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932B1 -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932B1
KR101621932B1 KR1020160012632A KR20160012632A KR101621932B1 KR 101621932 B1 KR101621932 B1 KR 101621932B1 KR 1020160012632 A KR1020160012632 A KR 1020160012632A KR 20160012632 A KR20160012632 A KR 20160012632A KR 101621932 B1 KR101621932 B1 KR 10162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talk
time
synchronizatio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식
백준현
박성훈
Original Assignee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2Reducing cross-talk, e.g. by compens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04B3/462Testing group delay or phase shift, e.g. timing jitter
    • H04B3/466Testing attenuation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group delay and phase shi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04B3/487Testing crosstalk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34Testing for cross-ta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를 위한 G.hn 기술을 전화선 가입자망에 적용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 통신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 댁내 배선환경에 따른 전화선 번들에서 발생되는 누화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동기화 방식이 상이한 집선장비와 함께 사용되더라도 장비 간 누화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집선장비에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단말과의 송수신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송수신 타이밍 오차에 따른 누화를 줄임과 아울러 현재 통신 상태 분석을 통한 누화 정도를 기준으로 동기의 위상(동기 신호 발생 시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동기화 클럭 생성 장치나 복수의 집선장비 간 동기화 클럭 전달을 위한 별도의 연결 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동기 방식이 상이한 집선장비와 혼용되더라도 전단누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Cross talk reducing central office for G.hn applied access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에 적용되는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네트워크를 위한 G.hn 기술을 전화선 가입자망에 적용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 통신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 댁내 배선환경에 따른 전화선 번들에서 발생되는 누화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동기화 방식이 상이한 집선장비와 함께 사용되더라도 장비 간 누화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 기술과 단말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 역시 고품질, 고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환경 역시 수백 Mbps를 넘어 1Gbps급 서비스 환경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현재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는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의 댁내 배선환경이 광케이블, UTP 선로로 구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추친되고 있으며, 배선 환경이 전화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같은 구리 배선인 경우를 위해서 기존 구리선 기반 통신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G.hn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G.996x를 비롯한 관련 기관에서 추친된 홈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명으로, 전화선, 전력선, 동축 케이블 등의 기존 구리선 물리 매체를 이용하여 1G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예를 들어 전화선을 이용한 통신 기술의 경우 25kHz~1.1MHz 대역을 이용하여 512k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ADSL 기술에서 25kHz~30MHz 대역을 이용하여 2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VDSL2 기술까지 발전하였으나 그 이상의 속도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에 반해서 전화선을 이용하는 ITU-T G.996x표준 권고안 고속 가입자 네트워크 기술인 G.hn에서는 2~100MHz의 넓은 대역을 이용하여 1G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200MHz까지 사용 대역을 넓혀 전송 속도를 두 배로 증가시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G.hn 기술은 기본적으로 매체에 따라 적절한 대역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하는 OFDM 방식 변조와 시분할의 반이중 송수신 방식(half duplex)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전화선의 경우 48.828125kHz 대역의 서브캐리어 2048개를 이용하여 100MHz 대역으로 1Gbps 전송 속도를 구현하고 있으며 사용 대역을 200MHz로 확장하여 서브캐리어 4096개를 사용하는 방식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G.hn 기술을 가입자망에 적용할 경우 건물의 구내까지는 광선로를 통해 연결하고, 건물 내부에서는 이미 배선된 전화선에 G.hn 기술을 적용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전송 속도를 댁내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가와이어(Gigawire)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전화선 배선 방식의 특성 상 수십~수백 가닥의 전화선 페어들이 번들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인접한 전화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유입되어 혼선이 발생되는 누화(crosstalk)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G.hn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집선장비의 각 포트 인접 영역에서 발생되는 근단누화(NEXT:Near End Cross Talk)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므로 고품질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를 해결해야만 한다.
따라서, 집선 장비(CO:Central Office)의 외부에서 수십 KHz 정도의 레퍼런스 클럭을 별도로 발생시키고, 집선 장비에서 개별 댁내 전화선을 관리하는 각 포트가 이를 기반으로 통신 시점을 동기화하는 방식인 Coordinate G.hn 네트워크 구조가 개발되었고, 이 방식은 복수의 G.hn DM(Domain Master)에서 발생하는 NEXT를 줄이기위해 전송 패킷의 데이터 프레임 시작 시간을 동기화하여 인접 수신 상태의 전화선 포트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집선 장비를 위한 레퍼런스 클럭 생성부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고, 동일한 번들 케이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집선 장비 간 클럭 동기화를 위해 레퍼런스 클럭 생성부가 복수의 집선 장비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레퍼런스 클럭은 집선장비에만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집선장비와 연결되는 댁내의 통신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에도 이러한 레퍼런스 클럭을 전달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집선장비가 댁내 통신 단말에 이러한 동기 클럭을 전송 신호에 포함시켜 전달해야 하고 댁내 통신 단말은 이러한 전송 신호로부터 복원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등록특허 제10-1403590호 "G.hn 기술을 억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ITU-G G.9961에서 정의된 “외부 클럭소스를 이용한 MAC 싸이클 동기화 방법”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레퍼런스 클럭을 집선 장비(CO)가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동기 클럭 신호를 통신 패킷에 삽입하여 댁내 통신 단말(CPE)에 전송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집선장비에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 신호에 삽입하는 구성이 필요하며, 해당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댁내 통신 단말(CPE)에는 이를 복원하는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방식은 마스터 집선장비에 종속적이므로 오류에 대한 규모가 크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화선 번들에 대한 집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집선장비가 적용될 경우(예를 들어 60가구에 대응하기 위해 60페어 전화선 번들이 구성되는 경우 24포트 집선장비 3대가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 하나의 집선장비가 마스터가 되어 복수의 슬레이브 집선장비에 동기 클럭을 물리적으로 전달해 주어야 하므로 동기신호 중계를 위한 연결 포트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물리적 선로 배치에 한계가 있으며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전화선 번들에 대한 집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복수의 집선장비가 적용되는 경우 각 집선장비 간에는 동기 클럭이 물리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동기 클럭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호환성이 유지되어야 하고 해당 동기 클럭을 이용하기 위한 내부 규약이 동일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동일 제조사의 장비를 이용해야 하며 물리적 인터페이스나 동기 클럭 생성 방식이 상이한 장비를 혼용하기 어렵다. 무엇보다도, 복수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혼재하는 시장 상황에서, 동일한 전화선 번들을 복수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집선 장비들이 공통으로 이용할 경우 각 집선 장비들 간의 송수신 타이밍이 모두 다르고, 송수신 비율도 상이하여 전단누화에 의한 영향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G.hn 기술을 적용하여 구리선으로 이루어진 기존 배선을 통해 초고속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단누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성이 자유롭고 물리적 제약이 낮은 신호 동기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다른 동기 방식을 이용하는 집선장비 사이에서 발생되는 송수신 편차에 따른 누화 역시 지능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3590호 [발명의 명칭: G.hn 기술을 억세스 네트워크에적용하기 위한 방법]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선장비(CO:Central Office)와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에 각각 개별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송수신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송수신 타이밍 오차에 따른 내부 포트 간 누화를 줄이면서도 물리적인 외부 클럭 구성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 않은 장비를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 통신 상태 분석을 통한 누화 정도를 기준으로 동기 신호의 위상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동기 방식이 다른 인접 집선장비와의 누화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트별 통신 상태 확인을 통해 누화 감소를 위한 위상 동기 정보를 5ms 길이의 프레임 시간(서브 블록) 내에서 단위가 큰 시간 단위로 조정한 후 미세 조정을 실시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신속한 누화 감소가 가능하도록 한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과 연결되는 집선장비의 각 포트에 선로간 누화를 줄이기 위한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함과 아울러, 누화가 발생한 포트 간 밸런싱 커패시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인접 선로 간 신호 편차에 따른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은 다수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과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가진 집선장비(CO:Central Office)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임 서버를 통해 현재 시각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산출된 현재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상기 산출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제 1 시간 단위로 생성한 동기 정보로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단계와, 잔여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 1 시간보다 짧은 제 2 시간 단위로 동기 정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정보는 집선장비 단위로 동일하게 산출하거나, 포트 단위로 상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을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동기화를 위한 동기 구간은 40ms이며, 동기 정보의 산출은 5ms를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집선장비가 신호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점과 송수신 비율이 설정된 프로파일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여 송수신 타이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과 연결되는 상기 집선장비의 각 포트 중 선택된 인접 포트 사이에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선장비는 용량 조절이 가능한 밸런싱 커패시터를 포트 간 구성하고,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포트 간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는 다수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과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집선장비(CO:Central Office)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타임 서버와 접속하여 정확한 시각을 확인하여 설정된 주기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와;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동기 위상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 위상 조절부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을 단위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제 1 시간 단위로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는 동기 정보를 산출한 후 이를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고, 잔여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제 1 시간보다 짧은 제 2 시간 단위로 동기 정보를 조절하여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는 IEEE 1588 타이밍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타임 서버에 접속하여 정확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선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통해 얻어진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신호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점과 송수신 비율이 설정된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과 연결되는 각 포트 중 선택된 인접 포트 사이에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한 밸런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포트 간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Cap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은 집선장비에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단말과의 송수신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송수신 타이밍 오차에 따른 누화를 줄임과 아울러 현재 통신 상태 분석을 통한 누화 정도를 기준으로 동기의 위상(동기 신호 발생 시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동기화 클럭 생성 장치나 복수의 집선장비 간 동기화 클럭 전달을 위한 별도의 연결 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동기 방식이 상이한 집선장비와 혼용되더라도 전단누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은 집선장비에 포함된 복수 포트와 단말 사이의 전단누화는 물론이고 인접한 타사 혹은 타 서비스 제공자의 집선장비와의 혼용 상황에서의 전단누화를 지능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제 현장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누화 저감용 신호 전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은 단말과 연결되는 집선장비의 각 포트에 선로간 누화를 줄이기 위한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하고, 필요한 경우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인접 선로 간 신호 편차에 따른 누화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의 전단누화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동기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 감소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G.hn 기술의 신호 타이밍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화감소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인접 장비 간 신호 동기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 감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화 감소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 커패시터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집선장비(CO:Central Office), 포트(port),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은 G.hn 기술 적용 시 대응되는 구성의 다른 용어 GAM(G.hn Access Multiplexer), 도메인 마스터(DM:Domain Master), GNT(G.hn Network Terminal)/EP(End Pointer)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예시적으로 xDSL 가입자망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22)를 외부 네트워크(매트로 망, 백본망, 인터넷망 등)(10)와 연결하는 교환장치(패킷 교환장치)(21)를 구비한 집선장비(CO:Central Office)(20), 집선장비(20)의 각 포트(22)와 연결되는 댁내(40)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41), 그리고 이러한 집선장비(20)와 단말(41)을 연결하는 전화선로(31 내지 33)로 이루어진다.
댁내(40)에서는 단말(41)과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통신 단말(PC, 셋톱박스, IPTV 등)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허브(42)를 포함하며, 일반 전화기는 단말(41)과 연결되어 기존 전화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의 경우 집선장비(20)는 대부분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자측에 위치하며, 단말(41)은 댁내에 위치한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전화선 기반 가입자망은 댁내 배선으로 이미 구성된 전화선을 이용하게 되는데, 집선장비(20)와 연결되는 전화선은 수십쌍 내지 수백쌍의 전화선 번들 형태를 가지게 된다. 특히, 집합건물(아파트나 빌딩 등)(50)에 구성된 각 세대에 전화선을 분배하는 배선망의 경우 수십쌍의 전화선 페어를 수직 배치하고 각 세대별로 수평 분기하여 분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 xDSL 기반 가입자망은 최대 200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있으나, 최근의 고품질 고선명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기에는 모자란 실정이다.
도 2는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최근 G.hn에 대한 국제표준(G.996x)을 수용하여 국내 표준으로 승인된 기가와이어(Giga Wire)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즉, 기존 구리선 기반(전화망, 케이블망) 가입자망의 집선장비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측에 구성되는 것과 달리 전송 매체의 한계를 고려하여 집선장비(100)를 집합건물(50)의 구내에 배치하고, 해당 집선장비(100)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사이는 광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집합건물 내부의 짧은 거리에서 기존 구리선 매체를 초고속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FTTB(Fiber To The Building) 가입자망의 종단부 구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G.hn 기술에서는 집선장비(100)의 각 포트를 도메인 마스터(DM:Domain Master)(130)라고 하고, 단말을 엔드 포인트(EP:End Pointer)(46)라 하며, 개별 연결 선로를 G.hn 도메인이라 한다. 이는 G.hn 기술을 지원하는 포트와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서, 포괄적으로 보면 G.hn 기술을 지원하는 포트와 단말을 의미한다.
더불어, 최근 국내 표준으로 승인된 기가와이어에서는 이러한 집선장비(100)를 별도로 GAM(G.hn Access Multiplexer)라고 하며, 단말은 GNT(G.hn Network Terminal)(45)라 한다.
예시된 집선장비(100)는 G.hn의 글로벌 마스터(Global Master)의 역할을 수행하여 각 G.hn 도메인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도메인 마스터(130)의 설정 값들을 조정하는 GAM Manager(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구성의 예시와 같이, 기존의 댁내 배선으로 이미 구성된 구리선로, 예컨대 전화선로(31, 32, 33)는 집합 건물(50)내 효과적인 배선을 위해 번들로(30)로 관리되므로 실제 각 도메인 마스터(130)에 연결된 전화선로(31, 32, 33)는 물리적으로 인접해있다.
따라서, 도메인 마스터(130)에서 발생되는 선로간 누화(특히, 전단 누화)를 줄이기 위해서 송수신 신호의 타이밍을 동기화하여 모든 도메인 마스터(130)가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실시하도록 한다.
도 3은 이러한 동기화 여부에 따른 누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와 같이 도메인 마스터 간 송수신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일측 도메인 마스터 선로(DM1)가 수신 상태일 때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 선로(DM2)가 송신 상태라면 송신되는 신호가 수신 상태의 도메인 마스터 선로(DM1)에 유입되는 기간(Δt2,Δt4, Δt6)이 존재한다. 반대로 일측 도메인 마스터 선로(DM1)가 송신 상태일 때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 선로(DM2)가 수신 상태라면 송신되는 신호가 수신 상태의 도메인 마스터 선로(DM2)에 유입되는 기간(Δt1,Δt3,Δt5,Δt7)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송수신 상태가 중첩될 경우 상당한 전단누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번들로 이루어지는 매체를 이용하여 G.hn 기술을 적용하고자 할 경에는 반드시 도 3b와 같이 각 선로별 신호 송수신 시점을 동기화해야 한다. G.hn에서는 하나의 타임 프레임 길이(5ms)가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고, 하나의 타임 프레임에서 송신과 수신 영역의 비율은 프로파일 설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그 시작 시점(t1 내지 t4)은 동기화되어야 한다.
특히, 서비스 제공 환경에 따라 하나의 집선 기능은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집선장비(10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국내 표준 및 G.9961에서는 외부 동기화 클럭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표준에서는 집선장비(100)는 도메인 마스터(130)와 단말(46) 간 송수신 신호의 동기화를 위해 외부 동기 클럭 제공부(140)로부터 동기 신호를 제공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외부에 별도의 동기화 클럭 생성 장비를 배치해야 하고, 여러 집선장비(100)가 해당 동기화 클럭 생성 장비와 물리적 선로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공간 및 배치에 제한이 발생한다. 더불어, 이러한 동기 신호를 단말(GNT/EP)(45)에 제공하기 위해서 집선장비(100)의 각 도메인 마스터(130)는 송신 프레임에 동기 클럭을 삽입하여 전송해야 하며 각 단말은 이를 수신하여 동기 클럭을 복원해야 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집선장비(100)가 자체적으로 저속의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복수의 물리적 집선장비(100)가 구성되는 환경이라면 마스터 집선장비가 여러 슬레이브 집선장비에 생성한 동기 클럭을 물리적 선로를 통해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 복잡성이나 공간 및 배치 제한은 여전히 발생하며, 동기 클럭을 단말에 전달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한 구성 역시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표준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동기 방식을 지원하는 장비들 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들이 혼용될 경우 전단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시장의 경쟁 환경을 고려하면 단일 전화선 번들에 복수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집선장비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집선장비 별로 서로 다른 동기 타이밍을 이용하거나, 다른 동기 방식을 이용하거나, 혹은 동기 신호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상이할 수 있으며, 송수신 비율에 대한 프로파일 설정이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렇게 동일한 G.hn 기술을 적용한 가입자망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집선장비가 동일한 물리적 매체를 나누어 연결될 경우 전단누화 발생은 필연적이므로, 설치와 운영 및 관리의 주체가 다른 집선장비 간 송수신 타이밍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선장비와 단말에 각각 개별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정확한 시간을 기준으로 송수신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동기 클럭 제공부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고, 동기 클럭의 중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문제점도 해소하도록 한다. 또한, 동기 방식이 다르거나 송수신 프로파일이 다른 인접 장비와의 전단누화를 줄이기 위해서 집선장비가 자체적으로 전단누화 정도를 확인하여 동기 신호의 위상을 능동적으로 조절(동기 신호 발생 시점의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인접장비와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접장비에 의한 누화정도를 확인하여 능동적으로 누화를 줄이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실제 현장 상황에 최적화된 송수신 시점을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되며, 환경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 감소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예시에서는 기가와이어 기술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나 이로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선장비(200)는 포트에 대응되는 도메인 마스터(230)와, 패킷 교환장치(220)를 포함하며, G.hn 글로벌 마스터에 대응되는 GAM Manager(21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별도의 외부 동기화 클럭이나 내부적으로 생성하는 동기화 클럭이 아닌 정확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는 외부 네트워크(1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타임 서버(300)를 참조하여 현재의 정확한 시간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IEEE 1588 타이밍 프로토콜(PTP:Precision Timing Protocol)을 이용하여 현재의 정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IEEE 1588 타이밍 프로토콜의 경우 하드웨어에서 생성하는 타임 스탬프를 사용할 때 나노초 단위의 정확도까지 보장해 줄 수 있다.
한편, 단말(GNT/EP(46))(47)의 경우에도 외부 타임 서버(300)를 참조하여 현재의 정확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48)를 구성하여 각 개별 단말의 현재 시각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48)가 집선장비(200)를 외부 타임 서버(300) 대신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집선장비(200)와 단말(47)은 각각 현재의 시각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시작 시점과 송수신 비율에 대한 정보만 프로파일 정보로 공유한다면 정확한 송수신 동기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파일 정보는 집선장비(200)가 생성하여 단말(47)에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집선 장비들 간 공유될 수 있다.
특히, 초기 동작 시 동기화되지 않은 선로 간 누화발생이 통신 불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단말(47)은 구성된 가입자망을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10)의 타임서버(300)에 각각 접속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하고 프로파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이후 정확한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송수신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렇게 집선장비(200)와 단말(47)이 정밀한 시각을 기준으로 동기화를 수행할 경우 개별 집합건물 구내마다 동기화 클럭 생성 장치를 구성하거나 물리적 선로로 외부 동기화 클럭을 수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나 배치에 대한 제한에서 자유롭게 되며, 다수의 집선장비(200)를 이용하여 집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물리적 집선장비 간 결선이 필요하지 않으며 동기화 오류 발생시에도 각각 개별적인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하므로 오류 발생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200)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유일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동기화를 실시하므로 이러한 동일한 동기화 규약을 준수하는 집선장비들 간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기화 규약을 준수하지 않는 타사의 집선장비나 다른 동기 방식이나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집선장비가 동일 위치에서 혼용되는 경우 장비간 동기화 정보 교환이 어렵기 때문에 장비간 송수신 타이밍 편차에 의한 전단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200)는 동기 위상 조절부(250)를 통해서 인접 장비의 송수신 타이밍을 간접 확인하여 자신의 동기 신호 위상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송수신 타이밍 편차에 의한 전단누화를 최소화한다.
일반적으로 집선장비(200)는 개별 도메인 마스터(포트)(230)에 대한 누화 발생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Crosstalk Reporting)을 구비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각 도메인 마스터(230)의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누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신호대 잡음비)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동기 신호의 시작 타이밍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기화 시점의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는 집선장비 단위로 동일하게 산출하거나, 포트 단위로 상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 위상 조절부(350)는 G.hn 기술의 신호 타이밍 구성에 따른 동기 신호 주기(MAC 사이클)를 이용하며, 하나의 동기 신호 주기에 8개의 서브 블록(프레임 시간)이 구성된다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현재의 G.hn 기술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동기 신호 주기가 40ms이며, 하나의 서브 블록(프레임 시간)이 5ms이고, 이러한 하나의 서브 블록이 송신과 수신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동기 신호의 주기와 서브 블록의 길이는 집선장비의 종류나 동기화 방식에 무관하게 동일하며, 실제 문제가 되는 부분은 동기 신호의 시작 시간의 차이, 즉 위상 차이에 의한 편차로 송수신 타이밍이 엇갈리는 포트 간 누화 구간이다.
예컨데, 송신과 수신의 비율이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동기 방식을 이용하는 집선장비의 포트(도메인 마스터)간 동기 신호의 위상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도 6a) 송수신 차이에 의해 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GAM1)의 특정 포트(DM A)의 동기 신호(Clk_nw) 시작 시점이 외부 동기 클럭 제공부를 통해 레퍼런스 동기 클럭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실시하는 인접한 다른 집선장비(GAM2)의 특정 포트(DM B)의 동기 신호(Clk_ref) 시작 시점보다 빠른 경우, 포트(DM B)의 송신 신호가 포트(DM A)의 수신 신호에 영향을 주는 편차 발생 구간(ΔSt2, ΔSt4, ΔSt6)에서 누화 발생이 관찰될 수 있다.
즉, 크로스토크 리포팅(포트 별 신호대 잡음비) 결과를 확인했을 때 프레임 시간(5ms) 단위로 특정한 누화 구간이 존재할 경우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누화 구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해당 구간이 인접한 다른 집선장비의 동기 신호 시작 시점과 차이가 발생하는 편차 구간이라는 것이 확인되면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해당 편차 만큼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에 제공한다.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240)는 해당 동기 정보를 근거로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절한다. 도시된 도 6b의 경우 동기 정보는(+ΔSt)가 되어 기존의 동기 신호(Clk_nw)의 시작 시점을 동기 정보만큼 늦춘다. 이는 포트별로 수행되거나, 집선장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집선장비(200)는 이러한 동기 신호의 시작 시점에 대한 변화 정보가 포함된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및 동일 매체를 이용하는 다른 집선장비(200)와 공유할 수 있다.
도시된 도 6의 예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을 구성하는 송신 구간과 수신 구간의 비율이 동일한 경우지만, 통신 서비스 제공자 별로 이러한 비율이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장 상황에 맞추어 전단누화를 줄일 수 있도록 동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기 때문에 해당 현장에 가장 최적화된 동기 신호 타이밍을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동기 위상 조절부(250)의 동작은 동기 신호가 제공되는 주기에 포함된 8개의 프레임 시간을 단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속하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측정되는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가 균일할 수 없고, 가급적 누화 정도를 빠르게 낮추어야 하므로 측정된 크로스토크 리포트에 따라 구분되는 누화 발생 구간을 제 1 시간(예를 들어 100㎲) 단위로 확인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누화 발생 구간이 줄어들 경우 제 2 시간(예를 들어 수십㎱) 단위로 확인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 감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선장비가 네트워크 기반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얻은 후 해당 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를 진행한 후 통신을 실시한다.
이렇게 통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동기 위상 조절부(250)는 크로스토크 리포팅을 수신하여 누화가 발생되는 구간을 확인하고, 이러한 누화를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동기 신호를 제 1 시간(수십~수백㎲) 단위로 조정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서 큰 폭으로 누화발생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만일, 조정 후 누화 구간이 증가하면 조정 방향을 반대로 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큰 폭의 누화발생 구간을 줄여 장비 간 발생되는 누화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후, 크로스토크 리포팅을 수신하면서 제 2 시간(수십㎱) 단위로 동기 정보를 생성하여 잔여 누화 구간을 줄이도록 하여 목표 수준에 도달할 경우 편차를 위한 보정값(즉, 동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의 일부 혹은 전부는 주기적으로 반복되거나, 크로스토크 리포팅 결과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접 장비들 간 내부 클럭의 편차에 의해 이러한 조정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만일, 인접한 장비의 송수신 비율이 상이한 경우나 클럭 편차가 있는 경우라면 ns 단위의 조정이 계속하여 반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속적 조정이 반복될 경우 그 패턴을 확인하여 해당 패턴을 프로파일 정보로 공유함으로써 동기 방식이나 프로파일이 상이한 집선장비의 포트 간 발생되는 누화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화 감소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수신할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 걸쳐 균일한 누화가 발생한 구간(Xt1)을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된 구간을 줄이기 위해서 동기 위상 조정부(250)는 제 1 시간 단위로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정할 동기 정보를 생성하여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조정하며, 이 경우 도 9와 같이 누화 발생 구간(Xt2)이 줄어든다.
이후 동기 위상 조정부(250)는 제 2 시간 단위로 동기 정보를 생성하여 동기 신호 시작 시점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도 10과 같이 누화 발생 구간이 거의 없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타이밍에 의한 누화 감소 외에도 하드웨어에 의한 물리적인 누화 감소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아무리 타이밍을 동기화한다 하더라도 실제 각 선로별 전송 데이터가 서로 다르고 인접한 다른 집선 장비의 송수신 비율이 다를 경우 매 시점별로 최적 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인접 선로의 신호가 과도한 편차를 발생시키는 경우 이를 하드웨어적으로 흡수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접 선로 간에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한 밸런싱부(260)를 구성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도메인 마스터(230a) 선로와 인접한 다른 도메인 마스터(230b 내지 230n) 선로 사이에 각각 밸런싱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선로 간 순간적 편차가 과도할 경우 이를 완화시킴으로써 선로간 누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싱 커패시터는 고정된 용량을 가진 것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 커패시터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앞서 도 4의 구성과 달리 인접한 모든 도메인 마스터의 선로가 아닌 누화 가능성이 높은 인접한 일부 도메인 마스터(실시예에서는 인접 및 두 번째로 인접한 경우까지)에 대해서만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한 경우이다.
도시된 예에서 특정 도메인 마스터(DM K)와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DM K-1, DM K+1) 간에는 각각 밸런싱 커패시터(Cb1, Cb2)가 연결되며, 두 번째로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DM K-2, DM K+2) 간에도 각각 밸런싱 커패시터(Cb3, Cb4)가 연결된다.
다른 도메인 마스터(DM K-1) 역시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DM K, DM K-2)와의 사이에 각각 밸런싱 커패시터(Cb1, Cb5)가 연결되며 두 번째로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DM K+1)와의 사이에도 밸런싱 커패시터(Cb6)가 연결된다. 같은 방식으로 도메인 마스터(DM K+1) 역시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DM K, DM K+2)와의 사이에 각각 밸런싱 커패시터(Cb2, Cb7)가 연결되며 두 번째로 인접한 도메인 마스터(DM K-1)와의 사이에도 밸런싱 커패시터(Cb6)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과도하게 복잡하지 않은 밸런싱부로 신호 편차에 의한 누화를 물리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시된 밸런싱 커패시터는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형 구성을 적용한 것이지만 당연히 특정한 용량을 가진 커패시터를 고정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환경적 변화가 다양한 현장에 적용되어 누화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이렇게 커패시터의 용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포트별 누화 특성을 감안하여 누화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용량을 가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의 집선장비(200)는 밸런싱부(260)를 구성하는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Cap 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Cap 조절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가 포함된 밸런싱부(260)의 가변 커패시터를 조절하여 크로스토크 리포팅 결과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즉, Cap 조절부(270)는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포트 별 신호대 잡음비) 정보를 기준으로 포트 간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면서 누화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메인 마스터 DMK와 도메인 마스터 DMK+2 사이에서 누화가 발생되는 것(서로 간섭하는 패턴 발생)이 검출되면 이들 사이에 구성된 커패시터(Cb4)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화선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축 케이블이나 전력선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댁내 배선을 매체로 이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누화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부 네트워크 47: 단말(GNT)
48: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 200: 집선장비(GAM)
210: GAM Manager 220: 패킷 교환장치
230: 도메인 마스터(포트) 240: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
250: 동기 위상 조절부 260: 밸런싱부
270: Cap 조절부

Claims (14)

  1. 다수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과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가진 집선장비(CO:Central Office)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임 서버를 통해 현재 시각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산출된 현재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집선장비가 상기 산출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제 1 시간 단위로 생성한 동기 정보로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단계와, 잔여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 1 시간보다 짧은 제 2 시간 단위로 동기 정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보는 집선장비 단위로 동일하게 산출하거나, 포트 단위로 상이하게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를 위한 동기 구간은 40ms이며, 동기 정보의 산출은 5ms를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집선장비가 신호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점과 송수신 비율이 설정된 프로파일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여 송수신 타이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과 연결되는 상기 집선장비의 각 포트 중 선택된 인접 포트 사이에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선장비는 용량 조절이 가능한 밸런싱 커패시터를 포트 간 구성하고,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포트 간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방법.
  9. 다수의 단말(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과 번들로 이루어진 댁내 선로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집선장비(CO:Central Office)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타임 서버와 접속하여 정확한 시각을 확인하여 설정된 주기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와;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위상 조절을 위한 동기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여 단말과의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도록 하는 동기 위상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위상 조절부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을 단위로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제 1 시간 단위로 동기화 시점을 조절하는 동기 정보를 산출한 후 이를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고, 잔여 누화 발생 구간을 확인하여 제 1 시간보다 짧은 제 2 시간 단위로 동기 정보를 조절하여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는 IEEE 1588 타이밍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 타임 서버에 접속하여 정확한 시각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집선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시간 설정부를 통해 얻어진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신호 프레임의 전송 시작 시점과 송수신 비율이 설정된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13. 청구항 9에 있어서, 단말과 연결되는 각 포트 중 선택된 인접 포트 사이에 밸런싱 커패시터를 구성한 밸런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에 포함된 밸런싱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 용량 조절이 가능한 커패시터이며, 상기 집선장비는 포트별 크로스토크 리포팅 정보를 기준으로 포트 간 밸런싱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Cap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KR1020160012632A 2016-02-02 2016-02-02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KR10162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32A KR101621932B1 (ko) 2016-02-02 2016-02-02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32A KR101621932B1 (ko) 2016-02-02 2016-02-02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932B1 true KR101621932B1 (ko) 2016-05-17

Family

ID=5610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632A KR101621932B1 (ko) 2016-02-02 2016-02-02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9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948A (ja) * 2005-04-21 2006-11-02 Sumitomo Electric Ind Ltd Adsl装置、adsl伝送システムおよび同期方法
KR101403590B1 (ko) * 2014-04-01 2014-06-09 (주)유비쿼스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948A (ja) * 2005-04-21 2006-11-02 Sumitomo Electric Ind Ltd Adsl装置、adsl伝送システムおよび同期方法
KR101403590B1 (ko) * 2014-04-01 2014-06-09 (주)유비쿼스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137B2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managing time-division duplex (TDD) transmission over copper
US1190944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JP5112125B2 (ja) マルチドメインネットワーク内における信号調整方法およびマルチドメインネットワーク
US10419069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elephone line access with crosstalk mitigation
KR101403590B1 (ko) G.hn 기술을 엑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KR101616696B1 (ko)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의 누화 감소 방법 및 시스템
US9866271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apparatus and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for home network transmission lin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KR101632039B1 (ko) 스틱형 모듈이 적용된 G.hn 가입자망 집선장비 및 이를 이용한 누화감소 방법
KR101621932B1 (ko) G.hn 기술이 적용된 가입자망을 위한 누화감소 집선장비 및 그 방법
KR101474520B1 (ko) 홈 네트워크 전송 선로의 간섭 완화 장치, 간섭 완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1632038B1 (ko) G.hn 가입자망 시스템의 적응형 이퀄라이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집선장비
US10601463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elephone line access with crosstalk stability
EP3457636B1 (en) Network management devic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registration method therefo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to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N113950140B (zh) 一种低压配网物联网时钟同步方法及系统
JP573071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AU2020100539A4 (en) Coordination of DPUs in a crosstalk environment
WO2020053452A2 (en) COORDINATION OF DPUs IN A CROSSTALK ENVIRONMENT
EP2446621A1 (en) Home networ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