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639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639B1
KR101627639B1 KR1020140079498A KR20140079498A KR101627639B1 KR 101627639 B1 KR101627639 B1 KR 101627639B1 KR 1020140079498 A KR1020140079498 A KR 1020140079498A KR 20140079498 A KR20140079498 A KR 20140079498A KR 101627639 B1 KR101627639 B1 KR 10162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hamber
discharge
chamb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269A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to KR102014007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집진실이 종래보다 소형화되면서도, 제1집진실 및 제2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진공 청소기가 제1유통구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개폐수단인 로터리밸브 없이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본체의 하류부에, 송풍기를 내장한 흡인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실이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더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집진실에 고형물이 쌓이게 되어, 집진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집진실에 쌓인 고형물을 수동으로 본체 밖으로 빼어내게 된다.
이러한 고형물 빼어내는 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3725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진공청소기에서는 음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밖의 먼지를 청소기 본체 내로 수용하였다가 양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체의 집진실에 축적된 혐오물인 먼지 등을 사용자가 접촉함 없이 버릴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상기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 밑에 로터리밸브가 배치되어 있어서, 본체의 높이방향에서 비대해져 결국 진공 청소기 본체가 비대해 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서로 유통가능한 통형상의 제1집진실과 사이클론형상의 제2집진실 및 상기 제2집진실에 유통한 흡인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통형상의 제1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양단이 상기 제1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를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사이클론형상의 제2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양단이 상기 제2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2유통구를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2유통구에 포집포대를 접속시키고, 상기 제1집진실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 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로터리개폐부를 상기 집진실에 마련하고, 상기 제1집진실과 상기 제2집진실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3유통구의 상류단에 부피가 큰 고형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로터리개폐부에 필터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제1집진실이 종래보다 소형화되면서도, 제1집진실 및 제2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진공 청소기가 제1유통구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개폐수단인 로터리밸브 없이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집진실에 마련된 로터리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체의 집진실 내부 공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본체에서 스크류피더를 내장한 토출실을 부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도 1의 본체에서 흡인실에 유통한 토출실을 부가하여 도시한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본체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가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제1집진실(12), 사이클론형상의 제2집진실(22) 및 흡인실(13)이 서로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일측벽(12a) 상부에 형성된 흡입관통구멍(1a)을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이 상기 흡입구(1)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에 형성된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을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이 상기 제1집진실(12)과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15)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집진실(12)의 길이방향 타측벽(12b) 상부에 상기 흡입관통구멍(1a)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토출관통구멍(1c)을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이 상기 제2집진실(22)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2유통구(1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에는 고형물을 여과하는 다공판(17)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2집진실(22)의 내부는 사이클론형상부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의 하부와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제3유통구(18)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밸브 등과 같이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2집진실(22)은 상기 제2집진실(2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4유통구(1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흡인실의 공기를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실(12)에는 상기 다공판(17)에 미끄럼하여 상기 다공판(17)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떼어내거나 절단하고, 상기 제1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15)로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로터리개폐부(9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개폐부(90)는 상기 제1집진실(12)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어서 회전가능하게 칸막이 벽부에 양단이 장착되어 모터(6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91); 상기 회전축(9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제1집진실(12)의 일측벽(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도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흡입측디스크판(92); 상기 회전축(91)의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제1집진실(12)의 타측벽(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도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토출측디스크판(93); 및 상기 회전축(91)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상기 회전축(91)의 반경 바깥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부가 상기 회전축(9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뻗어서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에 기밀적으로 관통하여 고정되어서 상기 일측벽(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타측부가 상기 회전축(9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뻗어서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에 기밀적으로 관통하여 고정되어서 상기 타측벽(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부에 복수개의 포켓(9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91)은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지만 수동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91)에 의해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과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흡입관통구멍(1a)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들 사이에 복수개의 흡입슬롯구멍(96)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토출관통구멍(1c)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들 사이에 복수개의 토출슬릿구멍(9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슬릿구멍(97)을 통하여 노출된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타측부의 부위 각각은 상기 다공판(17)에 미끄럼하여 상기 다공판(17)에 붙어 있거나 꽂혀있는 고형물을 떼어내거나 절단하는 문지름부(98)로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두께는 상기 흡입관통구멍(1a)과 토출관통구멍(1c)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91)이 회전하여도 항상 상기 흡입구(1), 상기 집진실(12) 및 상기 제2유통구(16)가 유통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제1유통구(15)의 하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포대(70)의 입구(71)를 접속시키기 위해 방출구(3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3유통구(18)의 하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포대(70)의 입구(71)를 접속시키기 위해 방출구(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포집포대(70)가 비닐봉투인 경우에, 상기 포집포대(70)에 고형물이 충전되면 상기 입구(71)를 예를 들면 열에 의해 녹여서 밀봉하는 도시되지 않은 밀봉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포집포대(70) 내의 고형물이 사용자에 접촉되는 것과 흡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포대(70)가 비닐로 된 기다란 관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포집포대(70)를 절단하는 도시되지 않은 파단수단이 상기 진공청소기에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포집포대(70)를 상기 진공청소기에 상기 포집포대(70)의 길이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수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크기를 가진 포집포대(70)를 만들기 위해 포집포대의 바닥과 입구를 밀봉하고 파단할 수 있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포대(70)는, 상기 입구(71)를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포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유통구(15, 18)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30)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고, 상기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출구(32)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실(30)은 관형으로 되어 있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실(30)의 내부에는 스크류피더(50)의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실(30)에는 송풍기(20)에 의해 흡인실(13)에서 발생된 양압의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토출실(30)에 이송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방출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토출구(13a)를 배제시킨 대신에 흡인실(13)이 상기 토출실(30)을 제5유통구(19)에 의해 서로 유통가능하게 접속시킬 수도 있다.
상기 송풍기(20), 상기 로터리개폐부(90), 상기 개폐수단(40) 및 스크류부(51)는 이들 사이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피더(50)에서 상기 스크류부(51)가, 제1유통구(15)에서 방출구(32)로 갈수록 체적이 작아질 수 있도록 직경이나 피치가 작아지게 되어 있으면, 상기 토출실(30)에 유입된 고형물을 압축하여 먼지 등의 비산 현상을 야기하지 않고 포집포대(70)에 담을 수 있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송풍기(20)를 가동하고 로터리개폐부(90) 및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하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흡입구(1)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흡입 덕트구 밖의 공기와 고형물(예를 들면, 먼지, 낙엽 등)이, 흡입구(1)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집진실(12)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중에서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고 있는 제1포켓(94)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제1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들 중 큰 입자의 고형물은 상기 다공판(17)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고 있는 제1포켓(94)에 쌓이게 되고, 상기 다공판(17)을 통과한 공기와 작은 입자의 고형물은 상기 제2집진실(22)에 유입되어 원심력과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집진실(22)의 하부에 배치된 개폐수단(40)에 쌓이게 되고, 상기 제2집진실(22)에서 고형물이 여과된 공기는 상기 흡인실(13)을 경유하여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한편, 상기 제1포켓(94)에 쌓인 큰 입자의 고형물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12시방향에서 6시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통구(15) 내에 자연낙하하여 본체(10) 밖의 포집포대(70)에 수납되고,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40)에 쌓인 작은 입자의 고형물이 상기 개폐수단(40)의 가동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유통구(18)내에 자연낙하여 본체(10) 밖의 포집포대(70)에 수납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은 입자의 고형물과 상기 큰 입자의 고형물이 상기 토출실(30)에 토출되어 스크류피더(50)에 의해 포집포대(70)에 수납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30)에 토출된 다음, 송풍기(20)에 의해 발생한 양압 공기에 의해 포집포대(70)에 수납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모터는 원동기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원동기에 송풍기, 로터리개폐부, 로터리밸브와 같은 개폐수단, 스크류피더 등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축(91)에 흡입측디스크판(92)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에 흡입슬릿구멍(96)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이 배제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이 없이도 상기 흡입구(1),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제2유통구(16)가 항상 유통상태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도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17)은 회전축(91)의 둘레방향으로 기다란 원호형상을 갖되 둘레방향 양단이 상기 하나의 포켓(94)을 구획형성하는 두개의 칸막이벽(95)을 넘어서 뻗어 있으면, 상기 다공판(17)에 낙엽과 같이 표면적이 큰 고형물이 음압에 의해 붙게 되어도, 상기 하나의 포켓(94)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포켓(94)과 상기 다공판(17)이 유통상태에 있으면서 상기 칸막이벽(95)의 문지름부(98)가 상기 다공판(17)에 미끄럼하여 상기 다공판(17)에 붙어 있거나 꽂혀있는 고형물을 떼어내거나 절단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다공판(17)이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에 개재되어 바람직하게 문지름부(98)과 미끄럼접촉하여 상기 다공판(17)에 붙어 있거나 꽂혀있는 고형물을 떼어내거나 절단하여 다공판(17)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고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이 상기 제1집진실(12)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공판(17)이 상기 복수개의 링형형상의 토출슬릿구멍(97) 각각에 개재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이 상기 제1집진실(12)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공판(17)이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타측단들 사이 각각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문지름부(98)가 배제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하나의 포켓(94)이 제1집진실 공간이 되고 다른 하나의 포켓(94)이 토출실의 공간이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집진실(12)에 마련된 제1유통구(15) 및 상기 흡인실(13)에 마련된 상기 토출구(13a)를 배제하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에 형성된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을 일측벽(12a)의 하부에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 및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을 관형부(99)에 내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관형부(99)를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시키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타측벽(12b) 하부에서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유통시키는 제3유통구(18)의 하류단을 상기 복수개의 토출슬릿구멍(97)과 선택적으로 마주하게 노출시키고, 상기 제3유통구(18)의 하류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일측벽(12a) 하부에서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유통시키는 방출구(32)의 상류단을 상기 복수개의 흡입슬릿구멍(96)과 선택적으로 마주하게 노출시키고 상기 로터리개폐부(90)의 다른 구성요소를 동일하게 구비하게 상기 진공청소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의 진공청소기에서도,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이 배제되는 대신에 상기 칸막이벽(95)의 일단만 상기 집진실(12)의 일측벽(12a)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이 없이도 흡입구(1), 상기 제1집진실(12) 및 상기 방출구(32)가 항상 유통상태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도 배제되는 대신에 상기 칸막이벽(95)의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의 타측벽(12b)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의 진공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송풍기(20)를 가동하고 로터리개폐부(90)와 상기 개폐수단(40)을 가동하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흡입구(1)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흡입 덕트구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중에서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고 있는 제1포켓(94)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제1포켓(94)에 유입된 고형물 중 큰 입자의 고형물은 상기 다공판(17)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1포켓(94)에 쌓이게 되고, 상기 다공판(17)을 통과한 공기와 작은 입자의 고형물은 상기 제2집진실(22)에서 원심력과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40) 쪽으로 이동하여 쌓이게 되고, 상기 제2집진실(22)에서 상기 작은 입자의 고형물이 여과된 공기는 상기 흡인실(13), 제5유통구(19)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집진실(12)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중에서 상기 제5유통구(19)와 유통하고 있는 제2포켓(94) 내로 유입되게 되어 제2포켓(94)과 유통하고 있는 방출구(32)를 경유하여 본체(10) 밖으로 나가게 되는 한편, 상기 제1포켓(94)에 쌓인 고형물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12시방향에서 6시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20)에 의해 발생한 양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방출구(32)를 경유하여 본체(10) 밖의 포집포대(70)에 수납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제2집진실(22) 쌓인 고형물도 상기 개폐수단(40)의 가동에 의해 제3유통구(18)의 하류단으로 자연낙하하여 상기 제5유통구(19)에 유입되어 상기 제1집진실(12)의 고형물과 함께 본체(10) 밖의 포집포대(70)에 수납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진공청소기는 제1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진공 청소기가 제1유통구(15)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개폐수단인 로터리밸브가 배제되어 본체가 종래보다 간단한 구조로 되고 소형화되면서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일측단 각각에는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절단칼(42, 41)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유통구(15)의 상류단, 즉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선단측 각각에는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제3 및 제4 절단칼(87, 86)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 로터리개폐부(9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수개의 칸막이벽(95) 각각이 12시 방향에 위치될 때, 상기 제1절단칼(42)은 흡입구(1)의 하류단의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2절단날(41)은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일측단 각각의 우측에 구비되어 우측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도 2에서 로터리개폐부(9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수개의 칸막이벽(95) 각각이 6시 방향에 위치될 때, 제3절단날(87)은 상기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의 좌측에 구비되어 우측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4절단날(86)은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일측단 각각의 좌측에 구비되어 좌측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10-2014-0067337호 개시된 절단수단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절단날 및/또는 제3 및 제4절단날이 구비되어 있으면, 기다란 고형물이나 표면적이 큰 고형물을 포켓에 수용하여 방출시킬 때 용이하게 이들을 절단하여 원활하게 상기 로터리개폐부(90)가 회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절단날은 도 6에서 방출구(32)의 상류단과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일측단에도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개폐부(90)가 관형부를 구비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개폐부(90)가 관형부(99)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도 상기 로터리개폐부(90)가, 상기 다른 실시예와 같이, 관형부(99)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에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마주하게 될 때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부(99)에 상기 관형부(99)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도시되지 않은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으로 용이하게 빠져나오도록 상기 관형부(99)가 상기 관형부(99)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10; 본체, 20; 송풍기

Claims (19)

  1.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에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제1집진실(12), 사이클론형상의 제2집진실(22) 및 흡인실(13)이 서로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에 유통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일측벽(12a) 상부에 형성된 흡입관통구멍(1a)을 통하여 상기 집진실(12)이 상기 흡입구(1)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 또는 일측벽 하부에 형성된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을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이 본체(10) 외부와 유통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타측벽(12b) 상부에 상기 흡입관통구멍(1a)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토출관통구멍(1c)을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이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제2집진실(22)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2유통구(16)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의 하부와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제3유통구(18)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이 상기 제2집진실(2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4유통구(14)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으로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로터리개폐부(9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개폐부(90)는
    상기 집진실(12)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어서 회전가능하게 칸막이 벽부에 양단이 장착된 회전축(91); 및
    상기 회전축(91)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집진실(12)의 내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상기 회전축(91)의 반경 바깥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부가 상기 회전축(9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뻗어서 상기 집진실(12)의 길이방향 일측벽(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어 있고, 타측부가 상기 회전축(9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뻗어서 상기 집진실(12)의 길이방향 타측벽(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집진실(12)의 내부에 복수개의 포켓(9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칸막이벽(95)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에는 고형물을 여과하는 다공판(17)이 개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타측단들 사이에 복수개의 다공판(17)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 또는 일측벽 하부에 형성된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을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고형물 자체의 자중에 의해 또는 송풍기(20)의 양압에 의해 상기 제1집진실(12)에서 방출되고,
    상기 제2집진실(22)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상기 개폐수단(40)을 통하여 고형물 자체의 자중에 의해 또는 상기 송풍기(20)의 양압에 의해 상기 제2집진실(22)에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91)의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제1집진실(12)의 타측벽(12b)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도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타측부가 기밀적으로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는 토출측디스크판(9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이 회전할 시에 상기 토출관통구멍(1c)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의 부위에는 토출슬릿구멍(9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9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제1집진실(12)의 일측벽(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도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일측부가 기밀적으로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는 흡입측디스크판(9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이 회전할 시에 상기 흡입관통구멍(1a)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의 부위에는 흡입슬릿구멍(96)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타측단들 사이에 복수개의 다공판(17)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토출슬릿구멍(97)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다공판(17)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이 회전할 시에 상기 제2유통구(16)의 하류단에 마련된 상기 다공판(17)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타측부의 부위는 상기 다공판(17)에 미끄럼 접촉하는 문지름부(98)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17)은 회전축(91)의 둘레방향으로 기다란 원호형상을 갖되, 둘레방향 양단이 하나의 포켓(94)을 구획형성하는 두개의 칸막이벽(95)을 넘어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두께는 상기 흡입관통구멍(1a)과 상기 다공판(17)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실(13)에는 흡인실의 공기를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에 형성된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유통하고, 상기 제2집진실(22)에 상기 개폐수단(40)을 개재하여 유통하는 상기 제3유통구(18)와 유통하는 토출실(3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스크류피더(50)의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상기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에 형성된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유통하고 상기 제2집진실(22)에 상기 개폐수단(40)을 개재하여 유통하는 상기 제3유통구(18)와 유통하는 토출실(3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은 제5유통구(19)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유통하고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상기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타측벽(12b) 하부에 상기 제1집진실(12), 상기 제3유통구(18) 및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5유통구(19)의 하류단이 상기 제1집진실(12)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과 상기 흡입측디스크판(92)과 상기 토출측디스크판(93)이 관형부(99)에 내접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가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타측벽(12b) 하부에서 상기 제5유통구(19)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토출슬릿구멍(97)과 선택적으로 마주하게 노출되고,
    상기 제5유통구(19)의 하류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1집진실(12)의 길이방향 일측벽(12a) 하부에서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유통시키는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이 상기 복수개의 흡입슬릿구멍(96)과 선택적으로 마주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32)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32)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일측단 각각의 사이 그리고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선단측 각각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사이에는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한 쌍의 절단칼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이 관형부(99)에 내접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가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마주하게 될 때 상기 고형물토출관통구멍(1b)과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부(99)에 상기 관형부(99)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99)가 상기 관형부(99)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40079498A 2014-06-27 2014-06-27 진공청소기 KR10162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98A KR101627639B1 (ko) 2014-06-27 2014-06-27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98A KR101627639B1 (ko) 2014-06-27 2014-06-27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69A KR20160001269A (ko) 2016-01-06
KR101627639B1 true KR101627639B1 (ko) 2016-06-07

Family

ID=5516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498A KR101627639B1 (ko) 2014-06-27 2014-06-2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6312B2 (ja) 2002-03-08 2010-03-03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真空掃除機用装置
JP2012232059A (ja) 2011-05-09 2012-11-29 Yoshie Mishiba 帯電クリーナー用除埃器
KR101372513B1 (ko) 2013-01-17 2014-03-25 주식회사 칼라카나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9049A (ja) * 1985-11-19 1987-05-30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プロツタバツフア回路
KR20140037522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칼라카나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6312B2 (ja) 2002-03-08 2010-03-03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真空掃除機用装置
JP2012232059A (ja) 2011-05-09 2012-11-29 Yoshie Mishiba 帯電クリーナー用除埃器
KR101372513B1 (ko) 2013-01-17 2014-03-25 주식회사 칼라카나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69A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38B1 (ko) 진공청소기
KR101781997B1 (ko) 집진기
KR102552903B1 (ko) 청소기
KR102438130B1 (ko) 공기청정기
KR101372513B1 (ko) 진공 청소기
KR102074288B1 (ko) 청소기
KR102073618B1 (ko) 청소기
ES2912135T3 (es) Separador centrífugo de gases
KR101645328B1 (ko) 진공청소기
KR101392428B1 (ko) 진공청소기
EP300592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1627639B1 (ko) 진공청소기
TW201729746A (zh) 抽吸式清潔裝置
KR101642024B1 (ko) 진공청소기
KR20160043401A (ko) 진공청소기
KR20160065065A (ko) 진공청소기
KR101245673B1 (ko) 진공청소기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KR20160000115A (ko) 진공청소기
KR102344069B1 (ko) 청소기
KR101635501B1 (ko) 진공청소기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KR101583029B1 (ko) 진공청소기
TW201726041A (zh) 吸塵器,特別是手持式可充電吸塵器
KR101684470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