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165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165B1
KR101627165B1 KR1020090104173A KR20090104173A KR101627165B1 KR 101627165 B1 KR101627165 B1 KR 101627165B1 KR 1020090104173 A KR1020090104173 A KR 1020090104173A KR 20090104173 A KR20090104173 A KR 20090104173A KR 101627165 B1 KR101627165 B1 KR 10162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hort message
ranging
delete dele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981A (ko
Inventor
강현정
공동건
이지철
원종현
도경태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83,530 priority Critical patent/US8493904B2/en
Priority to PCT/KR2010/006485 priority patent/WO2011037397A2/en
Priority to JP2010210839A priority patent/JP5674105B2/ja
Priority to EP10177925.4A priority patent/EP2299764B1/en
Priority to TW099132036A priority patent/TWI510119B/zh
Priority to CN201010290355.0A priority patent/CN102026123B/zh
Publication of KR2011003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유휴모드(idle mode)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시, 타이머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을 시, 상기 타이머를 중지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유휴 모드, 레인징, 페이징 청취 구간, 단문메시지.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MOBILE STATION DUR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휴 모드 단말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면서도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 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 규격에 따르면, 단말(Mobile Station)은 일정 시간 동안 송ㆍ수신할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유휴 모드(idle mode)로 동작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한다. 상기 단말은 유휴 모드에서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ing interval) 동안에 깨어나(wake up)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유휴 모드의 단말에 전달할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상기 유휴 모드로부터 접속 모드(connected state)로 천이하도록 네트워크 재진입 동작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거나, 상기 유휴 모드의 단말에 위치등록갱신(location update)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유휴 모드 단말에 전송할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단문 메시지가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해야 한다.
한편, IEEE 802.16m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유휴 모드의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에서 접속 모드로의 천이 절차 없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상기 IEEE 802.16m 통신 시스템에 정의된 상기 유휴 모드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는 절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유휴 모드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이 유휴 모드의 페이징 비청취 구간 동작을 수행하는 중(101단계), 상기 기지국(150)에 상기 단말(100)로의 단문 메시지가 도달한다(103단계). 105단계에서 상기 단말(100)의 페이징 청취 구간 동작이 수행되고 10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150)은 상기 단말(100)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107단계의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100)에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107단계에서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기지국에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109단계). 상기 단말(100)은 상기 기지국(150)으로부터 상기 109단계에서 전송한 레인징 코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111단계). 상기 단말(100)은 상기 기지국(150)에 위치 갱신 등록 절차 수행임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113단계). 상기 단말(100)로부터 상기 113단계의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기지국(150)은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115단계).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IEEE 802.16m에서 유휴 모드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안은 상기 레인징 절차에 사용하는 레인징 메시지를 활용하나, 상기 레인징 절차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결합하는 방안은 상기 유휴 모드 단말의 프로세싱을 복잡하게 한다는 점에서 상기 레인징 절차와 무관하게 상기 유휴 모드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 처리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유휴모드(idle mode)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시, 타이머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을 시, 상기 타이머를 중지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한 후, 타이머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유휴모드(idle mode)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시,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을 시, 상기 타이머를 중지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한 후,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유휴 모드에서 전송할 단문 메시지가 발생할 시,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처리하기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할당하고,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를 구동 동안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타이머를 중지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안 및 유휴 모드 단말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유휴 모드와 접속 모드 간의 불필요한 상태 천이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 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예: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유휴 모드 단말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200)은 201단계에서 유휴 모드의 페이징 비청취 구간 동작을 수행하다가, 205단계에서 상기 유휴 모드의 페이징 청취 구간으로 천이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50)은 203 단계에서 상기 유휴 모드에 있는 상기 단말(200)에 전송할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의 발생을 인지하고, 207단계에서 페이징 청취 구간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200)에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지시는 일반적인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지시 정보에 해당하지만, 단문 메시지 수신을 위한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별도 로 정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지시 정보가 상기 207단계의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200)은 20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250)으로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고, 20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레인징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200)은 2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250)에 위치갱신등록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말(200)이 상기 207단계의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문 메시지 전송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213단계에서 전송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등록 절차 수행임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 수행임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의 필드인 Ranging purpose indicator의 한 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Ranging purpose indicator The presence of this item in the message indicates the following AMS action:
If Bit#0 is set to 1, in combination with a serving BSID,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unprepared HO.
If Bit#1 is set to 1, in combination with a paging controller ID, indicates that the AMS is attempting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to the ABS.
If Bit#2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prepared HO.
If Bit#3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initiating the 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
Bit#4: ranging request for emergency call setup. When this bit is set to 1, it indicates AMS action of Emergency Call process.
Bit#5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initiating the 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 for short message service.
"Ranging Purpose Indicator"의 bit#0이 1로 셋팅된 경우 serving BSID와 결합하여 BSID는 단말이 현재 HO를 시도하고 있음을 표시하고, bit#1이 1로 셋팅된 경우 Paging Controller ID와 결합하여 단말은 유휴 모드에서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재진입을 시도하고 있음을 표시하고, bit#2이 1로 셋팅된 경우 현재 단말이 준비된 핸드오버를 시도하고 있음을 표시하고, Bit#3이 1로 셋팅된 경우 MS가 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를 수행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Bit#4이 1로 셋팅된 경우, 긴급 호 처리(emergency call process)의 단말 동작을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Bit#5이 1로 셋팅된 경우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을 시작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이후, 상기 단말(200)은 21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200)에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등록 절차임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등록 절차임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단말(200)의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단말(200)이 수신할 단문 메시지가 있음을 알려준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 절차임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필드인 Location update response의 한 비트를 활용할 수 있다.
Location update response 0x00= Success of Location Update
0x01= Failure of Location Update
0x02 = Reserved
0x03=Success of location update and DL traffic pending
0x04: Success of location update for short message service
또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200)이 단문 메시지 수신을 위해 사용할 단말 식별자(STation IDentifier: STID)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200)은 2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L2 전송메시지는 상기 215단계에서 수신한 STID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딩되어 있고, 상기 L2 전송메시지의 헤더에는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Flow IDentifier)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200)은 219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기지국(250)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200)은 221단계에서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250)은 상기 단말(200)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200)에 할당한 STID와 primary connection을 해제하고 상기 단말(200)을 유휴 모드 단말로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단말(300)은 303단계에서 상향링크로 전송할 단문 메시지가 버퍼에 있음을 인지한다. 상기 단말(300)은 305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350)으로의 접속을 위해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300)은 30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전송한 레인징 코드에 대한 레인징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300)은 30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50)에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갱신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한 상기 지시자는 상기 <표 1>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350)은 311단계에서 상기 단말(300)에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전송하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2>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갱신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갱신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지시자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기지국(350)은 단말이 전송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단말(300)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STID(단말 식별자)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은 3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50)으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은 상기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할 때, 상기 311단계에서 수신한 STID 및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이용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단말(300)은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상향링크 대역을 할당받아야 하는데, 이때 상기 STID와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이용한다. 상기 기지국(350)은 상기 단말(300)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후 315단계에서 상기 단말(300)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은 상기 ACK 메시지를 수신한 후 317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50)은 상기 단말(300)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해 할당한 STID 및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해제한 뒤 상기 단말(300)을 계속해서 유휴 모드 단말로서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401단계에서 유휴 모드의 페이징 비청취 구간에 존재한다. 상기 단말은 403단계에서 페이징 청취 구간으로 천이할 시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페이징 청취 구간으로 천이할 경우 40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페이징 청취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403단계의 판단 결과, 페이징 청취 구간으로 천이할 시점이 아니면 401단계의 페이징 비청취 구간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7단계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시 상기 40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7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시 상기 단말은 409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정보가 네트워크 재진입 지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지시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단말은 411단계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고, 413 단계에서 유휴 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411단계에서 수행하는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상기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는 본 발명과는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네트워크 재진입 지시가 아닐 시, 상기 단말은 415단계에서 상기 단말 정보가 위치등록갱신 수행을 지시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을 지시할 시 상기 단말은 4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의 코드 기반의 레인징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레인징 절차는 상기 도 2의 209단계 내지 211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은 41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단말이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 1>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42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423단계에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단문 메시지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423단계의 단문 메시지 지시 정보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 등록 갱신 수행 지시자이며, 상기 <표2>의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423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에 단문 메시지가 전송됨을 알리는 지시자가 포함되었으면 상기 421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STID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primary connection가 설정되었고, 상기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한다.
상기 단말은 425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한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L2 전송메시지는 상기 STID 및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이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42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고, 401단계로 진행하여 유휴모드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423단계의 판단 결과, 단문 메시지 정보 지시자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401단계로 진행하여 유휴 모드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415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을 지시하지 않을 시, 기타 정의된 절차를 수행한다(예 401 단계로 진행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의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501 단계에서 메시지 버퍼에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인지한다.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청취 구간에 해당하는 시점까지 대기한다.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청취 구간에서 상기 단말에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등록갱신 절차 메시지(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대기하고 509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등록갱신 절차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509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1>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에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을 지시하는 지시자(상기 표 2의 정보)와 상기 단말의 STID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은 515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고, 517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행하였음을 인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601단계에서 유휴 모드 상태에 머무르다가 603단계에서 버퍼에 단문 메시지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즉, 사용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 입력이 있을 시).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전송할 단문 메시지가 존재하면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위치 등록 갱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코드 기반의 레인징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605단계는 상기 도 3의 305단계 내지 307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은 607단계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 정보는 상기 <표1>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은 60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2>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 등록 갱신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에 사용할 STID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은 611단계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L2 전송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대역 요청/할당 절차를 위해 상기 609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TID 및 primary connection FID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단말은 6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601단계로 진행하여 유휴 모드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의 단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701단계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임을 지시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1>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703단계의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임을 인지하고, 705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 지시자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지시자 정보는 상기 <표2>의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단문 메시지 전송에 사용할 STID 정보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단문 메시지 정보를 전송할 primary connection이 설정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07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한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707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위한 상향링크 대역 요청/할당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09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ACK 메시지를 전송하고, 711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다시 유휴 모드의 동작을 계속 진행함을 인지한다. 상기 71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705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할당한 STID 및 primary connection을 해제한다.
상기에서는 도 3, 도 6 및 도 7의 절차에서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대역 요청 및 할당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한편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단말이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할 것임을 미리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별도의 상향링크 대역 요청 및 할당 절차 없이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할 대역 할당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유휴 모드 단말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 및 일반적인 하향링크 데이터가 기지국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유휴 모드 단말의 페이징 청취 구간에서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시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과의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상기 단문 메시지 및 일반적인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달한다. 반대로 유휴 모드 단말이 전송할 단문 메시지 및 일반적인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의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고, 이후 상기 단문 메시지 및 일반적인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동작은 일반적인 유휴 모드에서 접속상태(connected state)로의 천이 동작과 상이하지 않으며, 상태 천이 시 수행하는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따르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의 단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기지국 혹은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RF처리기(801), ADC(803), OFDM복조기(805), 복호화기(807), 메시지처리부(809), 제어부(811), 메시지생성부(817), 부호화기(819), OFDM변조기(821),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823), RF처리기(8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RF처리기(801)와 RF처리기(825)는 TDD (Time Division Duplex) 혹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 모드로 동작할 시, 시간제어기(829)는 수신구간 동안에 스위치(827)를 제어하여 RF처리기(801)가 동작하도록 하고, 송신구간 동안에 스위치(827)를 제어하여 RF처리기(825)가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RF처리기(4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ADC(803)은 상기 RF처리기(80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OFDM복조기(805)는 상기 ADC(803)에서 출력되는 샘플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복호화기(807)는 상기 OFDM복조기(805)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처리부(809)는 상기 복호화기(80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메시지를 분해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811)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레인징 요청 메시지, 레인징 응답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등을 분해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811)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811)는 상기 메시지처리부(809)로부터의 정보들에 대한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전송할 정보를 생성하여 메시지생성부(817)로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생성부(817)는 상기 제어부(811)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들을 가지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물리계층의 부호화기(819)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레인징 요청 메시지, 레인징 응답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등을 생성하여 물리계층의 부호화기(819)로 출력한다.
상기 부호화기(819)는 상기 메시지생성부(817)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OFDM변조기(821)는 상기 부호화기(819)로부터의 데이터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심볼)를 출력한다. DAC(823)는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825)는 상기 DAC(82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811)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메시지처리부(809) 및 상기 메시지생성부(817)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811)는 상기 메시지처리부(809), 상기 메시지생성부(817)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81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81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11)는 프로토콜 처리 수행 중 필요한 정보를 물리계층의 해당 구성부로 제공받거나, 물리계층의 해당 구성부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기지국이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유휴 모드의 페이징 비청취 구간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유휴 모드의 페이징 청취 구간으로 천이한다.
상기 기지국(250)의 제어부(811)는 상기 유휴 모드에 있는 상기 단말(200)에 전송할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의 발생을 인지하고, 페이징 청취 구간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200)에 위치등록갱신 절차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250)으로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레인징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250)에 위치갱신등록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 수행임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의 필드인 Ranging purpose indicator의 한 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200)에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등록 절차임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등록 절차임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단말(200)의 위치등록갱신 절차 수행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단말(200)이 수신할 단문 메시지가 있음을 알려준다.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L2 전송메시지는 상기 215단계에서 수신한 STID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딩되어 있고, 상기 L2 전송메시지의 헤더에는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Flow IDentifier)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기지국(250)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200)의 제어부(811)는 ACK 메시지 전송 후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250)의 제어부(811)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200)에 할당한 STID와 primary connection을 해제하고 상기 단말(200)을 유휴 모드 단말로 관리한다.
반대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면,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향링크로 전송할 단문 메시지가 버퍼에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350)으로의 접속을 위해 레인징 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전송한 레인징 코드에 대한 레인징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350)에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갱신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한 상기 지시자는 상기 <표 1>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지국(350)의 제어부(811)는 상기 단말(300)에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2>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갱신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갱신 절차 수행을 알리는 지시자는 상기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을 알리는 지시자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기지국(350)은 단말이 전송할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할 STID(단말 식별자)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350)으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할 때, 수신한 STID 및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이용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L2 전송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상향링크 대역을 할당받아야 하는데, 이때 상기 STID와 primary connection에 해당하는 FID를 이용한다. 상기 기지국(350)의 제어부(811)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L2 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300)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300)의 제어부(811)는 상기 ACK 메시지를 수신한 후 계속해서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 2의 예에서는 L2 전송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대한 ACK을 전송하기 위해 단말에게 STID 및 FID를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STID 및 상기 FID는 기지국과 단말이 사이 연결(connection)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할당된다. 다시 말해, 도 2의 예에서는 L2 전송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 식별자(STID) 기반한 대역폭 요청 동작이 필요하다.
하기 도 9 내지 도 12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에 STID 및 FID를 할당하지 않고, 상기 L2 계층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215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 안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을 단말이 전송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과 단말이 사이 비연결(connectionless)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별도의 단문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 자원을 이용한다. 다시 말해, 단말이 자원요청이 없이도(unsolicited) 기지국은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위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을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901단계에서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903단계에서 타이머 X를 구동시킨다. 상기 901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215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해당한다. 상기 타이머 X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단말은 90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과 비연결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에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디코딩시 사용되는 식별자는 상기 901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 혹은 상기 식별자는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에서 사용하는 단말 식별자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의 페이징 주기 등과 같은 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90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말에 상기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단말은 909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X를 중단하고 91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ACK 메시지는 상기 219단계의 ACK 메시지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CK 메시지의 MAC 헤더에 포함하는 FID는 상기 901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문 메시지 수신 응답 용도로 미리 정의된 FID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ACK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상기 913단계의 유휴 모드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고 상기 907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면 상기 단말은 913단계의 유휴 모드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고 상기 907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지 않으면 905 단계로 진행하여 ACK 메시지 자원할당을 기다린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을 처리하는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1001단계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215단계의 레인징 메시지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자원 디코딩시 필요한 식별자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1003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1005단계에서 타이머 Y를 구동한다. 상기 기지국은 1007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은 1011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Y를 중단하고, 1013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ACK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을 유휴 모드에서 계속 관리한다. 혹은 상기 1007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단말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시 1009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Y가 만료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 Y가 만료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0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을 유휴 모드에서 계속 관리하며, 상기 단말의 다음 페이징 청취 구간에서 상기 1001단계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재시도한다. 반면 상기 단말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 Y가 만료되지 않으면 1007 단계로 진행하여 ACK 메시지 수신을 기다린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 유휴 모드 단말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 경우에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및 ACK 메시지 수신에 필요한 STID와 FID를 할당하였다. 여기서 상기 STID와 FID의 할당 없이 상기 유휴 모드 단말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유휴 모드 단말은 전송할 단문 메시지가 발생하면 상기 도 3의 경우와 같이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 갱신 절차를 수행한다(1101단계). 상기 단말은 1103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1103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도 3의 311단계에서 수신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은 1105단계에서 타이머 A를 구동하고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상향 링크 자원을 상기 기지국이 할당해주기를 기다린다. 상기 단말은 1107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다면 1111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A를 중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에 할당한 상향링크 자원 디코딩시 사용되는 식별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1101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할당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단말의 유휴 모드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주기 등과 같이 상기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된 식별자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은 1113단계에서 상기 할당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1113단계에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313단계의 L2 전송 메시지에 해당하거나 또 다른 L2 계층 메시지(예를 들어,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해당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의 메시지 헤더에 포함하는 FID는 상기 1101단계에서 기지국이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할당하는 FID이거나 혹은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FID가 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1115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1117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1109단계의 판단 결과, 타이머 A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은 1101단계로 진행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위치 갱신 절차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단말은 1109단계에서 진행하여 타이머 A가 만료되지 않을 시, 11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기다린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지국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해 위치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에 1201단계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311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해당한다. 상기 기지국은 1203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1205단계에서 타이머 B를 구동한다.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단말에게 할당함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단말을 지시하는 식별자로 인코딩되어야 하며,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지국이 할당하고 상기 1201단계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의 유휴 모드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주기 등을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1203단계에서 할당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1207단계). 상기 1207단계에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11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B를 중단하고 1213단계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처리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1215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1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을 유휴 모드에서 계속 관리한다. 상기 1209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B가 만료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121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기지국은 1209단계에서 진행하여 타이머 B가 만료되지 않을 시, 1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을 기다린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에서 유휴 모드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의 단말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의 단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의 단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을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을 처리하는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지국 동작 흐름도.

Claims (70)

  1.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유휴모드(idle mode)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시, 타이머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모드(idle mode)에서 레인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청취 구간에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을 위한 위치등록 갱신 절차 요구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 레인징 코드를 송신하여, 상기 레인징 코드에 대한 응답을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를 포함한 레인징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CDMA Allocation A-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디코딩하기 위한 식별자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상기 유휴모드에서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K 메시지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FID(Flow IDentifier)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 응답을 위해 미리 정의된 F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유휴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송신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한 후, 타이머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송신하는 과정은,
    단말에 페이징 청취 구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을 위한 위치등록 갱신 절차 요구를 송신하는 과정과,
    단말로부터 레인징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레인징 코드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는 과정과,
    단말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에 상기 단문메시지를 포함한 레인징 응답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CDMA Allocation A-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디코딩하기 위한 식별자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유휴모드에서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CK 메시지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FID(Flow IDentifier)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 응답을 위해 미리 정의된 F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시, 단말을 유휴 모드에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유휴모드(idle mode)에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하는 수신부와, 여기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시,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ACKnowledge)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대기하고,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청취 구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을 위한 위치등록 갱신 절차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레인징 코드를 송신하여, 상기 레인징 코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메시지를 포함한 레인징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기지국에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CDMA Allocation A-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디코딩하기 위한 식별자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상기 유휴모드에서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CK 메시지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FID(Flow IDentifier)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 응답을 위해 미리 정의된 F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유휴모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송신하는 송신부와, 여기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한 후,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단문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단말에 페이징 청취 구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을 위한 위치등록 갱신 절차 요구를 송신하고, 레인징 코드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고,그리고 단말에 상기 단문메시지를 포함한 레인징 응답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수신부는, 단말로부터 상기 레인징 코드를 수신하고, 단말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정보를 위한 위치갱신 등록절차 성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CDMA Allocation A-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디코딩하기 위한 식별자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유휴모드에서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ACK 메시지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FID(Flow IDentifier)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 응답을 위해 미리 정의된 F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시, 단말을 유휴 모드에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KR1020090104173A 2009-09-22 2009-10-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2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3,530 US8493904B2 (en) 2009-09-22 2010-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mobile station dur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0/006485 WO2011037397A2 (en) 2009-09-22 2010-09-20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hort message service of mobile station dur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210839A JP5674105B2 (ja) 2009-09-22 2010-09-21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イドルモード端末の短文メッセージの送信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0177925.4A EP2299764B1 (en) 2009-09-22 2010-09-21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hort message service of mobile station dur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099132036A TWI510119B (zh) 2009-09-22 2010-09-21 在無線通信系統中空閒模式期間支援移動台之簡訊服務的方法及其裝置
CN201010290355.0A CN102026123B (zh) 2009-09-22 2010-09-25 支持空闲模式期间移动站的短消息服务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14 2009-09-22
KR20090089414 2009-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81A KR20110032981A (ko) 2011-03-30
KR101627165B1 true KR101627165B1 (ko) 2016-06-14

Family

ID=4393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173A KR101627165B1 (ko) 2009-09-22 2009-10-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74105B2 (ko)
KR (1) KR101627165B1 (ko)
TW (1) TWI510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9675A1 (en) 2011-05-03 2017-03-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rom an evolved packet system to a user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3244A1 (en) 2006-05-30 2007-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location of idle-mode mobil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9385A (ja) * 1997-12-18 2002-03-26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システム内でメッセージの送信を行な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94228A (ko) * 2006-03-17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 및 위치등록제공장치 및 방법
KR100901375B1 (ko) * 2006-08-03 200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RU2524866C2 (ru) * 2009-08-24 2014-08-10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Короткие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е сообщения в сигнализ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3244A1 (en) 2006-05-30 2007-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location of idle-mode mobil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802.16m-09/0010r2*
Proposed Text on L2 Short Messaging Service for AW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81A (ko) 2011-03-30
TW201138521A (en) 2011-11-01
JP2011071983A (ja) 2011-04-07
JP5674105B2 (ja) 2015-02-25
TWI510119B (zh) 201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97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hort message service of mobile station dur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619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アイドルモード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901375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JP589292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スリープモードのスリープサイクル同期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48103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8228445A1 (zh) 用于小区切换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8254907B2 (en) Method for activating a trace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44081A1 (zh) 信号及配置信息发送和终端发现方法与设备
US200801251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115066B (zh) 系统信息接收方法、发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4062156A1 (en) Re -attaching to the network after reception of a service reject at a user equipment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KR101297278B1 (ko) 고속 패킷 데이터(hrpd) 시스템에서의 비 3gpp2 시스템 정보의 발송, 응답 방법 및 장치
US85034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5096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512469B1 (ko)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62716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단말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28827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複数の放送管理メッセージの同時送信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30083727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setting holding period of connection information
CN114765744A (zh) Mbs业务数据接收方法和设备
KR2010000344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GB2465031A (en) Notifying a subscriber station whether it should communicate with a target base station using a new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