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21B1 - 기포 용해 장치 - Google Patents

기포 용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21B1
KR101632021B1 KR1020140139939A KR20140139939A KR101632021B1 KR 101632021 B1 KR101632021 B1 KR 101632021B1 KR 1020140139939 A KR1020140139939 A KR 1020140139939A KR 20140139939 A KR20140139939 A KR 20140139939A KR 101632021 B1 KR101632021 B1 KR 10163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crushing
crushing blade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891A (ko
Inventor
문명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환경
문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환경, 문명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환경
Priority to KR102014013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나 해수에 산소나 오존 등의 기체를 매우 미세한 미세 기포(micro bubble) 상태로 접촉시킴으로써 기체의 효율적인 용존율을 확보할 수 있는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포 용해 장치{Air Bubble Solu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나 해수에 산소나 오존 등의 기체를 매우 미세한 미세 기포(micro bubble) 상태로 접촉시킴으로써 기체의 효율적인 용존율을 확보할 수 있는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수나 늪, 댐, 양식장, 합병정화조 등의 폐쇄된 수중, 강 또는 바다 등에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가축의 배설물 등의 유기물질이 유입되며 물속에 질소, 인 등과 같은 영양물질이 많아진다. 영양물질이 늘어나면 영양소의 순화속도가 빨라져 조류(algae)의 광합성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그 성장과 번식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최종적으로 대량증식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부영양화라 한다.
부영양화는 자연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인간의 활동을 통해 발생하며, 인위적인 부영양화의 경우 자연적인 부영양화보다 빠른 속도로 부영양화가 진행되며, 부영양화에 의해 수중 동식물이 다량으로 폐사하게 되며, 조류와 폐사한 동식물의 부패에 산소소비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수중의 용존산소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용존산소가 부족할 때 유기물의 잔재가 혐기성 세균에 의하여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독성물질이 생기므로 해당 수역의 이용이 어려워지므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부영양화를 해결하기 위해 영양물질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억제하거나, 철 또는 알루미늄 염을 첨가하여 인산염으로 침전시키거나, 수중에 산소를 불어넣거나, 화학물질 또는 저질토를 공급하는 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 수중에 산소를 불어넣는 산소폭기 방법은 단순히 수중에 다량의 산소를 공급하여 자정작용을 활성화시켜 부영양화를 해결하기 때문에 수중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소폭기는 기기를 이용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수중에 용존시켜 자정작용을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므로 미세기포의 용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경의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하는바, 미세기포를 생산하기 위한 기포용해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세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기포용해장치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1340961호("회전식 미세 기포 발생장치", 2013.12.06.)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포용해장치는 다공성 멤브레인(10)의 회전력에 의해 다공성 멤브레인(1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던 기체가 물속으로 빠져 나오면서 외부의 물에 의해 절단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경우 다공성 멤브레인(10)의 회전력에 의해 기포가 생성되고 있으므로 일부는 미세한 기포가 생산되지만 일부는 입경의 크기가 큰 기포가 생산되어 미세한 기포를 생산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0961호, "회전식 미세 기포 발생장치", 2013.12.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에어 포켓을 분쇄날개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하여 공기의 용존율을 높이는 기포용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분쇄날개를 구비하여 여러 과정의 분쇄 과정을 거쳐 에어 포켓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보다 잘게 쪼개진 미세기포를 생산하여 공기의 용존율을 높이는 기포용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상면(110)과 상기 상면(110)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량의 통공(140)이 형성되는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의 하측에 상기 측벽(120)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필터(130)를 포함하며 수중에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수중모터(200);과 상기 수중모터(2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250);과 중앙에 회전축(250)이 결합되는 허브(310), 상기 허브(3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허브(3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분쇄날개(320) 및 상기 분쇄날개(320) 하면에 형성되는 함몰부(330)를 포함하는 기포분쇄부(300); 및 일측이 지상의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공기를 상기 기포분쇄부(300)로 전달하는 공기주입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부(400)에 의해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하측으로 전달된 공기가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분쇄된 기포가 상기 통공(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날개(320)는, 원주방향 폭이 하측으로 좁아지며, 상기 분쇄날개(320)의 길이방향 수직단면 하측이 톱니모양이도록 상기 함몰부(330)가 상기 허브(3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중앙에 회전축(25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연통구(350)가 형성되는 회전판(340)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연통구(350)에 상기 분쇄날개(3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복수개가 회전축(250)의 상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공기주입부(400)가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상측에 구비된 분쇄날개(320)와 하측에 구비된 분쇄날개(3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40)은, 상기 측벽(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통공부(141); 및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통공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공부(141)는 상기 제2통공부(142)보다 크기가 크며, 상기 제1통공부(141)와 상기 제2통공부(142)는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부(4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주입호스(410); 및 상기 주입호스(4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다수의 분사구를 가지는 분사노즐(4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길이방향 단면이 톱니모양인 분쇄날개를 이용하여 에어 포켓을 분쇄함으로써 에어 포켓의 분쇄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복수개의 분쇄날개를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여 더 많은 기포를 발생시키고 복수개의 분쇄날개가 동시에 기포를 분쇄하여 더욱 미세한 기포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개의 분쇄날개를 상하로 구비하여 하측에 구비된 분쇄날개에 의해 덜 쪼개진, 즉 입경이 큰 기포를 상측에 구비된 분쇄날개가 한 번 더 분쇄하여 매우 미세한 기포를 생산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포용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의 제1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의 제1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의 제2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의 제2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의 제3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의 제4실시예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a)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4(b)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수중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기포용해장치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공기가 분쇄날개(320)에 의해 미세기포로 분쇄되고, 분쇄된 미세기포가 측벽(120)에 형성된 다량의 통공(140)을 통해 수중으로 미세기포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크게 하우징(100), 수중모터(200), 회전축(250), 기포분쇄부(300) 및 공기주입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상면(110)과 상기 상면(110)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량의 통공(140)이 형성되는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의 하측에 상기 측벽(120)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필터(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수중에 구비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흙, 오물 또는 자갈 등이 유입되는 경우 분쇄효율이 떨어지고 파손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있으므로, 여러 고체물질은 차단할 수 있는 필터(130)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물만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중모터(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50)은 상기 수중모터(2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250)이 결합되는 허브(310), 상기 허브(3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허브(3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분쇄날개(320) 및 상기 분쇄날개(320)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3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회전에 의해 에어 포켓을 분쇄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분쇄날개(320)는 하면이 평평한 형태인 것보다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분쇄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쇄날개(320)는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이 하측으로 좁아지는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개(320)의 길이방향 수직단면 하측이 톱니모양이 되도록 상기 함몰부(330)가 상기 분쇄날개(3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부(400)는 일측이 지상의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공기를 상기 기포분쇄부(300)로 전달하며,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회전에 의해 미세기포로 분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부(400)는 상기 압축기에 발생되는 공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주입호스(410)와 상기 주입호스(4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에어 포켓을 수중으로 전달하는 분사노즐(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420)은 분사구가 하나인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큰 에어 포켓을 수중에 주입할 수 있으나, 다수개의 에어 포켓을 주입하는 것이 기포분쇄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분사구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기 및 물이 유입되고, 내부에 있는 물과 분쇄된 기포가 통공(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중으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기포분쇄부(300)가 구비되어 미세기포를 공급할 수 있으나 보다 미세한 기포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개의 기포분쇄부(300)를 구비하여 분쇄효율을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복수개의 기포분쇄부(300)가 상기 회전축(250)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주입호스(410)가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140)은 상기 측벽(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통공부(141),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통공부(14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공부(141)와 상기 제2통공부(142)는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통공부(141)의 크기는 상기 제2통공부(14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작동시 상하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가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인접한 물을 외측으로 밀어내며, 상기 통공(140)을 통해 방사형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중앙부분에는 부압이 발생되며, 상기 공기주입부(400)를 통해 주입된 에어 포켓과 상기 필터(130)의 하측에서 물이 흡입되어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에어 포켓은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중심부에 다다르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분쇄날개(320)에 의해 미세한 기포로 분쇄된다. 생산된 미세 기포는 상기 분쇄날개(320)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밀려나가며 상기 제1통공부(141)를 통해 일부가 수중에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통공부(141)의 크기보다 큰 미세기포는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측벽(120)을 따라 상측으로, 즉 상측에 형성된 상기 분쇄날개(320)의 하측 공간으로 이송되며, 상측에 형성된 상기 분쇄날개(32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미세기포가 상측에 구비된 상기 분쇄날개(320)의 중심부에 다다르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측에 구비된 상기 분쇄날개(320)에 의해 더욱 미세한 기포로 분쇄되어 상기 제2통공부(14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2중으로 기포를 분쇄하여 1시간에 1m정도밖에 부상하지 않는 미세한 기포를 다량으로 생산하여 수중으로 공급하여 미세기포의 용존율을 높인다.
한편,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하로 두 개의 날개가 구비되며, 상측에 구비된 분쇄날개(320)와 하측에 구비된 분쇄날개(3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25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포용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포분쇄부(3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포용해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기포의 분쇄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분쇄날개(320)로 상기 기포분쇄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25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연통구(350)가 형성되는 회전판(340)을 더 포함되며, 각각의 상기 연통구(350)에 상기 분쇄날개(32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40)과 상기 분쇄날개(320)는 각각의 모터 또는 동일한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분쇄날개(320)와 상기 회전판(340)이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분쇄날개(320)의 하측으로 주입된 에어 포켓을 여러 번 분쇄하여 더욱 미세한 기포를 생산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각의 상기 분쇄날개(320)와 회전판(340)의 회전에 의해 에어 포켓이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하측으로 상승하며, 각각의 상기 분쇄날개(320)의 회전에 의해 일차적으로 분쇄를 실시하고, 상기 회전판(3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쇄날개(320)가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차적으로 분쇄를 실시하여 더욱 미세한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의 수중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회전판(340)에 기포를 분쇄할 수 있는 구성이 많을수록 기포 분쇄효율이 높아지므로, 상기 연통구(350)는 상기 회전판(340)에 빈틈이 없을 정도로, 즉 상승된 에어 포켓이 접촉하여 분쇄될 수 면적을 늘리기 위해 다량의 연통구(350)가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 연통구(350)에 대응되는 크기의 상기 분쇄날개(3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는 상기 회전판(340)의 하면이 평평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포분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회전판(340)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판(340)은 상기 분쇄날개(320)와 유사한 형상의 돌출부를 하면에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340)의 회전시 상기 돌출부에 의해 기포가 분쇄되어 기포분쇄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7(a)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7(b)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8(b)는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는 원주방향 폭이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상기 분쇄날개(320)와 상기 분쇄날개(320)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즉, 원주방향 폭이 상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분쇄날개(320)를 상기 허브(31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번갈아가며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부(330)는 기포를 더욱 용이하게 분쇄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원주방향 폭이 상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상기 분쇄날개(320)의 하측 옆면에 형성되어 기포분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상기 함몰부(330)가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위치 또는 형태로 실시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분쇄부(300)는 상기 분쇄날개(320)를 상기 허브(33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상기 허브(330)의 하측에 형성된 분쇄날개(320)에 의해 기포가 일차적으로 분쇄되고, 상기 허브(330)의 상측에 형성된 분쇄날개(320)에 의해 기포가 이차적으로 분쇄되어 하나의 기포분쇄부(300)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기포를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다공성 멤브레인
100 : 하우징 110 : 상면
120 : 측벽 130 : 필터
140 : 통공
141 : 제1통공부 142 : 제2통공부
200 : 수중모터 250 : 회전축
300 : 기포분쇄부 310 : 허브
320 : 분쇄날개 330 : 함몰부
340 : 회전판 350 : 연통구
400 : 공기주입부
410 : 주입호스 420 : 분사노즐

Claims (7)

  1. 상면(110)과 상기 상면(110)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량의 통공(140)이 형성되는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의 하측에 측벽(120)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필터(130)를 포함하며 수중에 구비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수중모터(200);
    상기 수중모터(2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250);
    중앙에 회전축(250)이 결합되는 허브(310), 상기 허브(3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허브(3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분쇄날개(320) 및 상기 분쇄날개(320) 하측에 형성되는 함몰부(330)를 포함하는 기포분쇄부(300); 및
    일측이 지상의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공기를 상기 기포분쇄부(300)로 전달하는 공기주입부(40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주입부(400)에 의해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하측으로 전달된 공기가 상기 기포분쇄부(300)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분쇄된 기포가 상기 통공(140)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분쇄날개(320)의 폭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날개(320)의 폭이 상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함몰부(330)는 상기 분쇄날개(320)의 하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쇄날개(320)이 폭이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함몰부(330)는 상기 분쇄날개(32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날개(320)는,
    이웃하는 분쇄날개(320)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허브(3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용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중앙에 회전축(25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연통구(350)가 형성되는 회전판(340)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연통구(350)에 상기 분쇄날개(320)가 구비되는 기포용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분쇄부(300)는,
    복수개가 회전축(250)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공기주입부(400)가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공기를 주입하는 기포용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용해장치는,
    상기 상측에 구비된 분쇄날개(320)와 하측에 구비된 분쇄날개(3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기포용해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40)은,
    상기 측벽(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통공부(141);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통공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공부(141)는 상기 제2통공부(142)보다 크기가 크며, 상기 제1통공부(141)와 상기 제2통공부(142)는 하측에 구비된 상기 기포분쇄부(300)에 의해 구획되는 기포용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4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주입호스(410); 및
    상기 주입호스(4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다수의 분사구를 가지는 분사노즐(4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기포용해장치.
KR1020140139939A 2014-10-16 2014-10-16 기포 용해 장치 KR10163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39A KR101632021B1 (ko) 2014-10-16 2014-10-16 기포 용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39A KR101632021B1 (ko) 2014-10-16 2014-10-16 기포 용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91A KR20160044891A (ko) 2016-04-26
KR101632021B1 true KR101632021B1 (ko) 2016-06-24

Family

ID=5591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939A KR101632021B1 (ko) 2014-10-16 2014-10-16 기포 용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476B (zh) * 2018-12-19 2020-05-15 西安交通大学 一种竖直棒束通道底部进口两相泡状流搅混装置及方法
MX2021011101A (es) * 2019-03-14 2021-10-22 Moleaer Inc Un dispositivo sumergible y metodo de generacion de nanoburbuj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051B1 (ko) * 2003-09-01 2004-06-30 구문석 교반장치
KR100465755B1 (ko) * 2002-08-06 2005-01-13 조통래 기포용해장치
JP2007222711A (ja) * 2006-02-21 2007-09-06 Denso Corp 攪拌機、その攪拌機を用いたスラリー製造装置およびそのスラリー製造装置を用いたスラリ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61B1 (ko) 2012-05-18 2013-12-13 한국기계연구원 회전식 미세 기포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55B1 (ko) * 2002-08-06 2005-01-13 조통래 기포용해장치
KR100438051B1 (ko) * 2003-09-01 2004-06-30 구문석 교반장치
JP2007222711A (ja) * 2006-02-21 2007-09-06 Denso Corp 攪拌機、その攪拌機を用いたスラリー製造装置およびそのスラリー製造装置を用いたスラリ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91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020B1 (ko) 기포 용해 장치
KR101028175B1 (ko)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JP2007237153A (ja) 空気混入攪拌技術
JP2018516753A (ja) ナノバブルおよびヒドロキシルラジカル発生装置ならびに同装置を使用して化学薬品を用いずに汚水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165675B1 (ko) 교반조가 구비된 미생물제제 살포장치
ES2716877T3 (es) Instalación de mezcla de gases
KR101632021B1 (ko) 기포 용해 장치
KR101702345B1 (ko) 초고속 조류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834305B1 (ko) 유해 조류 제거장치
CN111573864A (zh) 一种基于污泥防淤积的污水处理用曝气池
KR101196945B1 (ko) 상수도원에서의 녹조방지 및 수질정화시스템
KR101135049B1 (ko) 폭기식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KR10228098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CN105776594A (zh) 一种城市生活污水处理旋磁水下曝气机
KR101394385B1 (ko)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방법
JP5360550B2 (ja) アオコ制御方法
JP3227567B2 (ja) 水質浄化処理装置
CN213112819U (zh) 一种静沉式污水处理装置
KR100890361B1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CN206417970U (zh) 一种污水与污泥处理池
US202100472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and solids treatment
WO2016098711A1 (ja) 浄化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浄化方法、および、藻類増殖抑制方法、および水流発生装置、および浄化装置
CN105622061A (zh) 一种新型利用海滩淤泥制砖的方法
CN205590397U (zh) 一种应用于城市生活污水处理的搅拌曝气机
CN205590398U (zh) 城市生活污水处理搅拌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