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927B1 -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 Google Patents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927B1
KR101629927B1 KR1020150084958A KR20150084958A KR101629927B1 KR 101629927 B1 KR101629927 B1 KR 101629927B1 KR 1020150084958 A KR1020150084958 A KR 1020150084958A KR 20150084958 A KR20150084958 A KR 20150084958A KR 101629927 B1 KR101629927 B1 KR 10162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pedance
unit
dmb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일
정현채
Original Assignee
베스트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원(주) filed Critical 베스트원(주)
Priority to KR102015008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의 면적에 최대의 길이로 루프형태를 이루어지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FM신호와 DMB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FM신호와 DMB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평판형태의 유전체(10)와, 유전체(10)의 일측면에 구불구불하게 절곡되는 복수의 안테나부(21) 및 안테나부(21)들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2)로 구성되어 루프형태로 이루어져서 FM신호 및 DMB신호를 수신하는 듀얼안테나부(20)와, 듀얼안테나부(20)에 급전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부(30)와, 유전체(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면서 듀얼안테나부(20)의 안테나부(21)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사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FM AND DMB DUAL ANTENNA APPARATUS AND RADIO REPE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최소한의 면적에 최대의 길이로 루프형태를 이루어지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FM신호와 DMB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FM신호와 DMB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재난, 재해 상황에 가장 중요시 되는 무선통신은 FM 라디오와 지상파 DMB이다.
그런데 현재 안테나 중에는 FM 라디오와 지상파 DMB를 같이 수신 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없어서 2개의 안테나를 각각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파수 특성상 기지국에서 발사되는 전파는 대형빌딩의 내부나 터널, 지하 등의 지역에 도달하기 어려워 음영지역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를 설치하는데, 2개의 안테나를 각각 사용함에 의해 많은 설치공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부피가 커서 외관상 이롭지 못하여 인테리어에 부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서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특10-0028621호(2003.04.10.)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소한의 면적에 최대의 길이로 루프형태를 이루어지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FM신호와 DMB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FM신호와 DMB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는, 평판형태의 유전체(10)와, 유전체(10)의 일측면에 구불구불하게 절곡되는 복수의 안테나부(21) 및 안테나부(21)들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2)로 구성되어 루프형태로 이루어져서 FM신호 및 DMB신호를 수신하는 듀얼안테나부(20)와, 듀얼안테나부(20)에 급전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부(30)와, 유전체(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면서 듀얼안테나부(20)의 안테나부(21)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사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는, 최소한의 면적에 최대의 길이로 루프형태를 이루어지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FM신호와 DMB신호를 함께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듀얼안테나부가 구불구불하게 절곡되게 형성됨에 의해 안테나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듀얼안테나부의 전체적인 크기가 크지 않아서 외관상 이로운 이점도 있다.
또한, 유전체의 일측면에 안테나부를 형성하고 타측면에 방사부를 형성하여 유전체의 면적이 최대로 활용될 수 있고, 안테나의 전체적인 길이가 유지될 수 있어서 안테나특성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중계기는, FM신호와 DMB신호를 송출할 수 있어서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두 개의 장치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전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듀얼안테나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요부를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전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방열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방열부가 커플링형태를 이루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아날라이져 상의 VSWR 데이터를 보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9는 도 8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는, 유전체(10)와, 듀얼안테나부(20)와, 급전부(30)와, 방사부(40)를 포함한다.
유전체(10)는 전기적인 유도 작용을 일으키도록 부도체로 구성되고 평판형태이면서 직방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전체(10)는 26mm X 210mm의 면적로 형성되므로, 듀얼안테나부(20)가 형성될 수 있는 적정면적이 제공될 수 있다.
듀얼안테나부(20)는 유전체(10)의 일측면에 구불구불하게 절곡되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부(21) 및 안테나부(21)들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2)로 구성되어 루프형태로 이루어져서 FM신호 및 DMB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부(21) 및 연결부(22)는 금속패턴으로 구성되어 유전체(10)에 서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듀얼안테나부(20)는 루프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안테나부(21)는 구불구불하게 절곡되어서 유전체(10)에 형성됨에 의해 유전체(10)의 좁은 면적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21)는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근접되는 간격이 0.5mm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테나부(21)가 절곡되면서 패턴으로 형성되되, 0.5mm 이하로 근접되면 패턴간의 커플링이 발생되어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패턴간의 간격(D1)을 최소 0.5mm로 설정하면 패턴간의 커플링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부(21)의 폭(D2)은 0.5mm~1cm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부(21)가 직각으로 절곡됨에 의해 직각의 꼭짓점 부분에서 방사에너지가 크게 발생된다. 즉, 전자기파는 수직과 수평편파로 되어 있어서 직각으로 위상차가 발생하므로 안테나 패턴도 직각으로 구현하는 것이 성능에 유리하다.
더욱이, 안테나부(21)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꼭지점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3)에서 방사에너지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안테나부(21)들이 유전체(10)에 나란히 형성되면서 연결부(22)들에 의해 연결됨에 의해 루프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루프형태를 이루는 듀얼안테나부(20)는 주파수의 대역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어서 FM신호와 디엠피신호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듀얼안테나부(20)는 전체길이가 76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체길이가 42cm 이면 DMB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76cm 이면 FM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즉, 전체길이가 76cm이상 약76~80cm이면 DMB신호와 FM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듀얼안테나부(20)의 전체길이 76cm는 1/4의 파장으로 설계시 안테나의 유효길이 이다.
그리고, 듀얼안테나부(20)는 안테나부(21)가 반복되게 배치됨에 의해 88~108MHz 및 174~216MHz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듀얼안테나부(20)의 일측에 그라운드(24)가 형성될 수 있다.
급전부(30)는 듀얼안테나부(20)에 급전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듀얼안테나부(20)의 연결부(22)에 연결되는 급전점(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급전점(31)은 그라운드(24)에 의해 근접된 상태이면서 방사부(40)에도 연결된다.
그리고, 듀얼안테나부(20)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매칭수단(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수단(25)은 듀얼안테나부(20)의 연결부(22)에서 급전부(30)의 급전점(31)까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안테나소자(26)와, 안테나소자(26)들을 연결시키면서 그라운드(2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매칭소자(27)를 포함한다.
안테나소자(26)들은 금속패턴으로 구성되고, 매칭소자(27)는 안테나소자(26)와 그라운드(24)를 연결하는 금속패턴이나 솔더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의 튜닝시에 7~9개의 매칭소자(27)들을 안테나소자(26)들에 연결시키고 안테나소자(26)들을 그라운드(24)에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다.
방사부(40)는 복수로 구성되어 유전체(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면서 듀얼안테나부(20)의 안테나부(21)에 연결되는 것으로 금속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부(40)는 복수로 구성되어 안테나부(21)들에 연결됨에 의해 안테나부(21)들에서 동시에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사부(40)는 안테나부(21)의 돌출부(23)에 연결되는 방사돌출부(41)와, 방사돌출부(41)에 근접되어서 커플링을 이루는 커플방사부(42)를 포함한다.
방사돌출부(41)는 유전체(10)를 관통하는 솔더링에 의해 안테나부(21)의 돌출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사돌출부(41)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일측방사핀(44)이 형성된다.
커플방사부(42)는 방사돌출부(41)의 일측방사핀(44)들과 대응되는 다수의 타측방사핀(45)이 형성되며, 일측방사핀(44)들과 타측방사핀(45)들이 엇갈리면서 근접되는 상태가 유지되면서 유전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방사핀(44)들과 타측방사핀(45)들이 서로 엇갈리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서, 커플링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방사부(40)인 금속패턴인 일측방사핀(44)들과 타측방사핀(45)들에 의해 커플링효과가 발생될 수 있어서 안테나 공진의 대역폭과 선택도를 개선해 주는 기능이 있고 정재파비를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방사부(40)는 듀얼안테나부(20)의 그라운드(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안테나부(20)를 통해 FM신호와 DMB신호가 함께 수신되어 중계기로 전송된다. 중계기의 듀플레서필터에 의해 FM신호와 DMB신호가 각각 분리되어서 라디오와 텔레비전으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즉, FM신호는 라디오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되고 DMB신호는 텔레비전을 통해 음향과 영상으로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아날라이져 상의 VSWR 데이터를 보인 그래프를 통해 88~216MHz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최소한의 면적에 최대의 길이로 루프형태를 이루어서 FM신호와 DMB신호를 함께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FM신호와 DMB신호를 증폭시켜서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는 RF/DC신호 분리부(61)와, 제1임피던스 변환부(62)와, 저잡음증폭부(63)와, 듀플렉서 필터부(64)와, FM신호 처리부(65)와, DMB신호 처리부(66)와, 포트부(67)와, 제2임피던스 변환부(68)와, 임피던스 스위치(69)와,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FM신호 및 DMB신호를 외부로 송출시키는 송출부(70)를 포함한다.
먼저, RF(radio frequency signal)신호는 무선에 사용되는 고주파신호이다.
RF/DC신호 분리부(6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신호와 DC신호를 분리하는 것으로, 외부의 안테나장치(미도시)로부터 송신되는 RF신호가 제공되거나, 본 발명의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송신되는 RF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RF/DC신호 분리부(61)는 RF신호와 DC신호를 함께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원공사가 불필요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물론, 필요시에는 중계기에 직접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1임피던스 변환부(62)는 RF/DC신호 분리부(61)에서 분리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가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와 동일하도록 RF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임피던스 미스매치(Mismatch)에 의한 RF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임피던스 50옴은 FM신호에 해당되고, 임피던스 75옴은 DMB신호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임피던스 변환부(62)는 입력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정합하기 위한 제1정합회로부(62a)와, 입력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를 75옴으로 정합하기 위한 제2정합회로부(62b)와, 입력되는 RF신호가 제1정합회로부(62a)나 제2정합회로부(62b)로 제공되도록 스위칭 동작되는 임피던스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RF신호의 FM신호가 제1정합회로부(62a)로 제공될 수 있고, RF신호의 DMB신호가 제2정합회로부(62b)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 스위칭부는 제1정합회로부(62a)의 일단과 제2정합회로부(62b)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RF신호를 제1정합회로부(62a)이나 제2정합회로부(62b)에 인가하는 제1스위치(62d)와, 제1정합회로부(62a)의 타단과 제2정합회로부(62b)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RF신호를 제1정합회로부(62a)이나 제2정합회로부(62b)에 인가하는 제2스위치(62d)와, RF신호가 제1정합회로부(62b)로 제공되거나 제2정합회로부로 제공되도록, 제1스위치(62c) 및 제2스위치(62d)를 조작하는 스위치조작부(62e)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위치조작부(62e)의 조작에 의해 제1스위치(62d) 및 제2스위치(62d)가 동시에 스위칭동작 되어서 제1정합회로부(62b)에 연결되거나 제2정합회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RF신호는 제1정합회로부(62b)로 제공되거나 제2정합회로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잡음증폭부(63)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62)에서 임피던스가 변환된 RF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킨다. 따라서, RF신호가 저잡음 증폭되므로 이후에서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듀플렉서 필터부(64)는 RF신호에서 FM신호 및 DMB신호를 분리시키면서 타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여 노이즈 등을 필터링하므로 깨끗한 FM신호 및 DMB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FM신호 처리부(65)는 듀플렉서 필터부(64)에서 필터링된 FM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FM신호를 증폭하는 FM신호증폭부(65a)와, FM신호증폭부(65a)에서 증폭된 FM신호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FM신호필터부(65b)와, 증폭된 FM신호의 양을 검출하는 FM신호검출부(65c)와, FM신호필터부(65b)를 통하여 출력된 FM신호가 FM신호검출부(65c)에서 검출된 FM신호의 양만큼 출력되도록 FM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FM신호세기 조절부(65d)를 포함한다.
따라서, FM신호 처리부(65)에 의해 FM신호의 세기가 조절되어 일정한 양으로 FM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DMB신호 처리부(66)는 듀플렉서 필터부(64)에서 필터링된 DMB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DMB신호를 증폭하는 DMB신호증폭부(66a)와, DMB신호증폭부(66a)에서 증폭된 DMB신호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DMB신호필터부(66b)와, 증폭된 DMB신호의 양을 검출하는 DMB신호검출부(66c)와, DMB신호필터부(66b)를 통하여 출력된 DMB신호가 DMB신호검출부(66c)에서 검출된 DMB신호의 양만큼 출력되도록 DMB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DMB신호세기 조절부(66d)를 포함한다.
따라서, DMB신호 처리부(66)에 의해 DMB신호의 세기가 조절되어 일정한 양으로 DMB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포트부(67)는 FM신호 처리부(65) 및 DMB신호 처리부(66)에서 처리된 각각의 FM신호 및 DMB신호를 포트(PORT)로 합쳐주므로 FM신호 및 DMB신호가 하나의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2임피던스 변환부(68)는 전술한 제1임피던스 변환부(62)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 및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임피던스 스위치(69)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62) 및 제2임피던스 변환부(68)에 의해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가 전달되도록 제1임피던스 변환부(62) 및 제2임피던스 변환부(68)를 조작하는 것으로, 제1임피던스 변환부(62) 및 제2임피던스 변환부(68)를 조작하여 50옴의 임피던스가 전달되게 하거나 75옴의 임피던스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송출부(70)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FM신호 및 DMB신호를 외부로 송출시키는 것으로, 입력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가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와 동일하도록 RF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임피던스 미스매치에 의한 RF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제3임피던스 변환부(71)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를 제3임피던스 변환부(71)로 전달하는 안테나 임피던스 스위치(72)와, 제3임피던스 변환부(71)에서 RF신호를 FM신호 및 DMB신호로 분리하여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로 제공하는 FM/DMB신호 분리부(73)를 포함한다.
삭제
제3임피던스 변환부(71)는 전술한 제1임피던스 변환부(62)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구성 및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임피던스 스위치(72)는 제3임피던스 변환부(71)를 조작하여 50옴의 임피던스가 전달되게 하거나 75옴의 임피던스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FM/DMB신호 분리부(73)는 전달되는 50옴이나 75옴의 임피던스를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로 제공하므로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FM신호나 DMB신호가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하나의 중계기에 의해 FM신호나 DMB신호가 중계되므로 두 개의 중계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10 : 유전체 20 : 듀얼안테나부
21 : 안테나부 22 : 연결부
23 : 돌출부 30 : 급전부
31 : 급전점 40 : 방사부
41 : 방사돌출부 42 : 커플방사부
44 : 일측방사핀 45 : 타측방사핀
61 : RF/DC신호 분리부 62 : 제1임피던스 변환부
63 : 저잡음증폭부 64 : 듀플렉서 필터부
65 : FM신호 처리부 66 : DMB신호 처리부
67 : 포트부 68 : 제2임피던스 변환부
69 : 임피던스 스위치 70 : 송출부

Claims (13)

  1. 평판형태의 유전체(10)와,
    유전체(10)의 일측면에 구불구불하게 절곡되는 복수의 안테나부(21) 및 안테나부(21)들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2)로 구성되어 루프형태로 이루어져서 FM신호 및 DMB신호를 수신하는 듀얼안테나부(20)와,
    듀얼안테나부(20)에 급전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부(30)와,
    유전체(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면서 듀얼안테나부(20)의 안테나부(21)에 연결되는 복수의 방사부(40)를 포함하며,
    방사부(40)는 안테나부(21)의 돌출부(23)에 연결되는 방사돌출부(41)와, 방사돌출부(41)에 근접되어서 커플링을 이루는 커플방사부(42)를 포함하며,
    방사돌출부(41)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일측방사핀(44)이 형성되고,
    커플방사부(42)는 일측방사부(42)의 방사핀(44)들과 대응되는 다수의 타측방사핀(45)이 형성되며, 일측방사핀(44)들과 타측방사핀(45)들이 엇갈리면서 근접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전체(10)는 전체길이가 26mm X 210mm의 면적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듀얼안테나부(20)는 전체길이가 76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부(21)는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근접되는 간격이 0.5mm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부(21)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꼭짓점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듀얼안테나부(20)의 일측에 그라운드(24)가 형성되고,
    듀얼안테나부(20)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매칭수단(25)을 포함하고,
    매칭수단(25)은
    듀얼안테나부(20)에서 급전부(30)까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안테나소자(26)와,
    안테나소자(26)들을 연결시키면서 그라운드(2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매칭소자(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FM신호 및 DMB신호를 증폭시켜서 외부로 송출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신호와 DC신호를 분리하는 RF/DC신호 분리부(61)와,
    RF/DC신호 분리부(61)에서 분리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가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와 동일하도록 RF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임피던스 미스매치에 의한 RF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62)와,
    제1임피던스 변환부(62)에서 임피던스가 변환된 RF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부(63)와,
    RF신호에서 FM신호 및 DMB신호를 분리시키면서 타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는 듀플렉서 필터부(64)와,
    듀플렉서 필터부(64)에서 필터링된 FM신호를 처리하는 FM신호 처리부(65)와,
    듀플렉서 필터부(64)에서 필터링된 DMB신호를 처리하는 DMB신호 처리부(66)와,
    FM신호 처리부(65) 및 DMB신호 처리부(66)에서 처리된 각각의 FM신호 및 DMB신호를 포트로 합쳐주는 포트부(67)와,
    포트부(67)에서 합쳐진 RF신호의 임피던스가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와 동일하도록 RF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임피던스 미스매치(Mismatch)에 의한 RF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제2임피던스 변환부(68)와,
    제1임피던스 변환부(62) 및 제2임피던스 변환부(68)에 의해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가 전달되도록 제1임피던스 변환부(62) 및 제2임피던스 변환부(68)를 조작하는 임피던스 스위치(69)와,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를 통해 FM신호 및 DMB신호를 외부로 송출시키는 송출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임피던스 변환부(62)는
    입력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정합하기 위한 제1정합회로부(62a)와,
    입력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를 75옴으로 정합하기 위한 제2정합회로부(62b)와,
    입력되는 RF신호가 제1정합회로부(62a)나 제2정합회로부(62b)로 제공되도록 스위칭 동작되는 임피던스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임피던스 스위칭부는
    제1정합회로부(62a)의 일단과 제2정합회로부(62b)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RF신호를 제1정합회로부(62a)이나 제2정합회로부(62b)에 인가하는 제1스위치(62c)와,
    제1정합회로부(62a)의 타단과 제2정합회로부(62b)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RF신호를 제1정합회로부(62a)이나 제2정합회로부(62b)에 인가하는 제2스위치(62d)와,
    RF신호가 제1정합회로부(62b)로 제공되거나 제2정합회로부로 제공되도록, 제1스위치(62c) 및 제2스위치(62d)를 조작하는 스위치조작부(6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FM신호 처리부(65)는
    FM신호를 증폭하는 FM신호증폭부(65a)와,
    FM신호증폭부(65a)에서 증폭된 FM신호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FM신호필터부(65b)와,
    증폭된 FM신호의 양을 검출하는 FM신호검출부(65c)와,
    FM신호필터부(65b)를 통하여 출력된 FM신호가 FM신호검출부(65c)에서 검출된 FM신호의 양만큼 출력되도록 FM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FM신호세기 조절부(65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DMB신호 처리부(66)는
    DMB신호를 증폭하는 DMB신호증폭부(66a)와,
    DMB신호증폭부(66a)에서 증폭된 DMB신호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DMB신호필터부(66b)와,
    증폭된 DMB신호의 양을 검출하는 DMB신호검출부(66c)와,
    DMB신호필터부(66b)를 통하여 출력된 DMB신호가 DMB신호검출부(66c)에서 검출된 DMB신호의 양만큼 출력되도록 DMB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DMB신호세기 조절부(66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송출부(70)는
    입력되는 RF신호의 임피던스가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와 동일하도록 RF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임피던스 미스매치(Mismatch)에 의한 RF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제3임피던스 변환부(71)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50옴 또는 75옴의 임피던스를 제3임피던스 변환부(71)로 전달하는 안테나 임피던스 스위치(72)와,
    제3임피던스 변환부(71)에서 RF신호를 FM신신호 및 DMB신호로 분리하여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1)로 제공하는 FM/DMB신호 분리부(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KR1020150084958A 2015-06-16 2015-06-16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KR10162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58A KR101629927B1 (ko) 2015-06-16 2015-06-16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58A KR101629927B1 (ko) 2015-06-16 2015-06-16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927B1 true KR101629927B1 (ko) 2016-06-13

Family

ID=5619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958A KR101629927B1 (ko) 2015-06-16 2015-06-16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27A1 (ko) * 2016-11-10 2018-05-17 주식회사 엔토닉 출력단자 조절이 가능한 fm/dmb 신호중계기 및 중계방법
KR20180107635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에이트 Fm 및 dmb 중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533A (ja) * 2001-03-05 2002-09-13 Sony Corp アンテナ装置
KR100632692B1 (ko) * 2006-01-19 2006-10-1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고유전체를 이용한 vhf 대역 소형 안테나
KR20150062087A (ko) * 2013-11-28 2015-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533A (ja) * 2001-03-05 2002-09-13 Sony Corp アンテナ装置
KR100632692B1 (ko) * 2006-01-19 2006-10-1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고유전체를 이용한 vhf 대역 소형 안테나
KR20150062087A (ko) * 2013-11-28 2015-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27A1 (ko) * 2016-11-10 2018-05-17 주식회사 엔토닉 출력단자 조절이 가능한 fm/dmb 신호중계기 및 중계방법
KR20180107635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에이트 Fm 및 dmb 중계 장치
KR101958924B1 (ko) * 2017-03-22 2019-07-02 주식회사 에이트 Fm 및 dmb 중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746B2 (en) Radio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CN1231078C (zh) 横向转发器和用于转发器的自适应消除方法
US7405699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US8457700B2 (en) GPS mast module and mobile radio installation
US5880695A (en) Antenna system for wireless comunication systems
US10096909B2 (en) Multi-band monopole planar antennas configured to facilitate improved radio frequency (RF) isola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antenna arrangement
MXPA00004043A (es) Estructura de antena e instalacion.
US20100075596A1 (en) Multi-Band Wireless Repeater
JPH0951227A (ja) 携帯移動衛星通信端末のアンテナ効率を増大せしめる方法及び装置
US20110279344A1 (en) Radio frequency patch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984673B2 (en) Omni-directional MIMO antenna
KR101629927B1 (ko) 에프엠 디엠비 듀얼 안테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
TW201824645A (zh) 多頻帶天線及應用該天線的電子裝置
US20060061511A1 (en) Active antenna
CN101895002A (zh) 高频电路、低噪声块下变频器及天线装置
CN100449866C (zh) 多频带平面天线
US6819288B2 (en) Singular feed broadband aperture coupled circularly polarized patch antenna
US8040289B2 (en) Low-profile wide-bandwidth radio frequency antenna
US20030184487A1 (en) Reflector/feed antenna with reflector mounted waveguide diplexer-OMT
KR101256683B1 (ko) Rf 방식으로 구현된 일체형 초소형 중계장치
KR100883954B1 (ko) 원편파 안테나, 중계기 용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하는중계기와 이동 통신 시스템
TW201436366A (zh) 通訊裝置及其多頻天線
KR100912616B1 (ko) 원편파 안테나, 중계기 용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기와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901065B1 (ko) 중계기용 듀얼 밴드 안테나
KR102007122B1 (ko) 화재감시 기능을 갖는 평판형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