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618B1 -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618B1
KR101631618B1 KR1020100064705A KR20100064705A KR101631618B1 KR 101631618 B1 KR101631618 B1 KR 101631618B1 KR 1020100064705 A KR1020100064705 A KR 1020100064705A KR 20100064705 A KR20100064705 A KR 20100064705A KR 101631618 B1 KR101631618 B1 KR 10163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virtual
virtual personalization
personalization group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54A (ko
Inventor
김재훈
김기호
장명욱
이병준
허미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618B1/ko
Priority to EP18152361.4A priority patent/EP3346435A1/en
Priority to EP20110172523 priority patent/EP2405388A1/en
Priority to US13/176,905 priority patent/US9113319B2/en
Priority to JP2011149997A priority patent/JP5986356B2/ja
Priority to CN201110195596.1A priority patent/CN102315939B/zh
Publication of KR2012000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METHOD OF GENERATING VIRTUAL PRIVATE COMMUNITY AND NETWORK INCLUDING COMMUNICATION APPARAUTUS AND HUB OF USING THE VIRTUAL PRIVATE COMMUNITY}
아래의 실시예들은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통신 기기들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들 각각이 '친구 관계' 혹은 '인맥'을 넓힐 수 있도록 커뮤니티 형 웹사이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은 그 커뮤니티 형 웹 사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요구되고, 사용자들은 그 서버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상기 특정 사용자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들 사이에서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로 가입하는 멤버 또는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을 위한 퍼블릭 키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멤버들 중 어느 하나의 멤버와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상기 제3 개인 가상화 그룹에 종속되지 않는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제4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개인화 그룹을 위한 보안 키(security key)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대한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상기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또는 상기 멤버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허브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 동기화(Synchronize), 푸쉬(push) 및 컨텐츠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외부의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는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 또는 상기 멤버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네트워크는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허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고, 상기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를 생성하는 보안키 생성 모듈;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하는 연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키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상기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계 모듈은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는 연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는 라우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를 감지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 동기화(Synchronize), 푸쉬(push) 및 컨텐츠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허브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외부의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는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인(멤버)의 통신 기기에 기반하여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함으로써 외부의 서비스 사업자 또는 외부 서버의 도움이 없이도 용이하게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VPC)을 생성함으로써 외부의 서비스 사업자 또는 외부의 서버에 의한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중심의 분산 구조를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VPC)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그룹의 멤버들에게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함으로써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경로 설정 및 라우팅(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층적인 가상 개인화 그룹의 경계에 종속되지 않는 임의의 멤버들 사이에 비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함으로써 비가상 개인화 그룹의 특성에 맞는 별도의 접근 권한 및 보안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개인화 그룹 내의 퍼블릭 키(public key) 및 보안 키(security key)를 이용하여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함으로써 그룹 내 멤버들 간 및 그룹 외부의 멤버들과의 연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함으로써 계층적 또는 비가상 개인화 그룹의 생성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의 확장(Scalability)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다른 제2 그룹의 멤버와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네트워크는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 130, 및 150), 제3 가상 개인화 그룹(170), 모바일 오퍼레이터(mobile operator)(180) 및 인터넷(internet)(190)을 포함한다.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은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 전송하여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가상 그룹이다.
즉,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은 오프라인에서의 가족, 친지 사이의 관계를 온라인에서 더욱 공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생성을 지원하여 지인들 사이에서의 다양한 서비스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상 개인화 그룹은 사용자 중심으로 생성되는 On-Line 그룹으로서, 통신(Infrastructure) 경계에 제약 없이 생성되고, 이 경계에 무관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계층적 또는 비계층적(수평적)인 다양한 형태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은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컨텐츠를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제공받음으로써, 공유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이 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사용자(멤버)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모든 정보는 그룹의 멤버들 사이에서만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개인화 그룹의 사용자(멤버)들의 개인 정보가 서비스 사업자의 실수 또는 외부의 서버에 대한 해킹 등에 의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개인화 그룹은 서비스 사업자에 의존적이지 않은 사용자 중심으로 형성된 가상 그룹으로서, 분산 구조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은 그룹의 크기와 그룹의 특징에 따라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130, 및 150)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170)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 한 명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최소 단위의 그룹으로서, 개인 소유 통신 기기 간 서버-리스(server-less) 및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특정 사용자들의 통신 기기들(113,115,117)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는 개인 소유의 통신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로서,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모바일 기기, 센서(Sensor) 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특히,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로 포함된 센서 기기의 경우, 보다 강화된 보안 기술과 결합되어 e-health 및 smart home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 한 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하나의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arent's home의 통신 기기 111은 아버지 소유의 노트 북, 통신 기기113은 아버지 소유의 통신 기기이며, 통신 기기 115은 어머니 소유의 PDA, 통신 기기 117은 어머니 소유의 통신 기기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특정 사용자인 아버지를 위한 통신 기기들(111 및 113)에 의해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이 생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특정 사용자인 어머니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인 115 및 117에 의해 다른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아버지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들(111 및 113)은 통신 기기들 서로 간에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어머니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들(115 및 117)도 통신 기기 111 및 113 과 마찬가지로 통신 기기들 서로 간에 셀프 보안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130, 또는 150)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할 수 있다.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은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허브(111) 및 통신 기기(113,115,117)들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30 및 150) 또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허브(131 및 151) 및 각각에 속한 통신 기기(133,135 및 153 및 155)를 포함한다.
여기서, parent's home, my home 및 sister's home에 있는 임의의 통신 기기(111,131,151)들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통신 기기인 동시에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허브(herb)로도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130, 또는 150)은 예를 들어 도 1의 parent's home, my home, sister's home과 같이 가정(home) 단위의 규모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가정 단위의 그룹은 규모의 특정 측면에서 분류된 것일 뿐,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130, 및 150)의 영역이 가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130, 및 150)의 멤버들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특정 사용자 및 특정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rent's home의 경우, 자신(특정 사용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갖는 아버지 및 어머니가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될 수 있다.
또한, my home에서 내 소유의 통신 기기는 노트 북(131) 및 스마트 폰(133)이고, 나의 배우자의 통신 기기 역시 스마트 폰(135)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 내 소유의 통신 기기들(131,133)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며, 내 배우자의 통신 기기(135)는 또 다른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될 수 있다. 또한, 나와 내 배우자는 my home에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될 수 있다.
이 때, 나의 배우자는 나에 의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로 허용된 사용자일 수 있다.
제3 가상 개인화 그룹(170)은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110,130,150)이 상호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여 생성할 수 있는 최상위 그룹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my world와 같은 규모일 수 있다.
제3 가상 개인화 그룹(170)은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110,130,150)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또는 허브(111,131,151))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170)의 멤버들인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 역시 임의의 통신 기기(또는 허브(111,131,151))를 통해 교환 또는 공유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각각에 대한 정보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가상 개인화 그룹은 사용자(그룹의 멤버)가 그 그룹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제4, 제5 등과 같이 더 넓은 형태의 계층적 또는 비계층적인 가상 개인화 그룹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생성 방법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생성한다(210).
여기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는 "김철수"이고,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핸드폰, 노트북, PDA이며, 핸드폰은 컨텐츠 "abc.mpeg"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핸드폰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인 "김철수" 및 핸드폰이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 "abc.mpeg"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 "김철수/핸드폰/abc.mpeg"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통신 기기가 속한 그룹 정보(이름) 또는 멤버 정보(이름) 등을 활용하여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생성 방법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220).
이 때,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할 수 있으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특정 사용자 및 특정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생성 방법은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230).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또는 허브)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각각 컨텐츠를 생성하게 되면, 예를 들어, "(가상 개인화)그룹의 이름/ 멤버 이름/컨텐츠 이름" 또는 "(가상 개인화)그룹의 이름/ 멤버 이름/멤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이름/ 컨텐츠 이름"과 같이 그룹 정보, 멤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계층적 컨텐츠 이름에 표현된 각 그룹의 이름, 멤버 이름, 컨텐츠 이름은 예를 들어, parents home/ 김철수(멤버인 아버지 이름)/abc.txt 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계층적 컨텐츠 이름에 나타난 계층적 구조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전송 경로 구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은 예를 들어, 도 1의 my home또는 my world와 같이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가상 그룹 식별자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도 가상 개인화 그룹의 구조를 반영하는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라우팅 및 컨텐츠의 전송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은 컨텐츠 요청 메시지의 라우팅 및 컨텐츠의 전송 경로를 생성할 때,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와 함께 가상 개인화 그룹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개인화 그룹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에 대한 정보 또는 컨텐츠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도 컨텐츠를 생성하게 되면, 역시 가상 그룹 식별자로 활용될 수 있는 그룹 정보 및 멤버 정보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그룹 이름/ 멤버 이름/컨텐츠 이름" 또는 "그룹 이름/멤버 이름/멤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이름/컨텐츠 이름"과 같이 그룹 정보, 멤버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lice_world/alice_home/alice/wild.jpg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lice_world는 최상위 가상 개인화 그룹(여기서는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이름이고, alice_home은 차상위 가상 개인화 그룹(여기서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이름, alice는 최소 단위 가상 개인화 그룹(여기서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통신 기기)의 이름이며, wild.jpg는 최소 단위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생성할 수 있다(240).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퍼블릭 키(public key)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보안 키(security key)를 생성할 수 있다(250).
또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들에 포함된 멤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보안 키(security key)를 이용하여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간 또는 통신 기기들 간의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260).
여기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로 가입하는 멤버 또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크리덴셜(credential)을 이용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다른 제2 그룹의 멤버와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네트워크는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A, B, C(310, 130, 및 350), 제3 가상 개인화 그룹(370), 모바일 오퍼레이터(mobile operator)(380) 및 인터넷(internet)(390)을 포함한다.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A(310)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허브(311) 및 통신 기기(313,315,31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B, C(330 및 350) 또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허브(331 및 351) 및 각각에 속한 통신 기기(333,335 및 353 및 355)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생성 방법은 기본적인 가상 개인화 그룹의 경계에 종속되지 않는 또 다른 복수의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A(310)에 속한 통신 기기인 313과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B(330)에 속한 통신 기기인 335가 서로 원래 소속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경계를 넘어서 서로 연계함으로써 또 다른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예를 들어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한다고 가정하자.
특정 사용자(여기서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A(310)의 통신 기기 313)가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멤버들 중 어느 하나의 멤버(여기서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B(330)의 통신 기기 335)와 새로운 제4 가상 개인화 그룹(320)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제4 가상 개인화 그룹(320)은 이미 형성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제3 개인 가상화 그룹의 경계에 종속되지 않으며, 비계층적인 개인 가상화 그룹에 해당할 수 있다.
새로운 제4 가상 개인화 그룹(320)의 멤버들은 새로운 제4 가상 개인화 그룹(320)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생성하여 교환하고, 제4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제4 개인화 그룹을 위한 보안 키(security key)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320 및 340과 같이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에 종속되지 않는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들은 새롭게 생성된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특성에 맞는 별도의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및 보안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4 가상 개인화 그룹(320 또는 340)은 제4 가상 개인화 그룹만을 위한 제한되는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및 보안(security)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B(330)의 통신 기기 333은 my home의 내 아들이 소유한 통신 기기이고,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C(350)의 통신 기기 355는 my sister's home의 내 누이의 아들(즉, 조카)이 소유한 통신 기기라고 하자.
10대인 내 아들과 내 누이의 아들은 다른 가족들이 모르게 자신들만의 정보를 공유하기를 원하고, 이를 위해 원래 형성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는 다른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은 해당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별도의 퍼블릭 키(public key) 및 별도의 보안 키(security key)를 이용하여 다른 멤버들의 접근을 막거나 보안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들은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도 생성이 가능하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경계를 넘어서도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가상 개인화 그룹들은 계층적(hierarchical), 또는 비계층적(non-hierarchical) 형태의 그룹 모두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그룹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분산 구조 기반의 보안 키 관리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분산 구조 기반의 보안 키 관리 기술에 대하여는 상술한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보안 키(security key)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고,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한다.
여기서,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고,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기기는 보안 키를 이용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기기가 다른 통신 기기와 수행하는 셀프 보안 연계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밖에도 가상 개인화 그룹에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할 수 있으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면,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한 후,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면,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고,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1, 제2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가상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410).
여기서,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인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은 멤버로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420).
물론 420에 앞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한다(430).
여기서,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나타낸다.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생성(440)한 후, 퍼블릭 키(public key)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security key)를 생성할 수 있다(450).
통신 기기는 보안 키(security key)를 이용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460).
통신 기기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70).
470의 판단 결과, 만약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의 멤버가 상술한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포함한 경우, 통신 기기는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470에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의 멤버가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통신 기기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제공(480)하여 연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임의의 그룹에 새롭게 가입하는 멤버는 그룹에 속한 모든 멤버들과 연계(association)를 맺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은 통신 기기가 임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롭게 가입하는 경우, 가상 개인화 그룹 내의 모든 멤버들과 연계를 맺을 필요가 없다.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롭게 가입한 통신 기기(540)는 가상 개인화 그룹의 임의의 한 멤버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함으로써 가상 개인화 그룹 내의 모든 멤버와 자동적으로 연계가 수행되며, 이를 자동 연계(auto & scalable association)라 한다.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최초로 그룹을 형성한 초대자(inviter)의 통신 기기(이하 '오너(owner)'로 표시함)는 자신이 속한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0가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오너이고, 520 및 530은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멤버의 통신 기기라고 가정하자.
오너(510)는 자신이 속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자신(여기서는 오너(51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 멤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520, 530)과 오너(510)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를 공유할 수 있다.
퍼블릭 키를 공유하는 방법으로는 오너(510)가 다른 멤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520, 530)에게 오너(510)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멤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520, 530)은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전달된 정보가 정당한 오너, 즉 자신들이 속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오너로부터 전달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멤버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520, 530)은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의 서명(signature)이 오너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오너의 퍼블릭 키를 공유한 경우, 자동적으로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인지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모든 멤버는 퍼블릭 키를 통해 오너와 링크(link)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롭게 가입하는 멤버(540)는 오너(510)와 한 번의 연계를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가상 개인화 그룹 내의 다른 멤버들(520,530)과도 자동적으로 연계가 수행된다.
즉,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롭게 가입하는 멤버(540)는 오너(510)와 한 번의 연계를 수행함으로써 그룹 내의 다른 멤버들과 일일이 연계를 수행하지 않고도 모든 멤버들(520,530)과 자동적으로 연계가 된다.
또한,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롭게 가입하는 멤버(540)는 오너(510)가 아닌 가상 개인화 그룹 내의 다른 멤버들(520,530)과도 자동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 내의 다른 멤버들(520,530)은 오너(510)의 크리덴셜(credential)과 링크(link)가 되어 있으므로 오너(510)와 직접 연계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오너(510)와 직접 연계를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의 오너(510) 및 다른 멤버들(520,530)은 상호 간의 연계를 수행하는 경우에 각각이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계층적 콘텐츠 이름, 가상 그룹 식별자 등과 같은 정보들을 멤버들 상호 간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들은 오너와 다른 멤버들 간의 자동 연계 및 향후의 가상 개인화 그룹 간의 컨텐츠 라우팅(Routing)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허브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한다(610).
여기서,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한다.
이 때,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한다.
상술한 Home 단위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허브는 가상 개인화 그룹의 형성, 멤버 관리, 멤버의 컨텐츠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허브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는 별도의 장치가 아닌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임의의 통신 기기일 수 있다.
이 때, 허브는 일반적으로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항상 전원이 'ON'되어 동작하는 통신 기기일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에 속한 멤버들은 허브를 중심으로 외부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브에 의존하지 않고도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멤버)와 연계(association)를 통한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620).
허브는 가상 그룹 식별자에 포함된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6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는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라우터(Route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상 개인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허브를 통하여 보다 간단히 라우팅 정보 등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허브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다른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다른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의 사이의 터널링(tunne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허브는 자신이 속한 가상 개인화 그룹의 로컬 연결(connection) 영역 밖에 있는 통신 기기와의 터널링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속한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와 다른 복수의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의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허브는 가상 개인화 그룹의 형성, 멤버 관리, 멤버의 컨텐츠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 또는 멤버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한다(640).
또한, 허브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고, 라우팅 경로를 이용하여 컨텐츠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허브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650).
허브는 만약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면(660), 변화된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변화된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670).
하지만, 660에서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허브는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허브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허브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외부의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는 가상 개인화 그룹의 이름, 가상 그룹 식별자,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허브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 동기화(Synchronize), 푸쉬(push) 및 컨텐츠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처럼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허브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고, 허브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 또는 멤버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허브는 상술한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허브는 상술한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개인화 그룹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허브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허브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700)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700)는 인터페이스(71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710)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수신한다.
프로세서(730)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한다.
메모리(750)는 가상 그룹 식별자 및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저장한다.
또한, 가상 개인화 그룹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페이스(710)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30)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30)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30)는 보안키 생성 모듈(732) 및 연계 모듈(734)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키 생성 모듈(732)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고,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해당 통신 기기가 제2, 제3 또는 제4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속한 멤버의 통신 기기에 해당한다면 통신 기기는 해당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 및 보안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안키 생성 모듈(732)은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해당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제공할 수 있다.
연계 모듈(734)은 보안 키를 이용하여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모듈(734)은 보안키 생성 모듈(732)이 해당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제공한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기기와 어느 하나의 멤버와의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기기는 제1, 제2, 제3, 제 4 등과 같은 계층적 또는 비계층적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멤버이든 해당 통신 기기와 연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보안키 생성 모듈(732)에 의해 제공된 퍼블릭 키 또는 보안 키를 이용하여 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통신 기기와 연계를 수행한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멤버는 해당 통신 기기가 포함된 가상 개인화 그룹의 모든 멤버와 자동적으로 연계가 수행되므로 더 이상의 연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메모리(750)는 가상 그룹 식별자 및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750)는 보안키 생성 모듈(732)에서 생성된 퍼블릭 키 및 보안 키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30)는 저장된 퍼블릭 키 및 보안 키를 해당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80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800)는 인터페이스(810), 프로세서(830), 메모리(8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인화 그룹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800)는 모니터링 모듈(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통신 기기들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한다.
인터페이스(810)는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 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810)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허브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810)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외부의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는 가상 그룹 식별자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30)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한다.
프로세서(830)는 연계 모듈(832) 및 라우팅 모듈(83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계 모듈(832)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라우팅 모듈(834)은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30)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 동기화(Synchronize), 푸쉬(push) 및 컨텐츠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30)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및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850)는 가상 그룹 식별자를 저장한다.
모니터링 모듈(870)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30)는 모니터링 모듈(870)에 의해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로부터 변화된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변화된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870)은 프로세서(83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가상 개인화 그룹이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페이스(810)는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130, 150 :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111, 131, 151 : 허브
113,115,117,133,135,153,155 : 통신 기기
170 :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180 : 모바일 오퍼레이터(mobile operator)
190 : 인터넷

Claims (49)

  1.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상기 특정 사용자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갖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들 사이에서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새로 가입하는 멤버 또는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을 위한 퍼블릭 키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멤버들 중 어느 하나의 멤버와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또는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종속되지 않는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보안 키(security key)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12.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대한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상기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의 동작 방법.
  19.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또는 상기 멤버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허브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 동기화(Synchronize), 푸쉬(push) 및 컨텐츠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외부의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는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 또는 상기 멤버들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의 동작 방법.
  31. 제1항, 제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2.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인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허브
    를 포함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네트워크.
  33.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하는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을 위한 퍼블릭 키를 생성하고, 상기 퍼블릭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보안 키를 생성하는 보안키 생성 모듈; 및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다른 통신 기기와 셀프 보안 연계(self secure association)를 수행하는 연계 모듈
    을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키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 중 상기 통신 기기와 연계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게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제공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모듈은
    상기 퍼블릭 키 또는 상기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멤버와 연계를 수행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통신 기기.
  40.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제1 가상 개인화 그룹(Virtual Private Community: VPC); 및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공유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의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이용하여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계층적 컨텐츠 이름은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이름을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각각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와 연계(association)를 수행하는 연계 모듈
    을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소유하는 통신 기기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 기기 사이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생성하는 라우팅 모듈
    을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3. 제40항에 있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의 변화를 감지하는 모니터링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과 동기화(Synchronize), 푸쉬(push) 및 컨텐츠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이 상기 허브를 인식하기 위한 퍼블릭 키(public key)를 인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에게 전송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7.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의 외부의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가상 개인화 그룹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를 교환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환경 정보는
    상기 가상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가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개인화 그룹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의 상위 그룹으로서,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의 멤버들은 임의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연계(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가상 개인화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가상 개인화 그룹, 상기 제2 가상 개인화 그룹 및 상기 제3 가상 개인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각 가상 개인화 그룹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나타내는 고유의 가상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계층적 컨텐츠 이름을 수신하는 가상 개인화 그룹 내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위한 허브.
KR1020100064705A 2010-07-06 2010-07-06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KR10163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05A KR101631618B1 (ko) 2010-07-06 2010-07-06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EP18152361.4A EP3346435A1 (en) 2010-07-06 2011-07-04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private community and network using the virtual private community
EP20110172523 EP2405388A1 (en) 2010-07-06 2011-07-04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private community and network using the virtual private community
US13/176,905 US9113319B2 (en) 2010-07-06 2011-07-06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private community and network using the virtual private community
JP2011149997A JP5986356B2 (ja) 2010-07-06 2011-07-06 ユーザ中心の仮想個人化グループ(vpc)生成方法、vpc内で通信する通信機器の動作方法、コンピュータで記録可能な記録媒体、vpcネットワーク、vpc内で通信する通信機器、及び仮想個人化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装置
CN201110195596.1A CN102315939B (zh) 2010-07-06 2011-07-06 产生虚拟私人社区的方法和使用该虚拟私人社区的网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05A KR101631618B1 (ko) 2010-07-06 2010-07-06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54A KR20120004054A (ko) 2012-01-12
KR101631618B1 true KR101631618B1 (ko) 2016-06-27

Family

ID=4477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05A KR101631618B1 (ko) 2010-07-06 2010-07-06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13319B2 (ko)
EP (2) EP2405388A1 (ko)
JP (1) JP5986356B2 (ko)
KR (1) KR101631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640B2 (en) 2008-01-22 2013-01-15 Brock Usa, Llc Load supporting panel having impact absorbing structure
US9009258B2 (en) 2012-03-06 2015-04-14 Google Inc.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cross multiple devices
US8892685B1 (en) 2012-04-27 2014-11-18 Google Inc. Quality score of content for a user associated with multiple devices
US9881301B2 (en) 2012-04-27 2018-01-30 Google Llc Conversion tracking of a user across multiple devices
US8688984B2 (en) 2012-04-27 2014-04-01 Google Inc.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cross multiple devices
US8978158B2 (en) 2012-04-27 2015-03-10 Google Inc. Privacy management across multiple devices
US9258279B1 (en) 2012-04-27 2016-02-09 Google Inc. Bookmarking content for users associated with multiple devices
US9514446B1 (en) 2012-04-27 2016-12-06 Google Inc. Remarketing content to a user associated with multiple devices
US8966043B2 (en) 2012-04-27 2015-02-24 Google Inc. Frequency capping of content across multiple devices
WO2014025990A1 (en) * 2012-08-10 2014-02-13 Nuance Communications, Inc. Virtual agent commun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9954763B1 (en) * 2014-02-27 2018-04-24 Amazon Technologies, Inc. Pre-configured virtual gateways for isolated virtual networks
US9641488B2 (en) 2014-02-28 2017-05-02 Dropbox, Inc. Advanced security protocol for broadcasting and synchronizing shared folders over local area network
US10460098B1 (en) 2014-08-20 2019-10-29 Google Llc Linking devices using encrypted account identifiers
WO2017131695A1 (en) * 2016-01-28 2017-08-0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rivate sharing communities
US9942787B1 (en) 2016-03-22 2018-04-10 Amazon Technologies, Inc.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on quality analysis
CN107222394B (zh) * 2017-06-16 2020-07-17 深圳量子云科技有限公司 一种社交网络的用户访问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625A1 (en) 2006-12-14 2008-06-19 Array Networks, Inc. Dynamic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private network (VPN) application level content routing using dual-proxy method
WO2009127904A1 (en) * 2008-04-16 2009-10-22 Quipa Holdings Limited A private network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286A (ja) * 2003-07-31 2005-02-24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ノードマシンおよび情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675631B2 (ja) * 2005-01-11 2011-04-27 Kddi株式会社 インデックスサーバ及びp2p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604830B2 (ja) * 2005-05-16 2011-01-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孤立状態回避方法
US8086842B2 (en) * 2006-04-21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Peer-to-peer contact exchange
US20070271234A1 (en) * 2006-05-22 2007-11-22 Ravikiran Chickmangalore N Information Exchange Among Members of a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 Users
JP2008046911A (ja) * 2006-08-17 2008-02-28 Securia Co Ltd 双方向型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におけるグループ管理システム、及びグループ管理方法。
JP4640307B2 (ja) * 2006-09-29 2011-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554827B2 (en) * 2006-09-29 2013-10-08 Qurio Holdings, Inc. Virtual peer for a content sharing system
AU2007224392B2 (en) * 2006-10-13 2010-09-16 Quipa Holdings Limited A Privat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8140506B2 (en) 2006-11-30 2012-03-20 Red Hat, Inc. File sharing based on social network
KR100860413B1 (ko) 2006-12-04 2008-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확장홈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제공 방법
KR100953594B1 (ko) 2007-12-18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15469A1 (en) 2008-02-27 2009-08-27 Amit Fisher Device,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US20090259485A1 (en) 2008-04-10 2009-10-15 Originator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trol of personal identities in virtual networked environments
KR100989371B1 (ko) * 2008-04-29 2010-10-25 이진흥 개인 홈 도메인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US8072954B2 (en) 2008-06-16 2011-12-06 Microsoft Corporation Mashup application and service for wireless devices
KR20100062799A (ko) * 2008-12-02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커뮤니티간 콘텐츠 공유방법 및 장치
KR101055401B1 (ko) 2008-12-05 2011-08-08 한경희 시즈 히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저수식 스팀 보일러
KR101172793B1 (ko) * 2008-12-19 2012-08-10 주식회사 디지캡 사적 이용 범위 내에 속하는 단말을 등록 및 관리하는 마스터 단말과 그를 이용한 사적 이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625A1 (en) 2006-12-14 2008-06-19 Array Networks, Inc. Dynamic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private network (VPN) application level content routing using dual-proxy method
WO2009127904A1 (en) * 2008-04-16 2009-10-22 Quipa Holdings Limited A private network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3319B2 (en) 2015-08-18
US20120011363A1 (en) 2012-01-12
KR20120004054A (ko) 2012-01-12
EP2405388A1 (en) 2012-01-11
JP5986356B2 (ja) 2016-09-06
EP3346435A1 (en) 2018-07-11
JP2012019518A (ja) 2012-01-26
CN102315939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618B1 (ko) 가상 개인화 그룹 생성 방법 및 가상 개인화 그룹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와 허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Hatzivasilis et al. The Interoperability of Things: Interoperable solutions as an enabler for IoT and Web 3.0
KR102091069B1 (ko) 향상된 RESTful 동작들
US20110022681A1 (en) User targeting management, monitoring and enforcement
EP3050280B1 (en) Network access
US11399076B2 (en) Profile information sharing
CN104871203A (zh) 基于社交网络信息的网络访问
KR20230016034A (ko) 기기간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동화된 서비스 등록
KR20130037434A (ko) 클라우딩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 간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211049A (zh) 无线接入点上的预缓存
CN103166950A (zh) 经由完全、仅限内容以及机能访问视图的社交装置匿名性
US201301737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ocial notif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1602294B1 (ko) 가상 개인화 그룹들 사이에서 계층적 탐색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236990A (zh) 用于实现iot数据的高效分析的基于服务层的方法
CN107950005B (zh) 服务元素主机选择
Enge et al. An offline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self-sovereign identity standards
JP202053460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層メッセージテンプレート
EP3673372A1 (en) Overlay resource tre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Schuster et al. Global-scale federated access to smart objects using xmpp
KR20210049812A (ko) 포그 기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샘플 템플릿(dst) 관리
KR102046730B1 (ko) 서비스 요소들
WO2015149530A1 (zh) M2m应用服务方法、装置及系统
WO202300783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1069466A1 (zh) 用户信息的获取方法、装置和系统
Kanan et al. FOG COMPUTING-FOCUSING ON MOBILE USER IN THEDIGITAL ERA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