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692B1 -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692B1
KR101630692B1 KR1020140105376A KR20140105376A KR101630692B1 KR 101630692 B1 KR101630692 B1 KR 101630692B1 KR 1020140105376 A KR1020140105376 A KR 1020140105376A KR 20140105376 A KR20140105376 A KR 20140105376A KR 101630692 B1 KR101630692 B1 KR 101630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severity
risk
occurrence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652A (ko
Inventor
윤윤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0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6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운항에 있어서 안전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항공운항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이에 따른 피해등급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챠트 상에 표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Aviation safety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hazard matrix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항공기 운항 시 발생하는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지금까지 정부의 항공안전관리는 정기운송항공사의 대형항공사고 영향으로 1999년까지 정기운송항공사에 집중되었다. 2000년을 기점으로 운송용 항공기 이외의 소형항공기의 사고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설립, 해외 저비용항공사의 취항 등으로 국내 항공운송시장의 환경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각 항공사 안전관리의 특성·성격을 분석하고 이에 적절한 당국의 감독·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사고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활용 가능한 안전정보의 조합을 통해 종합적인 안전도나 지표를 수립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사고위험도 평가는 단일 사고 조사 보고서 기반 위주로 제공되고 있어, 선제적인 위험도 평가가 실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공 운항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이에 따른 피해등급들과의 관계, 및 각 위험요인에 따른 피해금액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항공기 운항 시 발생하는 위험요인에 따른 안전 위험도를 평가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위험 평가방법은,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위험 평가방법은, 제1축에 상기 N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하고,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발생했을 때에 발생된, 상기 각 기체피해등급별 기체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제2 축의 일 방향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 평가방법은, 제1축에 상기 N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하고,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발생했을 때에 발생된, 상기 각 인적피해등급별 인적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제2축의 타 방향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 평가방법은,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등급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을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발생빈도등급과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심각정도등급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 상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1 지점을 표시하고,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2 지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와 상기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조합하여 산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된 피해가 속하는 심각정도등급들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심각정도등급이며,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된 피해가 속하는 심각정도등급들 중 가장 위험 수준이 높은 심각정도등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 평가방법은, 미리 결정된 항공기 운항 횟수 당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1회 발생에 의해 유발되는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x축에 표시하고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y축에 표시하는 챠트 상에,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와 피해금액 심각정도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제1 피해등급에 해당하는 제1 피해가 M번, 그리고 제2 피해등급에 해당하는 제2 피해가 N명에 대하여 발생한 경우, 상기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해등급에 따른 피해의 1회 발생에 따라 발생하는 제1 비용에 상기 M을 곱한 결과와, 상기 제2 피해등급에 따른 피해의 1회 발생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비용에 상기 N을 곱한 결과를 서로 더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 피해금액 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총 피해금액을, 상기 미리 결정된 운행횟수 동안 발생한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 횟수로 나누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컴퓨터로 하여금,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처리부 및 기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는 N개의 위험요인,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및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위험 평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등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을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발생빈도등급과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심각정도등급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 상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상기 제2 단계에서 산출된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1 지점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2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 평가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제1 발생횟수와 상기 제2 발생횟수를 조합하여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 당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1회 발생 시 유발되는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x축에 표시하고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y축에 표시하는 챠트 상에,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와 피해금액 심각정도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 평가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 운항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이에 따른 피해등급들과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위험요인 발생횟수의 빈도 및 각 위험요인 발생 시 심각도 비율을 파악하기 용이하며, 인적피해와 기체피해에 얼마나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지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생 빈도가 큰 위험요인과 심각한 피해를 가져오는 위험요인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매트릭스이다. 도 1의 (a)는 항공운항안전사건에 수반된 위험요인 및 피해등급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이벤트 매트릭스이며, 도 1의 (b)는 도 1의 (a)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상기 위험요인와 상기 피해등급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위험요인-피해등급 매트릭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인 별 피해의 발생횟수를 피해등급에 따라 누적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방법에서, 특정 위험요인에 따른 피해 발생빈도와 피해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심각도 판단 매트릭스를 나타내며, 도 3b는 심각정도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심각정도등급 산정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위험평가 방법에 따라 산출된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 및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발생빈도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매트릭스이며, 도 4b는 복수 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사고에 대한 심각정도 등급 및 발생횟수를 나타내며, 도 4c는 도 4a 및 도 4c에 따라 산정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에 따라, 리스크 값(Risk Value)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5a는 상기 복수 개의 위험요인 중 임의의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 값을 나타내는 표이며, 도 5b는 도 5a에서 설명한 상기 리스크 값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은, N개의 위험요인(H, Hazard)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C, Consequence) 별 제1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C, Consequence) 별 제2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축에 상기 N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발생했을 때에 발생된, 각 등급별 기체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제2축의 일 방향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축에 상기 N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하고,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발생했을 때에 발생된, 각 등급별 인적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상기 제2축의 타 방향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및 상기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은 '피해등급'이라는 용어로 통합하여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은,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등급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Smostj)과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Sworstj)을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발생빈도등급과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심각정도등급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 상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상기 제2 단계에서 산출된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1 지점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2 지점에 미리 결정된 모양 또는 색을 갖는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술한 제1 발생횟수와 상기 제2 발생횟수를 조합하여 산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발생된 심각정도등급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심각정도등급이며,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발생된 심각정도등급 중 가장 위험 수준이 높은 심각정도등급일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매트릭스이다. 도 1의 (a)는 항공운항안전사건(E)에 수반된 위험요인(H) 및 피해등급(C)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이벤트 매트릭스(100)이며, 도 1의 (b)는 도 1의 (a)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상기 위험요인(H)와 상기 피해등급(C)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위험요인(H)-피해등급(C) 매트릭스(200)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인 별 피해의 발생횟수를 피해등급에 따라 누적하여 나타내는 그래프(300)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이벤트 매트릭스는 항공운항안전사건을 한 개의 이벤트(E)로 간주하고, 각 이벤트에서 경험한 위험요인들의 발생횟수를 표시하고,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피해를 피해등급으로 환산하여 피해등급별 피해의 발생횟수를 표시한 것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벤트 매트릭스(100)는 상기 복수 개의 이벤트(E: 1,2,…,i,…,m)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위험요인(H: h1,h2,…,hj,…,hn) 및 상기 복수 개의 피해등급(C: c1,c2,…,ck,…,cp)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매트릭스로서, 각각의 상기 이벤트(E)에서 경험한 위험요인(H)의 발생횟수와 이에 따라 발생한 피해의 피해등급(C)별 발생 횟수를 행렬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벤트 매트릭스(100)의 각 칼럼(column)에는 복수 개의 위험요인(H)과 복수 개의 피해등급(C)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나열되어 있으며, 각 로우(row)에는 각각의 이벤트(E)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각 행과 열의 교차점에는 각각의 상기 이벤트(E)에서 경험한 위험요인(H)의 발생횟수 및 피해등급(C) 별 피해의 발생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1'은 해당 위험요인(H) 또는 해당 피해등급(C)에 해당하는 피해가 1회 발생했다는 의미이며, '0'은 발생하지 않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요인(H)으로서 예컨대, 자연재해, 터뷸런스, 시스템 상의 문제 등이 있으며, 상기 피해등급(C)은 피해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나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a)에서, 상기 항공운항안전사건(E)이 총 500 (m=500)이고, 이때 파악되어 분류된 상기 위험요인(H)이 총 10개(n=10)이며, 분류된 상기 피해등급이 총 10개(p=10)라고 가정한 경우, 첫 번째 항공운항안전사건 이벤트 시(E=1), 제1 위험요인(h1)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제10 위험요인(h10)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피해등급(c1)의 피해는 1번 발생하였고, 제10 피해등급(c10)의 피해는 0번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요인(H)과 피해등급(C)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위험요인-피해등급 매트릭스(200)로서, 각 칼럼에는 각각의 피해등급(C)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나열될 수 있으며, 각 로우에는 각각의 위험요인(H)을 나타내는 인덱스가 나열될 수 있으며, 각 행과 열의 교차점에는 해당 피해등급(C)과 연관된 해당 위험요인(H)의 발생횟수(vn,p)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피해등급(c1)에 연관된 상기 제1 위험요인(h1)의 발생횟수는 'v1,1'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k 피해등급(ck)에 연관된 제j 위험요인(hj)의 발생횟수는 'vj,k'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험요인(h1)은 난기류일 수 있으며, 이때의 제1 피해등급(c1)에 연관된 제1 위험요인(h1)의 발생횟수(v1,1)는 10회일 수 있고, 제10 피해등급(c10)에 연관된 제1 위험요인(h1)의 발생횟수(v1,10)는 1회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0 위험요인(h10)은 시스템 상의 문제일 수 있으며, 이때의 제1 피해등급(c1)에 연관된 제10 위험요인(h10)의 발생횟수(v10,1)는 5회일 수 있고 제10 피해등급(c10)에 연관된 제10 위험요인(h10)의 발생횟수(v10,10)는 15회일 수 있다.
이때, 도 1의 (b)에 도시한 위험요인(H)-피해등급(C) 매트릭스(200)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험요인 발생횟수(vn,p)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험요인(H)-피해등급(C) 그래프(300)를 표현할 수 있다. 위험요인(H)-피해등급(C) 그래프(300)는 각 위험요인(H)에 대하여, 해당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한 피해등급(C) 별 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세로축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위험요인(H)-피해등급(C) 그래프(300)는 막대 그래프를 스택(Stack)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위험요인 발생횟수(vn,p)가 갖는 피해(사고) 결과의 심각도(S)를 서로 다른 색깔을 갖는 막대 그래프의 스택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각도(S)는 인적피해 심각도와 기체피해 심각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 및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는 각각 예컨대 4개의 심각도로 나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는 사망(Fatality), 중상(Serious injury), 경상(Minor injury), 및 부상 없음(None)과 같이 4개의 심각도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는 전파(Destroyed), 상당한 손상(Substantial damage), 경미한 손상(Minor damage), 및 손상 없음(None)과 같이 4개의 심각도로 나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위험요인(H)-피해등급(C) 그래프(300)에 나타낸 가로축을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인적피해 심각도를 표시하며 하단부에는 기체피해 심각도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제4 위험요소(h4)에 의해 발생한 인적피해의 발생횟수가 가로축의 상단부에 표시되어 있고, 기체피해의 발생횟수가 가로축의 하단부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적피해의 발생횟수를 표시하기 위하여, 부상 없음(None)에 해당하는 인적피해의 발생횟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 그래프, 중상(Serious injury)에 해당하는 인적피해의 발생횟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 그래프, 사망(Fatality)에 해당하는 인적피해의 발생횟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 그래프를 수평선 상단부에 차례대로 누적하여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체피해의 발생횟수를 표시하기 위하여, 경미한 손상(Minor damage)에 해당하는 기체피해의 발생횟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 그래프, 상당한 손상(Substantial damage)에 해당하는 기체피해의 발생횟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 그래프, 전파(Destroyed)에 해당하는 기체피해의 발생횟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 그래프를 수평선 하단부에 차례대로 누적하여 표시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방법으로부터 상기 위험요인에 따른 심각도 산정 시 가장 빈번히 발생한 심각도와 가장 심각한 심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가장 빈번히 발생한 심각도는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 또는 'Smostj'이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가장 심각한 심각도는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 또는 'Sworstj'이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평가 방법에서, 특정 위험요인에 따른 피해 발생빈도와 피해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심각도 판단 매트릭스(400)를 나타내며, 도 3b는 심각정도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심각정도등급 산정 매트릭스(500)를 나타낸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위험평가 방법에 따라 산출된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 및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발생빈도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매트릭스이며, 도 4b는 복수 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사고에 대한 심각정도 등급 및 발생횟수를 나타내며, 도 4c는 도 4a 및 도 4c에 따라 산정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각도 판단 매트릭스(400)는 특정 위험요인에 따른 피해 발생빈도와 피해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심각도 판단 매트릭스서, 각 칼럼은 발생빈도등급을 나타내며, 각 로우는 심각정도등급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발생빈도등급은 기준 항공운항횟수 당 상기 위험요인(H)의 발생횟수(발생빈도)를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누적항공횟수가 100만 회인 경우, 해당 위험요인의 발생횟수가 1 미만, 1과 2 사이, 2와 3 사이, 3과 4사이, 4 이상의 경우 해당 위험요인에 대한 발생빈도 등급에는 각각, 제1 발생빈도등급, 제2 발생빈도등급, 제3 발생빈도등급, 제4 발생빈도등급, 및 제5 발생빈도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각정도등급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와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로부터 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와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의 심각정도에 따라 상기 심각정도등급의 구체적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가 '사망', '중상', '경상', 및 '부상 없음'과 같이 4개의 심각도로 나뉘고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가 '전파', '상당한 손상', '경미한 손상', 및 '손상 없음'과 같이 4개의 심각도로 나뉘는 경우,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와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의 심각정도에 따라 가장 심각정도가 높은 순서대로 'A', 'B', 'C', 'D', 및 'E'와 같이 총 5개의 심각정도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가 '사망'에 해당하고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가 '전파'에 해당하는 경우 심각정도등급은 'A'에 해당하며,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가 '경상'에 해당하고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가 '경미한 손상'에 해당하는 경우 심각정도등급은 'C'에 해당하며, 상기 인적피해 심각도가 '부상 없음'에 해당하고 상기 기체피해 심각도가 '손상 없음'에 해당하는 경우 심각정도등급은 'E'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도 3b에 도시한 심각정도등급 산정 매트릭스(500) 상에, 상기 발생빈도등급과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Smostj)에 대응하는 교차점(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빈도등급과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Sworstj)에 대응하는 교차점(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Smostj)과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Sworstj)을 산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도 4a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위험요인(H)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 값(Likelihood)에 따라 발생빈도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특정위험요인의 발생빈도 값이 1 이하의 값이라면 발생빈도등급은 '1'일 수 있고, 상기 특정위험요인의 발생빈도 값이 1과 2 사이의 값이라면 발생빈도등급은 '2'일 수 있고, 상기 특정위험요인의 발생빈도 값이 2와 3 사이의 값이라면 발생빈도등급은 '3'일 수 있고, 상기 특정위험요인의 발생빈도 값이 3과 4 사이의 값이라면 발생빈도등급은 '4'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위험요인의 발생빈도 값이 4 이상의 값이라면 발생빈도등급은 '5'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위험요인(H)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의 값이 3.8984인 경우, 이에 해당하는 발생빈도등급은 '4'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대한 각 심각정도등급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횟수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한 피해인 7번에 해당하는 심각정도등급 'D'가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으로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위험요인의 발생횟수 중 발생횟수가 적지만 가장 손상 또는 피해가 큰 발생빈도등급 'A'가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으로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각도 판단 매트릭스(400) 상에, 상기 발생빈도등급 '4',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 'D', 및 상기 제2 타입 심각정도등급 'A'에 대응되는 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에 따라, 상기 위험요인에 대한 리스크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상기 위험요인에 대한 리스크 값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에 따라, 리스크 값(Risk Value)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5a는 상기 복수 개의 위험요인(H) 중 임의의 위험요인(h1~h7)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 값을 나타내는 표이며, 도 5b는 도 5a에서 설명한 상기 리스크 값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은, 복수 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ex: 백만회) 당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1회 발생할 때에 발생하는 평균적인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발생빈도를 x축에 표시하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y축에 표시하는 그래프 상에, 상기 제3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평균적인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한 총 피해금액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횟수로 나누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총 피해금액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횟수로 나누면, 상기 특정 위험요인 발생 1회당 기대되는 평균적인 피해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체피해에 관한 제1 피해등급의 피해가 M번 발생한 경우, 상기 총 피해금액에는, 상기 제1 피해등급에 의해 발생하는 제1 비용에 상기 M을 곱한 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적피해에 관한 제2 피해등급의 피해가 N명에 대하여 발생한 경우, 상기 총 피해금액에는, 상기 제2 피해등급에 의해 발생하는 제2 비용에 상기 N을 곱한 값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위험요인(H)에 의해 유발된 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발생한 인적피해와 기체피해에 대한 항공사 또는 개별 단체의 자체적인 금전적 환산기준에 따라 산출된 평균 손해액을 그래프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산출된 각각의 평균 손해액은 '피해금액 심각정도(severity)' 또는 '피해금액등급'이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리스크 값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특정 위험요인에 의한 리스크 값(Risk Value) = 특정 위험요인에 따른 피해금액 심각정도(Severity) *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 당 특정 위험요인 발생빈도(Likelihood)
예컨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 당 특정 위험요인 발생빈도 및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리스크 값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O : Policy/procedure-Adequacy of policy/proc"에 해당하는 제3 위험요인(h3)은 상기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 당 3.298번 발생하고, 이때 상기 제3 위험요인 1회 발생 당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는 14,974,000 달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산출된 제3 리스크 값은 약 49,395,000 달러일 수 있다.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한 각각의 리스크 값은 도 5b에 도시한 그래프(600)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5b에 도시한 그래프(600) 상에 x축에서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 당 상기 제3 위험요인(h3)의 발생빈도 값인 3.298과 상기 제3 위험요인(h3) 1회 발생 당 야기되는 피해금액 심각정도 값인 14,974,000 달러에 대응되는 지점인 제1 지점(30)에 상기 제3 리스크 값을 상징하는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b의 그래프는 x축과 y축이 로그 스케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매체는,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발생횟수를 산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발생횟수를 산출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장치는, 처리부 및 기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는 N개의 위험요인 및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처리부는,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1단계; 및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2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예시적 수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이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를 10,000회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데이터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위험요인 (H) 위험요인 발생횟수 피해등급1
(사망자수)
피해등급2
(부상자수)
피해등급 3
(부상없음)
피해등급4
(전파)
피해등급 5
(손상)
피해등급 6
(손상없음)
H1 10 2 4 50 1 2 7
H2 15 4 10 60 2 10 3
위험요인 (H) 피해등급1비용 피해등급2비용 피해등급3비용 피해등급4비용 피해등급5비용 피해등급6비용 총 운항횟수
H1 1억 0.1억 0 100억 10억 0 1,000,000
H2
이때 특정위험 요인 발생빈도(Likelihood)는 아래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H1에 대한 발생빈도 = (위험요인 발생횟수) / (총 운항횟수) = 10 / 1,000,000 → 0.1회 / 10,000 운항횟수
[수학식 3]
H2에 대한 발생빈도 = (위험요인 발생횟수) / (총 운항횟수) = 15 / 1,000,000 → 0.15회 / 10,000 운항횟수
그 다음, 특정 위험요인이 1회 발생할 때에 발생하는 평균적인 피해금액 심각정도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H1에 대한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Severity)
= (총 피해금액 ) / (위험요인 발생횟수)
= { (피해등급1 사망자수) * (피해등급1비용) + (피해등급2_부상자수) * (피해등급2비용) + (피해등급3 부상없음) * (피해등급3비용) + (피해등급4_전파) * (피해등급4비용) + (피해등급5_손상) * (피해등급5비용) + (피해등급6_손상없음) * (피해등급6비용)} / (위험요인 발생횟수)
= {(2 * 1억) + ( 4 * 0.1억) + (50 * 0) + (1 * 100억) + (2 * 10억) + (7 * 0)} / 10
= (122.4억) / 10
= 12.24억 / 1회
H2에 대한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도 [수학식 4]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리스크값을 산출하는 방법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H1에 대한 리스크 값
= {특정 위험요인에 따른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Severity) * 미리 결정된 운항횟수 당 특정 위험요인 발생빈도(Likelihood)}
= (12.24억/회) * (0.1회/10,000 운항횟수)
= 1.224억/10,000 운항횟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평가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따라, 각각의 상기 위험요인 발생횟수의 빈도와 발생 시 심각도 비율을 파악하기 용이하며, 인적피해와 기체피해가 얼마나 다르게 기여하는 지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생 빈도가 큰 위험요인과 심각한 피해를 가져오는 위험요인을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2)

  1.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항공기 운항 횟수 당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1회 발생에 의해 유발되는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x축에 표시하고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y축에 표시하는 챠트 상에,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와 피해금액 심각정도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챠트의 상기 x축과 상기 y축은 모두 로그스케일로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x축의 제1값과 상기 y축의 상기 제1값을 연결하는 사선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사선 상의 모든 점은 동일한 리스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축에 상기 N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하고,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발생했을 때에 발생된, 상기 각 기체피해등급별 기체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제2 축의 일 방향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상기 N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하고,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위험요인이 발생했을 때에 발생된, 상기 각 인적피해등급별 인적피해의 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제2축의 타 방향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등급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을 산출하는 제2 단계; 및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발생빈도등급과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심각정도등급에 의해 정의되는 행렬 상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1 지점을 표시하고,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산출된 발생빈도등급과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에 대응하는 제2 지점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과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와 상기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조합하여 산출하도록 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된 피해가 속하는 심각정도등급들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심각정도등급이며,
    상기 제2타입 심각정도등급은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된 피해가 속하는 심각정도등급들 중 가장 위험 수준이 높은 심각정도등급인,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험요인에 의해, 제1 피해등급에 해당하는 제1 피해가 M번, 그리고 제2 피해등급에 해당하는 제2 피해가 N명에 대하여 발생한 경우,
    상기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해등급에 따른 피해의 1회 발생에 따라 발생하는 제1 비용에 상기 M을 곱한 결과와, 상기 제2 피해등급에 따른 피해의 1회 발생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비용에 상기 N을 곱한 결과를 서로 더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 피해금액 산출단계;
    를 포함하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총 피해금액을, 상기 미리 결정된 운행횟수 동안 발생한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 횟수로 나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스크 정보 처리방법.
  9. 컴퓨터로 하여금,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항공기 운항 횟수 당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1회 발생에 의해 유발되는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x축에 표시하고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y축에 표시하는 챠트 상에,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와 피해금액 심각정도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
    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0. 처리부 및 기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는 N개의 위험요인,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및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처리부는,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기체피해등급 별 제1 기체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위험요인 각각에 대하여 발생한 상기 복수 개의 인적피해등급 별 제2 인적피해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항공기 운항 횟수 당 상기 N개의 위험요인 중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1회 발생에 의해 유발되는 평균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를 x축에 표시하고 상기 피해금액 심각정도를 y축에 표시하는 챠트 상에, 상기 특정 위험요인의 발생빈도와 피해금액 심각정도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커를 표시하는 제5 단계;
    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리스크 정보 처리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05376A 2014-08-13 2014-08-13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630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376A KR101630692B1 (ko) 2014-08-13 2014-08-13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376A KR101630692B1 (ko) 2014-08-13 2014-08-13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52A KR20160020652A (ko) 2016-02-24
KR101630692B1 true KR101630692B1 (ko) 2016-06-16

Family

ID=5544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376A KR101630692B1 (ko) 2014-08-13 2014-08-13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970A1 (en) * 2019-04-29 2020-11-05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iority of monitoring a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5775A (zh) * 2016-05-05 2016-09-2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落物撞击作用下海底管道风险评估方法
KR102592412B1 (ko) * 2022-12-02 2023-10-20 항공안전기술원 항공안전 위해요인 위험도 평가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081A (ja) * 1999-11-25 2001-06-08 Hitachi Ltd 安全対策方針作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813A1 (en) * 2006-12-15 2008-06-19 Republic Of Korea(Administration Department :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ivil Aviation Safety Authority) Sarps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081A (ja) * 1999-11-25 2001-06-08 Hitachi Ltd 安全対策方針作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카다로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970A1 (en) * 2019-04-29 2020-11-05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iority of monitoring a machine
US11195348B2 (en) 2019-04-29 2021-12-07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iority of monitoring a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52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zargan et al. Impact of gender, age and experience of pilots on general aviation accidents
Marais et al. Analysis of trends in aviation maintenance risk: An empirical approach
KR101630692B1 (ko)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8919232B (zh) 一种输电线路危险点检测方法及装置
CN109729083B (zh) 智能巡检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231588B1 (ko) 항공안전점검 감독장치
CN109377029B (zh) 飞机运行安全风险评价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i Time‐between‐events control charts for an exponentiated class of distributions of the renewal process
CN103413016A (zh) 一种基于试验及服役使用数据融合的飞机结构安全寿命确定方法
CN104299116A (zh) 一种电网运行安全风险定量评估方法
CN109978415A (zh) 基于层次灰色理论对电梯安全防护系统的评估方法
Singh et al.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multi group on safety performance: The case of civil aviation
Fardnia et al. Financial performance and safety in the aviation industry
CN110610291A (zh) 航空人员能力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ang et al.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isk elements on pilot flight operational performance
CN112712250A (zh) 一种高原机场运行安全保障能力评价方法及系统
US20190018749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14971217A (zh) 一种无人机对地风险评估方法及系统
Volkov et al. Some criteria of critical infrastructures stability
Walton et 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aviation accidents involving male and female pilots
Kaneko et al. On a novel method for approximation of FN diagram and setting ALARP borders
Ballard et al. US commercial air tour crashes, 2000–2011: Burden, fatal risk factors, and FIA score validation
Ud-Din et al. Analysis of loss of control parameters for aircraft maneuvering in general aviation
He et 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cidents in China civil aviation: 1994–2020
CN115689276A (zh) 一种飞行品质事件风险监控方法、装置及计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