는 G.hn 기술을 지원하는 포트와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서, 포괄적으로 보면 G.hn 기술을 지원하는 포트와 단말을 의미한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언급되는 용어 포트와 도메인 마스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더불어, 최근 국내 표준으로 승인된 기가와이어에서는 이러한 집선장비(100)를 별도로 GAM(G.hn Access Multiplexer)라고 하며, 단말은 GNT(G.hn Network Terminal)(45)라 한다.
예시된 집선장비(100)는 G.hn의 글로벌 마스터(Global Master)의 역할을 수행하여 각 G.hn 도메인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도메인 마스터(130)의 설정 값들을 조정하는 GAM Manager(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구성의 예시와 같이, 기존의 댁내 배선으로 이미 구성된 구리선로, 예컨대 전화선로(31, 32, 33)는 집합 건물(50)내 효과적인 배선을 위해 번들로(30)로 관리되므로 실제 각 도메인 마스터(130)에 연결된 전화선로(31, 32, 33)는 물리적으로 인접해있다.
따라서, 도메인 마스터(130)에서 발생되는 선로간 누화(특히, 전단 누화)를 줄이기 위해서 송수신 신호의 타이밍을 동기화하여 모든 도메인 마스터(130)가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실시하도록 한다.
한편, G.hn 집선장비(100)는 기존의 스위치나 라우터 장비와 외관 규격을 유사하게 하여 표준화된 랙(rack)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메인 보드에 패킷 교환을 위한 스위치 및 관리 영역(패킷 교환장치(120), GAM Manager(110))과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를 G.hn 규격에 맞추어 매체와 송수신하기 위한 도메인 마스터(130)가 병렬(예를 들어, 12, 16 또는 24개)로 나열된 G.hn 처리 영역 및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합 전원부(105)가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며, 실제 매체(전화선로)의 연결을 위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예컨대, RJ11 인터페이스)는 장비의 측면에 구성되므로 각 도메인 마스터(130)와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는 연장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병렬로 연결되어 고속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도메인 마스터(130)의 배치와 이러한 도메인 마스터(130)와 연결되는 번들 방식의 매체에 의한 누화를 줄이기 위해 모든 도메인 마스터(130)가 동일한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송수신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이러한 동기화 여부에 따른 누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와 같이 도메인 마스터 간 송수신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일측 도메인 마스터 선로(DM1)가 수신 상태일 때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 선로(DM2)가 송신 상태라면 송신되는 신호가 수신 상태의 도메인 마스터 선로(DM1)에 유입되는 기간(Δt2,Δt4, Δt6)이 존재한다. 반대로 일측 도메인 마스터 선로(DM1)가 송신 상태일 때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 선로(DM2)가 수신 상태라면 송신되는 신호가 수신 상태의 도메인 마스터 선로(DM2)에 유입되는 기간(Δt1,Δt3,Δt5,Δt7)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송수신 상태가 중첩될 경우 상당한 전단누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번들로 이루어지는 매체를 이용하여 G.hn 기술을 적용하고자 할 경에는 반드시 도 3b와 같이 각 선로별 신호 송수신 시점을 동기화해야 한다. G.hn에서는 하나의 타임 프레임 길이(5ms)가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고, 하나의 타임 프레임에서 송신과 수신 영역의 비율은 프로파일 설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그 시작 시점(t1 내지 t4)은 동기화되어야 한다.
특히, 서비스 제공 환경에 따라 하나의 집선 기능은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집선장비(10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국내 표준 및 G.9961에서는 외부 동기화 클럭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표준에서는 집선장비(100)는 도메인 마스터(130)와 단말(46) 간 송수신 신호의 동기화를 위해 외부 동기 클럭 제공부(140)로부터 동기 신호를 제공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외부에 별도의 동기화 클럭 생성 장비를 배치해야 하고, 여러 집선장비(100)가 해당 동기화 클럭 생성 장비와 물리적 선로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공간 및 배치에 제한이 발생한다. 더불어, 이러한 동기 신호를 단말(GNT/EP)(45)에 제공하기 위해서 집선장비(100)의 각 도메인 마스터(130)는 송신 프레임에 동기 클럭을 삽입하여 전송해야 하며 각 단말은 이를 수신하여 동기 클럭을 복원해야 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집선장비(100)가 자체적으로 저속의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복수의 물리적 집선장비(100)가 구성되는 환경이라면 마스터 집선장비가 여러 슬레이브 집선장비에 생성한 동기 클럭을 물리적 선로를 통해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 복잡성이나 공간 및 배치 제한은 여전히 발생하며, 동기 클럭을 단말에 전달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한 구성 역시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표준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동기 방식을 지원하는 장비들 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들이 혼용될 경우 전단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시장의 경쟁 환경을 고려하면 단일 전화선 번들에 복수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집선장비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집선장비 별로 서로 다른 동기 타이밍을 이용하거나, 다른 동기 방식을 이용하거나, 혹은 동기 신호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상이할 수 있으며, 송수신 비율에 대한 프로파일 설정이 다를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동일한 동기 방식을 이용한 장비들을 복수로 구성할 경우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 시점을 일치시키더라도 장비 간 사용되는 클럭의 편차나 신호처리 지연 편차에 의한 송수신 시점 불일치에 의한 누화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집선 장비의 도메인 마스터 간 송수신 동기를 맞춘 경우라 하더라도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간 거리(물리적 혹은 전기적 거리)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의한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에 의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도달 시점이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에 의한 누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 각 도메인 마스터와 패킷 교환장치 사이의 배선 길이에 의해서도 송신 시점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며, 메인보드에 병렬 배치된 도메인 마스터 간 아날로그 신호 특성 영향에 의해 이러한 미세한 편차에 의한 누화가 파급되기도 한다.
따라서,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송수신 타이밍에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고정된 동기 신호로 누화를 억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동기 시점을 조절해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동기 시점의 능동적 조절을 위해 물리적 제한이 존재하는 외부 동기 클럭 수신 방식이 아닌 네트워크 방식의 동기 신호 생성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일 메인보드에 10개 이상의 도메인 마스터를 병렬 구성하는 방식의 집선장비 설계 시 발생될 수 있는 고속 아날로그 신호 처리 영역의 상호 간섭이나 전자파 간섭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식의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도메인 마스터가 해당 집선장비의 인접 도메인 마스터나 다른 집선 장비 연결 매체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 감소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예시에서는 기가와이어 기술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나 이로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선장비(200)는 포트에 대응되는 도메인 마스터(230)와, 패킷 교환장치(220)를 포함하며, G.hn 글로벌 마스터에 대응되는 GAM Manager(21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별도의 외부 동기화 클럭이나 내부적으로 생성하는 동기화 클럭이 아닌 정확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을 살펴보면, 패킷 교환장치(220)에 디지털 신호와 고속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면서 단말(47)과 송수신하는 복수의 도메인 마스터(230)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하나의 메인 보드에 구성할 경우 고속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넓은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가 병렬로 밀집하여 구성되게 되므로 인접한 아날로그 처리부 간 간섭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판을 통한 고주파 노이즈의 전달, 매체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메인 보드 사이의 연결 선로 노이즈, 전자파 노이즈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전원과 아날로그 전원을 메인보드에서 생성하여 병렬로 구성된 도메인 마스터(230)가 공유하게 될 경우 이러한 전원선로를 통한 노이즈 전달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단일 메인 보드에 12, 16 혹은 24개로 구성되는 도메인 마스터를 구성할 경우 각종 수동소자나 능동소자의 공정 편차, 배선의 차이, 솔더링 차이 등의 미세한 특성 변화에 의해 균일한 특성을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를 수십개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고, 특성이 좋지 않은 포트가 존재할 경우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다른 포트의 특성이 변화되므로 그 조정 과정 역시 쉽지 않아 제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기대 특성을 모두 만족한다 하더라도 실제 적용 시 모든 포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효율이 낮으며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사용 중 문제가 발생한 포트가 인접한 포트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장비 단위 수리가 필요하여 관리가 어려운 문제 역시 발생한다.
즉, 다양한 환경적 특성에 의한 동기화 오차와 그에 따른 누화 발생을 고려하기 이전에 이러한 설계적 특성에 의한 문제부터 먼저 해결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의 병렬 구성인 도메인 마스터를 각각 독립적인 모듈로 설계하고 이를 금속 차폐 바디로 차폐한 스틱 모듈 타입으로 만든 후 이를 메인보드에 착탈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즉, 단일한 메인 보드에 직접 고속 디지털 처리부와 아날로그 처리부를 인접 배치하는 대신 각각 별도의 모듈로 독립 구성하고 이를 차폐 금속으로 완전히 차폐하도록 함으로써 기판을 공유하고 전원과 접지를 공유하는 환경이 아닌 독립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스틱형 모듈을 개별 제조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경우 개별 모듈의 특성을 기준에 맞추어 도메인 마스터를 생산함으로써 수율을 높이고 필요한 가입자 수에 맞추어 모듈을 착탈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효율을 높이며 이상 발생 시 해당 모듈만 교체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5에 예시된 스틱형 모듈 타입의 도메인 마스터(310)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메인 마스터는 그 내부에 집선장비의 메인보드와 디지털 신호처리 및 전원 연결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316)와, G.hn 베이스밴드 처리부(311) 및 물리계층 처리부(312)와,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얻은 전원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용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310)와, 댁내 선로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317) 및 이들을 차폐하는 금속 차폐 바디(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입 노이즈를 금속 차폐 바디(315)를 통해 감소시키고, 메인 보드와의 연결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한정하며,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및 이를 위한 독립적인 전원 생성은 내부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접 도메인 마스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전원부(205)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위한 전원을 생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틱형 모듈 타입의 도메인 마스터(310)는 각각 능동적으로 동기화를 위한 동기 신호 조절 정보 즉, 동기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레지스터부(314)를 구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집선 장비의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 및 동기 조절부(250)의 기능을 설명한 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는 외부 네트워크(1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타임 서버(300)를 참조하여 현재의 정확한 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1588 타이밍 프로토콜(PTP:Precision Timing Protocol)을 이용하여 현재의 정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IEEE 1588 타이밍 프로토콜의 경우 하드웨어에서 생성하는 타임 스탬프를 사용할 때 나노초 단위의 정확도까지 보장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를 구비한 집선장비(200)는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G.hn의 동기 신호 발생 주기(40ms)에 맞추어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말(GNT/EP(46))(47)의 경우에도 외부 타임 서버(300)를 참조하여 현재의 정확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동기화부(48)를 구성하여 각 개별 단말의 현재 시각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동기화부(48)가 집선장비(200)를 외부 타임 서버(300) 대신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집선장비(200)와 단말(47)은 각각 현재의 시각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시작 시점과 송수신 비율에 대한 정보만 프로파일 정보로 공유한다면 정확한 송수신 동기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파일 정보는 집선장비(200)가 생성하여 단말(47)에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집선 장비들 간 공유될 수 있다.
특히, 초기 동작 시 동기화되지 않은 선로 간 누화발생이 통신 불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단말(47)은 구성된 가입자망을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10)의 타임서버(300)에 각각 접속하거나 집선장비(200)와 통신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하고 프로파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후 정확한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송수신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렇게 집선장비(200)와 단말(47)이 정밀한 시각을 기준으로 동기화를 수행할 경우 개별 집합건물 구내마다 동기화 클럭 생성 장치를 구성하거나 물리적 선로로 외부 동기화 클럭을 수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나 배치에 대한 제한에서 자유롭게 되며, 다수의 집선장비(200)를 이용하여 집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물리적 집선장비 간 결선이 필요하지 않으며 동기화 오류 발생시에도 각각 개별적인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하므로 오류 발생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200)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유일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동기화를 실시하므로 이러한 동일한 동기화 규약을 준수하는 집선장비들 간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문제점으로 지적했던 바와 같이 고정된 동기 신호만으로 실제 환경에서 발생되는 여러 누화 원인들에 대응할 수 없다.
주요한 누화 발생 상황을 구분해 보면, 크게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의 편차에 의한 누화 발생과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사이의 거리 차이에 의한 전파 지연 차이에 의한 누화 발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의 편차는 장비 간 동기 신호의 시작 시점이 어긋나는 경우(인접 장비가 사용하는 동기 신호를 알 수 없는 경우), 인접 도메인 마스터와 동기 신호의 시작 시점이 미세하게 어긋나는 경우(동일 장비라도 패킷 교환장치와 도메인 마스터 사이의 배선 길이 차이, 신호처리 과정의 지연 편차, 연결된 매체와의 정합 특성 차이 등) 등과 같이 표준에 맞춘 동기 신호의 주기는 고정(40ms)되더라도 그 동기 신호의 시점이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전파 지연 차이에 의한 누화 발생은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사이의 거리가 각각 상이하다는 점 때문에 도메인 마스터들에서 단말들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시작 시점은 동일하지만,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실제 수신 시작 시점이 거리나 매체의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누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거리 편차에 의해 실제 도메인 마스터에 수신되는 단말의 송신 신호 감쇄 정도가 다르므로 도메인 마스터 간 수신 신호의 크기 차이에 따른 누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200)는 이러한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의 편차와 전파 지연 차이에 의한 누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동기 조절부(250)와 스틱형 모듈 타입의 도메인 마스터(310) 각각에 구성된 클럭 레지스터부(314)를 이용한다.
우선,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의 편차 중 편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인접 장비와의 동기 신호 편차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설명한 후 인접 도메인 마스터와 동기 신호 편차가 미세하게 발생할 경우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간 거리 차리에 의한 누화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인접 장비의 송수신 타이밍에 대응하여 동기 신호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방식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집선장비(200)는 개별 도메인 마스터(230)에 대한 누화 발생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Crosstalk Reporting)을 구비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각 도메인 마스터(230)의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누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신호대 잡음비)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동기 신호의 시작 타이밍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에 제공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한다. 이러한 동기화 시점의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는 집선장비 단위로 동일하게 산출하거나, 포트 단위로 상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 조절부(250)는 G.hn 기술의 신호 타이밍 구성에 따른 동기 신호 주기(MAC 사이클)를 이용하며, 하나의 동기 신호 주기에 8개의 서브 블록(프레임 시간)이 구성된다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현재의 G.hn 기술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동기 신호 주기가 40ms이며, 하나의 서브 블록(프레임 시간)이 5ms이고, 이러한 하나의 서브 블록이 송신과 수신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동기 신호의 주기와 서브 블록의 길이는 집선장비의 종류나 동기화 방식에 무관하게 동일하며, 실제 문제가 되는 부분은 동기 신호의 시작 시간의 차이, 즉 위상 차이에 의한 편차로 송수신 타이밍이 엇갈리는 도메인 마스터 간 누화 구간이다.
예컨데, 송신과 수신의 비율이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동기 방식을 이용하는 집선장비의 도메인 마스터간 동기 신호의 위상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도 7a) 송수신 차이에 의해 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GAM1)의 특정 포트(DM A)의 동기 신호(Clk_nw) 시작 시점이 외부 동기 클럭 제공부를 통해 레퍼런스 동기 클럭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실시하는 인접한 다른 집선장비(GAM2)의 특정 포트(DM B)의 동기 신호(Clk_ref) 시작 시점보다 빠른 경우, 포트(DM B)의 송신 신호가 포트(DM A)의 수신 신호에 영향을 주는 편차 발생 구간(ΔSt2, ΔSt4, ΔSt6)에서 누화 발생이 관찰될 수 있다.
즉, 크로스토크 리포팅(포트 별 신호대 잡음비) 결과를 확인했을 때 프레임 시간(5ms) 단위로 특정한 누화 구간이 존재할 경우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누화 구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해당 구간이 인접한 다른 집선장비의 동기 신호 시작 시점과 차이가 발생하는 편차 구간이라는 것이 확인되면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해당 편차 만큼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에 제공한다.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는 해당 동기 정보를 근거로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절한다. 도시된 도 7b의 경우 동기 정보는(+ΔSt)가 되어 기존의 동기 신호(Clk_nw)의 시작 시점을 동기 정보만큼 늦춘다. 이는 포트별로 수행되거나, 집선장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집선장비(200)는 이러한 동기 신호의 시작 시점에 대한 변화 정보가 포함된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및 동일 매체를 이용하는 다른 집선장비(200)와 공유할 수 있다.
도시된 도 7의 예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을 구성하는 송신 구간과 수신 구간의 비율이 동일한 경우지만, 통신 서비스 제공자 별로 이러한 비율이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장 상황에 맞추어 전단누화를 줄일 수 있도록 동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기 때문에 해당 현장에 가장 최적화된 동기 신호 타이밍을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동기 위상 조절부(250)의 동작은 동기 신호가 제공되는 주기에 포함된 8개의 프레임 시간을 단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속하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측정되는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가 균일할 수 없고, 가급적 누화 정도를 빠르게 낮추어야 하므로 측정된 크로스토크 리포트에 따라 구분되는 누화 발생 구간을 제 1 시간(예를 들어 100㎲) 단위로 확인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누화 발생 구간이 줄어들 경우 제 2 시간(예를 들어 수십㎱) 단위로 확인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접 장비와의 적응형 동기화 과정의 일부 혹은 전부는 주기적으로 반복되거나, 크로스토크 리포팅 결과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접 장비들 간 내부 클럭의 편차에 의해 이러한 조정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만일, 인접한 장비의 송수신 비율이 상이한 경우나 클럭 편차가 있는 경우라면 ns 단위의 조정이 계속하여 반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속적 조정이 반복될 경우 그 패턴을 확인하여 해당 패턴을 프로파일 정보로 공유함으로써 동기 방식이나 프로파일이 상이한 집선장비의 포트 간 발생되는 누화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한 상기 방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집선장비(200)를 단위로 인접 집선장비와의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추종하는 방식으로, 동기 조절부(250)에서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가 수신하여 각 도메인 마스터(230)에 제공하는 동기 신호의 시작 시점을 가변한 후 제공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모듈 타입의 도메인 마스터(310)를 이용하는 경우 동기 조절부(250)가 지연을 위한 동기 정보를 각 도메인 마스터(310)에 구성된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제공하고, 각 도메인 마스터(310)가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동기 신호를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가변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도메인 마스터(310)에는 동일한 동기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각 도메인 마스터를 단위로 측정된 크로스토크 리포팅에 의해 산출된 개별적인 동기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위의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하여 동기 조절부(250)가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에 인접 집선장비의 동기 신호 시작 시점에 대응하는 장비 단위의 동기 정보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가 기본적인 동기 조절이 이루어진 동기 신호를 각 도메인 마스터(310)에 제공하며, 동기 조절부(250)가 각 도메인 마스터별로 일부 차이가 있는 편차에 대한 동기 정보를 도메인 마스터(310)에 구성된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제공하면, 도메인 마스터(310)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로부터 제공되는 조절된 동기 신호를 상기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저장된 동기 정보로 재 조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동기 조절부(250)는 각 도메인 마스터(310)에 대한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이용하여 누화 발생을 줄이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인접 도메인 마스터와 동기 신호의 시작 시점이 미세하게 어긋나는 경우(동일 장비라도 패킷 교환장치와 도메인 마스터 사이의 배선 길이 차이, 신호처리 과정의 지연 편차, 연결된 매체와의 정합 특성 차이 등) 발생되는 누화를 줄이기 위한 미세한 동기 신호 조절 정보를 동기 정보로 생성하여 각 도메인 마스터(310)의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도메인 마스터(310)는 클럭 레지스터부(314)의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용할 동기 신호를 수ns 수준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동기 조절부(250)는 각 도메인 마스터의 송수신 성능(크로스토크 리포팅, 신호대 잡음비 등)을 기준으로 누화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동기 정보(인접 장비의 동기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나 도메인 마스터 단위의 동기 신호 조절 정보, 도메인 마스터 간 미세 동기 신호 편차에 대응하기 위한 동기 신호 조절 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나 스틱 모듈 타입의 도메인 마스터(310)에 제공하여 동기 정보를 반영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기 조절부(250)의 동기 정보는 대부분의 경우 초기 생성된 대로 유지되지 않으며 장비간 사용 클럭 발생기의 편차, 장비나 가입자의 구성 변경, 신호 처리 수단의 연산 지연 편차, 아날로그 환경의 변화, 송수신 정보의 상태, 전자파 환경 변화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계속하여 변화되므로 이러한 동기 정보는 지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동기 신호 제공 시점을 조정하는 과정 역시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동기 신호의 제공 시점을 조절하는 것으로 누화를 줄일 수 있는 경우도 있는 반면, 동기 신호 제공 시점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간 거리 차에에 의한 누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간의 거리 편차에 의한 누화 발생 및 그 감소를 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메인 마스터(310a, 310b)와 단말(47a, 47b) 사이의 거리가 도시된 경우와 같이 상이한 경우(d1, d2) 거리 편차(Δd)에 의해서 단말(47a, 47b)이 동시에 신호를 송신할 경우 도메인 마스터(310a 301b)가 각각 실제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시점은 편차(pd)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편차(pd)는 도시된 바와 같은 물리적 거리차이 뿐만 아니라 매체 상태에 따른 전기적 거리 차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러한 수신 시점 간의 차이 뿐만 아니라 거리 편차(Δd)에 의해 거리가 먼 단말(47b)이 송신한 신호가 도메인 마스터(310b)에 도달하는 경우의 신호 크기는 거리가 더 짧은 단말(47a)이 송신한 신호가 도메인 마스터(310a)에 도달하 신호 크기보다 작아진다. 이러한 수신 신호 크기 편차(pv)는 물리적 혹은 전기적 거리 편차에 의해 도메인 마스터 간 다를 수 있다.
결국, 단말과의 거리가 더 먼 도메인 마스터(310b)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단말과의 거리가 더 가까운 도메인 마스터(310a)에 수신 신호가 도달함에 따라 해당 수신 신호가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도메인 마스터(310b)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메인 마스터의 수신 위치에서의 수신 신호 크기 편차(pv)에 의해 더 큰 신호가 더 작은 신호를 수신하는 도메인 마스터(310b)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누화를 해소하기 위해서 우선 동기 조절부(250)는 도메인마스터 간 크로스토크 리포트를 통해서 송수신 상태에 따른 누화를 파악하여 수신 상태에서 누화가 발생하는 구간에 대한 전파 지연 정보(수신 신호의 도달 시점 편차에 따른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을 해소하기 위한 지연 구간에 대한 정보)를 동기 정보의 일부로 생성하여 도메인 마스터(310)의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제공하며, 도메인 마스터(310)의 클럭 레지스터부(314)는 이를 저장한다.
도메인 마스터(310)는 클럭 레지스터부(314)에 전파 지연 해소를 위한 동기 정보가 저장되면 해당 동기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만큼 송신 신호를 더 빠르게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전파 지연 정보를 단말(47)에 전달한다. 이 경우, 도메인 마스터(310)는 이러한 전파 지연 정보를 관리 채널(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채널)을 통해 단말(47)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47)은 동기화부를 통해 수신된 전파 지연 정보에 따라 송신할 정보를 기존보다 빠르게 전송하여 전파 지연을 보상함으로써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기 조절부(250)는 도메인 마스터 간 크로스토크 리포트를 통해서 얻어지는 신호대 잡음비의 크기나 도메인 마스터의 수신 신호 크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동기 신호에 부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수준이 되도록 하기 위한 편차 정보나 필요 증폭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메인 마스터(310)는 동기 조절부로부터 동기 신호에 부가된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47)에 전달하며, 단말(47)은 전송할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도메인 마스터에 도달하는 신호의 크기가 균일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기 조절부(250)는 크로스토크 리포팅(신호대 잡음비) 정보를 기준으로 동기 신호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와 전파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기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스틱 모듈형 도메인 마스터(310)의 클럭 레지스터부(314)는 동기 정보에 포함된 동기 신호 시점 조절을 위한 정보와 전파 지연을 위한 정보를 구분 저장할 수 있다.
더불어, 동기 조절부(250)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누화를 줄이기 위해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 간의 거리 편차에 의한 수신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더 생성하여 스틱 모듈형 도메인 마스터(31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스틱 모듈형 도메인 마스터(310)는 이러한 수신 신호 크기 편차 정보를 더 수신하여 이를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화선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축 케이블이나 전력선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댁내 배선을 매체로 이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누화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부 네트워크 47: 단말(GNT)
48: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 200: 집선장비(GAM)
210: GAM Manager 220: 패킷 교환장치
230: 도메인 마스터 240: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
250: 동기 조절부 310: 스틱 모듈 타입 도메인 마스터
311: 베이스밴드 처리부 312: 물리계층 처리부
313: 전원부 314: 클럭 레지스터부
315: 금속 차폐 바디 316: 디지털 인터페이스부
317: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

Claims (13)

  1. 다수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과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메인 마스터를 구비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CO:Central Office)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타임 서버와 접속하여 정확한 시각을 확인하여 설정된 주기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와;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도메인 마스터별 동기화 시점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집선장비를 구성하는 메인보드와 각각 착탈 결합되는 금속 차폐 바디를 가진 스틱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동기 조절부를 통해 제공되는 동기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레지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럭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동기 신호의 시점을 조절하며,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시점 편차에 따른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정보를 동기 신호의 일부로 생성하고,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는 전파 지연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상기 전파 지연 정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여 단말의 신호 송신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집선장비의 메인보드와 디지털 신호처리 및 전원 연결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와,
    G.hn 베이스밴드 처리부 및 물리계층 처리부와,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얻은 전원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용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와,
    댁내 선로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에 제공하며,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통해 제공되는 동기 신호의 시점을 상기 클럭 레지스터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장비 단위의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고,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는 장비 단위의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조절된 동기 신호를 도메인 마스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기 조절부는 장비 단위 위상 조절이 이루어진 이후,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개별 도메인 마스터별로 누화 감소를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여 각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조절부는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동기 신호에 부가하여 생성하고, 도메인 마스터는 동기 조절부로부터 동기 신호에 부가된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것으로 단말의 송신 신호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9.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집선장비의 메인 보드에 필요한 가입자 수 만큼 금속 차폐 바디를 가진 스틱형 모듈 형태의 도메인 마스터를 체결하여 구성하는 단계와;
    각 도메인 마스터와 단말을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하는 단계와;
    집선장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임 서버를 통해 현재 시각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집선장비가 도메인 마스터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도메인 마스터별 동기화 시점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상기 생성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메인 마스터는 산출된 동기 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레지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상기 클럭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동기 신호의 시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집선장비가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시점 편차에 따른 전파 지연 정보를 동기 신호의 일부로 생성하여 도메인 마스터의 클럭 레지스터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클럭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상기 전파 지연 정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여 단말의 신호 송신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체결된 메인 보드로부터 디지털 전원을 공급 받아 아날로그 신호 처리용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집선장비가 도메인 마스터 간 단말의 거리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에 따른 정보를 동기 신호에 부가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메인 마스터가 동기 신호에 부가된 수신 신호의 도달 신호 크기 편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KR1020160020316A 2016-02-22 2016-02-22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KR10163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16A KR101632039B1 (ko) 2016-02-22 2016-02-22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16A KR101632039B1 (ko) 2016-02-22 2016-02-22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039B1 true KR101632039B1 (ko) 2016-06-20

Family

ID=5635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316A KR101632039B1 (ko) 2016-02-22 2016-02-22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20A1 (ko) * 2016-07-13 2018-01-18 주식회사 케이티 간섭 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섭 완화 방법
KR20180007640A (ko) *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케이티 간섭 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섭 완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948A (ja) * 2005-04-21 2006-11-02 Sumitomo Electric Ind Ltd Adsl装置、adsl伝送システムおよび同期方法
KR20100039710A (ko) * 2008-10-08 2010-04-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네트워크에서 단말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1403590B1 (ko) 2014-04-01 2014-06-09 (주)유비쿼스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KR101458389B1 (ko) * 2014-04-01 2014-11-06 (주)유비쿼스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948A (ja) * 2005-04-21 2006-11-02 Sumitomo Electric Ind Ltd Adsl装置、adsl伝送システムおよび同期方法
KR20100039710A (ko) * 2008-10-08 2010-04-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네트워크에서 단말 시각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1403590B1 (ko) 2014-04-01 2014-06-09 (주)유비쿼스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KR101458389B1 (ko) * 2014-04-01 2014-11-06 (주)유비쿼스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20A1 (ko) * 2016-07-13 2018-01-18 주식회사 케이티 간섭 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섭 완화 방법
KR20180007640A (ko) *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케이티 간섭 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섭 완화 방법
KR101892704B1 (ko) * 2016-07-13 2018-08-28 주식회사 케이티 간섭 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섭 완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137B2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managing time-division duplex (TDD) transmission over copper
US1190944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CN103477652B (zh) Catv线缆相同频率的时分双工数据传输的方法
CN101436916B (zh) 一种无源光网络的带宽处理方法、装置和系统
KR101632039B1 (ko)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KR101616696B1 (ko)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의 누화 감소 방법 및 시스템
US9866271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apparatus and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for home network transmission lin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WO2021254222A1 (zh) 一种训练序列的确定方法及相关设备
EP213647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KR101474520B1 (ko) 홈 네트워크 전송 선로의 간섭 완화 장치, 간섭 완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1621932B1 (ko)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KR101632038B1 (ko) G.hn 가입자망 시스템의 적응형 이퀄라이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집선장비
AU2020100539A4 (en) Coordination of DPUs in a crosstalk environment
JP573071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230008963A1 (en) COORDINATION OF DPUs IN A CROSSTALK ENVIRONMENT
CN207732781U (zh) 一种基于G_fast网络的多用户居住单元接入设备
WO202308129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data compliant with home networking standard over twisted pair cables
KR101974908B1 (ko)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관리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고객 댁내 장치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N116470985A (zh) 一种4g、5g融合的星型组网的时延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