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274B1 -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274B1
KR101629274B1 KR1020120075087A KR20120075087A KR101629274B1 KR 101629274 B1 KR101629274 B1 KR 101629274B1 KR 1020120075087 A KR1020120075087 A KR 1020120075087A KR 20120075087 A KR20120075087 A KR 20120075087A KR 101629274 B1 KR101629274 B1 KR 10162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628A (ko
Inventor
김현숙
송지완
김현표
이성춘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7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2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06F21/123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by using dedicated hardware, e.g. dongles, smart cards, cryptographic processors,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츠 전송 장치가 제공되며,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입력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채널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셋탑 박스와는 별도로 이동 단말에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일반 케이블 방송과는 다른 점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 기술을 이용하여 셋탑 박스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IPTV 서비스의 새로운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셋탑 박스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24980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9474호에는 셋탑 박스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셋탑 박스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셋탑 박스에서 수신중인 방송 채널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장치인 슬링 박스(Slingbox)의 형태로 구현되므로,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채널을 시청해야 하며, 스마트폰에서 독립적으로 채널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서비스의 제약이 발생한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형태로 서비스가 구현되더라도, 스마트폰을 위한 별도의 전용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이동 단말에서 셋탑 박스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조작 및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이동 단말을 위한 별도의 전용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이동 단말로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에서 요구하는 콘텐츠를 이동 단말의 사양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 및 스트리밍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의 종류, 이동 단말에서 사용하는 운영 체제, 해상도 등의 이동 단말의 사양 정보와 더불어 네트워크 정보까지 고려하여 최적의 트랜스코딩 및 스트리밍으로 고품질의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 장치와 이동 단말이 일대일 매칭됨으로써, 이동 단말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전송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부하를 분산시키고 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입력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채널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셋탑 입력 장치로부터 셋탑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셋탑 입력부; 상기 셋탑 제어 신호에 기초한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셋탑 출력부; 이동 단말로부터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단말 입력부;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채널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처리부에서 입력받은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에서 셋탑 박스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조작 및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이동 단말을 위한 별도의 전용 플랫폼을 구축하지 않아도 이동 단말로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셋탑 박스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에서 요구하는 콘텐츠를 이동 단말의 사양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 및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의 종류, 이동 단말에서 사용하는 운영 체제, 해상도 등의 이동 단말의 사양 정보와 더불어 네트워크 정보까지 고려하여 최적의 트랜스코딩 및 스트리밍으로 고품질의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 전송 장치와 이동 단말이 일대일 매칭됨으로써, 이동 단말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전송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부하를 분산시키고 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셋탑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전송 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전송 시스템(1)은 콘텐츠 서버(100), 콘텐츠 전송 장치(300), 이동 단말(400), 셋탑 박스(500)를 포함한다. 이때,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전송 장치(300)와 셋탑 박스(500)에 연결된다. 또한, 콘텐츠 전송 장치(300)를 통하여 콘텐츠 서버(100)와 이동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된다. 네트워크(4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4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콘텐츠 서버(100), 콘텐츠 전송 장치(300), 이동 단말(400), 셋탑 박스(500)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CP),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CSP), 미디어 서버, 헤드엔드(Headend) 중 어느 하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이동 단말(400) 및 셋탑 박스(500)에서 요구하는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셋탑 박스(500)에 외장 또는 내장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이동 단말(4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콘텐츠를 스트리밍받고,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스코딩(Transcoding)을 실시한 후, 3G, 4G, LTE, Wi-Fi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로 콘텐츠를 이동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400)의 사양이 높고, 네트워크의 상황이 좋지 않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이동 단말(400)의 CPU, RAM, H/W, S/W이 최신 사양이어서 가용 컴퓨팅 자원은 풍부하고, 이동 단말(400)의 네트워크의 정보는 3G로 연결되어 있으나, 그 신호도 미약한 경우이어서 가용 네트워킹 자원은 부족한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고압축 저용량 스트리밍을 위해 중량 트랜스코딩을 실시할 수 있다. 고압축 저용량 스트리밍이란, 콘텐츠의 압축률이 높을수록 용량은 줄어들게 되므로, 네트워킹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비해, 컴퓨팅 자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실시하게 되는 중량 트랜스코딩을 한 콘텐츠의 흐름을 말한다. 여기서, 중량이란, 컴퓨팅 자원을 기준으로 압축률이 높을수록 컴퓨팅 자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컴퓨팅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이동 단말(400)의 사양은 낮고, 네트워크의 상황은 좋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이동 단말(400)의 CPU, RAM, H/W, S/W는 낮은 버전이어서 가용 컴퓨팅 자원은 빈약하고, 이동 단말(400)의 네트워크의 정보는 Wi-Fi로 연결되어 있어서 컴퓨팅 자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용 네트워킹 자원은 풍부한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저압축 고용량 스트리밍을 위해 경량 트랜스코딩을 실시할 수 있다. 저압축 고용량 스트리밍이란, 콘텐츠의 압축률이 낮을수록 용량은 늘어나게 되므로, 네트워킹 자원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비해, 컴퓨팅 자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실시하게 되는 경량 트랜스코딩을 한 콘텐츠의 흐름을 말한다. 여기서, 경량이란, 컴퓨팅 자원을 기준으로 압축률이 낮을수록 컴퓨팅 자원을 적게 사용하게 되므로, 컴퓨팅 자원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플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일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셋탑 박스(500)는 셋탑 입력 장치(6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셋탑 출력부(7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500)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로 인해, 이동 단말(4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가 변하거나 제어되지 않는다. 즉, 셋탑 박스(500)와 이동 단말(400)은 각각 별개의 독립 구조체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셋탑 입력 장치(600)-콘텐츠 서버(100)-셋탑 박스(500)-셋탑 출력부(700)로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콘텐츠 데이터가 스트리밍될 수 있고, 이동 단말(400)-콘텐츠 서버(100)-콘텐츠 출력 장치(300)-이동 단말(400)로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콘텐츠 데이터가 스트리밍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입력부(310), 채널 처리부(330), 콘텐츠 변환부(350), 전송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이동 단말(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셋탑 박스(500)에 외장 또는 내장될 수 있으므로, 셋탑 박스(500)와 연결된 게이트웨이 등의 홈 허브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채널 처리부(330)는 이동 단말(4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셋탑 박스(50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채널은 일반적인 채널일 수 있으며, VOD를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한다.
또한, 채널 처리부(330)는 이동 단말(400)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콘텐츠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400)로부터 IPTV 서비스를 시작하겠다는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셋탑 박스(500)에 외장 또는 외장된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활성화된다. 따라서, 채널 처리부(330)는 서비스 요청 신호가 오기 전까지는 비활성화 상태로 콘텐츠 신호를 입력받지 않고, 서비스 요청 신호가 오고 난 후에는 활성화 상태로 콘텐츠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콘텐츠 변환부(350)는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변환은 트랜스코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변환부(350)는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 및 이동 단말(400)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환할 수 있다.
즉, 콘텐츠 변환부(350)는 이동 단말(400)의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을 고려하여 트랜스코딩 및 스트리밍을 실시할 수 있고,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이 변하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트랜스코딩의 강도 및 스트리밍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변환부(350)는 이동 단말(400)에서 입력부(310)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변환부(350)는 이동 단말(400)에서 입력부(310)로 콘텐츠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할 수 있다.
콘텐츠 변환부(350)는 콘텐츠 전송 장치(300)와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400) 중 제 1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환함으로써, 콘텐츠로부터 제 1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 장치(300)와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 중(400) 중 제 2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환함으로써, 콘텐츠로부터 제 2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변환부(350)는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환할 수 있다.
전송부(370)는 변환된 콘텐츠를 이동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370)는 제 1 이동 단말(400)로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제 2 이동 단말(400)로 생성된 제 2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70)는 제 1 이동 단말(400)로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전송함과 동시에 제 2 이동 단말(400)로 생성된 제 2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400)은 콘텐츠 전송 장치(300)와 일대일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400)의 종류, 운영 체제,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동 단말(400)의 종류는 예를 들어,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헨드헬드기기의 종류일 수 있다. 이동 단말(400)의 운영 체제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또는 IOS 일 수 있다. 해상도는 화면의 크기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 단말(400)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대역폭 등으로 파악된 네트워킹 자원의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갱신된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400)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3G, 4G, LTE, Wi-F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HQ 품질의 동영상은 200K 정도로 스트리밍이 가능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Wi-Fi 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버퍼링이나 끊김 없이 IPTV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3G, 4G 망도 충분히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셋탑 박스(500)와 USB(Universi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동글(Dongle)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셋탑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셋탑 박스(500)는 콘텐츠 전송 장치(3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셋탑 박스(500)는 셋탑 입력부(510), 셋탑 출력부(520), 단말 입력부(530), 채널 처리부(540), 콘텐츠 변환부(550) 및 전송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 입력부(510)는 셋탑 입력 장치(600)로부터 셋탑 제어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셋탑 출력부(520)는 셋탑 제어 신호에 기초한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입력부(530), 채널 처리부(540), 콘텐츠 변환부(550) 및 전송부(560)는 입력부(310), 채널 처리부(330), 콘텐츠 변환부(350), 전송부(370)와 대응되므로,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셋탑 박스(500)를 통해서는 셋탑 출력부(700)로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고, 이동 단말(400)을 통해서는 이동 단말(400)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본원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400)은 콘텐츠 전송 장치(300)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4100),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S4200).
콘텐츠 전송 장치(300)가 활성화되면,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셋탑 박스(500)로 전송되는 콘텐츠 신호 전송(S4310)은, 셋탑 박스(500)를 통해 콘텐츠 전송 장치(300)로 송신될 수 있다(S4320).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수신한 콘텐츠를,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하고(S4330), 이동 단말(400)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한다(S4400).
이동 단말(400)로부터 콘텐츠 변경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S4500), 콘텐츠 변경 신호는 콘텐츠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고(S4600), 콘텐츠 서버(100)는 콘텐츠 전송 장치(300)로 변경된 콘텐츠를 전송한다(S4700).
콘텐츠 전송 장치(300)는 수신한 콘텐츠를, 이동 단말(400)의 단말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하고(S4800), 이동 단말(400)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한다(S4900).
상술한 단계들(S4100~S4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전송 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5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500)의 일측에 USB 단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동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장치(300)의 크기와 형상은 해당 형상에 구속되지 않고, 셋탑 박스(500)의 일측에 USB 인터페이스로 셋탑 박스(500)와 연결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 단말로부터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다(S6100).
그리고 나서, 단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고(S6200),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처리부에서 입력받은 콘텐츠를 변환한다(S6300).
마지막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S1260).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셋탑 박스와 독립적인 외장형 장치로서 상기 셋탑 박스와 탈착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입력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채널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는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콘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제어되는 콘텐츠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처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를 입력받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입력부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입력부로 콘텐츠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트랜스코딩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종류, 운영 체제,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인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3G, 4G, LTE, Wi-Fi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셋탑 박스와 USB(Universi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동글(Dongle) 형태인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부는, 상기 콘텐츠 전송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 중 제 1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로부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 중 제 2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로부터 제 2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로 상기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이동 단말로 상기 생성된 제 2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로 상기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이동 단말로 상기 생성된 제 2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부는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코딩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은 콘텐츠 전송 장치와 일대일 매칭되는 것인, 콘텐츠 전송 장치.
  14. 셋탑 박스와 독립적인 외장형 장치로서 상기 셋탑 박스와 탈착이 가능한 콘텐츠 전송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는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콘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제어되는 콘텐츠 전송 방법.
  15. 삭제
KR1020120075087A 2012-07-10 2012-07-10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62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87A KR101629274B1 (ko) 2012-07-10 2012-07-10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87A KR101629274B1 (ko) 2012-07-10 2012-07-10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28A KR20140008628A (ko) 2014-01-22
KR101629274B1 true KR101629274B1 (ko) 2016-06-13

Family

ID=501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87A KR101629274B1 (ko) 2012-07-10 2012-07-10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16B1 (ko) * 2015-03-26 2016-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Ott 동글을 이용한 정렬된 썸네일 기반의 비디오 브라우징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746B1 (ko) * 2003-10-17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MY143832A (en) * 2005-05-13 2011-07-15 Thomson Licensing Security and transcoding system for transfer of content to portable devices
KR20080019445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셋탑박스, 무선 디스플레이장치, 무선 영상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1202161B1 (ko) * 2007-01-25 2012-11-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Tv 방송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28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5667C (en) Multi-format distribution of content
US8040864B2 (en) Map indicating quality of service for delivery of video data to wireless device
US9148679B2 (en) Modification of delivery of video stream to wireless device based upon position/motion of wireless device
US92585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transcoding signal from one format to one of plurality of formats
WO2011010601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56483B2 (en) System and method to transmit data packets via a cellular network
CN110557230B (zh) 一种用于单向广播和双向网络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US201401897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US20080305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multimedia content at a mobile wireless base station using a satellite receiver
US2016016493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daptively adjusted documents
CN203015055U (zh) 一种带有转码功能的数字电视机顶盒
KR20060040429A (ko) 무선-랜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030300A1 (en) Quick streaming reconnect by preserving streaming context on app exit
US9456240B2 (en) System and method bridg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US201201373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via a cellular network to mobile multimedia devices
US10116723B2 (en) Campus content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CN101527833A (zh) 用于发送或接收视频数据的方法和装置
CN104349218A (zh) 地面数字电视双向互动点播系统
US20050080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ackaging and distribution of data
KR101629274B1 (ko)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5139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로 iptv 컨텐츠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EP4115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to unicast services
KR20130090103A (ko) 이동 단말용 디지털 케이블 방송 셋톱박스,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KR101997182B1 (ko) Tv 장치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미디어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
CN102752586B (zh) 终端中收看电视的实现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