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33B1 - Braket for fence - Google Patents

Braket for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33B1
KR101632033B1 KR1020140156287A KR20140156287A KR101632033B1 KR 101632033 B1 KR101632033 B1 KR 101632033B1 KR 1020140156287 A KR1020140156287 A KR 1020140156287A KR 20140156287 A KR20140156287 A KR 20140156287A KR 101632033 B1 KR101632033 B1 KR 10163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ence
coupling body
present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6193A (en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102014015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33B1/en
Publication of KR2016005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대의 상하 또는 좌우의 설치각을 조정하기 위한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 설치된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 연결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으로 연결체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체를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걸리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체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의 타측은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함으로써, 경사진 곳에 휀스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휀스용 브라켓의 다양한 각도조절에 의해 가로대를 용이하게 삽입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시공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nce bracket for adjusti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mounting angles of a cross ba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vehicle, A connecting member that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so as to protrude the connecting bod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cket and move the connecting body to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coupling body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includes a second bracket formed to insert the end of the cross bar;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cross bar by adjusting various angles of the fence bracket even when the fence is installed on a sloping place,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providing the construction convenience.

Description

휀스용 브라켓{BRAKET FOR FENCE}Fence bracket {BRAKET FOR FENCE}

본 발명은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대의 종단을 삽입하기 위해 브라켓 상하 또는 좌우의 설치각을 조정하기 위한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nce bracket for adjusting an installation angle of a bracket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for inserting an end of a cross bar.

통상적으로 도로의 경계나 산책로 또는 녹지대, 사유지 및 보호시설물 등에는 출입통제 등의 목적으로 경계용 휀스를 설치한다.Normally, border fence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access control to the boundaries of roads, trails, green spaces, private land and protection facilities.

예컨대, 보통 휀스는 도로의 가장자리나 중앙선, 어린이 보호구역, 교량 난간, 보도블록, 산책로, 공원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이나 동식물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For example, ordinary fence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the edge of a road, a center line, a child protection zone, a bridge rail, a walk block, a walkway, a park, and are used for protecting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protecting animals and plants.

이와 같은 휀스는 지면에 수직의 지주(post)를 설치하고, 지주와 지주 사이에는 수평의 가로대를 설치한다. 여기서 가로대의 양단이 지주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연결용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uch a fence has a vertical post on the ground, and a horizontal cross between the post and the support. Here, it is common to use a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both ends of the cross bar to the support.

그러나 이와 같은 휀스의 시공시, 휀스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평하고 직선인 구간에서는 시공작업이 용이하지만, 지면이 경사진 오르막이거나 내리막일 경우에는 지주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대의 양단을 연결용 브라켓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시공비용의 상승은 물론 시공기간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such a fence is installed, the construction work is easy in a section where the fence is installed on a flat and straight line. However, when the ground is a sloping uphill or downhill, both ends of the crossbar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s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racke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perform the operation.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ncreases.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실용신안문헌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와 치장판의 연결대에 만곡부를 형성한 연결구와 커버를 이용하여 두 부재를 함께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연결된 두 부재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용접설비 및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공구를 이용하여 용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가 굽어진 도로의 측면이라 할지라고 원활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를 개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connector having an angle adjustable fenc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nce connector having an angle adjustable fenc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asily fixed together, and the angle of the two connected members can be adjusted, so it is easy to connect easily by using simple hand tools without using welding equipment and electricity. Thereby enabling th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fence connector.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구조적으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떨어지고, 특히 두 부재의 각도 조절을 수평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다는데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is structurally disadvantageous and ha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poor, and in particular, the angle adjustment of the two members can be adjust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휀스의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물론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휀스용 브라켓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a fence bracket technology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the up-and-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s well as the diagonal direction as the means for connecting the fence support and the cross bar is strongly demanded.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496호Utility Model Document 1: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0496 of Korea Regist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휀스의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물론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휀스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fence and a cross bar, And to provide a fence bracke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e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은, 지면에 수직 설치된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 연결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으로 연결체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체를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걸리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체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의 타측은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한다.To this end,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having one side fixedly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a pilla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 connecting member that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so as to protrude the connecting bod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cket and move the connecting body to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coupling body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includes a second bracket formed to insert the end of the cross bar; .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홀이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상에 대향하여 돌출 구비되고, 돌출된 배면이 빈 두 개의 걸림쇠;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판형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crew holes at corners for engaging one sid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wo latches protruding from the fixed plate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And the fix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쇠는, 다수 개 구비되고 임의의 걸림쇠와 인접한 걸림쇠는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걸림쇠 배면에 양단이 삽입된 걸림대; 및 상기 걸림대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체; 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latch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nd the brackets adjacent to the arbitrary brackets form an angle of 45 degrees, and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latching back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a connecting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atch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체는, 전방이 굴곡 돌출된 정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육면체의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1 연결홀; 및 상기 정육면체의 좌우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2 연결홀; 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nec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hole formed in a cube whose front is bent and protruded, and penetrating through the cub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penetratingly disposed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ube; .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은,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굵기에 따라 상기 연결체의 돌출 간격을 조절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pyramid shape, and the protrusion interval of the connection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bol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연결체가 일측에 삽입되도록 양날개를 구비한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타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한 삽입수단; 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coupling body having wings for inserting the coupling body into one side; Insertion mean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and having a groove formed to insert the end of the crosspiece;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결합체는, 상기 양날개의 사이에 상기 연결체의 대향면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와 체결을 위한 연결홀을 상기 양날개의 중앙에 각각 구비한다.Meanwhile, the coupling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opposing face of the coupling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two blades, and the coupling body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connecting hol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ouble-edged blad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삽입수단은, 가로대 종단이 삽입되되, 상기 가로대의 종단은 원통형상, 직육면체형상, 및 정육면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다.
In the insertion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rossbar is inserted, and the end of the crossbar is in the shape of a cylinde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uboi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휀스용 브라켓의 삽입수단을 상하와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시킴으로써, 가로대의 종단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means of the fence bracket is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facilitating the end insertion of the cross bar.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가로대를 다양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member can be installed at various angles by changing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fence bracket at a certain angle.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경사진 곳에 휀스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휀스용 브라켓에 의해 가로대의 종단을 용이하게 삽입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시공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fence is ultimately tilte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end of the cross bar by a fence bracket capable of adjusting various angles, thereby shortening a construction period and providing a fitting convenience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이 지주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uppo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bracket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bracket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body of the fence brack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body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have the same numerical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below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expressly have the opposite meaning.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 내지 도 6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of Figs. 1 to 6.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휀스용 브라켓을 상하와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시키는 한편, 가로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fence bracke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angle while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ross bar.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이 지주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support,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100)은 크게 제1 브라켓(110), 연결부재(120), 및 제2 브라켓(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fence bracke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110, a connecting member 120, and a second bracket 13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휀스용 브라켓(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다수가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이웃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지주(A)의 외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지주(A)의 외면은 휀스용 브라켓(100)이 고정 설치되도록 다수의 결합공(미도시)이 천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합공은 나사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fence bracket 10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a column A vertically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fence bracket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grou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 A so that the fence bracket 100 is fixedly installed. In particular, the engagement ho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crew is inserted.

이와 같이 형성된 지주(A)의 외면은 제1 브라켓(110)이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브라켓(110)은 고정판(111)과 걸림쇠(112)를 포함한다.The first bracket 1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 A thus formed. To this end, the first bracket 110 includes a fastening plate 111 and a fastener 112.

즉, 고정판(111)은 제1 브라켓(110)의 몸체를 형성하고, 일측은 지주(A)의 외면과 밀착 결합하고, 타측은 연결부재(120)가 돌출되도록 중공(112a)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쇠(112)는 고정판(111) 상에서 대향 구비되고 돌출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판(111)의 돌출 영역의 배면은 비어 있는 구조로서, 차후 걸림대(121)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That is, the fixing plate 111 forms the body of the first bracket 110, one sid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 A,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112a to protrude the connecting member 120 . The latch 112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111 so as to face and protrude. Here,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fixing plate 111 is an empty structur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ater-described latching base 121 are inserted and hooked, respectively.

한편, 고정판(111)은 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판(111)은 지주(A)의 외면에 밀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홀(1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판(111)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나사홀(111a)은 고정판(111)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고정판(11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지주(A) 외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late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fixing plate 1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111a for tightly coupli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 The fixing plate 11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or a rectang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holes 111a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ixing plates 111.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xing plate 111 has a plate shape as a whol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late 111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나사홀(111a)을 고정판(111)의 4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나사홀(111a)의 개수와 형성 영역은 필요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threaded holes 111a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fixing plate 111.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the threaded holes 111a and the forming area may be changed This is possible.

한편 걸림쇠(112)는 연결부재(120)의 걸림대(121)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가 서로 대향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향 구비되는 두 개의 걸림쇠(112) 사이에는 고정판(1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결부재(120)의 연결체(122)가 돌출되도록 중공(1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 112 is vertically disposed so that both ends of the latch 121 of the linking member 120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A hollow 112a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brackets 112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122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1 to the other side.

즉, 연결부재(120)의 걸림대(121)는 대향하여 형성된 두 개의 걸림쇠(112)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통해 고정판(111)의 타측으로 연결부재(120)의 연결체(122)가 돌출한다. 따라서 연결체(122)는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대(121)와 연결체(122)는 금형의 편의를 위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latching member 121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atching member 121 are engaged with the two latching members 112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connector 122 protrudes. Therefore, the connecting body 122 can be move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 121 and the link 122 are integrally formed for convenience of the mold.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체(122)는 전면이 굴곡 돌출된 정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브라켓(130)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체(122)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or 122 is formed as a regular hexagon with a front surface bending and protruding. This is to allow the second bracket 13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2 in either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이를 위해 연결체(122)는 제2 브라켓(130)을 횡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체(122)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홀(122a)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체(122)는 제2 브라켓(130)이 종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체(122)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연결홀(122b)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or 122 includes a first connection hole 122a through which the connector 122 is laterally inserted, so that the second bracket 130 can be fast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onnecting body 122 may also include a second connecting hole 122b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body 122 is longitudinally inserted so that the second bracket 130 can be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걸림대(121)의 양단은 두 개의 걸림쇠(112)에 각각 걸리고, 이 상태에서 고정판(111)이 지주(A)의 외면에 다수의 나사(s)로 고정된다. 그리고 걸림대(121)의 중앙에 구비된 연결체(122)는 중공(112a)을 통해 고정판(111)의 타측으로 돌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연결체(122)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이 가능하다.Both ends of the latch 121 are engaged with the two latches 112 and the fixing plate 111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A with a plurality of screws s in this state. The connecting member 12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atch 121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11 through the hollow 112a. By being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ink member 122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130)은 연결체(122)의 제1 연결홀(122a)에 연결되거나, 제2 브라켓(130)은 연결체(122)의 제2 연결홀(12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브라켓(130)은 연결체(122)와 연결되는 결합체(131)가 구비된다.The second bracke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22a of the connection member 122 or the second bracket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122a of the connection member 122. In this state, (Not shown). To this end, the second bracket 13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dy 131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122.

여기서 결합체(131)는 정육면체 형상의 연결체(122)를 양날개(131b)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날개(131b)의 간격은 연결체(122)가 삽입되고, 결합체(131)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긴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ody 131 is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wings 131b in the form of a cube-shaped coupling body 122.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wings 131b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cube so that the coupling body 122 is inserted and the coupling body 131 can mov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결합체(131)는 정육면체 형상의 연결체(122)에 형성된 제1 연결홀(122a) 또는 제2 연결홀(122b)에 나사 결합하도록, 양날개(131b) 각각에 제3 연결홀(131a)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연결홀(122a) 또는 제2 연결홀(122b)과 두 개의 제3 연결홀(131a)에는 연결볼트(s1)가 관통하고, 관통된 연결볼트(s1)의 종단에는 연결너트(s2)가 조여짐으로써 연결수단(120)과 제2 브라켓(130)은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2 브라켓(13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body 131 is provided with third connection holes 131a (131a) on the wings 131b so as to be screwed in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22a or the second connection hole 122b formed on the cuboidal coupler 122, ) Shall be provided. The connecting bolts s1 are pass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holes 122a or the second connecting holes 122b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s 131a through the connection nuts s2 The connecting means 120 and the second bracket 130 are fixedly coupled. The second bracket 13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연결체(122)는 가로대(B)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수단(132)과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수단(132)은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한 연결체(122)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한 결합체(131)에 의해 상하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함으로써 가로대(B)의 종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삽입수단(132)은 양단이 직육면체 형상의 가로대를 삽입시키는 경우, 삽입수단(132)의 방향만을 변경하여 연결체(122)에 결합체(131)를 연결시킴으로써 가로대의 양단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대(B)의 종단은 원통형상, 직육면체 형상,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므로, 삽입수단(132)의 형상은 가로대(B)의 종단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body 1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ing means 132 into which one end of the cross bar B is inserted. The inserting means 132 is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angle by a connecting body 122 which can be move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connecting body 131 which is vertically mov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nd of the crossbars B It can be easily inserted. When inserting means 132 is used to insert a cross bar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t both ends thereof, only the direction of the inserting means 132 is changed to connect the connecting body 131 to the connecting body 122, . Since the end of the cross bar B may be cylindric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cubic, the shape of the insertion means 13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cross bar B.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bracket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2 is omitted.

도 2에 도시한 제1 브라켓(110)의 고정판(111)에 구비된 걸림쇠(112)가 일자형으로 두 개가 형성되는 반면,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브라켓(210)의 걸림쇠(212)는 십자형으로 4개가 형성된다는 차이가 있다.Two brackets 112 provided on a fixing plate 111 of the first bracket 110 shown in FIG. 2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while a pair of brackets 112 formed on the first bracket 1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1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ross.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200)은, 도 2에 도시한 휀스용 브라켓(200)에 비해 연결부재(120)를 종방향 또는 회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ence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can connect the connect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urning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fence bracket 200 shown in Fig. 2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rst bracket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FIG. 4,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2 is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한 제1 브라켓(110)의 고정판(111)에 구비된 걸림쇠(112)가 일자형으로 두 개가 형성되는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브라켓(310)은 걸림쇠(312)가 원형으로 다수 개(8개)가 형성된다는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2, two brackets 112 provided on a fixing plate 111 of the first bracket 110 shown in FIG. 2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while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bracke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eight) circular brackets 312.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브라켓(310)은, 도 2에 도시한 제1 브라켓(110)에 비해 연결부재(120)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bracket 3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can connect the connecting member 120 at various angles compared to the first bracket 110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따르면, 연결부재(120)는 제1 브라켓(310)에 일정한 각도(45도)로 연결되면, 가로대(B)는 일률적으로 45도 각도로 이룬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블라인드와 같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된 가로대(B)는 가독성에 유리하므로 문자나 숫자와 같은 텍스트를 기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가로대(B)를 다양한 각도로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310 at a predetermined angle (45 degrees), the cross bar B is uniformly at 45 degrees. When installed in this way, the same effect as the blind can be expected. In addition, the crossbar (B) installed at an oblique angle is advantageous for readability, so text such as letters or numbers can be written. Therefo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bar (B) can be set at various angles.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body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FIG. 5,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2 is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222)는 제1 연결홀(222a)과 제2 연결홀(222b)의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연결체(122)의 제1 연결홀(122a)과 제2 연결홀(122b)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5, the connecting body 22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hole 2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222b are shaped like the connector 122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122a and the shap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12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222)의 제1 연결홀(222a)과 제2 연결홀(222b)의 형상은 사각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shapes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2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222b of the connector body 22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to a square pyramid shape.

즉, 제1 연결홀(222a)과 제2 연결홀(222b)의 형상은 연결체(222)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hapes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2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222b are preferably formed in a pyramid shape having a gradually narrower width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22.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연결볼트(s1)와 연결너트(s2)의 직경에 따라 연결체(222)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body 22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s of the connecting bolts s1 and the connecting nuts s2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body of a fence brack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FIG. 6,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2 is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322)는 제1 연결홀(322a)과 제2 연결홀(322b)의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연결체(122)의 제1 연결홀(122a)과 제2 연결홀(122b)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Referring to FIG. 6, the connecting body 32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hole 3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2b are shaped like the connector 122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122a and the shap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12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322)의 제1 연결홀(322a)과 제2 연결홀(322b)의 형상은 원형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shapes of the first connection hole 3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2b of the connecting body 32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circular pyramid shape.

즉, 제1 연결홀(322a)과 제2 연결홀(322b)의 형상은 연결체(322)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rst connection hole 3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2b are preferably formed in a pyramid shape having a gradually narrower width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322. [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연결볼트(s1)와 연결너트(s2)의 직경에 따라 연결체(322)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32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s of the connecting bolts s1 and the connecting nuts s2 shown in Fi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휀스용 브라켓 110: 제1 브라켓
120: 연결부재 130: 제2 브라켓
111: 고정판 112: 걸림쇠
111a: 나사홀 121: 걸림대
122: 연결체 122a: 제1 연결홀
122b: 제2 연결홀 131: 결합체
131a: 제3 연결홀 132: 삽입수단
A: 지주 B: 가로대
s: 나사 s1: 연결볼트
s2: 연결너트
100: Fence bracket 110: First bracket
120: connecting member 130: second bracket
111: fixing plate 112:
111a: screw hole 121:
122: connecting body 122a: first connecting hole
122b: second connection hole 131:
131a: third connection hole 132: insertion means
A: Holding B: Crossbar
s: screw s1: connecting bolt
s2: Connection nut

Claims (9)

지면에 수직 설치된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 연결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으로 연결체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체를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걸리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체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의 타측은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홀이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상에 대향하여 돌출 구비되고, 돌출된 배면이 빈 두 개의 걸림쇠;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쇠는 다수 개가 중공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구비되고, 임의의 걸림쇠와 인접한 걸림쇠는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걸림쇠 배면에 양단이 삽입된 걸림대; 및
상기 걸림대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전방이 굴곡 돌출된 정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육면체의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1 연결홀; 및
상기 정육면체의 좌우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2 연결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은,
상기 연결체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굵기에 따라 상기 연결체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A first bracket having one side fixedly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a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A connecting member that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so as to protrude the connecting bod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cket and move the connecting body to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nd a coupling body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including a second bracket formed to insert the end of the crosspiece; / RTI >

The first bracket
A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crew holes at the corners for engaging one sid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 And
Two latches protruding from the fixed plate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Lt; / RTI >
The fix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Wherein the plurality of latches are provided to rotate about the hollow, and the latches adjacent to the optional latches form an angle of 45 degrees,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latch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into the back surface of the bracket of the first bracket; And
And a connecting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atch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The connecting body includes:
The front portion is formed as a cube protruding bend,
A first connection hole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ube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provided so as to penetr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ube; / RTI >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pyramid shape gradually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body, and the protrusion interval of the connecting bod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bo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연결체가 일측에 삽입되도록 양날개를 구비한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타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한 삽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acket
A coupling body having wings for allowing the coupling body to be inserted into one side;
Insertion mean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body and having a groove formed to insert the end of the crosspiece; ≪ / RTI >
Fence bracke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양날개의 사이에 상기 연결체의 대향면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와 체결을 위한 연결홀을 상기 양날개의 중앙에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two blades and the combining body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body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ouble-
Fence bracke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은,
가로대 종단이 삽입되되,
상기 가로대의 종단은 원통형상, 직육면체형상, 및 정육면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7,
The insertion means
A crossbar end is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rossbar is a cylindrical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ubic shape.
Fence bracket.
KR1020140156287A 2014-11-11 2014-11-11 Braket for fence KR101632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87A KR101632033B1 (en) 2014-11-11 2014-11-11 Braket for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87A KR101632033B1 (en) 2014-11-11 2014-11-11 Braket for f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93A KR20160056193A (en) 2016-05-19
KR101632033B1 true KR101632033B1 (en) 2016-06-21

Family

ID=5610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87A KR101632033B1 (en) 2014-11-11 2014-11-11 Braket for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3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24B1 (en) * 2018-10-29 2019-02-27 경동산업 주식회사 Handrail coupling apparatus
KR102029771B1 (en) * 2019-05-07 2019-10-08 이유복 Window Frame Mounting Bracket
KR102484642B1 (en) 2022-10-21 2023-01-04 주식회사 동명테크 A freely adjustable angle-adjustable connection bracket between the column and the horizontal material for the design type fe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50B1 (en) *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A prefabricated fence
KR101250988B1 (en) * 2012-05-31 2013-04-05 임정례 Bracket of fence
KR101429116B1 (en)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Fence junction coup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Y1 (en) 2005-08-23 2005-11-08 김병규 A fence connector A easy control appartuss for angle
KR20140087718A (en)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더우드 Adjustable rail connecting device moving in an omni-directional ang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50B1 (en) *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A prefabricated fence
KR101250988B1 (en) * 2012-05-31 2013-04-05 임정례 Bracket of fence
KR101429116B1 (en)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Fence junction coupl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24B1 (en) * 2018-10-29 2019-02-27 경동산업 주식회사 Handrail coupling apparatus
KR102029771B1 (en) * 2019-05-07 2019-10-08 이유복 Window Frame Mounting Bracket
KR102484642B1 (en) 2022-10-21 2023-01-04 주식회사 동명테크 A freely adjustable angle-adjustable connection bracket between the column and the horizontal material for the design type f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93A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824B1 (en) Fence brace
DE602005004148T2 (en) plow
KR101632033B1 (en) Braket for fence
CN104775376B (en) A kind of fence of Fast Installation
KR101448706B1 (en) Safety fence for easy control angle and install of crossbar
US10407936B2 (en) Adjustable sign post base for real estate sign
KR101245666B1 (en) Fence provided with connector to control angle and to be mounted easyly
KR20090082550A (en) The handrail
US2877989A (en) Precast concrete ventilating louver fence
KR20130061790A (en) A divisional strip of traffic lane
DE102015016062B4 (en) Reusable housing and / or construction site protection system
DE1609727A1 (en) Guard rails for motorways
US20150225910A1 (en) Removable bollard assembly
US10179980B2 (en) A-frame stand
EP0011200A1 (en) Stand for a road sign
JP6860212B2 (en) Guard fence
JP6364146B2 (en) Access prevention fence and lattice fence
KR101486762B1 (en) Safety fences with mobile combining structure
DE20013351U1 (en) fence
DE1951299U (en) CLAMPING DEVICE FOR LATTICE MATS.
DE202019105424U1 (en) Signpost frame
WO2019207390A1 (en) Lateral protection system and connection element for assembling a lateral protection
DE202014004338U1 (en) Reinforcing element for a flat slab of steel or prestressed concrete
KR102491817B1 (en) The extended connection device for a fence post
KR200462407Y1 (en) Transverse bar fixation apparatus for sign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