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636B1 -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636B1
KR101629636B1 KR1020130118151A KR20130118151A KR101629636B1 KR 101629636 B1 KR101629636 B1 KR 101629636B1 KR 1020130118151 A KR1020130118151 A KR 1020130118151A KR 20130118151 A KR20130118151 A KR 20130118151A KR 101629636 B1 KR101629636 B1 KR 10162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odule
air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650A (ko
Inventor
김용란
김문수
김은집
김택봉
Original Assignee
김용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란 filed Critical 김용란
Priority to KR102013011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6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2Prevention of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와류를 형성하여 교반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폭기가 되어 산소 용해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제트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제트레이터는 구동 모듈(11); 구동 모듈(11)에 연결 축(122)으로 연결되는 펌프 모듈(12); 및 펌프 모듈(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출 모듈(13)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모듈(13)은 와류의 형성 및 공기 진행 방향의 조절을 위한 직경 조절 부분 및 내부 면에 형성된 와류 형성 강선(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Jatrato In Water for Organic wast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와류를 형성하여 교반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폭기가 되어 산소 용해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제트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제트레이터 또는 폭기 장치는 정화조, 하수처리 장치, 식품 폐기물, 공장 폐수 처리 장치 등의 유기성 페기물 처리 장치에 산소와 접촉하여 유기질의 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산소의 접촉을 위하여 기계식 방식에 의한 교반과 작은 기포로 된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제트레이터는 산소 용해 비율이 높고, 소음이 작고,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처리 장치 내에서 균일한 미생물 농도(MLSS)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트레이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225014호 '축산용 폭기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측벽에 급기관이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출구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며 단부에 오폐수가 통과하는 빗살 형상의 절개홈이 다수 형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축산용 폭기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제트레이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810045호 '수중 교반기용 펌프'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가 밀폐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다단 결합되며, 오폐수의 흡입을 유도하고 흡입이 된 오폐수를 분쇄할 수 있도록 2단으로 구성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처리된 오폐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수중 교반기용 펌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기술은 오리피스가 배출이 되는 방향으로 오리피스를 형성하면서 배출 관이 단면이 넓어지면서 공기가 분산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공기에 대한 접촉 면적은 넓어질 수 있지만 공기의 진행 거리가 짧아지면서 이와 동시에 처리 장치 내 물의 흐름의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흐름이 조절될 수 있으면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와 유기성 폐기물의 혼합 비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제트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트레이터는 구동 모듈; 구동 모듈에 회전 축으로 연결되는 펌프 모듈; 및 펌프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모듈은 와류의 형성 및 공기 진행 방향의 조절을 위한 직경 조절 부분 및 내부 면에 형성된 와류 형성 강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와류 형성 강선의 강선은 2조 내지 10조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와류 형성 강선은 다수 홈과 연장 홈과 연장 홈 사이에 형성된 연장 돌기로 이루어지고 연장 홈은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출 모듈에서 배출된 공기로부터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살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수 장치는 수면 내에 설치되는 수중 펌프, 수면을 따라 연장되는 공급 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살수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는 수중에서 공기 진행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처리 장치 내의 물의 흐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는 처리 장치 내에서 처리 유기성 폐기물과 공기의 균일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산소 용해 비율이 높아지도록 하면서 미생물 농도의 균일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제트레이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제트레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제트레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 모듈의 내부와 와류 형성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가 처리 장치 내에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와 함께 적용될 수 있는 살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제트레이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제트레이터(10)는 구동 모듈(11); 구동 모듈(11)에 연결 축(122)으로 연결되는 펌프 모듈(12); 및 펌프 모듈(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출 모듈(13)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모듈(13)은 와류의 형성 및 공기 진행의 조절을 위한 직경 조절 부분 및 내부 면에 형성된 와류 형성 강선을 포함한다.
제트레이터(10)는 수중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중에 물을 살포하여 물과 공기가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폭기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트레이터(10)는 수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시되지만 처리 장치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10)는 아래에서 설명이 되는 것처럼 살수 장치와 함께 사용이 될 수 있다.
구동 모듈(11)은 내부에 모터가 내장된 모터 케이스(111),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자(stator)(112), 고정자(112)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자(Rotor)(113), 회전자(113)와 연결된 회전축(117), 고정자(112)와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C)의 유도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114) 및 전선 케이블(C)의 고정을 위한 패킹 박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듈(11)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구동 모듈(11)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패킹 박스(stiffing box)(116)는 볼트와 너트(BO)와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하여 브래킷(BR)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구동 모듈(11)은 자체적으로 적절한 패킹 장치를 가질 수 있다.
펌프 모듈(eject module)(12)은 구동 모듈(11)에 의하여 작동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 모듈(13)을 통하여 수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펌프 모듈(12)은 회전축(117)에 연결되는 임펠러(121), 회전축(117)에 연결되는 연결 축(122), 연결 축(122)과 임펠러(121)의 케이스의 연결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오일 실(oil seal)(123) 및 모터의 회전축(117)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베어링(124)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21)는 다수 개의 회전 날개로 이루어진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임펠러(121)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터레이터(10)의 아래쪽에 적절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14)가 설치될 수 있고 스탠드(14)의 위쪽에 커버가 설치되어 구동 모듈(11) 및 펌프 모듈(12)이 고정될 수 있다.
제트레이터(10)는 처리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승강 수단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트레이터(10)의 위쪽에 고정 고리(115a)가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고정 고리(115a)에 결합되는 훅(115)에 의하여 제트레이터(10)가 물속에 설치되거나 외부로 끌어낼 수 있다. 다양한 인양 수단이 제트레이터(10)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펌프 모듈(12)은 공기를 물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모듈(13)과 연결될 수 있다. 펌프 모듈(12)에 설치된 임펠러(121)의 추진력에 의하여 배출 모듈(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사출 유닛(131), 가이드 튜브(132), 조절 튜브(133) 및 노즐(134)을 통하여 수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는 배출 모듈(13)의 적절한 위치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펌프 모듈(12)을 통하여 공급될 수도 있다. 사출 유닛(131)은 공기의 진행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이 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132) 또는 조절 튜브(133)는 공기 진행의 조절을 위한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추가로 가이드 튜브(132) 또는 조절 튜브(133)의 내부에 와류 형성을 위한 와류 형성 강선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진행의 조절이란 공기의 속도, 압력 또는 배출 속도와 같은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와류 형성이란 진행하는 공기가 회오리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말한다. 공기 진행의 조절은 수중에서 배출 모듈(13)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어 직진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공기 진행의 조절 또는 와류 형성을 위한 배출 모듈(13)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제트레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 모듈(13)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출 모듈(13)은 사출 유닛(131)과 연결되는 연결 튜브(131a), 연결 튜브(131a)의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튜브(132), 가이드 튜브(132)의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되는 조절 튜브(133) 및 조절 튜브(133)의 한쪽 끝에 형성된 노즐(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튜브(131a), 가이드 튜브(132) 및 조절 튜브(133)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노즐(134)은 다수 개의 관통 홀이 균일하게 배치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튜브(131a) 및 조절 튜브(133)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고 조절 튜브(133)는 연결 튜브(131a)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튜브(13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연결 튜브(131a)와 조절 튜브(133)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위쪽 및 아래쪽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튜브(131a)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그리고 조절 튜브(133) 및 가이드 튜브(132)는 연결 튜브(131a)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이 되는 공기가 수중에서 멀리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연결 튜브(131a)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 내부에 충분한 개수의 제트레이터가 설치되는 경우 공기는 진행 경로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처리 장치 내부에 적은 수의 제트레이터를 설치하여 처리 장치 내부의 물을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면 연결 튜브(131a)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조절 튜브(133)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공기가 일정 거리만큼 직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가이드 튜브(132)는 공기의 진행 방향에서 급격한 압력의 변화 또는 속도의 변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튜브(132)의 경사각은 예를 들어 3 내지 15도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 튜브(132)의 길이(D2)는 제시된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연결 튜브(131a)와 조절 튜브(133)의 직경 비율은 연결 튜브(131a) 직경: 조절 튜브(133)의 직경 = 1: 1.5 내지 2.5가 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튜브(131a)의 길이(D3): 조절 튜브(133)의 길이(D1) = 100: 20 내지 80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 튜브(132)의 경사각이 3 내지 6도가 된다면 D3: D1 = 100: 50 내지 70이 될 수 있다. 만약 가이드 튜브(132)의 경사각이 6 내지 15도가 된다면 D3: D1 = 100: 20 내지 30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튜브(132)의 경사각에 따라 D1에 대한 D3의 비율은 배출 공기의 직진 이동이 보장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처리 장치 내의 물의 순환 형태 및 혼합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길이 비율이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의 제트레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 모듈의 내부와 와류 형성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배출 모듈(13)은 외부 테두리(31)와 배출 통로(33)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배출 통로(33)의 표면에 와류 형성 강선(32)이 배치될 수 있다. 와류 형성 강선(32)은 공기가 진행하면서 이와 동시에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스파이럴(spiral) 또는 헬릭스(helix) 형태로 공기가 진행이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와류 형성 강선(32)은 예를 들어 2조 내지 10조 강선 구조가 될 수 있다. 강선은 배출 통로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배출 길이에 따라 강선 수가 적절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선 수가 작아질 수 있다. 와류 형성 강선(32)은 조절 튜브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거나, 조절 튜브와 가이드 튜브에 형성되거나 또는 배출 모듈(13)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가) 및 (나)는 각각 3조 강선 및 6조 강선을 도시한 것이다.
와류 형성 강선은 다양한 구조를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의 (다)와 같은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의 (다)를 참조하면, 와류 형성 강선은 나선 형상으로 일정한 폭으로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돌기(34)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돌기(34)은 높이(34a)에 비하여 예를 들어 2 내지 20배가 되는 폭을 가질 수 있고 연장 돌기(34) 사이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연장 홈에 의하여 와류 형성 강선(32)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돌기(34) 및 와류 형성 강선(32)의 폭은 강선의 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 다만 연장 돌기(34)의 폭은 연장 길이의 1/200 내지 1/5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돌기(34)의 폭이 제시된 값에 비하여 작은 경우 와류가 형성되기 어렵고 이에 비하여 제시된 값에 비하여 큰 경우 공기의 직진 운동이 약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연장 돌기(34)는 내부 직경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이 될 수 있다.
연장 돌기(34)는 예를 들어 돌출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작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돌출되는 높이가 전체 직경의 1/100 내지 1/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시된 값에 비하여 작은 경우 와류의 형성이 어렵고 그리고 제시된 값에 비하여 커지는 경우 거품이 양이 많아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다양한 구조의 연장 홈(32) 또는 연장 돌기(34)가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가 처리 장치 내에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트레이터(10a, 10b, 10c, 10d)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반응조(40) 내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반응조(40)는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단면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트레이터(10a, 10b, 10c, 10d)는 둘레를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트레이터(10a, 10b, 10c)의 공기 배출 방향(A)은 예를 들어 둘레 벽면에 부딪히는 각도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 방향(A)은 반응조(40)의 벽면에 입사되는 각도를 기준으로 설정이 되고 예를 들어 반응조(40) 내에서 높은 온도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면 입사되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배출 모듈의 길이 또는 직경 조절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부딪히는 속도 또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경 조절 부분이란 조절 튜브 또는 가이드 튜브의 길이 조절을 의하거나 또는 조절 튜브의 연결 튜브에 대한 상대적인 길이 조절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길이 조절 부분은 가이드 튜브의 길이 조절을 의미한다.
반응조(40)의 벽면에 대한 압력 또는 속도의 조절과 각도의 조절은 반응조(40)의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와류(B)의 형성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와류(B)는 공기 배출 방향(A) 및 와류 형성 강선에 의하여 조절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제트레이터(10a, 10b, 10c, 10d)는 블로워(41)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공급 공급 도관은 배출 모듈에 연결이 될 수 있다. 블로워(41)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블로워(41)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조(40) 내에서 제트레이터(10a, 10b, 10c, 10d)가 작동되면 거품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거품의 제거를 위한 살수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와 함께 적용될 수 있는 살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살수 장치(50)는 수중 펌프(51) 및 살수 유닛(52a, 52b, 52c, 52d)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중 펌프(51)에서 공급된 물은 공급 도관(53)을 거쳐 분배 도관(54)으로 이송될 수 있다.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은 분배 도관(54)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고 아래쪽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이 유닛(521)을 가질 수 있다.
수중 펌프(51)은 수면(WL)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내부로 유입되는 물(F 방향)은 공급 도관(53)으로 유도될 수 있다. 공급 도관(53)으로 공급된 물은 수면(WL)의 위쪽에 위치하는 분배 도관(54)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 도관(53)의 연장 높이는 분배 도관(54)의 수면(WL) 위쪽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살수 장치(50)는 제트레이터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분배 도관(54)의 물은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으로 공급되어 스프레이 유닛(521)에 의하여 위쪽 방향으로, 측면 방향으로 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물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개폐하기 위한 밸브 유닛(55)이 분배 도관(54)에 설치될 수 있다.
반응조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수중 펌프(51)는 수면 아래로 2 내지 3 m의 깊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은 수면(WL)으로부터 1 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중 펌프(51)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경우 양정 높이가 낮으므로 수중 펌프(51)의 가동을 위한 모터가 낮은 압력으로 인하여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물이 포함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이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의 위쪽에 커플링 유닛(58)이 설치될 수 있다. 커플링 유닛(58)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될 수 있으면서 한쪽에 조절 영역(581)이 형성되고 그리고 브래킷과 같은 체결 수단(583)에 의하여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조절 영역(581)에 외부와 연결되는 관통 홀(58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중 펌프(51) 및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이 일정 시간 동안 가동이 되면 커플링 유닛(58)의 내부에 이물질에 채워질 수 있고 체결 수단(583)을 통하여 커플링 유닛(58)을 분리하여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관통 홀(58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하여 펌프에 적절한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살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또는 적절한 펌프 작동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살수 장치(50)에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살수 장치(50)가 반응조에 제트레이터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트레이터는 살수 장치(50)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살수 장치(50)는 제트레이터와 함께 반응조의 공기 공급 조절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는 수중에서 공기 진행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처리 장치 내의 물의 흐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트레이터는 처리 장치 내에서 처리 유기성 폐기물과 공기의 균일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산소 용해 비율이 높아지도록 하면서 미생물 농도의 균일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제트레이터 11: 구동 모듈
12: 펌프 모듈 13: 배출 모듈
14: 스탠드
32: 와류 형성 강선 34: 연장 돌기
40: 반응조 41: 블로워
50: 살수 장치 51: 수중 펌프
53: 공급 도관 54: 분배 도관
55: 밸브 유닛 58: 커플링 유닛
111: 모터 케이스 112: 고정자
113: 회전자 114: 케이블 가이드
116: 패킹 박스 117: 연결 축
121: 임펠러 122: 연결 축
131: 사출 유닛 132: 가이드 튜브
133: 조절 튜브 134: 노즐

Claims (4)

  1. 수중 제터레이터와 살수 장치로 이루어진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공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 제터레이터는
    구동 모듈(11);
    구동 모듈(11)에 연결 축(122)으로 연결되는 펌프 모듈(12);
    펌프 모듈(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출 유닛(131), 사출 유닛(131)과 연결되고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연결 튜브(131a);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도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튜브(132), 연결 튜브(131a)에 비하여 큰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조절 튜브(133) 및 노즐(134)로 이루어진 배출 모듈(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수 장치는
    수중 펌프(51);
    수중 펌프(51)에 의하여 유입된 물을 유도하는 공급 도관(53);
    공급 도관(53)로부터 공급된 물을 아래쪽으로 분사하는 스프레이 유닛(521)을 가진 다수 개의 살수 유닛(52a, 52b, 52c, 52d) 및 각각의 살수 유닛(52a, 52b, 52c, 52d)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조절 영역(581)이 형성된 커플링 유닛(5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와 살수 장치로 이루어지는 공기 공급 장치.
  2. 수중 제트레이터에 의한 반응조(40)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응조(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공기 배출 방향(A)이 반응조(40)의 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트레이터(10a, 10b, 10c, 10d); 및
    다수 개의 제트레이터(10a, 10b,10c,10d)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41);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트레이터(10a, 10b, 10c, 10d)는
    구동 모듈(11);
    구동 모듈(11)에 연결 축(122)으로 연결되는 펌프 모듈(12);
    펌프 모듈(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출 유닛(131), 사출 유닛(131)과 연결되고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연결 튜브(131a);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도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튜브(132), 연결 튜브(131a)에 비하여 큰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조절 튜브(133) 및 노즐(134)로 이루어진 배출 모듈(13);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조(40)의 내부 온도에 따라 공기 배출 방향(A) 또는 조절 튜브(133) 또는 가이드 튜브(132)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제트레이터에 의한 반응조(40)의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30118151A 2013-10-02 2013-10-02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KR10162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151A KR101629636B1 (ko) 2013-10-02 2013-10-02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151A KR101629636B1 (ko) 2013-10-02 2013-10-02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650A KR20150039650A (ko) 2015-04-13
KR101629636B1 true KR101629636B1 (ko) 2016-06-14

Family

ID=5302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151A KR101629636B1 (ko) 2013-10-02 2013-10-02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36A (ko) * 2021-10-05 2023-04-12 조은영 복수의 배출관을 가지는 다이아프램 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226A (ja) 2006-11-22 2008-06-05 Hikari Ariga 撹拌曝気装置
KR101135049B1 (ko) 2008-10-30 2012-04-16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폭기식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KR101315242B1 (ko) * 2012-02-22 2013-10-07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벤츄리관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452B1 (ko) * 1996-12-24 1999-07-01 한상배 하폐수처리장의 간헐폭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226A (ja) 2006-11-22 2008-06-05 Hikari Ariga 撹拌曝気装置
KR101135049B1 (ko) 2008-10-30 2012-04-16 주식회사 지성이엔지 폭기식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KR101315242B1 (ko) * 2012-02-22 2013-10-07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벤츄리관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36A (ko) * 2021-10-05 2023-04-12 조은영 복수의 배출관을 가지는 다이아프램 펌프
KR102549725B1 (ko) 2021-10-05 2023-06-30 조은영 복수의 배출관을 가지는 다이아프램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650A (ko) 201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092B2 (ja) 気液溶解タンク及び微細気泡発生装置
US4733972A (en) Floating mixer apparatus with foam dispersing spray
CN108064216B (zh) 曝气机
KR100316317B1 (ko) 액체혼합장치
KR200455119Y1 (ko) 탱크내 저장유체의 교반장치
US5484534A (en) Energy conserving method of water treatment
KR101660422B1 (ko) 블록형 날개를 구비한 에어레이터
KR20140134905A (ko) 공기 분사 추진력을 이용한 폭기조용 산소 공급장치
US7744679B2 (en) Liquid—foam system
US4707308A (en) Apparatus for circulating water
JP2005144320A (ja) 流体混合装置
KR10162963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수중 제트레이터
JP6345545B2 (ja) 曝気撹拌装置
JP2016083630A (ja) 臭気抑制システム
US3951758A (en) Method of operating a purifying plant and tank for practicing said method
KR20110108412A (ko) 가스 주입 장치 및/또는 배플을 갖는 하강류 혼합 장치
US20130105012A1 (en) Delivery device
JP6345546B2 (ja) 省動力型曝気撹拌装置
KR102280983B1 (ko) 플라즈마와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US20220080371A1 (en) Device for injecting fluid into a liquid, method for cleaning said device, and effluent treatment installation
JP3645423B2 (ja) 水中攪拌曝気装置
KR101930233B1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KR101930234B1 (ko) 유체혼합 토출장치
KR102379487B1 (ko) 사이클론을 이용한 물정화장치
US20240139691A1 (en) Screw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