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364B1 -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364B1
KR101630364B1 KR1020140086118A KR20140086118A KR101630364B1 KR 101630364 B1 KR101630364 B1 KR 101630364B1 KR 1020140086118 A KR1020140086118 A KR 1020140086118A KR 20140086118 A KR20140086118 A KR 20140086118A KR 101630364 B1 KR101630364 B1 KR 10163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uman body
image processing
human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857A (ko
Inventor
김성완
김주성
홍경섭
조민우
최가람
임형우
이상현
홍인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68Endoscopic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은 인체 내부에서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하는 내시경;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주 모니터;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보조 모니터; 원격으로 영상 처리에 대한 입력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주 모니터가 상기 내시경이 전송한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내시경이 전송한 인체 내부 영상을 잡음 제거 영상 처리하고, 상기 입력부가 입력한 입력 명령에 따라 잡음이 제거된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보조 모니터가 영상 처리된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medical imaging system using endosco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의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의사들은 장기의 체강(體腔) 내부에 내시경의 삽입부를 삽입하여 장기의 체강 내부를 관찰하여 병을 진단하거나, 진단 결과에 따라 내시경에 구비된 삽입 채널에 삽입되는 치료 기구를 이용하여 환부를 치료한다.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10-2006-01087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은 내시경(1), 광원 장치(9), 비디오 프로세서(10) 및 모니터(11)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은 의사가 진료할 수 있도록 모니터(11)에서 내시경(11)이 촬영한 영상들이 직접 실시간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의사가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의사는 내시경이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 관찰하여 진료하므로 진료는 의사의 실력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진료의 수준은 개별 내시경 진료 수행자의 실력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108713호(공개일자: 2006. 10. 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시경이 촬영한 영상이 영상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사가 진료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은 인체 내부에서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하는 내시경;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미처리(non-processed) 영상 디스플레이; 상기 인체 내부 영상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처리(processed) 영상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는 내시경의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모니터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지만, 내시경이 촬영한 영상을 내시경 수행자가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유형의 장비(즉, 예를 들어 대안렌즈 등)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처리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 명령에 따라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촬영 중인 인체 내 장기를 선택할 수 있는 장기 선택부, 관측 모드 선택부, 및 영상 재생 모드 선택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기 선택부는 위, 대장, 직장, 기관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체 내 내시경이 가능한 장기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된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관측 모드 선택부는 복수의 색상(color) 모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측 모드 선택부는 복수의 영상처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재생 모드 선택부는 영상 속도 조절 및 영상 확대/축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는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재구성하여 상기 인체 내 장기의 형태로 맵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는 상기 인체 내 장기의 질환의심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기 맵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한 질환의심 부위 직접 표시 기능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내 장기의 질환의심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고 신호는 소리 신호 및 빛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는 영상 잡음(image noise) 제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잡음 제거는 반사광 제거, 영상 잡음 필터링(image noise filtering) 및 각인(inprint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모드는 RGV, La*b*, HSV를 포함하는 색상 스페이스의 조합 및 최적화, 혈관강조영상 모드, 히스토그램 스트레칭(histogram stretching), 히스토그램 이퀄리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 및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내시경 수행자는 원하는 영상처리 모드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온/오프 시킬 수가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질환의심 부위 자동 검출은 블롭 카운팅(blob counting), 탐색(detection), 라벨링(labeling) 및 실시간 트래킹(real-time track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의 형태를 갖는 것이면 좋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인체 내부에서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영상 처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처리 명령에 따라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단계, 영상 처리된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내시경이 촬영한 영상이 영상 처리되어 표시됨으로써, 의사가 진료를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시스템의 명령 입력부(리모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보조 모니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해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주 모니터) 또는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보조 모니터)가 표시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사용되는 상하, 좌우 및 전후 등의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첨부되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용어임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100)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명령 입력부(140)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해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100)은 인체(즉, 위장, 대장, 직장 등 내시경이 수행되는 인체 내 장기 또는 체강 등)의 내부에서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하는 내시경(110), 인체 내부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는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5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 무선 또는 유선으로 영상 처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부(140), 내시경(110)이 전송한 인체 내부 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명령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영상 처리 명령에 따라 잡음이 제거된 인체 내부 영상을 영상 처리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는 잡음 제거 후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잡음 제거를 생략한 상태로 영상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시경(1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내시경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20)는 일반적인 내시경 진료에 사용되는 모니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역시 생략한다. 다만,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20)는 모니터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내시경 수행자가 내시경이 지나가는 위치에서의 인체 내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명령 입력부(140)는 제어부(150)에 제어부(150)가 수행해야 할 영상 처리 명령을 전달한다. 명령 입력부(140)는 원격으로 제어부(150)에 입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명령 입력부(140)가 반드시 리모컨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 처리의 종류를 선택/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명령 입력부(140)는 촬영 중인 인체 내 장기를 선택할 수 있는 장기 선택부(142), 관측 모드 선택부(144), 영상 재생 모드 선택부(146)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장기 선택부(142)는 여러 장기들 중에서, 예를 들어 위장, 대장, 직장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체 내 장기 중에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내시경이 가능한 장기라면 어떠한 장기도 선택 가능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관측 모드 선택부(144)는 복수의 색상(color) 모드 중에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색상 모드는 내시경이 수행되는 장기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관측 모드에는 혈관강조영상 모드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관측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재생 모드 선택부(146)는 영상 속도 조절 및/또는 영상 확대/축소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돌려보기(rewind), 천천히 보기(slow), 빨리 보기(fast), 확대하기(zoom in), 축소하기(zoom o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내시경 수행자의 관찰 편의를 돕는 어떠한 유형의 재생 모드도 가능하다.
나아가, 명령 입력부(140)는 내시경 수행자가 직접 질환 의심 부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표시 기능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는 제어부(15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영상은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명령 입력부(140)에서 선택된 관측 모드(C), 현재 상태(D), 선택된 장기(B)를 표시하는 부분과,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A)으로 나뉠 수 있고,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A)에는 질환 의심 부위(예를 들어, 병변 부위)가 표시된다. 선택된 장기(B) 부분에는 장기의 맵과 현재 위치, 질환의심 부위의 위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는 스피커(131)를 더 포함한 모니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질환 의심 부위(병변)가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는 모니터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경고 신호는 경고음 대신에 시각적인 경고 신호(예를 들어, LED 점등 등)일 수도 있으며, 적합한 어떠한 형태의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따라서 내시경 수행자는 경고 신호를 인지하면 자동 검출된 질환 의심 부위를 보다 주의깊게 관찰하여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주관적인 판단과 실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누락되는 부분 없이 보다 철저하게 진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50)는 명령 입력부(140)의 관측 모드 선택부(144)에서 선택된 관측 모드에 따라 잡음 제거와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영상 처리(특징점 강조 영상 처리)하여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에서 특징점 강조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잡음 제거는 일반적인 영상 잡음 제거 기술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데, 예를 들어 반사광 제거, 영상 잡음 필터링(image noise filtering) 또는 각인(inprinting)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특징점 강조를 위한 영상 처리는 어떠한 적합한 유형의 영상 처리 방식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RGV, La*b*, HSV를 포함하는 색상 스페이스의 조합 및 최적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histogram stretching), 히스토그램 이퀼리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 및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내에서 각 그레이 스케일 값에 해당하는 픽셀의 개수를 함수의 형태로 나타낸 후, 특정 부분이나 가운데에 집중된 히스토그램을 모든 영역으로 확장시켜서 영상이 모든 범위의 화소값을 포함하게 확장(stretching) 할 수도 있고,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그레이 스케일 전 구간에서 골고루 나타나도록 변경하는 방법으로 균등화(equalization)할 수도 있고, 각 픽셀의 개수를 영상 전체 픽셀 개수로 나누어주는 방법으로 정규화(normalization) 할 수도 있다. 또한, 위 방법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영상 처리는 잡음 제거 후 수행될 수도 있지만 잡음 제거를 생략하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잡음이 제거된 인체 내부 영상을 질환의심 부위(병변) 자동 검출 영상 처리하여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가 질환의심 부위(병변) 자동 검출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병변 자동 검출 영상 처리는 영상 처리를 통하여 영상의 특이 부위를 변별하는 어떠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은데, 예를 들어 블롭 카운팅(blob counting), 탐색(detection), 라벨링(labeling) 또는 실시간 트래킹(real-time tracking)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적절한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질환의심 부위(병변) 자동 검출은 잡음 제거 후 수행될 수도 있지만 잡음 제거를 생략하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명령 입력부(140)에서 질환의심 부위 직접 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가 장기에 질환의심 부위가 표시된 영상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질환의심 부위가 발견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장기의 맵에서 해당 부위가 위치하는 곳을 함께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내시경(110)이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한다(1010).
그 다음, 촬영된 인체 내부 영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다(1020). 따라서, 사용자는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인체 내부 영상을 보면서 내시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내시경(110)으로부터 전송 받은 인체 내부 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한다(1030). 이렇게 잡음 제거된 영상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잡음 제거는 반사광 제거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 효율이 향상되고, 가독성이 증가하게 된다. 영상 잡음 제거는 일반적인 영상 잡음 제거 기술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데, 예를 들어 반사광 제거, 영상 잡음 필터링(image noise filtering) 또는 각인(inprinting)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명령 입력부(140)에서 선택된 장기의 종류 및/또는 관측 모드에 따라 잡음이 제거된 인체 내부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가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게 한다(1040).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명령 입력부(140)에서 선택된 장기의 종류 및/또는 관측 모드를 파악한다(1040-1).
다음, 제어부(150)는 선택된 장기의 종류 및/또는 관측 모드에 따라 잡음이 제거된 인체 내부 영상을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를 한다(1040-2). 여기에서, 관측 모드에 따른 영상 처리는 특징점 강조 영상 처리를 포함하며, RGV, La*b*, HSV를 포함하는 색상 스페이스의 조합 및 최적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histogram stretching), 히스토그램 이퀼리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 및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관측 모드는 선택된 장기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관측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으로 관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50)는 잡음이 제거되고 관측 모드에 따라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1040-3).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형태적 특징이 뚜렷하지 않아 관측이 어려운 무경용종, 혈관이 없어 혈관 강조영상으로도 검출하기 어려웠던 톱니상 선종 및 용종 제거면 등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어부(150)는 잡음이 제거된 인체 내부 영상에 질환의심 부위(병변) 자동 검출 영상 처리를 한다(1040-4). 이때, 질환의심 부위(병변) 자동 검출 영상 처리는 블롭 카운팅(blob counting), 탐색(detection), 라벨링(labeling) 및 실시간 트래킹(real-time tracking)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자동 검출된 질환의심 부위가 존재할 경우(1040-5) 표시되는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에는 자동 검출된 질환의심 부위도 함께 표시된다(1040-6). 자동 검출된 질환의심 부위의 표시는 예를 들어 도 8과 같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병변이 검출된 경우 스피커(131) 경고음 등과 같은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1040-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동 검출된 질환의심 부위(병변)를 다시 자세히 관찰함으로써, 자기가 놓친 병변도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한번 더 가지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150)에 직접 표시 기능이 선택되면(1040-8) 제어부(150)는 명령 입력부(14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에 질환의심 부위 표시를 한다(1040-9). 질환의심 부위 표시는 도 9와 같이 인체 내부 장기의 맵에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내시경 수행자나 추후 질환 치료 수행자 등은 맵에 표시된 질환의심 부위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종료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1050), 종료조건이면 종료하고, 종료조건이 아니면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110: 내시경
120: 미처리 영상 디스플레이
130: 처리 영상 디스플레이
131: 스피커
140: 명령 입력부
150: 제어부

Claims (17)

  1. 인체 내부에서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하는 내시경;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미처리(non-processed) 영상 디스플레이; 상기 인체 내부 영상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영상 처리된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처리(processed) 영상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는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재구성하여 상기 인체 내 장기의 형태로 맵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는 상기 인체 내 장기의 질환의심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기 맵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영상 처리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 명령에 따라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촬영 중인 인체 내 장기를 선택할 수 있는 장기 선택부, 관측 모드 선택부, 및 영상 재생 모드 선택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 선택부는 위, 대장, 직장, 기관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체 내 장기 중 선택하도록 된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모드 선택부는 복수의 색상(color) 모드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모드 선택부는 복수의 영상처리 모드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모드 선택부는 영상 속도 조절 및 영상 확대/축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한 질환의심 부위 직접 표시 기능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내 장기의 질환의심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경고 신호는 소리 신호 및 빛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는 영상 잡음(image noise) 제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잡음 제거는 반사광 제거, 영상 잡음 필터링(image noise filtering) 및 각인(inprint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모드는 RGV, La*b*, HSV를 포함하는 색상 스페이스의 조합 및 최적화, 혈관강조영상 모드, 히스토그램 스트레칭(histogram stretching), 히스토그램 이퀄리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 및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의심 부위 자동 검출은 블롭 카운팅(blob counting), 탐색(detection), 라벨링(labeling) 및 실시간 트래킹(real-time track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의 형태를 갖는 것인 의료 영상 시스템.
  17. 인체 내부에서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인체 내부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영상 처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처리 명령에 따라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단계; 영상 처리된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는 상기 인체 내부 영상을 재구성하여 상기 인체 내 장기의 형태로 맵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는 상기 인체 내 장기의 질환의심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기 맵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086118A 2014-07-09 2014-07-09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18A KR101630364B1 (ko) 2014-07-09 2014-07-09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18A KR101630364B1 (ko) 2014-07-09 2014-07-09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857A KR20160006857A (ko) 2016-01-20
KR101630364B1 true KR101630364B1 (ko) 2016-06-15

Family

ID=5530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18A KR101630364B1 (ko) 2014-07-09 2014-07-09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3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009A (ja) 2003-12-15 2005-06-30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
KR100996050B1 (ko) * 2008-11-07 2010-11-22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영상을 이용한 U-Health 기반의 자동병변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857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5679B2 (ja) 情報処理装置、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037520B2 (ja) 自動内視鏡認識及び画像処理及び表示セッティングの選択
JP57153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内視鏡装置
US2007022379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WO2006087981A1 (ja) 医用画像処理装置、管腔画像処理装置、管腔画像処理方法及びそれらのためのプログラム
WO2015049962A1 (ja) 内視鏡システム
JP6001219B1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10063589A (ja)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201003563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内視鏡システム
US11642005B2 (en) Endoscope system, endoscop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WO2018168261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08834A1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5905130B2 (ja) 画像処理装置、内視鏡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
JP2010220755A (ja) 内視鏡用プロセッサ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0956556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JPWO2016088628A1 (ja) 画像評価装置、内視鏡システム、画像評価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画像評価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JP7387859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プロセッサ装置、内視鏡システム、医用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0364B1 (ko)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7256275B2 (ja) 医療画像処理装置、内視鏡システム、医療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4585B2 (ja) 医用画像録画装置およびx線撮像装置
JP2018157918A (ja) 手術用制御装置、制御方法、手術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009127A1 (ja) 医療用観察システム、医療用観察装置、及び医療用観察装置の駆動方法
CN115315210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导航方法以及内窥镜系统
JP5945614B2 (ja) 画像処理装置、内視鏡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
JP7452177B2 (ja) 医療用観察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