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040B1 -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 Google Patents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040B1
KR101629040B1 KR1020110137300A KR20110137300A KR101629040B1 KR 101629040 B1 KR101629040 B1 KR 101629040B1 KR 1020110137300 A KR1020110137300 A KR 1020110137300A KR 20110137300 A KR20110137300 A KR 20110137300A KR 101629040 B1 KR101629040 B1 KR 10162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oordinate value
points
coordinate
maximum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131A (ko
Inventor
김희중
박정욱
김승탁
강병관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0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은 좌표 상의 서로 다른 임의의 세 점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의 y좌표값과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2)의 y좌표값을 비교하는 제2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점(P1)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P0)을 선택하거나,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P4)을 선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선택된 점의 y좌표 값이 가장 인접한 두 개 점의 y좌표값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점 및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점 중 x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추종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최대 출력점 추종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최대 출력점 근처에서의 지속적인 진동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에서의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점 근사법을 이용해 정확하게 용이하게 최대 출력점을 찾아내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에는 최대 출력점 추종(MPPT) 제어, DC-DC 컨버터 입력전류제어, PLL 제어, 직류링크전압제어, 인버터 출력전류제어, 고립운전방지, 보호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최대 출력점 추종(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제어는 태양광 에너지의 전력이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 비선형 특성을 가지므로 최대 전력점을 찾아 효율을 최대화하는 방법이다.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를 통해 발생된 DC-DC 컨버터의 입력기준 전류를 통하여 DC-DC 컨버터 입력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가장 많이 이용되는 최대 출력점 추종 알고리즘은 섭동후관측법(Perturbation & Observation)과 인크리멘탈 컨덕턴스(incremental conductance) 방법이 있다.
도 1a는 섭동후관측법으로 힐 클라이밍 방법(Hill Climbing Method)라고도 불리는 최대 출력 추종 알고리즘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동후관측법은 태양전지의 동작점을 양단에 걸리는 전압 제어를 사용하는 경우, 전압을 일정한 폭으로 변동시킨 후 태양전지의 출력을 관측하고, 이전 출력과 비교하여 출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압을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방법이다. 태양 전지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전압과 전류의 곱을 이용해 태양전지의 출력을 구한다. 이전 측정값의 출력 전력의 변화가 0이면 최대 출력점인 Vref 값을 변경하지 않고 다를 경우 출력 변화와 전압 변화가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할 경우 Vref 값을 증가시키고 출력변화와 전압 변화가 반대로 변할 경우 Vref 값을 감소시킨다.
도 1b는 인크리멘탈 컨덕턴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다. 인크리멘탈 컨덕턴스 방법은 dP/dV의 부호를 사용해 전압의 상승 또는 하강을 결정한다. 인크리멘탈 컨덕턴스 방법과 섭동후관측법의 주된 차이점은 측정된 전압의 변동폭이 0인 경우에 대한 흐름도가 추가되는 것이다. 먼저 태양전지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해 전압변화가 0인 경우 전류변화가 없으면 그 점이 최대 출력점인 것으로 판단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전류의 변화에 따라 Vref 값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킨다. 전압변화가 0이 아닌 경우 dI/dV의 값과 I/V의 값의 비교를 통해 Vref 값을 변화시킨다.
상기 종래의 두 가지 방법은 태양전지의 전압과 전류의 변화량 즉 미분값을 사용하여 최대출력점을 추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최대 출력점 추종 알고리즘을 태양광 발전용 시스템에 DSP로 적용할 경우 두 방법 모두 알고리즘에서 ADC에 의한 양자오차나 측정 오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섭동후관측법에서 최대출력점에서 출력 변화가 0이되는 점이나 인크리멘탈 컨덕턴스 방법에서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전력의 변화가 0인 점이 존재하는 경우가 적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며 추종 속도를 결정하는 추종값 변화 크기에 대한 수학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여 임의의 값을 사용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 출력점 추종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최대 출력점 근처에서의 지속적인 진동을 제거할 수 있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은 좌표 상의 서로 다른 임의의 세 점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의 y좌표값이,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2)의 y좌표값을 비교하는 제2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점(P1)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P0)을 선택하거나,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P4)을 선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선택된 점의 y좌표 값이 가장 인접한 두 개 점의 y좌표값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점 및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점 중 x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추종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의 y좌표값이,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2)의 y좌표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점(P1)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P0)을 선택하고,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의 y좌표값이,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2)의 y좌표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3)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P4)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동일한 x좌표값을 가진 점이 둘 이상 있는 경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 값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동일한 y좌표값을 가진 점이 둘 이상 있는 경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 값을 갖는 점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선택된 점의 y좌표 값이 가장 인접한 두 개 점의 y좌표값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축은 전압을 나타내며, 상기 y축은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결정된 서로 다른 임의의 세 점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점 및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점을 연결한 선이 윗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x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추종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의하면 최대 출력점 추종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최대 출력점 근처에서의 지속적인 진동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b는 태양전지의 PV곡선을 나타하는 그래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있어서, 세 점을 선택하고 그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기존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이 갖는 기술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기존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이 갖는 기술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도 2b는 태양전지의 PV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b를 먼저 설명하면, 태양전지는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 도 2b와 같이 위로 볼록한 2차 곡선의 형태를 나타내며 동작한다. 여기서 가로축인 x좌표는 전압(V)을 나타내며 세로축인 y좌표는 태양전지의 전력(P)을 나타낸다. 즉 2차 곡선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태양전지의 최대 전력점을 나타내며, 상기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여 태양전지를 동작시킴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우선 태양전지의 전류(I) 및 전압(V)을 측정하고(S100), 측정된 값이 유효하다면(S110-Yes) 최대점 추종을 위한 임의의 세 점을 결정하며(S112), 측정된 값이 유효하지 않다면(S110-No) 세 점 리스트를 초기화한다(S114). 유효성 검사와 관련해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세 점 중 x좌표값이 동일한 점이 존재한다면(S120-No), x좌표축에서 높은 값을 갖는 두 점은 그대로 취하고(S122), 가장 적은 값을 x좌표갖는 점을 버리고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새로운 점을 선택한다(S146).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좌표는 전압을 나타내는 축이므로 V1, V2, V3는 세 점의 x좌표값을 나타낸다.
상기 S122는, 세 점 중 x좌표축에서 제일 작은 값을 갖는 점을 버리고, 세점 중 x좌표축에서 두번째 높은 값을 갖는 점(Pt1)과 세 점 중 x좌표축에서 세번째 높은 값을 갖는 점(Pt2)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S146은, 상기 S122 에서 선택된 두개의 점(Pt1,Pt2)과 상기 S122에서 버려진 하나의 점에 대한 x좌표값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새로운 점 하나를 추가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하 도 2a의 발명의 설명 과정에서, Pt1 또는 Pt2는 선택된 임의의 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 단계의 과정 중에서 상수가 의미하는 바는 세개의 점 중에서 첫번째의 값을 나타내는지, 두번째의 값을 나타내는지, 그리고 세번째의 값을 나타내는지를 의미한다.
즉, S122는, 세개의 점 중에서 x좌표값이 가장 큰 점(즉 세번째 큰 점=3)을 Pt2로 설명하였고, 세개의 점 중에서 x좌표값이 두번째 큰 점(=2)을 Pt1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상기 S122에서 상수는 x좌표값에 대한 크기를 나타낸다.
하지만 세 점 모두가 서로 다른 x좌표값을 갖는 경우(S120-Yes), y좌표 값을 비교한다(S13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y좌표는 전력을 나타내는 축이므로 P1, P2, P3는 세 점의 y좌표값을 나타낸다.
세 점의 y좌표값이 동일하다면(S130-No), x좌표축에서 높은 값을 갖는 두 점을 그대로 취하고(S132), 제일 큰 x좌표값을 갖는 점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새로운 점을 선택한다(S174).
상기 S132는, 세 점 중 x좌표축에서 제일 작은 값을 갖는 점을 버리고, 세점 중 x좌표축에서 두번째 높은 값을 갖는 점(Pt1)과 세 점 중 x좌표축에서 세번째 높은 값을 갖는 점(Pt2)을 선택한다. 그리고 S174는, 상기 S132에서 선택된 두개의 점(Pt1,Pt2)과, 상기 x좌표축에서 세번째 높은 값을 갖는 점(Pt2)보다도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새로운 점 하나를 추가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세 점의 y좌표값이 모두 다르다면(S130-Yes), x 좌표값이 순서대로 커지거나 순서대로 작아지는지를 비교하고(S140), 순서대로 커지거나 작아지는 형상이 아닌 경우(S140-No), 원래 취했던 두 개의 점을 그대로 취하고(S142), 다시 두 개의 점이 x좌표의 오른 방향으로 상승하는 형상이면(S144-No), 가장 큰 x좌표값 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한다(S174).
거꾸로 두 개의 점이 x좌표의 왼쪽 방향으로 상승하는, 즉 오른쪽 방향으로 하강하는 형상이면(S144-Yes), 가장 작은 x좌표값 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한다(S146).
세점의 x좌표값이 순서대로 커지거나 순서대로 작아지는 형상인 경우에는(S140-Yes), y좌표값을 비교한다(S150).
이때 세 점 중 x좌표값이 가장 큰 점의 y좌표값이 나머지 두 개의 y좌표값 사이에 존재하지 여부를 비교한다(S150). 만약 세 점 중 x좌표값이 가장 큰 점의 y좌표값이 나머지 두 개의 y좌표값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150-No), 연속된 세 개의 점 중 첫번째와 세번째 점을 취하고(S152), 위와 같이 첫번째 점보다 x좌표값이 더 작은 점 혹은 x좌표값이 더 큰 점을 선택한다(S144,S146,S174). 그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S152는, 세개의 점 중에서 x좌표값에 대해서 두번째 크기의 x좌표값을 갖는 점을 버리고, x좌표값에 대해서 제일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점(Pt1)과 제일 큰 x좌표값을 갖는 점(Pt2)을 선택한다. 그리고 S146 에서 다시 x좌표값을 기준으로 더 작은 점을 추가하는 과정 또는 S174에서 다시 x좌표값을 기준으로 더 큰 점을 추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만약 세 점 중 x좌표값이 가장 큰 점의 y좌표값이 나머지 두 개의 y좌표값 사이에 존재한다면(S150-Yes), 세 점을 연결한 곡선이 볼록한 2차 곡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60), 위로 볼록한 2차 곡선이면(S170-Yes), 최대 출력점(Vmppt)을 2차 곡선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점으로 추정한다(S180). 만약 아래로 볼록한 2차 곡선이면(S170-No), 다시 두 개의 점을 취하고(S172), 또 다른 한 개의 점을 선택한다(S174). 이러한 방법으로 최대 출력점을 추종한다면, 기존의 방법에서와 같이 최대 출력점을 추종하면서 생기는 진동을 없애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S170은, 세점을 연결한 2차곡선의 계수값(Coeff)이 0보다 작은지를 비교하고, 0보다 작을 때는 위로 볼록한 그래프가 그려지고, 세점을 연결한 2차곡선의 계수값이 0보다 클 때는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가 그려지는 것을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S170에서 위로 볼록한 2차 함수 그래프일 때, S180에서는 상기 2차 함수 그래프의 꼭지점을 최대 출력점(Vmppt)으로 추정한다.
삭제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g에서 가로축은 전압을 나타내는 x축이며, 세로축은 전력을 나타내는 y축이지만, 좌표축은 생략하고 세 점의 위치만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하겠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g에서 가장 바람직한 가상의 PV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즉 구하고자 하는 최대 출력점을 포함하는 PV 곡선을 말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임의의 세점을 잡는다. 이를 각각 n-2, n-1, n이라 표시한다. 각각의 점은 x좌표 상에서 순서대로 존재하며, 동일한 x좌표나 동일한 y좌표를 갖지 않는다. 이 세점을 연결하면 도 3b의 점선과 같은 모양이 된다. 다만 이 경우 가장 x좌표값이 큰 n의 y좌표값이 n-2와 n-1의 y좌표값 사이에 들어와 있지 않으므로 최대 출력점을 추종할 수 없다. 따라서 n-2의 점을 버리고, n보다 x좌표값이 더 큰 또 하나의 점을 구한다. 새로 구해진 점이 추가되어 도 3c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
도 3c에서도 x좌표선상을 따라 가장 작은 값부터 n-2, n-1, n이라 표시한다. 이 경우 세 개의 점을 연결하면 도 3d의 점선과 같은 2차 곡선의 형태가 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아래로 볼록한 2차 곡선이 되므로, 여기서도 최대 출력점을 추종할 수 없다. 따라서 도 3e에서의 점선과 같이 위로 볼록한 곡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 경우 다시 도 3c에서의 n-2의 점을 버리고, 다시 n보다 x좌표값이 더 큰 점을 선택한다. 이제 또 다시 세 개의 점이 설정되었고, 이를 도 3f에 도시하였다. 도 3f에 도시된 점을 다시 n-2, n-1, n으로 표시하였다. 이 경우 세 점을 연결한 곡선은 도 3g에서와 같이 위로 볼록한 형태가 된다. 또한 가장 큰 x좌표값을 가진 n의 y좌표값은 나머지 두 개의 점인 n-2의 y좌표값과 n-1의 y좌표값의 사이에 존재한다.
이렇게 세 점을 연결한 2차 곡선이 위로 볼록한 형태가 되며, 가장 큰 x좌표값을 가진 n의 y좌표값은 나머지 두 개의 점인 n-2의 y좌표값과 n-1의 y좌표값의 사이에 존재하면, 그 2차 곡선의 꼭지점, 즉 최대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추종한다.
도 3g에서와 같이 구하고자 하는 최대 출력점(실선)과 도 3a 내지 도 3g의 과정을 거쳐 추종된 최대 출력점이 일치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g의 설명은 x좌표가 커짐에 따라 y좌표 값이 커지는 양의 기울기를 가진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음의 기울기를 갖는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최대 출력점이 추종되며, 구체적으로는 점이 좌측, 즉 x좌표값이 작아지는 쪽으로 이동하면서 최대 출력점이 추종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세 점을 선택하고 그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실선은 최종적으로 구하고자 하는 2차 곡선의 형태를 나타낸다.
우선 4a와 같이 세 점이 선택된 이후, 급격한 일사량 변화시 도 4b와 같이 변한다면 도 4a와 도 4b는 점선으로 표시된 곡선의 형태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없기 때문에 세 점은 유효한 점으로 인정한다.
반면 도 4c와 같이 세 점이 선택된 이후, 급격한 일사량 변화시 도 4d와 같이 급격한 차이가 생기는 경우, 즉 도 4d에서와 같이 가운데 위치한 점의 전력이 크게 상승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두 점이 새로운 출력 곡선과 다를 가능성이 크므로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새로운 세 점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가장 유효한 세 점을 선택하고 도 2a에서 설명한 흐름에 따라 최대 출력점을 추종한다.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기존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이 갖는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우선 도 5a는 기존의 인크리멘탈 컨덕턴스 방법과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세 점 근사법을 이용한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각각의 그래프는 위에서 아래로 태양전지의 전압, 태양전지의 전류, 태양전지의 전력을 나타낸다.
도 5a와 같이 기존의 방법에서는 최대 출력점이 위아래로 진동하면서 추종됨을 보여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b에서와 같이 최대 출력점이 완전하게 한 점으로 수렴하면서 진동이 사라짐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어가 안정화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 역시 기존의 인크리멘탈 컨덕턴스 방법과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세 점 근사법을 이용한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0.5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일사량이 1000에서 300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가 0.2초 후인 0.7초에 일사량이 원 상태로 회복된 경우를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그래프는 위에서 아래로 태양전지의 전압, 태양전지의 전류, 태양전지의 전력을 나타낸다.
기존의 방법에 의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사량이 급격히 변하는 구간에서 불안정하게 최대 출력점을 찾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도 없을 뿐만 아니라 최대 출력점을 추종하는 시간도 매우 빠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에 의하면 최대 출력점 추종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최대 출력점 근처에서의 지속적인 진동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한 바에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좌표 상의 서로 다른 임의의 세 점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의 y좌표값과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의 y좌표값을 비교하는 제2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점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하거나,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선택된 점의 y좌표 값이 가장 인접한 두 개 점의 y좌표값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점 및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점 중 x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추종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의 y좌표값이,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의 y좌표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점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하고,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의 y좌표값이, 두 번째로 큰 x좌표값을 갖는 점의 y좌표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값을 갖는 점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동일한 x좌표값을 가진 점이 둘 이상 있는 경우, 세 점 중 가장 작은 x좌표 값보다 더 작은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동일한 y좌표값을 가진 점이 둘 이상 있는 경우, 세 점 중 가장 큰 x좌표 값을 갖는 점보다 더 큰 x좌표값을 갖는 임의의 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선택된 점의 y좌표 값이 가장 인접한 두 개 점의 y좌표값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축은 전압을 나타내며, y축은 전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결정된 서로 다른 임의의 세 점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점 및 가장 인접한 두 개의 점을 연결한 선이 윗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x축 상에서 중앙에 위치한 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추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KR1020110137300A 2011-12-19 2011-12-19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KR10162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300A KR101629040B1 (ko) 2011-12-19 2011-12-19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300A KR101629040B1 (ko) 2011-12-19 2011-12-19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131A KR20130070131A (ko) 2013-06-27
KR101629040B1 true KR101629040B1 (ko) 2016-06-10

Family

ID=4886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300A KR101629040B1 (ko) 2011-12-19 2011-12-19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5146B (zh) * 2023-04-17 2024-03-15 广州菲利斯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mppt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145A (ja) 1999-12-20 2001-06-29 Akihiko Yonetani 最大電力運転インバータシステム
JP2011170835A (ja) 2010-01-19 2011-09-01 Omron Corp Mppt制御器、太陽電池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mppt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mppt制御器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20B1 (ko) * 2007-07-02 2009-04-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사기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의 mppt 제어시스템
KR101087823B1 (ko) * 2010-01-18 2011-1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최대전력점 추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145A (ja) 1999-12-20 2001-06-29 Akihiko Yonetani 最大電力運転インバータシステム
JP2011170835A (ja) 2010-01-19 2011-09-01 Omron Corp Mppt制御器、太陽電池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mppt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mppt制御器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131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Modified hill climbing MPPT algorithm with reduced steady‐state oscillation and improved tracking efficiency
Sundararaj et al. CCGPA‐MPPT: Cauchy preferential crossover‐based global pollination algorithm for MPPT in photovoltaic system
US9354652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and devic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0989441B1 (ko) 적응형 퍼지모델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대전력 추정방법
US11316347B2 (en) Photovoltaic pow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42152A1 (en) Method for searching global maximum power point
KR101006100B1 (ko) 일사량에 따른 섭동 및 관측 방법을 이용하여 최대 전력을 추정하는 태양광 발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13748A1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KR101615747B1 (ko) 부분음영 시의 태양광 인버터의 mppt 효율 개선 방법
JP2015520592A5 (ko)
Kang et al. A Novel MPPT Control of photovoltaic system using FLC algorithm
CN105116957B (zh) 一种光伏发电系统最大功率点跟踪方法
Jordehi Gravitational search algorithm with linearly decreasing gravitational constant for parameter estimation of photovoltaic cells
TW201631433A (zh) 太陽光伏發電之最大功率追蹤方法
JP5620304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当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電力変換装置
JP5903341B2 (ja) 発電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制御方法
KR101629040B1 (ko) 최대 출력점 추종 방법
Mohanty et al. Global maximum operating point tracking for PV system using fast convergence firefly algorithm
CN108803771A (zh) 基于自适应模糊控制的最大功率点跟踪方法
CN111198592B (zh) 一种光伏最大功率点跟踪方法及装置
KR101336811B1 (ko) 고속의 mppt 작동방법
KR102581386B1 (ko) 태양광 패널의 최대 전력을 추정하는 mpp 추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5159388B (zh) 一种用于光伏微网系统中的最大功率点跟踪的方法
WO2016015635A1 (zh) 一种防止mppt误判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713688B (zh) 一种自适应变步长mppt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