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18B1 -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 Google Patents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218B1
KR101627218B1 KR1020140063448A KR20140063448A KR101627218B1 KR 101627218 B1 KR101627218 B1 KR 101627218B1 KR 1020140063448 A KR1020140063448 A KR 1020140063448A KR 20140063448 A KR20140063448 A KR 20140063448A KR 101627218 B1 KR101627218 B1 KR 10162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s
pair
housing
hing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6256A (en
Inventor
유옥정
Original Assignee
유옥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정 filed Critical 유옥정
Priority to KR102014006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1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화된 구조이면서도 저음의 확대를 통한 광대역 음향 재현을 효과적으로 구현함과 더불어, 음향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는, 내부에 스피커유닛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인클로저와; 이들 한 쌍의 인클로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연결된 주름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인클로저의 회동에 대응하여 가변 가능한 음향공간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인클로저의 내부공간은 상기 주름튜브의 음향공간과 소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variable type slim speaker capable of effectively realizing a wide band sound reproduction through enlargement of a bass sound and having a slim structure and effectively overcoming physical limitations of an acoustic space.
A space variable type slim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enclosures each having speaker units installed therein and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 pleated tube retractab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enclosures; And an inner space of the pair of enclosers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acoustic space of the corrugated tube. The acoustic device of claim 1, do.

Figure R1020140063448
Figure R1020140063448

Description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본 발명은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림(slim)화된 구조이면서도 저음의 확대를 통한 광대역 음향 재현을 효과적으로 구현함과 더불어, 음향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variable type slim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m speaker having a slim structure and effectively realizing a wide band sound reproduction by enlarging bass, and also capable of effectively overcoming physical limitations of an acoustic space To a variable type slim speaker.

소형 또는 대형의 구분 없이 공히 슬림타입의 전자기기가 각광받는 사용자 환경이 도래되었으며, 이러한 추세에 맞춰 음향기기 또한 슬림한 형태가 시장의 주류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향의 직접적인 변환이 주요 기능인 스피커의 두께 또한 얇은 형태가 시대의 대세로 인식되고 있다. A user environment in which slim type electronic devices are widely popularized regardless of small size or large size has arrived, and a slim form of the sound device has been established as the mainstream of the market to meet this tren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speaker, which is a main function of direct conversion of sound, is also recognized as a trend of the time.

기존의 음향기술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면, 원음의 수집과 변화, 신호처리, 전기-음향 변환을 통한 음의 재생성 등으로 분류되고, 최종단계인 음향 변환의 경우는 스피커유닛기술, 스피커 인클로저기술, 음향방사 공간제어기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coustic conversion at the final stage, the speaker unit technology, the speaker enclosure technology, the audio processing technology, And acoustic space control technology.

종래의 스피커유닛기술에는 이중 자기회로의 채용, 금속박막에 의한 서스펜션 창출과 적용, 압전세라믹스의 역 피에조효과, 멤브레인 결합의 박막형 다중적층, 진동체조성과 적용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슬림한 스피커가 현재 실용화되고 있으며, 디지털TV, 유/무선 포터블 오디오 등과 같은 다양하고 슬림한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conventional speaker unit technology, such as the adoption of a double magnetic circuit, the creation and application of a suspension by a metal thin film, the reverse piezo effect of a piezoelectric ceramics, the thin film type lamination of membrane bonding, Has been put into practical use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slim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gital TV, wired / wireless portable audio, and the like.

한편, 디지털 신호처리 위주인 일반 하드웨어와 달리 스피커는 스피커유닛성능을 제한 없이 사용하기 위한 이상조건으로 스피커유닛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탑재되어 스피커유닛 전면의 방사 및 반사면적을 가능한 크게 할 것과, 진동판의 운동이 구속되지 않는 범위의 공기 양(Vas), 즉 스피커유닛 등가 컴플라이언스에 해당되거나 그보다 큰 용적의 공기로 채워진 스피커유닛 뒷면의 물리적 공간을 필요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general hardware mainly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a speaker is mounted on a system in which a speaker unit is used as an abnormal condition for using the speaker unit performance without limitation, It requires physical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speaker unit filled with air of a volum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ir volume (Vas), i.e. speaker unit equivalent compliance, in which the motion is not restrained.

즉, 스피커유닛이 슬림화되더라도 스피커유닛이 갖는 저음영역의 이상적 재현을 위해서 진동판의 면적과 스피커유닛의 기계적 등가 컴플라이언스에 따른 적정한 Vas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저음이 확대될수록 스피커 인클로저의 내부공간이 커질 수밖에 없다. That is, even if the speaker unit is made slim, a proper Va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diaphragm and mechanical equivalence of the speaker unit is required for ideal reproduction of the low-frequency sound region of the speaker unit, and accordingly the internal space of the speaker enclosure none.

이러한 물리적 제약은 공간 자체가 극소화된 슬림 제품일수록 재생 대역을 중/고음 위주로 압축하여 전이시킴으로써 전체 음향품질의 밸런스가 상대적으로 반감되며, 이러한 현상은 첨단제품에서 보다 심화되어 슬림화가 대세임에도 불구하고 음향기기의 혁신적 진화를 방해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This physical limitation is that the balance of the overall sound quality is relatively halved by compressing and shifting the reproduction band mainly to the middle / high sound as the space itself is minimized, and this phenomenon becomes more severe in the high-end products, It prevents or prevents the evolution of the device.

예컨대, 슬림 디지털TV의 측면 또는 하단에 음향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슬림바 또는 스틱타입 스피커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저음의 확대를 통한 광대역 음향 재생을 위하여 예외 없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별도의 우퍼시스템을 반드시 추가적으로 적용하여야 하고, 고품질의 광대역 음향재현을 목적으로 하는 유/무선 포터블 스피커시스템 또한 저음 확대에 방해되는 물리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한 방편으로 점차 그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별도의 우퍼시스템을 추가시키는 추세이다. For example, when a slim bar or a stick type speaker system for improving sound quality is installed on the side or bottom of a slim digital TV, a separate woofer System should be additionally applied. Also, a wired / wireless portable speaker system for the purpose of reproducing high-quality wideband sound is also required to increase its size gradually or to add a separate woofer system in order to be free from physical constraints impeding bass expansion Trend.

이에 따라, 공간이 작으면서도 저음의 확대를 통한 광대역 음향재현에 있어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스피커시스템의 구현은 동업계의 오랜 숙원사업이고 음향기술의 진화를 통한 업계 전반의 혁신적 제품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막강한 미래 경쟁력인 동시에 기술선점을 위해 반드시 이룩하여야 할 시급한 당면과제이면서 음향과 연관된 산업 전반의 최종 목표라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plementation of a speaker system capable of overcoming the physical limitations of space in reproduction of wide-band sound through expansion of low-frequency sound while having a small space is a long-sought-after business in the industry, And it is the urgent matter that must be accomplished for the preemp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the final goal of the overall industry related to the sound.

이러한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스피커의 일예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4190호 (명칭: 저음 및 고음을 가변하는 휴대용 스피커 공명가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of a speaker for overcoming the physical limitation of such a spac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104190 (titled: portable speaker resonance variable which changes bass and treble) Device).

상기 특허문헌인 선행기술은 배터리와 전자부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 본체부와, 이 본체부가 중심에 위치하여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는 외부케이스와, 이 외부케이스 양측 내부에 스피커와 이 스피커의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고정통공판이 구비되어 외부의 음원통공으로 음원이 출력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통공판 일측에 회전되는 원형회전판이 장착되어 음원통공의 공명 홀 개방크기를 가변하는 회전 슬라이딩 개폐형으로 음원의 고음역을 조절하는 공명조절부와, 상기 외부케이스와 본체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에 본체부 간의 케이스 진동마찰음을 최소화와 음원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U'자형 고무링을 포함하고 있다. The prior art, which is a patent docu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battery and an electronic part are accommodated, an outer case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slid on both sides to open and close, And a circular rotary plate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xed circular plate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is installed to receive the resonance of the sound source hole, A resonance adjuster for adjusting a high frequency range of a sound source by a rotary sliding opening / closing type variable hole opening size; a case resonance preventing mechanism for minimizing the case vibration frictional soun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a U-shaped rubber ring coupled to the retaining jaw.

이러한 구성의 선행기술은 부피에 따른 음량조절과 저음의 조절이 가능하며 개방 홀의 크기를 조절하여 고음역을 조절할 수 있고, 공명구조를 최소화하여 줄일 경우 스피커 인클로저가 전자부품을 전제적으로 감싸는 구조로 실질적인 부피 축소효과가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스피커로 여러 가지 스피커 형태의 음색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ior art of this configura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volume and bass according to the volume,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 hole to adjust the high frequency range, and reducing the resonance structure to minimize the speaker enclosure, It has a reduction effect, it is easy to carry, and it has an effect that various loudspeaker-type voices can be enjoyed by a speaker.

하지만, 상기의 선행기술은 원통형 구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으므로 슬림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하고, 더불어 내부의 음향공간에 대한 가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저음의 확대 등을 통한 광대역 음향재현에는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드러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can not maintain the cylindrical structure, the slimness can not be realized effectively, and the variable to the internal acoustic space can not be efficiently made. Thus, the broadband sound reproduction is limited in many aspects It has disadvantages.

KR 10-2007-0104190 A (2007.10.25.공개)KR 10-2007-0104190 A (Released on October 25,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슬림화된 구조이면서도 저음의 확대를 통한 광대역 음향 재현을 효과적으로 구현함과 더불어, 음향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a sound reproduction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realizing wide band sound reproduction by enlarging bass sound while being slim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type slim sp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는, 내부에 스피커유닛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인클로저와; 이 한 쌍의 인클로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연결된 주름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인클로저의 회동에 대응하여 가변 가능한 음향공간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인클로저의 내부공간은 상기 주름튜브의 음향공간과 소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ace variable type slim speaker comprising: a pair of enclosures each having speaker units installed therein and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 pleated tube retractab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enclosures; And an inner space of the pair of enclosers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acoustic space of the corrugated tube. The acoustic device of claim 1, do.

상기 인클로저들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된 진동억제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유닛을 포함하며, 한 쌍의 인클로저가 접히도록 회동할 때 하우징들의 개구는 서로 근접하고, 한 쌍의 인클로저가 펼쳐지도록 회동할 때 한 쌍의 하우징의 개구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주름튜브의 각 단부가 상호 대응하는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enclosures comprise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vibration suppression pad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a speaker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pair of enclosures is turned to be folded, And the openings of the pair of housin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pair of enclosures is unfolded, and each end of the pleated tube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the corresponding housing.

상기 한 쌍의 인클로저는 상호 인접한 일단들이 힌지유닛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유닛은 한 쌍의 인클로저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힌지공을 가진 힌지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pair of enclosures are hinged to each other by mutually adjacent ones of the hinge units by a hinge unit, and the hinge unit comprises a hinge socket having a pair of hinge holes rotatably connected through a pair of hinge pins .

상기 하우징에는 개구를 가로질러 지지체가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름튜브의 각 단부는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주름튜브의 음향공간과 인클로저의 내부공간을 소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support is separately detachably coupled across the opening in the housing and each end of the corrugated tube is secured to the support and wherein the support comprises one or more conduits for communicating the acoustic space of the corrugated tube with the interior space of the enclosure, And has pores.

상기 지지체는 그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힌지유닛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그 타단에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접힘유지용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has a hing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and hinged to the hinge unit, and a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unit, and accommodating therein a magnet for holding a fold.

상기 주름튜브는 힌지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한 주름부의 두께 및 피치가 힌지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주름부의 두께 및 피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rrugated tube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and the pitch of the corrugated portion adjacent to the hinge unit are smaller than the thickness and the pitch of the corrugate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hinge unit.

상기 인클로저의 하우징은 상기 지지체의 힌지부에 인접한 내부공간에 펼침유지용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housing of the enclosure is provided with a magnet for spread holding in an inner space adjacent to the hinge portion of the support.

상기 인클로저 중에서 일측 인클로저의 하우징은 그 내부에 스피커 구동회로가 형성된 메인회로기판이 설치되고, 타측 인클로저의 하우징은 그 내부에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회로가 형성된 서브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ain circuit board on which a speaker driving circuit is formed is provided in a housing of one of the enclosures and a sub circuit board on which a battery connection circuit is formed in which a battery and the battery are connecte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f the other enclosure .

상기 지지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조명용 광원이 마련된 평판형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튜브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조명용 광원이 마련된 원호상의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body is provided with a flat circuit board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an arc-shaped circuit board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is installed in the corrugated tube.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인클로저가 주름튜브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에 의해 전체적인 음향공간의 가변 및 외부체적의 가변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광대역 음향(고음 및 중음뿐만 아니라 저음까지)을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체적의 가변을 통해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ir of pivotally connected enclos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rrugated tube, the overall acoustic space can be freely varied and the external volume can be freely varied, Not only the middle sound but also the low sound) can be easily reproduced, and the slim structure can be realized by varying the external volume.

예컨대, 한 쌍의 인클로저가 서로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체적인 음향 공간이 확장됨으로써 저음 재생이 극대화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인클로저가 서로에 대해 접히면 그 외부 체적이 극소화되어 매우 슬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air of enclosures are spread out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overall acoustic space is expanded to maximize bass reproduction, and when a pair of enclosures is 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external volume is minimized, resulting in a very slim structure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의 인클로저들이 서로 에 대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한 쌍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한 쌍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1(c)는 한 쌍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펼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한 쌍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한 쌍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1(c)는 한 쌍의 인클로저들이 서로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b)의 화살표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화살표 F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화살표 G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인클로저가 서로에 대해 펼쳐진 정도에 따른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nclosures of a space-variable type slim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Fig. 1 (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folded about each other, Fig. 1 (b)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folded about each other,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closures of the space variable type slim speaker are un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un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Fig. 1 (b)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spread out with respect to each other,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spread out with respect to each oth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b).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b).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C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E in Fig. 4.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F i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G in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ployed relative to one ano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the custom,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9 are views showing a space variable type slim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는,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인클로저(110, 120)와, 이 인클로저(110, 120)들 사이에 신축하도록 연결된 주름튜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인클로저(110, 120)는 그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유닛(113, 123)을 가지고, 이러한 스피커유닛(113, 123)에 의해 각 인클로저(110, 120)에서 소정의 음향이 재생될 수 있다. As shown, the space-variable type slim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enclosures 110 and 120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connected corrugated tube (150). The pair of enclosures 110 and 120 have speaker units 113 and 123 provided therein and a predetermined sound can be reproduced from each of the enclosures 110 and 120 by the speaker units 113 and 123 .

한 쌍의 인클로저(110, 120)는 대칭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1과 같이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도 3과 같이 서로에 대해 펼쳐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좌측 인클로저(110)를 '제1인클로저(110)'로 지칭하고, 우측 인클로저(120)를 '제2인클로저(120)'로 지칭한다. A pair of enclosures 110, 120 are rotatably connected symmetrically so that they can be folded about one another as in FIG. 1 or un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in FIG. Hereinafter, the left enclosure 11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enclosure 110' and the right enclosure 12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enclosure 120' in FIG.

상기 제1인클로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제1개구(119)가 형성된 제1하우징(111)과, 이 제1하우징(111)의 내벽에 마련된 제1진동억제패드(112)와,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된 제1스피커유닛(113)을 가진다. 3 and 4, the first enclosure 110 includes a first housing 111 having a first opening 119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housing 111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1 1 vibration suppression pad 112 and a first speaker unit 113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1. The vibration suppression pad 112 has a vibration suppressing pad 112,

상기 제1하우징(111)의 제1개구(119)에는 주름튜브(150)의 일단(151)이 설치되고,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제1음향공간(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진동억제패드(112)는 제1하우징(111)의 내벽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제1인클로저(110)의 제1하우징(111) 내벽에 마련된 제1진동억제패드(112)에 의해 제1스피커유닛(113)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진동을 대폭 억제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 음향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e end 151 of the corrugated tube 150 is provided in the first opening 119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a first acoustic space 115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1. The first vibration damping pad 112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vibration damping pad 112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using 111 of the first enclosure 110 Since the vibration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speaker unit 113 can be greatly suppressed, noise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sound quality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 제1스피커유닛(113)은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적절한 제1음향공간(115)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하우징(111)의 전면에는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피커유닛(113)에 대응하여 제1음향 방출구(114)가 마련된다. The first speaker unit 113 is installed to form a suitable first acoustic space 115 inside the first housing 111. A first sound output port 11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speaker unit 113 as shown in Figs. 1 (a) and 2 (a).

상기 제2인클로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제2개구(129)가 형성된 제2하우징(121)과, 이 제2하우징(121)의 내벽에 마련된 제2진동억제패드(122)와, 제2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된 제2스피커유닛(123)을 가진다. 3 and 4, the second enclosure 120 includes a second housing 121 having a second opening 129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housing 121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using 121 2 vibration suppressing pad 122 and a second speaker unit 123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1. The second speaker unit 123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1,

상기 제2하우징(121)의 제2개구(129)에는 주름튜브(150)의 타단(152)이 설치되고, 제2하우징(121)의 내부에는 제2음향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진동억제패드(122)는 제2하우징(121)의 내벽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제2인클로저(120)의 제2하우징(121) 내벽에 마련된 제2진동억제패드(122)에 의해 제2스피커유닛(123)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진동을 대폭 억제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 음향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other end 152 of the corrugated tube 150 is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129 of the second housing 121 and the second acoustic space 125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121. The second vibration damping pad 122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using 12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vibration damping pad 122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using 121 of the second enclosure 120 Since the vibration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econd speaker unit 123 can be greatly suppressed, noise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sound quality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 제2스피커유닛(123)은 제2하우징(121)의 내부에 적절한 제2음향공간(125)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121)의 전면에는 도 1(a) 및 도 2(a)와 같이, 제2스피커유닛(123)에 대응하여 제2음향 방출구(124)가 마련된다. The second speaker unit 123 is installed to form an appropriate second acoustic space 125 inside the second housing 121. A second sound output port 12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speaker unit 123 as shown in Figs. 1 (a) and 2 (a).

특히,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로 회동할 때 그 접힘 내지 펼침이 원활해지도록 제1 및 제2 스피커유닛(113, 123)은 제1 및 제2 하우징(111, 121) 내의 적절한 위치에 대칭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pivoted or 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units 113 and 123 can be folded or unfolded smoothly, And it is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second housings 111,

그리고,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 접히도록 회동할 때 제1하우징(111)의 제1개구(119)와 제2하우징(121)의 제2개구(129)는 주름튜브(150)의 수축에 의해 서로 근접하고,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에 대해 펼쳐지도록 회동할 때 제1하우징(111)의 제1개구(119)와 제2하우징(121)의 제2개구(129)는 주름튜브(150)의 신장에 의해 서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 119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9 of the second housing 1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pivoted toward each other by the contraction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21 May be symmetr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by the extension of the corrugated tube 150.

상기 주름튜브(1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형성된 복수의 주름(153a, 153b)을 가지고,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횡단면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corrugated tube 150 has a plurality of corrugations 153a and 153b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various cross-sectional structur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and triangular.

상기 주름튜브(150)의 양단부(151, 152)는 제1인클로저(110) 및 제2인클로저(120)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주름튜브(150)는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접힘 내지 펼침 작동에 대응하여 그 신축작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Both ends 151 and 152 of the corrugated tube 150 are connected to the first enclosure 110 and the second enclosure 12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rrugated tube 150 can be smoothly expanded and contracted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특히, 주름튜브(150)의 양 단부(151, 152)는 제1하우징의 제1개구(119) 및 제2하우징(121)의 제2개구(129)에 각각 밀봉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both ends 151 and 152 of the corrugated tube 150 may be sealingly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19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opening 129 of the second housing 121, respectively.

그리고, 주름튜브(15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회동에 대응하여 가변가능한 음향공간(155)을 가지고, 주름튜브(150)의 음향공간(155)은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제1 및 제2 음향공간(115, 125)과 소통하도록 구성된다. The wrinkle tube 150 has an acoustic space 155 that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nd the acoustic space 155 of the wrinkle tube 150 has a first And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spaces 115 and 125 of the second enclosure 110 and 120,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인클로저(110, 120)가 주름튜브(150)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에 의해 전체적인 음향공간(115, 125, 155)의 가변 및 외부체적의 가변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광대역 음향(고음 및 중음뿐만 아니라 저음까지)을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체적의 가변을 통해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and external volume of the entire acoustic space 115, 125, 155 can be varied by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pivotally connected enclosures 110,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rrugated tube 150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hysical limit of the space to easily reproduce a broadband sound (not only high and low, but also low), and also realize a slim structure by varying the external volume.

예컨대, 한 쌍의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전체적인 음향공간(115, 125, 155)이 확장됨으로써 저음 재생이 극대화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에 대해 접히면 도 3과 같이 그 외부 체적이 극소화되어 매우 슬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enclosures 110 and 120 are spread out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overall sound space 115, 125, 155 may be expanded as shown in FIG. 4 to maximize bass reproduction, 120 are 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external volume of the body 120 is minimized as shown in FIG. 3, so that a very slim structure can be achieved.

상기 제1하우징(111)에는 제1지지체(130)가 제1개구(119)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제1지지체(130)는 제1하우징(111)의 제1개구(119)에 끼움결합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지지체(130)는 하나 이상의 제1통기공(131)을 가지고, 이러한 제1통기공(131)을 통해 제1인클로저(110)의 제1음향공간(115)은 주름튜브(150)의 음향공간(155)과 소통할 수 있다.A first support body 130 is installed across the first opening 119 in the first housing 111 and a first support body 130 is fitted to the first opening 119 of the first housing 111 Or a fastener or the like. The first support body 130 has at least one first vent hole 131 through which the first acoustic space 115 of the first enclosure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nt hole 131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acoustic space 155.

그리고, 제1지지체(130)는 그 일단에서 돌출된 제1힌지부(133)와, 그 타단에서 돌출된 제1자석수용부(136)를 가진다.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는 후술하는 힌지유닛(160)의 제1힌지공(161)에 힌지결합되고, 제1지지체(130)의 제1자석수용부(136)에는 후술하는 제1접힘유지용 자석(138)이 수용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has a first hinge portion 133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and a first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136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thereof. The first hinge part 133 of the first support body 130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hole 161 of the hinge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hinged to the first magnet receiving part 136 of the first support body 130. [ A first folding holding magnet 138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상기 제2하우징(121)에는 제2지지체(140)가 제2개구(129)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제2지지체(140)는 제2하우징(121)의 제2개구(129)에 끼움결합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지지체(140)는 하나 이상의 제2통기공(141)을 가지고, 이러한 제2통기공(141)을 통해 제2인클로저(120)의 제2음향공간(125)은 주름튜브(150)의 음향공간(155)과 소통할 수 있다. A second support body 140 is installed across the second opening 129 and a second support body 140 is fitted to the second opening 121 of the second housing 121, Or a fastener or the like. The second support body 140 has at least one second vent hole 141 through which the second acoustic space 125 of the second enclosure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nt hole 141 of the corrugated tube 15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acoustic space 155.

그리고, 제2지지체(140)는 그 일단에서 돌출된 제2힌지부(143)와, 그 타단에서 돌출된 제2자석수용부(146)를 가진다.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는 후술하는 힌지유닛(160)의 제2힌지공(162)에 힌지결합되고, 제2지지체(140)의 제2자석수용부(146)에는 후술하는 제2접힘유지용 자석(148)이 수용된다.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has a second hinge portion 143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magnet receiving portion 146 protruded from the other end thereof.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of the second support body 140 is hinged to the second hinge hole 162 of the hinge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hinged to the second magnet receiving portion 146 of the second support body 140. [ A second fold holding magnet 148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상기 주름튜브(150)의 양단(151, 152)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130, 140)를 매개로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름튜브(150)의 일단(151)은 제1지지체(130)에 접착제 등을 통해 밀봉적으로 고정되고, 주름튜브(150)의 타단(1520은 제2지지체(140)에 접착제 등을 통해 밀봉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주름튜브(150)의 음향공간(155)은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와 소통하는 반면에 외부에 대해서는 밀봉적으로 형성된다. Both ends 151 and 152 of the corrugated tube 150 may be firm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via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30 and 140. One end 151 of the corrugated tube 150 is sealingly fixed to the first support 13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other end 1520 of the corrugated tube 15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140 Adhesive or the like so that the acoustic space 155 of the corrugated tube 15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while being seale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하우징(111, 121)의 제1 및 제2 개구(119, 129)에 제1 및 제2 지지체(130, 140)를 매개로 주름튜브(150)의 각 단부(151, 152)가 밀봉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주름튜브(150)의 신축작동이 매우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접힘 내지 펼침 작동에 의한 전체적인 음향공간(115, 125, 155)의 가변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광대역 음향 재현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9 and 129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1 and 121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30 and 140, respectively, The end portions 151 and 152 are sealingly fixed so that the stretching and contracting operation of the corrugated tube 150 can be made very stable so that the entirety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The variable volume of the acoustic spaces 115, 125 and 155 is very efficient, and thus broadband sound reproduc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그리고,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하우징(111, 121)의 상호 인접한 일단들이 힌지유닛(160)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3 to 7,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1 and 1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utually adjace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1 and 121 by the hinge unit 160, So that it can be hinged.

상기 힌지유닛(160)은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일단이 제1 및 제2 힌지핀(165, 166)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공(161, 162)을 가진 힌지소켓(163)을 포함한다.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160 and 166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165 and 166, And a hinge socket 163 having a pair of hinge arms 161 and 162, respectively.

상기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는 힌지소켓(163)의 제1힌지공(161)에 한 쌍의 제1힌지핀(165)을 통해 힌지 결합된다. 특히, 한 쌍의 제1힌지핀(165)은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와 힌지소켓(163)의 제1힌지공(161)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힌지 결합된다. The first hinge part 133 of the first support 130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hole 161 of the hinge socket 163 through a pair of first hinge pins 165. [ In particular, the pair of first hinge pins 165 extend through the first hinge portion 133 of the first support 130 and the first hinge hole 161 of the hinge socket 163, Hinged.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힌지핀(165)은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1힌지핀(165)의 외주면과 힌지소켓(163)의 제1힌지공(161) 사이에 제1슬리브(167)가 개재됨으로써 힌지소켓(163)의 제1힌지공(161)에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에는 제1힌지공(161)에 대응하는 힌지공(133a)이 형성된다. 6, a pair of first hinge pins 165 are formed in a bolt shape, and a pair of first hinge pins 165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socket 163 The first sleeve 167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inge hole 161 and the first hinge hole 161 of the hinge socket 163 so that the first hinge portion 133 of the first support body 130 can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hole 161 of the hinge socket 163. [ . A hinge hole 133a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hole 161 is formed in the first hinge portion 133 of the first support body 130. [

상기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는 힌지소켓(163)의 제2힌지공(152)에 한 쌍의 제2힌지핀(166)을 통해 힌지 결합된다. 특히, 한 쌍의 제2힌지핀(166)은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와 힌지소켓(163)의 제2힌지공(162)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힌지 결합된다.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is hinged to the second hinge hole 152 of the hinge socket 163 through a pair of second hinge pins 166. Particularly, the pair of second hinge pins 166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and the second hinge hole 162 of the hinge socket 163, Hing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힌지핀(166)은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2힌지핀(166)의 외주면과 힌지소켓(163)의 제2힌지공(162) 사이에 제2슬리브(168)가 개재됨으로써 힌지소켓(163)의 제2힌지공(162)에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에는 제2힌지공(162)에 대응하는 힌지공(143a)이 형성된다.6, the pair of second hinge pins 166 are formed in a bolt sha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hinge pins 166 and the second hinge holes 162 of the hinge socket 163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of the second support body 140 is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hinge hole 162 of the hinge socket 163 by interposing the second sleeve 168 therebetween. A hinge hole 143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inge hole 162 is formed in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또한,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와 힌지소켓(163)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방지패드(169a)가 개재되고, 마찬가지로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와 힌지소켓(163)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의 마찰방지패트(169a)가 개재된다. 이러한 마찰방지패드(169a, 169b)에 의해 제1 및 제2 지지체(130, 140)의 회동 시에 힌지소켓(163)과의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그 회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friction preventing pad 169a made of Teflon or the lik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inge portion 133 and the hinge socket 163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friction-preventing pad 169a made of Teflon or the lik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and the hinge socket 163.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130 and 140 is minimized by the friction preventing pads 169a and 169b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130 and 140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와 같이, 힌지소켓(163)의 제1 및 제2 힌지공(161, 162)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지지체(130, 140)의 힌지부(133, 143)가 개별적으로 회동가능되게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는 힌지유닛(16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들 사이의 접힘 및 펼침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클로저(110, 120)들 사이의 접힘 및 펼침에 대응한 주름튜브(150)은 그 신축작동에 간섭 내지 방해됨 없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hinge portions 133 and 143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bodies 130 and 140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161 and 162 of the hinge socket 163,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unit 160 so that the folding and unfold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The folding tube 150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between the enclosures 110 and 120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interference or interruption in the stretching operation.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튜브(150)의 주름부(155a, 155b) 중에서 힌지유닛(160)에 인접하게 위치한 주름부(155a)의 두께(t1) 및 피치(p1)가 힌지유닛(160)로부터 이격된 주름부(155b)의 두께(t2) 및 피치(p2)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접힘 및 펼침에 대응한 주름튜브(150)의 신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3 and 4, the thickness t1 and the pitch p1 of the corrugation 155a located adjacent to the hinge unit 160 among the corrugations 155a and 155b of the corrugated tube 15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and the pitch p2 of the corrugated portion 155b spaced from the hinge unit 160 so that the corrugated tube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150 can be made more smoothly.

상기 제1지지체(130)의 제1자석수용부(136)에는 제1접힘유지용 자석(138)이 수용되고, 제2지지체(140)의 제2자석수용부(146)에는 제2접힘유지용 자석(148)이 수용된다. 이에, 도 3 및 도 8과 같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 접히도록 회동할 때 제1 및 제2 지지체(130, 140)의 제1 및 제2 자석수용부(136, 146)에 수용된 제1 및 제2 접힘유지용 자석(138, 148)들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는 그 접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슬림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folding holding magnet 138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136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folding holding magnet 138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146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40. [ The magnet 148 is accommodated. 3 and 8,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rotated so as to be folded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magnet receiving portions 136 and 136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bodies 130 and 140,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can be stably maintained by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holding magnets 138 and 148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holders 146 and 146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imming can be implemented effectively.

또한, 제1인클로저(110)는 제1지지체(130)의 제1힌지부(133)에 인접한 제1하우징(1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제1펼침유지용 자석(137)을 가지고, 제2인클로저(120)는 제2지지체(140)의 제2힌지부(143)에 인접한 제2하우징(1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제2펼침유지용 자석(147)을 가진다. The first enclosure 110 has a first extended holding magnet 137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1 adjacent to the first hinge portion 133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30, The enclosure 120 has a second extended holding magnet 147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31 adjacent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43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40.

특히, 제1 및 제2 펼침유지용 자석(137, 147)은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에 대해 펼쳐지도록 회동할 때 제1 및 제2 펼침유지용 자석(137, 147)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펼침유지용 자석(137, 147)에 의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는 그 펼침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름튜브(150)의 음향공간(155) 확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그 저음 재생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spread holding magnets 137 and 147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pivoted about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pread holding magnets 137 and 147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9,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 110, 12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unfolded state by the first and second spread holding magnets 137, 147, Expansion of the acoustic space 155 of the tube 150 can be performed stably and the bass reproduction can be performed very effectively.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펼쳐진 정도에 따른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0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ployed.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도 10의 FL선)와,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도 10의 UL선)과,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절반 정도로 펼쳐진 상태(도 10의 FUL선)에서 응답특성이 나타난다. 이로부터,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펼쳐진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전체적인 음향공간(115, 125, 155)의 확장으로 인해 저음주파수가 더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10,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completely folded (the FL line in FIG. 10) and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completely opened UL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spread to about half (FUL line in FIG. 10).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angle of expa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120 increases, the bass frequency i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overall acoustic spaces 115, 125, 155.

한편,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 중에서 제1인클로저(110)의 제1하우징(111) 내에 스피커 구동회로가 형성된 메인회로기판(171)이 설치되고, 제2인클로저(120)의 제2하우징(121) 내에는 배터리(173) 및 배터리(173)가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회로가 형성된 서브회로기판(172)이 설치된다. 대안적으로는, 메인회로기판(171)은 제2인클로저(120)의 제2하우징(121)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배터리(173) 및 서브회로기판(172)은 제1인클로저(110)의 제1하우징(111)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A main circuit board 171 in which a speaker driving circuit is formed is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111 of the first enclosure 110 among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 sub circuit board 172 having a battery connec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battery 173 and the battery 173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121. Alternatively, the main circuit board 171 is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121 of the second enclosure 120, and the battery 173 and the sub circuit board 172 are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121 of the first enclosure 110, Or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회로기판(171)과, 배터리(173) 및 서브회로기판(172)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제1 및 제2 하우징(111, 121)에 개별적으로 분산되게 설치됨으로써 인클로저(110, 120)들의 중량이 서로 유사해질 수 있으므로 그 접힘 및 펼침 작동이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main circuit board 171 and the battery 173 and the sub circuit board 17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1 and 121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Since the enclosures 110 and 120 are made to be dispersed individually, the weights of the enclosures 110 and 120 can be simi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can be maintained more stable.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조명용 광원(181, 182)를 구비함으로써 조명 방사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n illumination radiation function by providing one or more illumination light sources 181 and 182 therein.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및 제2 지지체(130, 140)의 평탄면 각각에는 LED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제1조명용 광원(181)이 마련된 평판형 조명회로기판(183)이 설치되고, 이러한 평판형 조명회로기판(183)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메인회로기판(171) 및 서브회로기판(17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A planar illumination circuit board 183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181 such as an LED or the like is provided on each of the fla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30 and 140, The lighting circuit board 183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71 and the sub circuit board 172.

또한, 주름튜브(150)의 내부에는 LED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제2조명용 광원(182)이 마련된 원호상의 조명회로기판(184)이 설치되고, 이러한 원호상 조명회로기판(184)은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접힘 및 펼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원호상으로 곡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원호상의 조명회로기판(184)은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져 메인회로기판(171) 및 서브회로기판(17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In addition, an arc-shaped illumination circuit substrate 184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182 such as an LED or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corrugated tube 150, 2 enclosure 110, 120. In other words, the two enclosures 110, The arcuate illumination circuit board 18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71 and the sub circuit board 173, respectively.

특히, 조명광의 효과적인 방사를 위하여 주름튜브(15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for effectiv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the corrugated tube 15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이러한 제1 및 제2 조명용 광원(181, 182)에 의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의 접힘 및 펼침에 상관없이 소정의 조명광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 접힌 상태에서는 측면을 통해 부분적으로 조명광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주름튜브(150)을 통해 부채꼴 형상으로 조명광이 외부로 넓은 각도로 방사될 수 있다.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s 181 and 182 can radiate predetermined illumination light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folding and spreading of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 illumination light may partially be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radiated to the outside at a wide angle in a fan shape through the corrugated tube 15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조명용 광원(181, 182)에 의해, 음향효과와 더불어 조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특히 제1 및 제2 인클로저(110, 120)가 펼쳐진 각도에 따라 조명광의 방사각 또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s 181 and 182 can effectively realize a lighting effect in addition to a sound effect, and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enclosures 110 and 120 The radiation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can also be freely adjusted.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10: 제1 인클로저 111: 제1 하우징 112: 제1 진동억제패드
113: 제1 스피커유닛 120: 제2 인클로저 121: 제2 하우징
122: 제2 진동억제패드 123: 제2 스피커유닛 130: 제1 지지체
140: 제2 지지체 150: 주름튜브 155: 음향공간
160: 힌지유닛 161: 제1 힌지공 162: 제2 힌지공
163: 힌지소켓 171: 메인회로기판 172: 서브회로기판
173: 배터리 181: 제1 조명용 광원 182: 제2 조명용 광원
110: first enclosure 111: first housing 112: first vibration suppressing pad
113: first speaker unit 120: second enclosure 121: second housing
122: second vibration damping pad 123: second speaker unit 130: first support
140: second support body 150: crease tube 155: acoustic space
160: hinge unit 161: first hinge hole 162: second hinge hole
163: Hinge socket 171: Main circuit board 172: Sub circuit board
173: Battery 181: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182: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Claims (9)

내부에 스피커유닛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인클로저와; 이들 인클로저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연결된 주름튜브; 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튜브의 내부는 한 쌍의 인클로저의 회동에 대응하여 가변가능한 음향공간을 가지고 주름튜브의 각 단부가 상호 대응하는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인클로저는 각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된 진동억제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유닛을 포함하고,
한 쌍의 인클로저가 접히도록 회동할 때 하우징들의 개구는 서로 근접하고, 한 쌍의 인클로저가 펼쳐지도록 회동할 때 한 쌍의 하우징의 개구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A pair of enclosures in which speaker units are individually installed and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 pleated tube retractably connected between the enclosures; / RTI >
Wherein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tube has a variable acoustic spac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pair of enclosures and each end of the corrugated tube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the corresponding housing,
Wherein the enclosur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vibration suppressing pad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a speaker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openings of the housings are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pair of enclosures are folded to fold, and the openings of the pair of housin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pair of enclosures pivot to unfold.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인클로저의 내부공간은 상기 주름튜브의 음향공간과 소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pace of the pair of enclosures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coustic space of the pleated tub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인클로저는 상호 인접한 일단들이 힌지유닛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유닛은 한 쌍의 인클로저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힌지공을 가진 힌지소켓을 포함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enclosures are hinged so that mutually adjacent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hinge unit,
Wherein the hinge unit comprises a hinge socket having a pair of hinge holes to which a pair of enclosures are rotatably connected via hinge pins.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지지체가 개구를 가로질러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름튜브의 각 단부는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주름튜브의 음향공간과 인클로저의 내부공간을 소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s separately detachably coupled across the opening in the housing, each end of the corrugated tube being secured to the support, the support hav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for communicating the acoustic space of the corrugated tub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enclosure Wherein the slim speaker includes a speaker and a speak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그 일단에서 돌출되어 힌지유닛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그 타단에서 돌출되어 내부에 접힘유지용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has a hing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and hinged to the hinge unit, and a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he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rein a foldable holding magnet there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지지체의 힌지부에 인접한 내부공간에 펼침유지용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agnet for spread holding in an inner space adjacent to a hinge portion of the support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인클로저 중에서 일측 인클로저의 하우징은 그 내부에 스피커 구동회로가 형성된 메인회로기판이 설치되고, 타측 인클로저의 하우징은 그 내부에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회로가 형성된 서브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using of the one enclosure is provided with a main circuit board on which a speaker driving circuit is formed and a housing of the other enclosure is provided with a sub circuit board on which a battery and a battery connection circuit Wherein the slim speaker is a speak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하나 이상의 제1조명용 광원이 마련된 평판형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튜브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조명용 광원이 마련된 원호상의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타입 슬림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ing body is provided with a flat circuit board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an arcuate circuit board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in the corrugated tube.
KR1020140063448A 2014-05-27 2014-05-27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KR101627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448A KR101627218B1 (en) 2014-05-27 2014-05-27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448A KR101627218B1 (en) 2014-05-27 2014-05-27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56A KR20150136256A (en) 2015-12-07
KR101627218B1 true KR101627218B1 (en) 2016-06-03

Family

ID=5487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448A KR101627218B1 (en) 2014-05-27 2014-05-27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2196B (en) * 2019-04-18 2024-03-22 蓝秋玲 Folding box and sound bo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230A (en) 2002-04-30 2003-11-14 Kenwood Corp Notebook sized personal computer and its loudspeaker system
JP2012239154A (en) 2011-04-27 2012-12-06 Sharp Corp Speaker system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748B1 (en) * 1986-09-11 1989-11-25 신석균 Speaker
JPH0652295U (en) * 1992-12-10 1994-07-15 アツデン株式会社 Small speaker
KR100805979B1 (en) 2006-04-21 2008-02-25 장승철 The variable portable speaker resonator contrivance a low pitched and high pitched t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230A (en) 2002-04-30 2003-11-14 Kenwood Corp Notebook sized personal computer and its loudspeaker system
JP2012239154A (en) 2011-04-27 2012-12-06 Sharp Corp Speaker system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56A (en)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033B2 (en) Expandable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 resonance box
JP2007049702A (en) Speaker box
JP2007534256A (en) Portable speaker device
KR20000076316A (en) Personal computing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panel loudspeaker
JP2002281135A (en) Portable telephone
JP3051072B2 (en) Sound signal receiving device
SK26098A3 (en) A portable compact disc player
WO2007123292A1 (en) The portable speaker resonator for varying high-pitched sound and low-pitched sound
KR20060134749A (en) Holder of portable terminal
CN101895802A (en) Mobile terminal equipment
EP2235962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frequency output of a portable audio device
JP2006108791A (en) Electronic apparatus
CN106559726B (en) Loudspeaker
KR20090065006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unfold type speaker
KR101627218B1 (en)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KR20150140135A (en) Slim speaker having variable space
JP3408476B2 (en) Flat speaker system
US8824702B2 (en) Reverse-phase modulating structure of piezoelectric ceramic speaker
CN104335598A (en) Speaker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490183B1 (en) Sound management enclosure
JP3187559U (en) Loudspeakers for portable devices
US11968495B1 (en) Techniques for loudspeaker constrained acoustic modulator (CAM)
CN205081957U (en) Loudspeaker
US20230014683A1 (en) Sound management enclosure
TWM392514U (en) Movable speaker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