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875B1 -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875B1
KR101631875B1 KR1020090133320A KR20090133320A KR101631875B1 KR 101631875 B1 KR101631875 B1 KR 101631875B1 KR 1020090133320 A KR1020090133320 A KR 1020090133320A KR 20090133320 A KR20090133320 A KR 20090133320A KR 101631875 B1 KR101631875 B1 KR 10163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unit
pow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6575A (en
Inventor
윤병윤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875B1/en
Publication of KR2011007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5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제1통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1통신부(110)와, 제2통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2통신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통신부(120)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10)(120)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50)와 상기 제2통신부(120)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칭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통신부(110)가 항시 사용모드인 경우 상기 제2통신부(12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부(160)를 턴 오프 제어하는 제어부(19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2통신부(120)가 사용 요청되면, 상기 제1통신부(110)를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통신부(120)에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60)를 턴 온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항시 사용모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통신경로가 완전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하고 노이즈를 개선하여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for processing a first communication sig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for processing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WI-FI communication.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10 and 120 is provided. And a switching unit 160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160 to turn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always in use mode. The controller 190 switche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and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s requested to use the switching unit 160. [ 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any one communication path is completely blocked according to the always-used mod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noise is improved, and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improved.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모드, 전원, 차단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Power, Block

Description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통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장치 및 그 통신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ving two or more communication function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최근 들어,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2개 이상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그 포함된 기능들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단말장치가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two or more communication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a consumer's desire and selectively using the included functions as needed is being developed.

도 1에는 이와 같은 통신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 block diagram of such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도 1을 설명하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신호(이하 "제1통신신호"라 칭함.)를 신호처리하는 제1통신부(10)와,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신호(이하 "제2통신신호"라 칭함.)를 신호처리하는 제2통신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20)는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1, a first communication unit 10 for signal processing a signal for Bluetooth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mmunication signal"), a signal for Wi-Fi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for signal processing the received signal.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0 and 20 use a frequency of 2.4 GHz.

상기 제1 및 제2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0)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40)는 칩안테나 형태로 하나가 구비된다.And an antenna 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signals. The antenna 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hip antenna.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20)와 상기 안테나(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통신부(10) 또는 제2통신부(20)와 상기 안테나(40)와의 통신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라인선택부(30)가 구비된다.A communication lin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0 and 20 and the antenna 40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and the antenna 40, A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30 is provided.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제1통신부(10)또는 제2통신부(20)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And a control section (50)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section (30) to communicat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section (1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20)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상기 통신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6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60)에는 블루투스 통신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키버튼(62)과, 와이파이 통신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키버튼(64)이 구비된다.And an operation unit 60 for selecting the communication mode. The operation unit 60 is provided with a first key button 62 for select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a second key button 64 for selecting a Wi-Fi communication mode.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20)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가 구비된다.A power supply unit 7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0 and 20 is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블루투스 통신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제1키버튼(62)이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통신부(10)을 동작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1통신부(10)과 안테나(40)와의 통신라인이 연결되도록 통신라인선택부(30)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제1통신부(10)은 상기 안테나(40)를 통해 제1통신신호를 송수신하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First, when the first key button 62 is operated to selec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to be in the operating state and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antenna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transmits and receives the first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40, and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다음, 와이파이 통신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제2키버튼(64)이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2통신부(20)을 동작상태가 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1통신부(10)를 대기상태가 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2통신부(20)과 안테나(40)와의 통신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30)을 제어한다.Next, when the second key button 64 is operated to select the Wi-Fi communication mode,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to be in the operating state, Respectively.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or 30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and the antenna 40 is connected.

그러면, 상기 제2통신부(20)은 상기 안테나(40)를 통해 제2통신신호를 송수 신하면서 무선 인터넷을 수행한다.T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transmits and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40, and performs wireless Internet.

그러나, 이와 같은 통신단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s the following problems.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모드에 따라 제1통신부(10)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통신부(20)는 대기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2통신부(20)는 특징상 대기상태 동안에도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통신부(20)는 대기상태에서도 접근점(access point:AP)을 검색 및 선택하기 위해 스캐닝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단말장치는 불필요한 전력낭비로 인해 이동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Whe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odes, for exampl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is in a standby state. At this tim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consumes power even during the standby state in the characteristic feature.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needs power to continuously perform a scanning operation to search for and select an access point (AP) even in a standby stat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may result in poor mobility and portability due to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또한, 어느 하나의 통신부, 예컨대 제1통신부(10)가 동작상태인 동안에도 제2통신부(20)로는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제1통신부(10)에는 제2통신부(20)에 의해 간섭되어 노이즈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제2통신부(20)에는 대기상태 동안에도 소정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주위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의해서도 상기 제1통신부(10)는 노이즈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통신부(10)는 신호 감쇄에 의해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하지 못해 동작신뢰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Since the predetermined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even when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is in the operating stat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introduced. Also, during the standby stat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 can generate heat as the predetermined power is supplied, thereby raising the ambient temperature. Also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can be interfered by noise. Accordingl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 can not perform normal communication due to signal attenua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operational reliability.

또 어느 하나의 통신부가 동작 중 다른 통신부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통신부별로 차폐(Shield)를 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In order to attenuate the noise generated by another communication unit during operation of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it is possible to perform shielding for each communication unit. However, in such a case, additional costs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소모를 절감시키기 위한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동작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noise and further improve operational reliability.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통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1통신부; 제2통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2통신부; 상기 제1 및 제2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제2통신부와 상기 안테나와의 통신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라인선택부;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통신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통신부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칭부; 상기 제1통신부 항시 사용모드 또는 상기 제2통신부 사용모드로 전환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키버튼; 및 상기 제1통신부가 항시 사용모드인 경우 상기 제2통신부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오프 제어하며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안테나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모드전환키버튼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부 사용모드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부를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통신부에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온 제어하며 상기 제2통신부와 상기 안테나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a first communication sig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signals; A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and the antenna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 switch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 mode change key button for outputting a change request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on mod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ng unit to turn off the switching unit to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lways in use mode and to 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When the switch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key butt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and the switching unit is turned on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재부팅이 수행되거나 동작중인 제2통신부 사용모드가 종료되면 제1통신부 항시 사용모드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 in use mode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is terminated when a reboot is performed or during operation.

상기 제1통신부는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부이고, 상기 제2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통신부이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a Wi-Fi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과 무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통신부가 항시 동작상태가 되게 상기 제1통신부와 안테나 사이에 설치된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안테나가 연결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부가 동작상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 중이면, 전원공급부와 제2통신부 사이에 설치된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상기 제2통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단계; 상기 제1통신부 항시 사용모드 또는 상기 제2통신부 사용모드로 전환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키버튼에 의해 상기 제1통신부 항시 동작상태에서 상기 제2통신부 동작상태로 통신 전환이 요청되는 단계; 상기 통신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상기 제2통신부와 연결되도록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통신부에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제1통신부는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통신부 동작상태에서 재부팅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2통신부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제1통신부 항시 동작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wherein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lways operat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Controlling an installed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to se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to be connected; And a power cutoff step of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a switch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performing near- ; Requesting communication switching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 operating stat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perating state by a mode switching key button for outputting a switching request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on mod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such that the antenna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switching request,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intains the power standby state step; And se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be in an operating state at all times when a reboot is per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peration state or a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terminated.

삭제delete

상기 전원 대기상태는 동작상태로의 전환시 시간 딜레이가 최소화되도록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된다.In the power standby state, only the minimum power source is supplied so that the time delay is minimized upon switching to the operating stat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전원공급부 사이에 스위칭부를 설치하고, 블루투스 항시 사용모드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는 제2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무조건 차단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그러면, 종래와 같이 제2통신부가 대기상태 동안에 불필요하게 소모되던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게 되면, 이동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f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switching unit is provided between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When the mode is not a Wi- Controls the switching unit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unconditionally blocked. 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bility even further. You can expect.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2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제1통신부가 블루투스 통신 중 제2통신부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노이즈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통신부는 노이즈에 의한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블루투 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 동작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lso,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c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noise that can be introduc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dur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be intrinsically blocked. Accordingl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an stably perform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out interference by the noise,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더욱이 제2통신부로의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제2통신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가 원천적으로 해결되는바, 차폐막 등을 설치함에 따른 추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s the pow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cut off, the noise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originally solved, and the additional cost for installing the shielding film and the like can be sa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통신단말장치가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신호(이하 "제1통신신호"라 칭함.)를 신호처리하는 제1통신부(110)와,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신호(이하 "제2통신신호"라 칭함.)를 신호처리하는 제2통신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10)(120)는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2, there are shown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for processing a signal for a Bluetooth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mmunication signal"), a signal for a Wi-Fi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for signal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10 and 120 use a frequency of 2.4 GHz.

상기 제1 및 제2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40)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140)는 칩안테나 형태로 하나가 구비된다.And an antenna 1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signals. The antenna 1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hip antenna.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10)(120)와 상기 안테나(1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통신부(110) 또는 제2통신부(120)와 상기 안테나(140)와의 통신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라인선택부(130)가 구비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10 and 120 and the antenna 140 and selectively connect the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antenna 140 And a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130 for connection.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10)(120)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가 구비된다.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10 and 120 is provided.

상기 전원공급부(150)와 제2통신부(1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제2통신부(12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칭부(160)가 구비된다.The switching unit 160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connects or disconnec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

한편,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통신라인선택부(130) 및 스위칭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항시 사용모드가 블루투스 통신모드인 경우 제1통신부(110)와 안테나(140)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스위칭부(1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드인 경우에는 제1통신부(110)가 제1통신신호를 안테나(140)를 통해 외부와 송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송수신되는 제1통신신호에는 상기 제2통신부(120)에 의해 간섭되어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드에 따라 미사용되는 제2통신부(12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130 and the switch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or 130 to 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antenna 140 when the always-used mode i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and su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80 so that the power source is shut off. Accordingly, i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 receives the first communication signal to /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ntenna 140.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 So that nois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In additio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unused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와이파이 통신모드가 사용 요청되는 경우 제1통신부(110)로의 공급전원을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되게 제어한 상태에서, 제2통신부(120)와 안테나(140)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1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80)를 제어한다. 또 상기 제어부(170)는 통신단말장치의 초기화(reset) 등의 동작에 따라 재부팅이 수행되거나 또는 동작 중인 와이파이 통신모드가 종료되면 블루투스 통신모드가 항시 사용모드로서 동작되게 제어한다. 또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통 신부(110), 제2통신부(120), 전원공급부(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antenna 140 to operate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minimum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suppli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when the Wi-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80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to operate as the always-used mode when the reboo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uch as a rese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when the WiFi communication mode in operation is terminate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한편, 상기 통신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전환키버튼(180)이 구비된다. 상기 모드전환키버튼(180)은 조작될 때마다 통신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70)에게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a mode switching key button 180 for selecting the communication mode is provided. Each time the mode switching key button 180 is operated, a signal for switching the communication mod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단 통신단말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 개시되면,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항시 사용모드에 따라 제1통신부(11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S100).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통신부(110)와 안테나(140)와의 통신라인이 연결되도록 통신라인선택부(130)를 제어하고, 전원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제1통신부(110)가 동작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once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ontroller 17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nstant usage mode (S100). That is,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or 130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antenna 14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brought into an operating stat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제2통신부(12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부(160)를 제어한다(S102). 이때, 상기 제2통신부(12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상기 제2통신부(120)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통신부(120)가 전원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통신부(110)가 외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시 상기 제2통신부(120)에 의해 간섭되어 노이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1통신부(110)가 통신 을 수행시 안전된 통신환경이 확보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60 to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S102). At this tim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us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prevented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s in a power-off stat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nterfer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do. Therefore, a secure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secur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communication.

이와 같은 블루투스 항시 사용모드 상태에서 와이파이 통신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키버튼(180)이 조작되면(S104),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통신부(110)를 동작상태에서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106). 즉 상기제어부(170)는 상기 제1통신부(110)로의 동작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시 바로 전환 가능하도록 그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50)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전원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제2통신부(120)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60)를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120)와 안테나(140)와의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신부(120)는 활성화되어 무선 인터넷을 수행한다.When the mode switching key button 180 for switching from the always-used mode to the Wi-Fi communication mode is operated (S104),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operate (S106).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supply only the minimum power required to switch from the waiting state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operating stat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60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antenna 140,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130 so that a communication line is formed. According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s activated and performs wireless Internet.

상기 무선 인터넷 수행 중,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모드전환키버튼(180)이 조작되면(S108), 상기 제어부(170)는 와이파이 통신모드에서 블루투스 통신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2통신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60)를 제어하고, 상기 제1통신부(110)와 안테나(140)와의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무선 인터넷 수행 중 무선 인터넷이 자동 종료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70)는 와이파이 통신모드에서 블루투스 통신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제어함은 당연하다.When the mode switching key button 180 is operated to switch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S108),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o switch from the Wi-Fi communication mode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That is,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60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s cut off, and the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antenna 140 is formed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130. Of course, when the wireless Internet is automatically termin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the controller 170 may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switch from the Wi-Fi communication mode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제1통신부(11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120)의 공급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아울러 상기 제2통신부(12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가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제1통신부(110)가 근거리 무선 통신시 동작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which performs wireless Internet, cuts off the power supply,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he noise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is intrinsically blocked,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alternative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의 통신부가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통신부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That is, although one antenna is shared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도 1은 종래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요부구성이 블록 구성도.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ig.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0 : 제1통신부 120 : 제2통신부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second communication unit

130 : 스위칭부 140 : 안테나130: switching unit 140: antenna

150 : 전원공급부 160 : 스위칭부150: Power supply unit 160:

170 : 제어부 180 : 모드전환키버튼170: control unit 180: mode switching key button

Claims (6)

제1통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1통신부;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first communication signal; 제2통신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2통신부;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제1 및 제2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signals;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제2통신부와 상기 안테나와의 통신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라인선택부;A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and the antenna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통신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통신부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칭부;A switch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1통신부 항시 사용모드 또는 상기 제2통신부 사용모드로 전환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키버튼; 및A mode change key button for outputting a change request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on mod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And 상기 제1통신부가 항시 사용모드인 경우 상기 제2통신부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오프 제어하며, 상기제1통신부와 상기안테나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모드전환키버튼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부 사용모드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부를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통신부에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온 제어하며 상기 제2통신부와 상기 안테나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turn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lways in use mode,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to 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When the switch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key butt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and the switching unit is turned on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ng unit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ng uni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재부팅이 수행되거나 동작중인 제2통신부 사용모드가 종료되면 제1통신부 항시 사용모드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on mode to operate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is terminated when a reboot is performed or during oper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통신부는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부이고,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2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통신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a Wi-Fi communication unit. 근거리 무선 통신과 무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통신부가 항시 동작상태가 되게 상기 제1통신부와 안테나 사이에 설치된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통신부와 상기 안테나가 연결되도록 설정하는 단계;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lways in an operating state b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tenna, And setting the antenna to be connected; 상기 제1통신부가 동작상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 중이면, 전원공급부와 제2통신부 사이에 설치된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상기 제2통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단계;And a power cutoff step of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a switch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performing near- ; 상기 제1통신부 항시 사용모드 또는 상기 제2통신부 사용모드로 전환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키버튼에 의해 상기 제1통신부 항시 동작상태에서 상기 제2통신부 동작상태로 통신 전환이 요청되는 단계;Requesting communication switching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 operating stat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perating state by a mode switching key button for outputting a switching request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lways-on mod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use mode; 상기 통신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상기 제2통신부와 연결되도록 통신라인선택부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통신부에게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제1통신부는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unit such that the antenna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switching request,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intains the power standby state step; And 상기 제2통신부 동작상태에서 재부팅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2통신부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제1통신부 항시 동작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제어방법.And se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be in an operational state when a reboot is per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peration state or a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terminated. 삭제delete 제 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전원 대기상태는 동작상태로의 전환시 시간 딜레이가 최소화되도록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제어방법.Wherein the power standby state is a state in which only a minimum power source is supplied so that a time delay is minimized upon switching to an operating state.
KR1020090133320A 2009-12-29 2009-12-29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1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20A KR101631875B1 (en) 2009-12-29 2009-12-29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20A KR101631875B1 (en) 2009-12-29 2009-12-29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575A KR20110076575A (en) 2011-07-06
KR101631875B1 true KR101631875B1 (en) 2016-06-20

Family

ID=4491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320A KR101631875B1 (en) 2009-12-29 2009-12-29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8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367A (en) * 2016-10-27 2018-05-08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for managing a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partn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rtner as well as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661B1 (en) 2012-09-04 2019-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9307B1 (en) * 2014-12-02 2021-07-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of vehicle
KR101663117B1 (en) 2015-03-20 2016-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ular head unit,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nd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ystem between differ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880B1 (en) * 2005-10-20 200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Switching module and terminal having the switching modul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70054923A (en) * 2005-11-24 200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 controlling
KR100945536B1 (en) * 2007-10-15 2010-03-09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for supporting coexist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KR101507786B1 (en) * 2008-03-3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of improving interference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367A (en) * 2016-10-27 2018-05-08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for managing a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partn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rtner as well as vehicle
KR101913515B1 (en) * 2016-10-27 2018-10-3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for managing a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partn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rtner as well as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575A (en)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17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BWP,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JP2019169771A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372199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xpansion equipment
US20050188232A1 (en)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JP2009100210A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relay program
US2007021885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ual antenna structures and their switching method
KR101631875B1 (en)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1017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et service reconnection time
KR1018888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versity service antenna in portable terminal
KR20190019179A (en) How to manage Bluetooth connections, master Bluetooth devices, and devices
JP595423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US8744498B2 (en)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05409B1 (en) FOTA SYSTEM USING FSK MODE IN LoRa IoT
US1030617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61548A1 (en) Wall outle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43771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antennas and antenna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JP5072923B2 (en) Electronics
KR200800588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bluetooth device
JP2017151593A (en) Communication stat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tate control method, built-i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16178481A (en)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2104770B (en) Antenna tuning switch controller,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2024019559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bwp,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8075869A (en) Mobile terminal with double Bluetooth modules and mobile terminal positioning method
KR101351113B1 (en) Wireless keyboard power control method and the device
JP2023037718A (en)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