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972B1 -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972B1
KR101631972B1 KR1020150177327A KR20150177327A KR101631972B1 KR 101631972 B1 KR101631972 B1 KR 101631972B1 KR 1020150177327 A KR1020150177327 A KR 1020150177327A KR 20150177327 A KR20150177327 A KR 20150177327A KR 101631972 B1 KR101631972 B1 KR 10163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vehicle
current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102015017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내의 작동축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차량 후미등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에 있어서,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봉의 끝단의 접근에 따른 자력을 감지하는 회로부가 실장된 기판으로서, 상기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른 작동축봉의 끝단의 접근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면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회로기판;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결합되며, 배터리 전류를 상기 회로기판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 단자핀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차량 후미등으로 구동 전류가 출력되는 구동 전류 출력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2핀 커넥터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실장 플레이트판; 및 하우징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과 실장 플레이트판이 마련되는 몸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Switch for vehicle semiconductor}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로서, 차량의 후진기어나 브레이크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부하에 전달해줄 있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부에는 차량의 후진과 동시에 점등하게 되는 차량 후미등이 설치되어 차량의 후진을 외부로 알려 차량의 후진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감소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기계적인 스위치는 차량의 후미등에 수 암페어의 전류를 온(on)/오프(off)함으로써, 발생되는 접점의 스파크로 접점이 부식되어 탄화막이 형성되어 저항막이 점차적으로 쌓여 저항에 의한 열이 증대되어 열저항에 의하여 수명에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기계적 방식의 후미등 스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진기어와 연결된 작동축봉(11)의 출몰작동에 의해 작동축봉(11)에 설치된 인청동재의 콘텍트(12)가 접촉단자(13)와 접하지 않거나(도 2) 또는 접하게(도 3) 됨으로써 후미등을 소등 또는 점등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콘텍트(12)는 황동재의 단자(TERMINAL)와 접촉 및 단락을 반복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함으로써, 그 접촉부위에서 전기적인 불꽃(SPARK)이 발생하게 되며, 이 불꽃의 열로 인하여 인청동재 콘텍트(12)가 변형하게 되고 그와동시에 콘텍트의 기능인 판스프링 탄력이 점차로 약화되어 단자와 콘텍트의 접촉밀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술한 단자와 콘텍트(12)와의 접촉밀도가 감소될수록 접촉부위에서의 전기적인 불꽃은 커지게 되고, 불꽃이 커질수록 발생하는 열이 많아져서 인청동재의 콘텍트의 변형과 탄력성의 약화를 가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접촉부위에는 전기적인 불꽃의 열로 인하여 전기의 비전도성인 탄화피막이 형성되고, 상술한 콘텍트의 변형과 탄력성의 약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비례하여 탄화피막층도 넓고 두꺼워짐으로써 결국은 접촉단자(13)와 콘텍트(12)가 접촉되지 않아 후미등이 점등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사용수명에 도달하기전에 후미등 스위치를 교환해야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10-081197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력제어 하여 접점의 무접점화하고 습도의 노출로부터 녹이 스는 현상을 막을수 있는 전자화에 따른 반도체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내의 작동축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차량 후미등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에 있어서,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봉의 끝단의 접근에 따른 자력을 감지하는 회로부가 실장된 기판으로서, 상기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른 작동축봉의 끝단의 접근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면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회로기판;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결합되며, 배터리 전류를 상기 회로기판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 단자핀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차량 후미등으로 구동 전류가 출력되는 구동 전류 출력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2핀 커넥터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실장 플레이트판; 및 하우징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과 실장 플레이트판이 마련되는 몸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봉의 수직 방향으로 접근시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센싱 전류를 출력하는 자력 센서; 및 상기 자력 센서로부터 센싱 전류가 감지되면 배터리 전류를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로서 제공하는 구동 전류 스위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몸체 제1하우징; 상기 몸체 제1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며 상측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체 형태를 가지는 몸체 제2하우징; 및 상기 몸체 제2하우징의 외부면을 감싸는 몸체 제3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제1하우징, 몸체 제2하우징은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이며, 상기 몸체 제3하우징은 메탈 계열의 재질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력 센서와 구동 전류 스위치의 접지로서, 회로기판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 제3하우징의 내부면과 접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계적인 접점을 반도체 소자로 바뀜에 따라 접점손실이 줄어들고 진동과 소음도 없어지게 된다. 또한 전자 회로를 기구물에 몰딩(moulding) 함에 따라 습기나 이물질의 영향이 현저히 줄어들고 전자 PCB 생산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 효율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반도체와 기구물이 융합되어 기구 조립이 단순해지고 이물질에 의한 A/S 발생률도 줄어 품질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차량 후미등을 제어하는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의 스위칭 온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의 외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가 작동축봉의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회로도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의 몸체 제2하우징까지의 외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가 작동축봉의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회로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종래의 기계적인 스위치는 차량의 후미등에 수 암페어의 전류를 온(on)/오프(off)함으로써, 발생되는 접점의 스파크로 접점이 부식되어 탄화막이 형성되어 저항막이 점차적으로 쌓여 저항에 의한 열이 증대되어 열저항에 의하여 수명에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기계적인 스위치인 후미등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진기어와 연결된 작동축봉(600)의 출몰작동에 의해 그 작동축봉(600)에 설치된 인청동재의 콘텍트가 단자와 접촉 또는 단락됨으로써 후미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열저항에 의한 접촉 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기계적 스위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량의 후진기어 스위치 위치를 센싱하고 이를 후미등 제어장치로서 전력 제어 구동 회로를 구성하여 상호간 인터페이스 회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구조로 접촉 저항에 의한 불량률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축봉(600)의 수직 움직임을 감지하여 차량 후미등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100), 실장 플레이트판(200), 및 몸체 하우징(300,400,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작동축봉(600)은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라 전후진하는 바(bar) 형태의 봉으로서, 후진기어 조작이 있게 되면 아래로 전진하게 되고, 후진기어가 해제되면 판스프링에 의해 복원되어 후진한다. 작동축봉(600)의 끝단에는 자력 성분(magnet)을 가지는 자성체(601)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라 전후진하는 작동축봉(600)에 결합된 자성체(601)로 인하여, 주변 자력이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작동축봉(600)의 움직임에 의해 자력 성분의 변화를 감지하여 후진 기어를 감지하고, 차량 후미등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기판(100), 실장 플레이트판(200), 및 몸체 하우징(300,400,5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100)은,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600)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자성체(601)를 가진 작동축봉(600)의 끝단의 수직 접근에 따른 자력을 감지하는 회로부가 실장된 기판으로서,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른 작동축봉(600)의 접근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면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0)은, 자력 센서(140), 구동 전류 스위치(150)가 실장된다.
배터리는 차량용 배터리로서 DC 배터리 전류를 공급한다.
자력 센서(140)는,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작동축봉(600)의 수직 접근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센싱 전류를 출력하는 센서이다. 일반적으로 후진 기어 조작이 이루어지면 자성체(601)를 가지는 작동축봉(600)이 3mm 정도 수직으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작동축봉(600)의 돌출로 인해 작동축봉(600)이 자력 센서(140)에 수직방향으로 근접하게 됨으로써, 자력 센서(140)가 자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작동축봉과 자력센서가 서로 대향되어 수직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어, 작동축봉의 수직 움직임을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작동축봉의 접근을 수평이나 경사진 방향으로 감지하는 것보다 작동축봉의 접근을 수직에서 감지하는 것이 작동축봉의 접근 여부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자력 센서(140)는, 코일 등의 인덕턴스 성분을 가져 자력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와 자력 센서(140) 사이에는 저항(R)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전류 스위치(150)는, 자력 센서(140)로부터 센싱 전류가 감지되면 배터리 전류를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로서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 전류 스위치(150)는 트랜지스터, MOSFET 등의 다양한 스위칭 반도체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에서는 구동 전류 스위치(150)가 P채널 MOSFET으로 구현한 회로 예시를 도시하였다. 도 8과 같이 구동 전류 스위치(150)가 P채널 MOSFET으로 구현되는 경우, 소스 단자(S)는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D)는 차량 후미등과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G)는 자력 센서(140)와 연결된다. 평소에는 자력 센서가 도통되어 배터리 전류가 접지로 흘러가다가, 자력 센서에서 자력이 감지되면 자력 센서가 개방되어, 배터리 전류가 저항(R)을 통하여 자력 센서(140)로 가지않고 구동 전류 스위치(150)의 게이트 단자(G)로 센싱 전류로서 흘러가게 된다. 센싱 전류가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면 P채널 MOSFET를 스위칭 온(ON)시켜 소스 단자를 통해 구동 전류가 차량 후미등으로 공급되어, 차량 후미등을 구동 온(ON)시킬 수 있다.
반대로 자력 센서(140)에서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게이트 단자에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P채널 MOSFET이 스위칭 오프(OFF)된다. 따라서 소스 단자를 통해 구동 전류가 차량 후미등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 차량 후미등이 구동 오프(OFF)된다.
실장 플레이트판(200)은 회로기판(100)이 실장되는 플레이트판으로서, 상면에 회로기판(100)이 결합되어 마련된다.
또한 실장 플레이트판(200)에는 두 개의 비아홀(via hole)이 형성되어 있어 비아홀의 도전패턴을 통하여 배터리 전류를 회로기판(100)으로 제공하며, 회로기판(100)에 실장된 구동 전류 스위치(150)에서 출력하는 구동 전류가 외부에 있는 차량 후미등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장 플레이판의 하면에는, 배터리 전류를 회로기판(100)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 단자핀(110), 회로기판(100)에서 차량 후미등으로 구동 전류가 출력되는 구동 전류 출력 단자핀(120)으로 이루어진 2핀 커넥터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즉, 실장 플레이트판(200)의 하면에서 돌출된 전류 공급 단자핀(11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전류를 자력 센서(140)와 구동 전류 스위치(150)로 제공한다. 또한 실장 플레이트판(200)의 하면에서 돌출된 구동 전류 출력 단자핀(120)은, 구동 전류 스위치(15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류를 차량 후미등으로 제공한다.
몸체 하우징(300,400,500)은, 회로기판(100)과 실장 플레이트판(200)이 내부에 마련되는 하우징(housing)이다. 따라서 몸체 하우징(300,400,500)은 회로기판(100)과 실장 플레이트판(2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몸체 하우징(300,400,500)이 회로기판(100)의 접지(GN)가 되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회로기판(100)의 접지를 위하여 별도의 다른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하면, 몸체 하우징(300,400,500)은, 회로기판(100)과 가장 인접한 몸체 제1하우징(300), 몸체 제1하우징(300)을 보호하는 몸체 제2하우징(400), 및 몸체 제2하우징(400)을 보호하는 몸체 제3하우징(500)으로 이루어진 3단 보호구조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 제1하우징(300)은, 회로기판(100)을 보호하는 하우징으로서,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몸체 제1하우징(300)은 하부면이 개방된 개방구를 가지는 형태로서, 개방구 내측에 회로기판(100)이 위치하며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측면이 몸체 제1하우징(300)에 의해 덮여진다. 따라서 회로기판(1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몸체 제1하우징(300)으로부터 보호되어 차량의 오일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몸체 제2하우징(400)은 몸체 제1하우징(300)을 덮어서 몸체 제1하우징(300)을 보호하는 하우징으로서, 몸체 제1하우징(300)의 측면을 감싸며 상측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체 형태를 가진다.
몸체 제3하우징(500)은, 가장 표면에 위치하는 하우징으로서 몸체 제2하우징(400)을 보호한다. 따라서 몸체 제3하우징(500)은 몸체 제2하우징(40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몸체 제3하우징(500)의 표면은 차량의 샤시와 접하여 접지(GND)될 수 있다.
상기의 몸체 제1하우징(300), 및 몸체 제2하우징(400)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와 같이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이 높은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몸체 제3하우징(500)은 도전성을 가지는 메탈 계열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100)의 자력 센서(140)와 구동 전류 스위치(150) 각각은 일단이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며, 타단이 접지(GND)에 연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메탈로 구현된 몸체 제3하우징(500)이 회로기판(100)의 자력 센서(140)와 구동 전류 스위치(150)의 접지(GND)의 역할을 하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회로기판(100)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 제3하우징(500)의 내부면과 접하는 접지 단자(130)를 포함한다.
접지 단자(13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회로기판(100)과 평행하게 돌출된 제1단자(130a)와, 제1단자(130a)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제2단자(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단자(130b)는 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단자(130a)는 자력 센서(140)와 구동 전류 스위치(150)의 연결 접지 노드와 도금 패턴으로 연결되어, 자력 센서(140)와 구동 전류 스위치(150)의 접지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단자는 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100)의 측면과 제2단자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몸체 제1하우징(300), 및 몸체 제2하우징(400)이 차례로 위치한다. 그리고, 제2단자(130b)의 외측면에 접하는 몸체 제3하우징(500)이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2단자(130b)는 내측면이 절연성의 몸체 제2하우징(400)에 접하게 되며, 외측면이 도전성의 몸체 제3하우징(500)에 접하게 되어, 결국, 몸체 제3하우징(500)이 접지(GND)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몸체 하우징을 이용하지 않고 접지 단자를 외부로 돌출시에는 3핀 스위치 구조가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지력을 제공받기 위해 접지 단자(130)를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고 내부의 몸체 하우징을 이용해 접지력을 활용하여 단순화된 2핀 스위치 기구물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단자핀 손상 등의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의 실시예 설명은 후진기어 조작시에 이를 감지하여 후미등을 발광시키는 차량용 반도체 백업 스위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기구물은, 후진기어를 감지하여 후미등을 발광시키는 차량용 반도체 백업 스위치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조작을 감지하여 후미등을 발광시키는 차량용 반도체 브레이크 스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밖에 차량의 다른 조작에 의한 작동축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부하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라면 모두 적용함은 자명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후미등은 후진기어의 조작에 의해 발광하는 램프등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를 브레이크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발광되는 램프등의 개면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회로기판 110:전류 공급 단자핀
120:구동 전류 출력 단자핀 130:접지 단자
200:실장 플레이트판 300:몸체 제1하우징
400:몸체 제2하우징 500:몸체 제3하우징

Claims (5)

  1. 차량내의 작동축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차량 후미등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에 있어서,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봉의 끝단의 접근에 따른 자력을 감지하는 회로부가 실장된 기판으로서, 후진기어의 조작에 따른 작동축봉의 끝단의 접근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면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회로기판;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결합되며, 배터리 전류를 상기 회로기판에 공급하는 전류 공급 단자핀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차량 후미등으로 구동 전류가 출력되는 구동 전류 출력 단자핀으로 이루어진 2핀 커넥터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실장 플레이트판; 및
    하우징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과 실장 플레이트판이 마련되는 몸체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은,
    자성 성분을 가지는 작동축봉의 끝단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축봉의 수직 방향으로 접근시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센싱 전류를 출력하는 자력 센서; 및
    상기 자력 센서로부터 센싱 전류가 감지되면 배터리 전류를 차량 후미등에 구동 전류로서 제공하는 구동 전류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몸체 제1하우징;
    상기 몸체 제1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며 상측 방향으로 확장된 기둥체 형태를 가지는 몸체 제2하우징; 및
    상기 몸체 제2하우징의 외부면을 감싸는 몸체 제3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제1하우징, 몸체 제2하우징은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이며, 상기 몸체 제3하우징은 메탈 계열의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력 센서와 구동 전류 스위치의 접지로서, 회로기판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 제3하우징의 내부면과 접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KR1020150177327A 2015-12-11 2015-12-11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KR10163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27A KR101631972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27A KR101631972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972B1 true KR101631972B1 (ko) 2016-07-01

Family

ID=5650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327A KR101631972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746Y1 (ko) * 1995-11-15 1999-07-15 정몽규 자동차의 비상등을 이용한 후진 등화장치
KR100811977B1 (ko) 2006-10-24 2008-03-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후미등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8084582A (ja) * 2006-09-26 2008-04-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746Y1 (ko) * 1995-11-15 1999-07-15 정몽규 자동차의 비상등을 이용한 후진 등화장치
JP2008084582A (ja) * 2006-09-26 2008-04-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
KR100811977B1 (ko) 2006-10-24 2008-03-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후미등 장치 및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434B1 (en) Electrical apparatus with compliant pins
US7893800B2 (en) Vehicle switch
EP3096070B1 (en) Light emission module, connector, and mounting structure for light emission module
KR102376002B1 (ko) 전력 전자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차량
JP2006196395A (ja) タッチスイッチ
US7522025B2 (en) Switchgear with a switch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mponent as well as a supplementary electrical circuit for the switchgear
US8154367B2 (e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same
US7541903B2 (en) Switch for vehicles
US8816310B2 (en) Semiconductor relay
US10424447B2 (en) Switching system
JP4821445B2 (ja) 車両用スイッチ
KR101631972B1 (ko) 차량용 반도체 스위치
JP4929850B2 (ja) 車両用スイッチ
JP4285143B2 (ja) 車両用スイッチ
US20090128140A1 (en) Vehicle switch
US8093976B2 (en) Vehicle switch
US11430933B2 (en) Lighting device with high flexibility in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JP2008117684A (ja) 車両用スイッチ
JP5549278B2 (ja) 車両用スイッチ
US20090051408A1 (en) Switch for vehicles
JP2010153303A (ja) 車両用スイッチ
JP4885099B2 (ja) 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JP4054296B2 (ja) 電子部品の取付け構造
JP2008027729A (ja) 車両用スイッチ
KR101443744B1 (ko) 전자식 스위치의 접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