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29B1 -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29B1
KR101631129B1 KR1020150004395A KR20150004395A KR101631129B1 KR 101631129 B1 KR101631129 B1 KR 101631129B1 KR 1020150004395 A KR1020150004395 A KR 1020150004395A KR 20150004395 A KR20150004395 A KR 20150004395A KR 101631129 B1 KR101631129 B1 KR 10163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er terminal
interphone
external de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남
김형동
이재경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102015000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댁 외부에서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 댁 내부에서 외부인을 확인하고 통화하는 인터폰; 상기 외부 장치와 인터폰을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 및 상기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을 통해 상기 인터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Smart Home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댁 외부의 장치와 인터폰 사이에 통신 중계 모듈을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호출 및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오토메이션 기술의 발달로 일반 가정에서도 보안 시스템과 가전 제품을 인터넷에 의해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를 통해 사용자들은 가정 내에서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다. 최근,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방문자 확인, 방문자 통화, 녹화, 경비실 통화, 세대간 통화, 보장 장치, 공동현관 제어, 차량 도착 및 택배 도착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는 도어의 열림이나 닫힘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가정에서 사용되는 인터폰을 전화기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방문자가 도어폰을 눌렀을 때 사용자가 미리 입력시켜 놓은 음성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저장 용량 확장으로 장치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인터폰의 기능 업그레이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6797호
본 발명은 댁 외부의 장치와 인터폰 사이에 통신 중계 모듈을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호출 및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댁 외부에서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 댁 내부에서 외부인을 확인하고 통화하는 인터폰; 상기 외부 장치와 인터폰을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 및 상기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을 통해 상기 인터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 및 상기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 분석된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변환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변환부 또는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제어하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분석부는 수신된 신호의 패킷을 분석하여 프로토콜을 졍형화하고, 정형화된 프로토콜로부터 호출 및 통화 프로토콜을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변환부는 분석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호출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시 출입문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화시 상기 인터폰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댁 외부의 장치와 인터폰 사이에 통신 중계 모듈을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호출 및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외부 장치(100),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 인터폰(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100)는 댁 외부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00)는 현관 카메라, 도어락, 경비기기 또는 로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100)는 인터폰(300)으로 호출 신호, 통화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100)는 인터폰(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은 외부 장치(100)와 인터폰(300) 사이에서 외부 장치(100) 또는 인터폰(300)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은 사용자 단말기(400)에 현관/경비/로비 호출시 인터폰(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호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은 수신한 영상 및 음성을 인터폰(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인터폰(300)은 댁 내부에서 외부인을 확인하고 통화하는 비디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폰(300)은 외부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세대 거주자가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운영체제(OS)가 탑재된 기기로서,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 애플의 iOS와 같은 운영 체제가 탑재된 휴대폰, 테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을 통해 외부인과 통화하고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400)는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과 통신하여 인터폰(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은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은 통신부(210), 신호 분석부(220), 신호 변환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100), 인터폰(300)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시리얼 통신(RS) 방식 또는 I/O 인터페이스 별로 통신 라인이 모듈화되어 외부 장치(100) 및 인터폰(30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로 사용자 단말기(4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100)로부터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소리나 영상을 인터폰(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분석부(220)는 수신된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분석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패킷을 분석하여 프로토콜을 정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20)는 정형화된 프로토콜로부터 통화라인/영상라인을 감지하여 실제 호출/통화 프로토콜을 찾아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신호 분석부(220)는 수신된 신호가 호출 신호, 통화 신호 또는 영상 신호인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분석부(220)는 로비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호출 신호인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22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통화 신호인지 제어 신호인지 분석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230)는 분석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신호 변환부(23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종류, 제조사, 사용 기종에 따라 수신한 신호의 프로토콜을 사용자 단말기(400)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신호 또는 신호 변환부(2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40)는 현관 카메라 또는 로비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외부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방문자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통신부(210), 신호 분석부(220), 신호 변환부(230) 또는 저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장치(100)를 호출하거나 외부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400) 사이의 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외부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도록 통신부(210) 또는 저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로비기기와 같은 외부 장치(100)에 접근시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신호(패킷)를 수신하고 출입을 위해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비기기가 통화 중인 상태에서만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을 경우,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신호가 수신되면 로비기기에 통화 신호를 보내 통화중 상태로 전환한 후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출입문을 열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50)는 기존 로비기기 또는 경비기기의 기능을 수정하지 않고 출입문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외부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400) 사이의 통화시 인터폰(300)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외부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400) 사이의 통화가 인터폰(300)에 의해 혼란스러워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폰(300)에 대기 지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화시 인터폰(300)을 대신하여 호출한 외부 장치(100)에 호출 종료 신호를 송신하여 통화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통화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통화를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 메시지 전송을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관, 경비, 로비 등의 외부에서 호출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성 사서함을 설정하여 녹음된 방문자의 음성을 확인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단말기에 일대일/단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는 외부 장치(100)의 프로토콜 정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외부 장치(100)와 인터폰(300) 사이에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200)을 연결하여 외부(현관, 경비, 로비)의 장치와 호출 및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전용통신망을 가지고 있는 인터폰(300)에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을 연결시켜 인터폰의 교체없이 외부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4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인터폰(300) 또는 외부 장치(100)의 프로토콜을 기기 동작시 수집 및 분석하여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미니 푸시버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무료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4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거나 메시지를 보내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현관 카메라 또는 로비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했다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외부 장치
200: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
210: 통신부
220: 신호 분석부
230: 신호 변환부
240: 제어부
250: 저장부
300: 인터폰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댁 외부에서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
    댁 내부에서 외부인을 확인하고 통화하는 인터폰;
    상기 외부 장치와 인터폰을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 및
    상기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을 통해 상기 인터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홈 통신 중계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 및 상기 인터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패킷을 분석하여 프로토콜을 정형화하고 정형화된 프로토콜로부터 통화라인 및 영상라인을 감지하여 호출 및 통화 프로토콜을 찾아내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호출 신호, 통화 신호 또는 영상 신호인지 구분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분석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 또는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변환부 또는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제어하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화시 상기 인터폰에 대기 지시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인터폰을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호출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화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시 출입문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20150004395A 2015-01-12 2015-01-12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163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395A KR101631129B1 (ko) 2015-01-12 2015-01-12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395A KR101631129B1 (ko) 2015-01-12 2015-01-12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29B1 true KR101631129B1 (ko) 2016-06-17

Family

ID=5634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395A KR101631129B1 (ko) 2015-01-12 2015-01-12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797B1 (ko) 2004-04-14 2006-05-10 배주운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060125237A (ko) * 2005-06-02 2006-12-06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JP2014033374A (ja) * 2012-08-03 2014-02-20 Panasonic Corp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4127814A (ja) * 2012-12-26 2014-07-07 Shigeo Kondo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797B1 (ko) 2004-04-14 2006-05-10 배주운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060125237A (ko) * 2005-06-02 2006-12-06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JP2014033374A (ja) * 2012-08-03 2014-02-20 Panasonic Corp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4127814A (ja) * 2012-12-26 2014-07-07 Shigeo Kondo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9354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US9742582B2 (en) House monitoring system
US20140098227A1 (en) Remote doorbell control system and related smart doorbell device
CN105430761A (zh) 建立无线网络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60148492A1 (en) Monitoring system
US20160148476A1 (en) Monitoring system
KR20170104084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692870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KR101736563B1 (ko) 출입 기기를 이용한 세대 상황 알림 장치
KR101631129B1 (ko) 스마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WO2020130536A1 (ko) 비콘을 이용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KR101830619B1 (ko) 사용자 단말의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8040B1 (ko) 다기능 무선제어 가능한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236307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540116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70075449A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모드가 자동 변환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923162B1 (ko)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204465645U (zh) 一种安防话机系统
KR2008005892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홈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142032B1 (ko) 지능형 커뮤니케이션 서버
KR100447008B1 (ko) 다기능 무선 비디오 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47717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6443A (ko) 웹도어폰 시스템
KR100194462B1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국선 착신호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